불교의 중도와 유교의 중용은 어떻게 같고, 무엇이 다른가 ? [고광스님의 어원을 통해본 불교 6강]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불교에서는 중도를 이야기하고 유교에서는 중용을 말합니다. 중도와 중용은 알듯 말듯 비슷하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글자가 다르니 당연히 뜻도 다른 것이 있겠죠.
고광스님은 중도와 중용의 의미를 글자의 형성의미와 교리체계를 통해 분석합니다. 과연 무엇이 어떻게 다른 것일까요?
고광스님의 어원을 통해본 불교, 중도와 중용의 다른 의미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00:00:00: 중도와 중용은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되지만, 중국어 번역에서는 다른 글자를 사용되었다.
00:07:21: 부처님의 깨달음은 중도를 통해 니르바나로 인도된다.
00:15:32: 부처님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느낌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따라가봐야 된다고
생각하셨고, 성스러움과 괴로움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민하셨습니다.
00:21:53: 오온이라는 말은 부처님이 가르침과 관련이 있는 중요한 것 중 하나였고,
세상의 모든 것은 다섯 가지 무더기로 되어 있다는 기본 생각이었다.
00:28:19: 괴로움은 여러 사건이 함께 모여서 생겨나는 사실이다.
00:36:49: 깨달음을 얻는 과정과 그 확인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00:42:09: 부처님은 색수상행식 즉 오온을 통해 깨달음에 이르는 사유의 근간을 설명하셨습니다.
#중도 #중용 #고광스님
불교의 중도와 유교의 중용은 어떻게 같고, 무엇이 다른가 ? [고광스님의 어원을 통해본 불교 6강]
◇ 불광 블로그(공식) :
blog.naver.com...
◇ 불광 페이스북 페이지 :
/ bulkwang
◇ 불광 뉴스레터 구독하기
page.stibee.co...
◇ 불광미디어 인스타그램 :
/ bkbooks79
◇ 불광미디어 홈페이지
www.bulkwang.co...
🙏
한자어로풀이해주시니 더욱 이해가됩니다 매일 찾아와 공부합니다
귀한 법문 잘듣고. 공부하겠읍니다.
👍👍👍감사합니다
고광스님의 말씀을 통해 부처님의 깨달음과 가르침을 바르게 이해하면 나의 삶에 변화가 있다고 생각해 봅니다.
고광스님의 유익한 강의에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최고수준의 법문이자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참됨을 만난듯해서 반가웠습니다
사유없이
허송세월을 지난듯해서 부끄러운 마음이 듭니다
청정한 법문으로 다가 옵니다
정말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합장!
법문 감사드립니다.
관세음보살 나무아미타불 🙏🙏🙏
고광스님의 강의를 무척 기다렸습니다.^^
어려운 내용을 잘풀어서 쉽게 강의해주시니
이해가 잘 되어집니다.
정주행 후 반복공부합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스님.
스님의 법문으로 불교의 중요한 교리를 분명하게 알게 되었습니다.
사성제가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정진하겠습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시전 증전 권전의 내용인 4성제를 알기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를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중도의 길을 갈 수 있게 법문해주신 스님께 감사드립니다. _()_
스님, 감사합니다. 특히 오온과 12연기의 관계를 명확히 알려주셔서 많은 의문이 풀렸습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인로왕보살 임종영가영접
옴제세제야 도미니 도제삿다야 훔바탁 감사합니다
🙏🙏🙏
고광스님의 법문은 매우 간명합니다. 간명함에 이른다는 것은 수행이 깊다는 반증이라 생각됩니다. 기독교인 입니다.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스님
매번법문을들어두 새롭습니다
동시대살고있다는것
만으로도 감사할뿐입니다 .
근념하셨습니다
🙏🙏🙏⚘️😊
중도와 중용을 헷갈려 쓴거 깉은데
잘 설명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공감됩니다
오온을 취했기 때문에 괴로움이 생긴다 ..... 좋은 강의 , 정말 감사 합니다.
좋아용
고광스님의 견해를 책으로
접할 기회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고대 선지식의 번역의미를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스님께서너무나모두가알아듣기쉽게또편안하고구수한목소리로잘설명해주시는법문에나도모게깊게빠져들었습니다큰공부가되었습니다계속집중하고싶습니다기대하도되겠지요?너무나감사드립다
🎉🎉
12연기의행과오온의행이다릅니다
오온은의식의구조이고12연기는의식의현상임을바르게인지할때만이
연기를이해햇다고할수있습니다
12연기는오온의의식활동을설명하는것임을이해해야합니다
법산합장
오온을 "구조"라고 보고 12연기를 의식의 "현상"으로 보는 통찰에 동의합니다.
그러나 오온이 구조이긴 하나 "의식"의 구조라기 보다는 부처가 늘 쓰는 용어로 "존재"의 "구조"라고 보는 게 맞는 것 같네요.
왜냐하면 오온의 '색'은 물질전체를 가리키는 것이거든요.
때문에 오온 중에서 색을 뺀 나머지인 '수상행식'을 '의식의 구조'라고 보면 정확할 것 같습니다.
그렇게 되면 오온의 색수상행식은 (1)'물질(색)'과 (2)'의식의 구조(수상행식)'을 합쳐서 '존재의 구조'라고 완결시켜서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님께서는 오온의 '행'과 12연기의 '행'이 다르다고 하셨는데 제가 보기에는 '행'은 '의도'라는 뜻으로 오온에서나 12연기에서나 같습니다.
오히려 오온의 '색'과 12연기에서 나오는 '명색'의 '색'이 완전이 다르지요.
즉, 저는 12연기에서 명색을 '정신과 물질'로 해석하는 것에 반대합니다. 님께서 짚어주신대로 12연기는 '의식의 현상'에 대한 통찰이며 찰나간에 이뤄지는 의식활동을 세밀히 프로세스화 하여 보여준 것이기 때문입니다. 의식의 현상과 그 활동의 양태를 보여주는 12연기 안에서 물질인 '색'이 나온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지요.
그러므로 '명색'은 의식의 현상의 프로세스에 관여하는 한 고리로서 '이름(언어)과 그것이 가리키는 대상'으로 보아야 맞다고 생각합니다.
즉, 언어학 용어를 빌리자면 명이 랑그이고 색이 빠롤이 되겠지요.
🙏🌺🙂
@@빛사랑-u9i색이 물질인지 시각대상인지 감각대상인지도 설정하지 않고 어떤 주장하는 걸 믿는다는게 이상한 사람들임
바르고 정당한 길로 인도되는 것. 니르바나로 인도된다. 이것이 중도이다. 난해하지도 그렇다고 쉽지도 않은 적절한 중도적 설법 감사합니다.
중용은 중도를 쓰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