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내용입니다 얘기하신 것들에 동의하며 그런 의미이세 지금 건설중인 성수동에 젠틀몬스터 사옥이 사람들이 뭘 저렇게 짓냐고 하지만 그런 독특한 형태가 젠틀몬스터 회사가 보여주는 디자인의 독창성과 잘 어울리는것 같아서 좋아보이더라구여 😁😁 우리나라에도 앞으로 더 멋진 건축물들이 많이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예전부터 궁금했던 게 저런 창의적인 건물들은 달리 말하면 굉장히 복잡다단하고 구조가 어지럽다는 겁니다. 만드는 사람에게는 작품이지만 한편으로 사후관리가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저런 건물들은 나중에 수리나 복구 작업이 필요할 때 건물 신축 당시의 건축가한테 관리를 받나요? 건축가 당사자가 아니면 저건 구조 파악부터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습니다. 수도관이나 전기 배선 파악, 청소 등 어떻게 할 지 궁금하네요. 관리 비용도 많이 들 것 같습니다.
직접도 -> 집적도 / 두 가지 이유가 있을 거 같은데요. 하나는 4차 산업으로 진입하면서 과거에 적용되던 인구밀도와 생산성 사이의 상관 관계가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다음으로는 인구밀도라는 게 올라가기만 한다고 해서 생산성이 좋아지는 데에는 분명 한계 지점이 존재하기 때문일거라고 봐요. 단순하게 예시를 들어서, 10평의 사무실에 10명이 업무를 보는 것과 5명이 업무를 보는 것을 생각해볼게요. 같은 공간에 있었을 때 생산성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산업이라면 10명이 함께 생활하면서 생기는 스트레스가 5명이 생활할 때보다 훨씬 크겠죠. 그 스트레스가 누적되면서 오히려 생산성이 악화되는 현상이 생길 가능성이 크구요. 아마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건 위 두 가지 정도네요.
다른 미국 본사들도 해주세요 재밌어요.
성냥갑만 보다가 세계 여러 건물들 보니까 신기하네
교수님!! 얼굴뵈니 좋았어요^^ 피부톤이 완전 좋으네요. 현장 덜 뛰시나 ㅋㅋ 아!! 겨울이라 햇볕을 덜보시구나^^ 행복의 미소를 머금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셜록현준님의 '사옥'에 관한 철학을 엿볼 수 있는
참으로 재미있는 내용이었습니다 ^^
🤗👍
사옥에 대한 유익한 얘기들 재밌고... 너무 고마워요~~~
오늘도 너무 재밌는 영상 보고 갑니다
"매출이 감동이다" 몹시 인상적입니다
교수님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뉴욕이나 상하이같은 대도시에 스카이라인 분석해주시면 재밌을거같아욥!!!
JYP 신사옥 설계하셨던데 그것도 이야기해주세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응 망했죠
과거 영상에 있을껄요??
준공일은 되어야 입 여실 것 같은..
❤❤❤❤❤감사합니다❤❤
사옥들이 멋지네요 테크기업들 답게 사옥도 미래형 디자인이네요^^♡
건축가의 국적에 따라 건축철학에 차이가 생기는 게 신기하네요. 언제 한국 건축 공간 철학에 대해서도 다뤄주세요!
재밌다아 ㅎㅎㅎㄹ
너무 좋고
옛 강북에 있던 삼성본관건물은 일본에서 설계받아왔음. 신라호텔은 일본 오쿠라호텔이 설계해서 일본 다이세이건설이 지었고. 삼성 기흥반도체공장도 스카웃한 도시바관계자가 설계.
잘 아시네요 늘 해당 분야 초기에는 늘 그래왔죠 토목쪽이지만 1호선 초기 노선도 그랬죠 건설에 차량 까지 히타치에게 받았죠
와....대단하시네요
좋은 내용입니다
얘기하신 것들에 동의하며 그런 의미이세 지금 건설중인 성수동에 젠틀몬스터 사옥이 사람들이 뭘 저렇게 짓냐고 하지만
그런 독특한 형태가 젠틀몬스터 회사가 보여주는 디자인의 독창성과 잘 어울리는것 같아서 좋아보이더라구여 😁😁
우리나라에도 앞으로 더 멋진 건축물들이 많이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교수님 영상공장이 되어주십쇼 텀이 너무 길어여ㅠㅜ
사실 사옥을 화려하게 짓고 복지 시설 배치하고 그래봤자 막상 직원들은 바빠서 쓸 일이 없죠. 그냥 효율적으로 업무를 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짓는게 최곱니다.
예전부터 궁금했던 게 저런 창의적인 건물들은 달리 말하면 굉장히 복잡다단하고 구조가 어지럽다는 겁니다. 만드는 사람에게는 작품이지만 한편으로 사후관리가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저런 건물들은 나중에 수리나 복구 작업이 필요할 때 건물 신축 당시의 건축가한테 관리를 받나요? 건축가 당사자가 아니면 저건 구조 파악부터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습니다. 수도관이나 전기 배선 파악, 청소 등 어떻게 할 지 궁금하네요. 관리 비용도 많이 들 것 같습니다.
브루탈리스트 관람 전 알고 가면 좋은 영상 제작 부탁드립니다ㅜㅜ
저도 브루탈리스트 볼 예정인데 좋은 의견이네요?!!🤔동감합니다😊🙌
왜 실리콘밸리는 높은 집적도의 건물들이 없나요? 소프트웨어 사업에선 인구밀도가 올라가면 생산성이 올라가는게 적용되지 않나요?
직접도 -> 집적도 / 두 가지 이유가 있을 거 같은데요. 하나는 4차 산업으로 진입하면서 과거에 적용되던 인구밀도와 생산성 사이의 상관 관계가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다음으로는 인구밀도라는 게 올라가기만 한다고 해서 생산성이 좋아지는 데에는 분명 한계 지점이 존재하기 때문일거라고 봐요. 단순하게 예시를 들어서, 10평의 사무실에 10명이 업무를 보는 것과 5명이 업무를 보는 것을 생각해볼게요. 같은 공간에 있었을 때 생산성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산업이라면 10명이 함께 생활하면서 생기는 스트레스가 5명이 생활할 때보다 훨씬 크겠죠. 그 스트레스가 누적되면서 오히려 생산성이 악화되는 현상이 생길 가능성이 크구요. 아마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건 위 두 가지 정도네요.
고도 제한 때문에 고층을 못짓습니다. 단층으로 넓게 지을거 크고 웅장하게 가는거죠
효율성이 뭐 인구수만 때려박으면 그냥 올라갑니까? 그랬으면 미국 실리콘 밸리에도 닭장아파트 지었겠지요
지진때문에?
캘리포니아 LA가 원래 중심부 아니면 조닝 코드에 고도 제한 기준이 나옵니다.
아마존은 스피어가 휴식겸용 근무공간이지 대부분은 옆에 건물에서 일합니다. 집중해서 일할 환경이 아니에요.
전 엔비디아 건물 모양이 그래픽 카드 모양이라고 생각했는데
긍데 외국은 은근 파티션 없는 사무공간 많나보네영 ㅋㅋㅋㅋ 파티션 없으면 좀 그렇던데….
우리나라도 IT 업계는 대기업들도 파티션 안쓰는 곳들 많더라구요
❤
더 재미있었어요. ㅎㅎ
음… 셋 다 뭔가 다 비슷한 느낌 결국에 쉘 같은 게 건물을 감싸는 느낌
예쁘당
❤😢
이영상 장진 감독님이 좋아하실듯…
구글 사옥의 천막 굴곡면이 과연 완전 평면보다 태양광 발전에 비효율적일지는 따져봐야될 듯하네요.
요즘 빅태크 본사건물은 내부의 직원들을 위한게 아니라 걍 홍보용임. 투자자들에게 우리 돈많아요 하고 보여주는용
참... 맞춤법부터 표현까지 수준이..
사옥 투어 같은 건 한번이라도 보셨나요?
@@Dragons4life-ilv 솔직히 그것도 마케팅임
구글의 복지 시설들이 막상 직원들은 쓸 시간이 없는거랑 마찬가지죠. 그 복지 시설들을 쓸 사람들은 퇴사 직전의 사람들뿐이다라는 우스갯소리가.....
@@Dragons4life-ilv사옥 투어야 말로 보여주기식, 홍보용인데ㅋㅋㅋ 뭘 지적하고 싶은지는 알겠는데 예시를 정확하게 반대로 들어버려서 개웃기네ㅋㅋㅋ 아 한참 웃었다
@@toredoc6594 회사 내 자체 콘텐츠 말고 타 크리에이터들이 제작한 영상들은 안보셨나 보네요
3등이용^^
너무 재미있어요 ㆍ
깊이 있는 해설 감사드립니다 ㆍ
계몽 됐어요 ㆍ
삼성은 공장이죠 휴먼리소스 ㅎㅎ
1등
음.... 2:59 이집트의 그랜드 이집트박물관을 언급하시네..... 이 타이밍에?
왜 그렇게 꼬이셨어요;;ㅋㅋ 관련내용도 아닌데 ㅋㅋ
옛날에 찍어둔건가보죠 ㅋㅋㅋ
이 타이밍에..? 해샀노ㅋㅋ
촬영을 뭐 어제 한 줄 아나ㅋㅋㅋㅋㅋ 며칠은 됐을 텐데
영상 편집 퀄만 봐도 하루이틀만에 끝나는 영상이 아닌데 논란 터지고 했겠냐
엔비다아, 전시안 로고에 삼각형 사옥? 화교인 CEO까지, 투명하다
2등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