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0 IT강국 이라는 국뽕 환상에서 좀 깨어났으면 좋겠다. 20년전 땅덩이 좁아서 초고속 인터넷 빨리 깔린거 가지고 이작까지 IT강국이라고 착각하고 살지 말자. 해외 가면 어린이부터 70 80대 할머니 할아버지들도 스마트폰 엄청 자유자재로 사용하고 시설이나 인프라도 눈돌이가는 거 많다. 2022년 지금은 IT후진국 한국이 엄연한 팩트다.
결과적으로 국내에 애플페이가 도입되면 따라서 NFC 방식도 차츰 활성화 될 것이고, 나아가 워치로도 결제 할 수 있을테니 삼성 유저들 입장에서도 호재인 부분이었죠...그동안 수없는 루머와 여러 이견을 보면서 가려웠던 차 그 부분을 시원하게 긁어주셨습니다 ㅜㅜ 좋은 영상 항상 고맙습니다.
애플페이 수수료가 EMVco1%에 자체수수료0.05~0.15%면 신용카드 0.5%~1% 포인트적립 과 거의 맞먹는데 카드사가 이걸 부담해주지는 않을텐데 포인트나 페이백 혜택을 없애지않는다면 거래소별 할인혜택을 없애던지 영화관무료나 통신비할인을 없앨것같습니다. 그리고 단말기 부담금과 수수료때문에 가맹점주(가맹점주가 부담하지 않고 VAN사나 다른데서 부담해도 결과는같음)들은 가격을 올릴것이고 애플페이 쓰지않는사람마저도 오른가격을 지불해야할것으로 보이구요. 과거에 현금결제시 할인해주는거 카드랑 차별하냐해서 그냥 카드가로 동결쳐졌는데 애플페이가격 따로 만들리도 없고 결국에 물가만 조질거같네요. 나라별로 점유율 높은만큼 수수료가 높은데 이걸 좋아하기엔 너무 별로다..라는생각입니다. 결국 우리도 처음에 수수료 낮다가 나중에 올리겠죠(수정:배달앱을 보세요 처음에 편리하고 쿠폰도 주고 해서 "쓰다가 나중에 부담되면 안쓰면 그만이지.." 라고 했지만 결국 수수료 너무 높고 배달료높고 부담이 막심하다고 많은 원성이 나오지만 다들 맛들려서 그저 계속 이용하고 있지 않나요? 애플페이는 더 그럴텐데요. 지금도 배달앱때문에 배달앱안쓰면 주문조차 안되는 음식점이 많습니다. 그런데 배달수수료는 많고. 그러니 손해 안보려면 많이팔아야하고 이러니 전화를 받을 수 없죠. 배달앱이 분권해서 경쟁을 하면 모를까 경쟁도 안하고 있잖아요. 어떻게든 피해가 올텐데말이죠(수수료 1%가지고 왜그러냐 하겠지만 카드결제로 많은것을 하죠. 배달음식만 사는게아니라 차도사고 컴퓨터도사고 취미활동이란답시고 수백만원하는 자전거나 뭐라도 살 수 있죠. 그런데서 1%면 1년에 얼마일까요? 배달료 3~5000원 내는거보다는 훨씬많을거에요))
NFC방식은 애플페이와 별개로 차츰 활성화 되고 있는 중입니다. 영상에서 언급한 것처럼 삼성페이나 일부 카드사에서 지원중이며, 아직 애플페이는 도입되지 않았지만 이미 몇몇 점포에서는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근데 애플페이가 도입되면 그 수수료는 누가 부담하나요? 카드사? 아니면 점포?
윗분들 여러 댓글에서도 많이 보이시던데... 모쪼록 장문의견 감사합니다. 제 취지는 어디까지나 이번 애플페이 도입과 함께 NFC의 활성화로 얻는 기능적 수혜에 대해 말하고 싶었어요. 본 NFC결제 활성화를 통해 아이폰 뿐만아니라 기존 삼성단말의 NFC를 활용한 결제방식 개선, 아울러 기존 갤럭시워치 또한 NFC결제방식이었기에 애플페이의 도입으로 다방면에서 얻는 이점또한 있었거든요. 물론 현실적으로 풀어갈 숙제와 국면또한 많고 많겠지만 한편으론 그런면도 있었구나~ 정도로 봐주셨음 감사하겠습니다 ; )
@@junkl01 네 기존 대형 프렌차이즈 같은곳은 예전부터 차차 지원해왔었죠ㅎㅎ 하지만 실상 점유율은 그 한계가 존재했던... :( 앞서 언급하신것처럼 수수료 등 여러 국면때문에 당장은 힘들겠지만 그래도 이는 차차 풀어갈 문제인 점, 따라서 이번 애플페이 도입을 통해서 NFC방식의 확대가 박차되었으면 하고, 앞서 나열했던 그 수혜를 하루빨리 느꼈으면 하는 그런 바램이었습니다 :)
삼성페이도 NFC로 결제하면 진짜 빠른데... 이상하게 MST때문에 많이들 모르시더라구요. NFC로 결제되는곳으로는 파리바게트, 스타벅스 같은 대형프랜차이즈는 거의 NFC로 되다보니까 찍으면 보급형폰이여도 바로 결제되어있는것을 볼 수 있어요. 더 신기한건.. 삼페에 해피포인트를 등록하면 파바에서는 해피포인트 찍을필요없이 자동 적립이 되더라구요.
MST만 지원되는 카드와 MST,NFT 동시지원되는 카드가 따로있는 줄 처음 알았습니다. 근데 여태 삼성페이 사용상 불편한 점을 못 느낌. 위치 상 가져다 대는 모션이 부자연스럽긴 해도 주머니에서 지갑 꺼내서 카드 꺼내서 구멍에 끼우고 다시 꺼내서 지갑에 넣어서 주머니에 넣는 반복동작보단 훨씬 편하니 저는 그러려니 했습니다 그려~
@@142smdopp 5초에서 0.1초면 엄청 획기적인 겁니다. 물론 삼페도 nfc 방식으로 하면 빠른데 왜 느린 걸 고집해야 하죠? 1초가 더 빨라도 난리가 나는 게 현재인데요. 사용자들의 사용감을 무시하지 마세요. 유튜브 영상도 느린 거 싫어서 어떤 영상이든 항상 2배속으로 틀고 보는 분들 널렸습니다.
방금 이 영상 보고 NFC 마크 새겨진 내 현대 카드로 편의점에 가서 IC 카드 안 꼽고 그냥 갖다대니 진짜 결제가 되네요! 근데 궁금한 게 이런 비접촉 NFC 결제를 사용하면 EMVco에서 건당 1% 수수료 요구한다고 하지 않았나요? 그럼 이미 현대 카드는 애플 페이 도입과 상관 없이 이렇게 NFC 결제할 때마다 수수료를 내고 있다는 건가요?
궁금한게요 삼성은 nfc 그리고 mst를 모두 지원하는게 장점이고 말씀처럼 영세사업자까지 nfc단말이 보급되는데 걸리는 시간 정말 거의 90%이상 보급되기 전에는 mst와 함께 써야 하는데 그 모듈의 크기가 상단에 위치 할 수 있을 만큼 인가요?? 즉 아이폰에 들어있는 nfc모듈 정도의 크기면 두 모듈이 들어갈 수 있는 정도 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그렇게 위치가 옮겨지는 것도 좋지만 그게 아니라면 어렵지 않을까요??
실제로 애플카드를 표함한 다양한 미국 카드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AmEx BCE, Chase Sapphire Preferred 등을 사용하고 있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삼페가 느리다고 느껴진 이유가 가장 큰 건 지갑앱으로 들어갈때와 결제시 인증 방식이 차이가 컸던것 같네요. 애플페이는 화면을 키지 않은 상태라도 전원버튼 두번에 페이스아이디로 바로 인식해서 결제가 가능한데, 삼성페이는 오랫동안 삼성기기를 써본적이 없고, 주변에서 구매해 접는거만 봐서요즘에 플립, 폴드가 나오면서 결제 방식이 조금 달라진것으로 들었지만(확실하지않음), 제가 사용했을때는 화면을 키고 아래에서 끌어올리는데 시간이 좀 걸렸던것 같네요. 삼성페이는 앱을 키면 네트워크 통신을 해야하는데, 미국 특유의 노답적인 통신서비스와 콜라보를 쳐서 저에겐 느리게 느껴진 것 같습니다. 마트나 위치에 따라 조금 차인 있지만, 마트안에서 네이버 검색도 힘들정도로 느린 경우도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애플페이는 네트워크 통신이 필요가 없습니다.
mst 방식에서는 애플페이는 결제가 느린게 아니라 아예 불가능 한데 이게 왜 삼성페이의 단점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뭐지 ㅋㅋ nfc - 삼성페이, 애플페이 둘다 같은 속도로 결제 가능 mst - 삼성페이만 결제 가능 이건데 ㅋㅋ 교묘하게 짜집기해서 삼성페이의 mst방식과 애플페이의 nfc방식 속도를 비교해서 삼성페이가 느리다고 말하는 사람은 거의 기레기 수준인데
댓글들 읽다 궁금한 점들이 생겼는데 스피드웨건 찾습니다 1. 애플페이가 해결해야 할 숙제 중 "국내에 애플페이 사용자격을 갖춘 사람이 적다(아이폰 주 유저층이 저연령층이라 신용카드의 발급이 적다)"라는 댓글을 봤는데, 그럼 애플페이는 체크카드는 지원하지 않나요? 예전 중학생때 삼성페이에 체크카드 등록해서 잘 사용했던 기억이 있는데 애플페이도 체크카드를 지원한다면 저연령층도 충분히 많이 이용할테고 그렇다면 사용자는 충분할 것 같아서요. + 애플페이에서 체크카드를 지원한다면 삼성페이에 체크카드를 등록했을 때처럼 아이폰만으로 ATM기 입출금도 가능할까요? 2. 근 몇년간 마그네틱 결제 횟수는 손에 꼽는 것 같고 거의 IC칩으로 바뀐 것 같은데 IC칩 결제도 마그네틱 결제와 같은 방식인건가요? 3. 모든 체인편의점, 마트 그리고 웬만한 음식적에서는 NFC방식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 같은데 현 단말기 보급 상태 그대로 애플페이가 도입된다고 하면 지갑없이 애플페이로만 돌아다닌다고 치면 큰 불편함이 있을까요?
1. 애플페이가 emv 방식이라 카드에 비자, 마스터, jcb,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브랜드가 붙어있어야 가능한데 현대카드 독점계약이라고 가정하면 현대카드에서 위 브랜드가 붙어서 나오는 카드가 신용카드밖에 없어요. 현대체크는 국내전용입니다. 나중에 현대카드 독점계약이 끝나면 다른카드사에서 체크카드에 비자, 마스터 브랜드 붙어있어서 체크카드 사용 가능해도 atm으로 입출금은 별개라서 애플이 국내 은행이랑 계약을 해야됩니다. 삼성페이도 체크카드로 atm 입출금 하는게 아닌 은행 계좌를 삼성페이에 등록시켜서 atm 입출금 하는겁니다. 2. ic결제는 결제 단말기와 ic칩을 접촉시켜서 ic정보를 읽어 결제하는 방식이고 마그네틱방식(삼페의 mst)는 카드의 마그네닉 자기장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하여 단말기는 해당신호를 수신하여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마그네틱방식은 신호 전송 거리가 너무 짧아서 ic결제처럼 결제 단말기에 들어가야됨. 3. 지금 당장 기준으로 카페 체인점이나 편의점, 대형마트 같은곳이면 상관없는데 거의 모든 음식점에서는 nfc 결제단말기를 안들어놨기에 실물카드 없이 애플페이 하나만 믿고 쓰기에는 힘들어요.
진짜 궁금했던 정보였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현대카드 NFC 결제방식 지원하는지 모르고 공용주차장에서 결제하려고 긁으려는데 이미 결제가 끝나서 놀란적이 있었지요 ㅋㅋㅋ 암튼 하루라로 애플페이가 들어와서 삼페랑 맞짱 한번 떠서 삼페도 더 발전했으면 좋겠고 애플도 한국시장을 우습게 보는 일이 없었으면 합니다! 한국이 3차 출시국이라니...아놔
@@요약의달인-q5g 왜 자꾸 1% 수수료라고 박박 우기는지 모르겠음.. 애플이받는 수수료가 0.15%이고 EMVco 수수료는 받을지 안받을지 모름. 이미 편의점 등에서 EMVco 터치리스로 결제하면 국내카드는 국내 자체망으로 해외카드는 해외 결제건으로 결제되기 때문에 만약 애플페이가 나온다면 이부분에서 해결되었을 가능성이 큼. 해외 카드를 국내에서 사용하면 1% 수수료 물리는거고, 국내카드를 국내에서 사용하면 수수료 나올지 안나올지 모르는거고. 그리고 수수료보단 보안토큰 인증비가 맞음. 그리고 중국 일본에서 애플페이가 지지부진한건 일단 신용카드보다 현금이나 체크카드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음. 참고로 애플페이는 전세계 결제수단 사용 중 비자 다음으로 2위임. 삼성페이는 8위인가 하위권이고
@@요약의달인-q5g 서울에서 50% 정도가 아이폰 사용하고 거기에 20~30대 아이폰 사용 비율이 갤럭시보다 높음. 특히 서울권역은 구매력이 높은 사용자들이 많아서 현대카드가 이런 점을 이용해 애플페이를 적극 도입했을 것임. 현카가 바보도 아니고 전년도 순익에 해당하는 몇천억원의 개런티랑 단말기 보급 지원비용을 대면서까지 들여오려고 하겠나
컨택리스 카드를 편의점에서 쓸 때 문제가 있습니다... 거의 90% 이상은 점원이 카드 부터 꽂으라고 말해요.. 안꽂고 결제 눌러주세요 하면 빨리 카드 꽂으라고 실랑이 벌이게 됩니다. 이 실랑이가 귀찮고 짜증나게 되는데.. 꿋꿋하게 카드 결제 눌러주세요 하면 마지못해 누르게 되고 카드를 태그한 적이 엄청 많습니다..
@@soosia716 명분이 없지는 않습니다. 보안성, 결제속도 NFC가 모두 우세한데가 세계적 트랜드이므로 무시할 수 없겠죠. 그리고 단말기도 각 회사들이 애플페이가 가능한 NFC를 탑재한 제품을 속속 출시하고 있고요. 그리고 동방성장위원회에서 일정 기준을 갖춘 소상공인들에게 NFC 단말기로 바꿔주는 사업도 하고 있어 변화가 없진 않을 겁니다
헐.. 편의점 알바인데요 어쩐지 아주 드물게 특정 카드는 카드를 넣지 않고 올려만둬도 바로 결제가 되더라고요. 저희 편의점은 카드를 직원이 직접 꽂아줘야해서 그게 은근 귀찮고 코로나도 찝찝했는데 비접촉 결제를 지원하는 카드가 얼른 더 많아졌음 좋겠네요 결제속도 확실히 빠르더라고요~ 그리고 삼성페이도 nfc부분에 갖다댈걸 그랬네요 그게 있는데도 활용을 못하고 지금까지 더 느리게 결제를 해주고 있었던 거라니 ㅠ
저는 Nfc mst 모듈이 가운데 있는 게 편해요. 결제할 때 대부분 사장님께 핸드폰을 드리거든요. 아마 일부 편의점을 빼면 대부분 이렇지 않나요? 나이 있으신 사장님들이 삼성페이라는 방식으로 결제 시 여기저기 안비비고 빠르게 결제 하고 싶다고 하시면 모듈이 가운데 있는 게 더 편할 것 같아요.
카드사들 신기술 도입에 소극적인게 국내 카드사 점유율 탑3가 신한 국민 삼성입니다. 국민 삼성은 최근 앱 개편 등을 보면 나름 트렌드에 따라가려는 흔적이 보이지만(물론 사용성이 편한가는 또다른 문제이지만요) 나름 통합 앱이라고 하는 신한은 뭐 답도 없는 수준이네요.. 아마 이런 마인드가 카드 시장 선도하는데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됩니다.
일본도 비접촉결제 방식이 기본이긴해서 신경 안 썼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보니 재밌네요 ㅎㅎ 확실히 편한것도 있고, 일본은 카드 회사에서도 '비접촉으로 결제시 추가 포인트 혜택' 등 비접촉 결제를 권장하는? 이벤트도 많이 하다보니 소비자 입장에서도 사용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느낌도 받고 있어요. 뭐 그래도 아직까지 현금계산하는 사람이 많은게 일본이긴 하지만 ㅎㅎ
@@GangHyeMin 저 올해 봄에 일본에서 들어왔는데 요즘 현금만 받는 곳은 드물어요. 웬만한 프랜차이즈나 편의점, 마트, 백화점은 카드나 페이 사용가능하고 일반 식당들도 카드나 페이되는 추세인데.. 제 생각엔 아마 페이는 가능한데 카드안되는 식당 가셨으면 페이 어플 없으셔서 현금 내셨던 것 같아요.
편의점 CU 결제 단말기의 패드는 NFC인가요? 아니면 MST까지 지원하는 방식인가요? 폰에 NFC 안켜놓는데 CU에서 패드에 올려놓으면 결제가 되더라고요. 폰 설정에서 NFC를 켜놓지 않아도 NFC가 인식이 되는 건가요? 아니면 MST 방식으로 결제가 된 건가요? (확인해보니 삼페 켜도 NFC가 자동 활성화되지는 않네요.)
근데 솔직히 mst방식으로 삼성페이 쓰면서 느려서 불편하다고 느낄 일이 있나요? 무슨 교통카드 찍는것도 아니고, 점원이든 키오스크든 구매과정 전체가 짧아도 일분은 걸릴 일인데, 한번도 그 1.5초가 느려서 신경쓰인적은 없었습니다. 인식위치는 호불호가 좀 갈릴 일같긴 한데, 가끔 결제를 점원분이 해줄때는 무의식적으로 가운데 갖다대면 되니까 오히려 좋은점도 있기도 하구요
@@FirstSound01 1초 내외가 체감으로 딜레이가 생겼다고 느낄려면 지하철 개찰구처럼 전체 과정이 몇 초 내로 이뤄지는곳이어야겠죠. 근데 마그네틱이든 ic칩이든, 기존 카드로 걀제하는곳중에 그렇게 일 이 초가 체감되는곳이 있었냐는거죠. 3년정도 삼성페이 쓰면서 한번도 느리다는 생각 근처도 안해봐서 뭐가 있나 싶습니다.
저 외국 사는데 여기는 100% nfc결재죠. 그런데 삼성폰 nfc 위치는 진짜 극혐. 물론 여기서 삼성폰은 가뭄에 콩나듯. 상점에서 삼성폰으로 결재하려 버벅대면 점원이 폰 대가리를 갓다 대야지라고 하면 더 짜증나요. 다들 애플 쓰니 대가리 대는게 당연하다 생각하니... 소비자 생각이라곤 없는 삼성. 그러니 선진국에서 삼성폰은 없죠. 한국 아재들만 갤럭시. 한국 할배 할매만 카톡...
차기작 기다리실 거 없이 MST 안테나는 여전히 무선충전 코일이랑 통합이지만 NFC 안테나 위치는 이미 카메라 옆으로 바뀐지 한참 됐어요. 아이폰이랑 다를 거 없죠. NFC/MST/무선충전 전체 통합은 "요즘 삼성폰들"이 아니라 옛날 얘기입니다. 한 S10 정도까지만 맞는 얘기 같네요.
@@요약의달인-q5g 덧붙여 설명해드리자면, 애플페이에는 적립이 기능이 없어서 그런것도 있고, 일본이 재난 상황에 대비하여 캐쉬리스 발전이 더디기 때문이에요. 교통카드 = 어차피 현금을 가지고 다녀야해서 다들 지갑을 가지고 다니는지라 굳이 애플페이 이용안하고 실물 파스모나 스이카 사용함.(요즘은 그래도 잔액충전의 간편함때문인지, 지하철보니까 많이들 이용하는 편이더라구요.) 페이페이, 라인페이, 라쿠텐페이 등의 QR결제 기반 페이들이 애플페이와는 다르게 적립금이 상당합니다. 우리나라 QR 적립과는 다르게 항상 이벤트를 해서 진짜 쏠쏠한정도. 다만, 요즘은 페이페이카드와, 라인페이가 애플페이랑 연동이돼서 애플페이 NFC를 통해 간편하게 라인페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었습니다.
삼성페이 쓰시는 분들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를 말씀드리자면, 갤럭시에서 삼성페이앱을 통해서는 NFC 결제가 가능하지만 페이코-삼성페이를 통해서는 NFC 결제가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기본 삼성페이 앱이 아닌 페이코앱에서 삼성페이를 기동하면, 오프라인에서는 1%가 추가로 적립되기 때문에 쓰시는 분들도 있거든요. 저도 포함해서요. 그리고 삼성페이는 지역락이 기본 정책이라서 갤럭시 출시국가, 신용카드 발급국가, 삼성페이 앱 국가 이렇게 3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사용가능합니다. 그럼 어떤 사람들은, 내껀 북미에서 출시한 갤럭시인데 캐나다 신용카드가 등록이 되고 캐나다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이것은 엄연한 우회사용 방식임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북미에서 출시한 갤럭시는 국내에서 삼성페이 사용 불가능하고, 반대로 국내에서 출시한 갤럭시도 기본적으로 해외에서 사용 불가능합니다. 다만, 최근에 삼성에서 '지역락'을 풀은 게 아닌 우리카드, 삼성카드 중 일부 마스터카드 신용카드에 한하여 해외에서도 결제가 가능하게 삼성페이앱을 업데이트 해주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것을 두고 삼성에서 지역락 풀어줬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팩트는 삼성에서는 지역락을 풀은 적이 없다입니다. 지역락이 풀렸다고 말하려면, 삼성페이에서 공식지원하는 국가라면 어떤 나라에서 갤럭시를 출시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삼성페이가 가능해야 하고 신용카드 발급국가도 그 어떤 나라여도 등록이 가능하여야 합니다. 예를들어 북미에서 출시한 갤럭시에 한국에서 발급한 체크/신용카드를 등록할 수 있어야 하고, 이 폰을 들고서 공식 지원국가 중 그 어떤 곳을 가더라도 삼성페이 결제가 가능해야 합니다. 이를테면 홍콩이나 캐나다 한국 스위스 대만 등지에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런 걸 두고 지역락이 풀렸다고 하는겁니다.댓글로 반박하시기 전에 삼성 멤버스에서 '삼성페이 해외'로 검색해서 갤럭시 삼성페이 담당자분들이 남겨놓은 답변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삼성페이의 이러한 정책은 출시부터 지금까지 유지해오고 있고요. 오피셜로 지역락을 풀었다라고 발표한 적은 없습니다. 제가 이렇게 길게 설명하는 이유는 저번에 어떤 유튜브에 댓글로 간단하게 남겼더니 나는 되는데? 지역락 풀린거 맞는데? 하면서 어그로 끄는 사람들이 있어서입니다. 아주 많았네요 ㅎㅎ 이런 분들 대부분이 팩트를 알려줘도 수정도, 삭제도 안 합니다 그리고 애플페이나 구글페이의 경우는 공식 지원국가일 경우 스마트폰 출시 국가, 신용카드 발급국가, OS 국가가 그 어떤 것이든지 전부 지원합니다. 예를들어 일본에서 애플페이를 지원하는데, 일본에서 출시한 아이폰에 애플페이를 공식 지원하는 국가에서 발급한 데빗/신용카드(프리페이드 카드 중 지원하는 것들도 있음)라면, 거의 대부분 등록이 가능합니다. 이를테면 미국 은행에서 발급한 체크카드를 등록했다손 치면, 이렇게 세팅이 완료된 아이폰을 들고서 국내의 NFC 지원 단말기에서도 결제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한국에서 출시한 아이폰도 가능합니다 다만, 한국은 애플페이 공식 지원국가가 아니니 해외발급카드를 등록해야 하고요. 구글페이도 똑같습니다 다만, 공식지원하지 않는 국가에서는 앱 오류가 있어서 꼼수를 이용해 사용 가능합니다. 더불어 EMVco(비접촉결제)의 결제 수수료는 1%이고 카드사에서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기 때문에 수수료 0.00001%라도 아껴야 하는 카드사 입장에서는 EMVco에 적극적일 수가 없겠지요. 다만, 해외 국가 중엔 소비자가 이런 전반적인 결제 수수료에 대해서 일부 부담하는 곳들도 있어서 해외와 비교하여 이렇다 저렇다 정답을 내기는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EMVco와 더불어 애플페이, 구글페이가 활성화 되어야 하는 이유는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게 결제 편의성을 제공해야 관광 활성화에도 단 1%라도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해외발행 신용/데빗카드의 결제를 막아둔 곳도 많고, EMVco를 정식으로 지원하는 NFC 단말기 개수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NFC 결제가 가능해도 꺼놓고 장사하는 곳들이 대부분입니다. 아니면, NFC 단말기를 갖다놨지만 해외발행 신용/데빗카드의 결제를 거부하도록 설정해놓는 곳들도 상당히 많습니다. 우리가 외국인 시점이 아니라서 와닿지 않겠지만, 외국인 입장에선 우리나란 일본이나 중국보다 페이먼트 후진국입니다. 관광하러 온 사람이 체류 90일 이상이어야 발급가능한 외국인 등록증을 만들리 없겠고 그래서 우리나라 체크카드를 못만들고, 간편결제도 중국이나 일본은 QR결제가 가능한 동시에 선불카드도 발급되고 편의점이나 우체국 등지에서 충전해서 사용가능하고 간편결제 플랫폼이 20개 이상이라 간편결제 시장의 점유율이 압도적인 반면에 우리나라의 간편결제는 앱에서 카드등록을 하지 않는한 사용이 불가능하고, 어찌어찌해서 포인트를 충전해서 사용한다고 해도 바코드나 네이버페이의 QR 결제를 지원하는 가맹점의 수가 매우 적습니다. 반면에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매장에서 QR 결제를 지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KB페이라든지 SSG페이라든지 간편결제라고 내놨는데, 아이폰에서 바코드 방식으로 사용하려면 편의점이나 신세계 백화점, 이마트나 일부 화장품매장이나 아주 극소수의 프랜차이즈 외에는 결제되는 곳이 없어서 이건 간편결제라고 하기엔 애매한 것이죠. 실제로 북미발 커뮤니티인 레딧에서 한국 여행 관련 쓰레드가 올라왔을 때 댓글에서 현금 말고는 사용할 수 없어서 매우 불편했다는 이야기가 압도적이었습니다. 이러니 누가 오고 싶어하겠습니까 차라리 일본을 가겠죠. 암튼 우리나라는 매번 IT를 선도하는 국가라고 하지만 이런 부분에서는 여전히 후진국입니다.
제가 최근에 여기저기 찾아보며 공부한내용들이 잘 요약되어있네요~! 카카오뱅크인지 토스뱅크인지.. 체크카드는 컨텍리스마크가 없는데도 해당기능이 들어가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던거같기도하구요. 또 Visa인지 Master인지 따라서도 가맹점에따라 비접촉결제가 안되는경우도 있었어요. 한 예로 제가 가지고있던 컨텍리스지원 삼성 Master 카드는 GS25에서 결제가 안되었지만(터치해도 인식실패했다고뜸) 현대카드에서 애플페이를 지원할수있단 루머가 뜬 이후에 현대카드(Visa)를 발급받았는데 이경우에는 GS25에서 잘 작동하는걸 확인했구요. 비접촉결제의경우 Visa가 가맹점이 훨씬 많더라구요. 비접촉카드 발급받아서 써보실분들은 참고하셔야할거같아요. 그럼에도 동네 음식점같은곳에서 밥먹을때 비접촉 카드단말기가 있는곳은 하나도 못봤으니 애플페이가 들어오더라도 갈 길이 얼마나 멀지 ..ㅎㅎ
저는 지금 한국에서 애플페이 쓰고 있습니다 삼성페이보다 더 좋습니다 저는 삼성도 써보고 애플페이도 써 봤지만 삼성이랑 애플페이랑 비교 해 보라 하면 결론은 삼성페이 쓰레기 라 생각합니다 비행모드나 데이터 꺼 있으면 결제 불가능 이거 실화임 비행기국제선 기내 에서 면세품 살 때 페이 안되는 거 실화 애플페이는 최강 인거 같습니다 삼성 아직 멀었음 이건 팩트 입니다
말씀안하신 부분도 있네요 민감한주제라서 그런가 EMV수수료 1%에 애플페이 수수료 0.15% 합치면 1.15%인데 한국은 2000년대 카드보급을 굉장히 잘해놔서 정부가 세금걷기 편해진 대신 자영업자들은 현금결제비중이 낮아져서 카드사에게 수수료를 뜯기는 일이 발생했죠 하지만 카드보급률이 워낙에 높고 하다보니 정부가 계속 카드수수료 낮추라는 압력을 넣게 되었고 대신 카드결제를 거부하지 못하게 했고 전국민이 카드를 쓰다보니 카드수수료가 일종의 박리다매형으로 수수료율을 낮게 유지할 수 있었죠 근데 애플페이를 도입하면 수수료 1.15%나 뜯기게 되는데 이게 국내경제사정 결제구조사정으로는 감당하기 힘든 비율이고 결국 EMV수수료가 궁극적으로 한국에서 애플페이가 들어오는데 큰걸림돌이 되었는데 구조적인 문제는 다들 얘기안하시고 무조건 카드사탓만 하는데 어느정도는 카드사입장도 곤란한점이 있다고봅니다 우리나라카드사가 EMVco에 지분을 받아 들어가든가 아니면 EMV사용료를 내야하는데 현대카드가 이걸 어떻게 해결할지 궁금하네요
'꿈'에서 듣기로는...유튜버들도 nda 풀렸나보네요 근데 삼성페이 nfc도 기술적으로는 애플페이와 완전히 동일하기떄문에 첨에 켜는 작동방식에 미미한 차이가 있을뿐 사용성은 거의 동일하다고 봐야하는데, 실제 간편결제에서 점유율을 보면 애플페이가 압도해버렸죠. 삼성페이는 수수료도 포기하고 삼성이 mst랑 연계해서 출시했는데 정작 해외에서는 애플페이에 압도당해버림...nfc는 사실상 동일하고 mst가 되는 장점까지 있는데, 결제건수가 많아도 삼성이 수익을 얻는 방식이 아니기때문에 삼성이 관심이 없었던건지 애플페이에 완전 밀림. 구글페이도 사용은 오히려 애플페이보다 편하다고 할수도있는데 삼성페이와 비슷한 점유율정도로 밀리는 상태구요 하드웨어 기반 간편결제는 애플페이만 살아남는 모양새인데 아이러니하게도 결제건수마다 수수료를 받는 방식이 살아남는...한국도 mst 기반이 워낙 강해서 삼성페이가 시장을 잡고는 있지만 삼성이 수수료도 없고 하다못해 광고라도 넣어서 유지보수비용이라도 커버해보려고했는데 소비자들 반발이 커서 못넣는 지금 애플페이때문에 nfc로 빠르게 전환이 이뤄져서 둘다 nfc로 결제하게 되면 해외처럼 애플페이가 압도하는 그림이 나올지 어떨지 궁금하네요 당장은 mst도 같이 되는 삼성페이가 시장을 먼저 만든 방어효과를 누릴거같긴한데, nfc 단말기가 빠른시일내에 도입되고 도심에서 사실상 nfc 사용에 제약이 없어지게 되면(대부분 매장에서 다 nfc 결제가 되고, 교통카드도 대체하는 수준으로) 삼성페이도 nfc 결제하는 사람들이 과반수를 넘어서고 그때쯤에는 과연 시장이 어떻게 흘러갈지... 어떻게 점유율이 나오든 nfc 로 대표되는 비접촉결제가 한국에서도 상용화돼서 카드를 긁거나 꼽는게 아니라 갖다대기만 하면 당연히 결제가 된다는 인식이 자리잡았으면 좋겠네요 근데 qr 코드 언급은...nfc가 더 직관적이고 편하고 qr코드 결제는 단말기 보급 부담이 있을경우에 qr 그림만 있으면 결제가 가능하기때문에 있는거라 굳이 nfc결제가 가능한데 qr코드 결제를 추가로 지원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되네요 nfc 보급이 쉽지않을때에 하는거라...이미 카카오나 네이버페이같은 간편결제는 qr 결제를 하고있으니까요
현카가 비접촉 결제방식된다고 알고 있었지만 써보진 않았는데 이영상 보고 마침 홈플러스 갔다가 어떨까 해서 써보니 카드투입구에 넣는 것보다 체감상 엄청 빠르더군요..ㅎ 이제 자주 써봐야겠네요 ㅋ 참..ㅋ 구독 첫댓글인데 ㅋㅋ잇섭님 말투가 되게 익숙하다 했는데 고향이 안동이셨군요 ㅋㅋ 저도 인근 도시 출신이라 ㅋㅋ반갑 ㅋ
한국에서 발급되는 대부분의 카드는 후불교통카드이용을 위해 페이웨이브부분에 터치하여 이용 가능한 "페이온" 기능이 탑재가 돼있습니다. 아마 유럽에서 이 페이온 기능이 있는 카드로 터치리스 결제를 이용했던 것 같은데, 그럼 페이온 기능이 탑재된 카드들도 애플페이에 등록만 가능해진다면 바로 이용이 가능해질려나요...? +토스카드가 최초등록 시 NFC로 카드정보를 읽어와서 카드등록 후 이용하게 되는데 이도 마찬가지일까요!! 궁금한 점이 많네요 일단 한국 카드들부터 등록좀 하게해줬으면 ㅠ
사실 도입되면 너도 나도 좋은게 사실이죠 이미 편의점, 체인점은 NFC 단말기들이 들어와 있는 곳이 많아서 삼페도 가끔 카드리더기 부분이 아니라 이쪽에 대주세요 하는 매장가면 더 빠르게 결제가 되니까요ㅎㅎ문제는 노포와 체인이 아닌 자영업하시는 가게가 문제지 않을까 싶네요 😂 아직 그 뚱뚱한 전화기반 카드기 쓰는 집도 많으니까요
국내 페이분야에서는 애플이 후발주자인데 초기 시장확대를 위한 어떤 전략을 구사할지 기대됩니다. 국내에서는 편의점 등 일부 매장 아니고서야 비접촉이던 접촉이던 본인이 직접 결제하는 경우는 드물어서 페이는 지갑없을때 보험용이고 실물카드를 더 쓰게되더라구요. 제가 나이가 좀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삼성페이의 현금인출 기능은 정말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와 진.짜. 소비자가 궁금해하는 모든 부분에 대해서 속 시원하게 긁어주시는 영상이네요. 누구는 이런 얘기는 하나도 없이 진짜 들어온다 안들어온다 니 말이 맞니 틀리니 가지고 쓸 데 없는 말싸움만 존나게 하던데 정작 내용은 하나도없고…소비자가 궁금해하는건 이런 정보가 아닌가 싶네요. 덕분에 궁금증이 확 풀렸습니다. 역시 잇섭님이 짱이십니다 😊
이 루머 자체가 그냥 삼성에 관심 하나도 없는 악성 앱등이들이 퍼뜨리는것 같음 ㅋㅋㅋㅋㅋㅋㅋㅋ 애초에 상태표시줄 메뉴에 NFC 켜고 끄고 모드 변경하는 버튼이 있어서 모르는 놈들도 이게 뭐임? 하고 검색해볼 정도로 기기 내에서 NFC 지원 한다고 소리지르고 발악하면서 알려주는 수준이라서 삼페 지원 이후 갤럭시 기종 한번이라도 써봤으면 당연히 알고 있을 것 같음
1. 아이폰 유저들 중 실제로 현대카드에서 신용카드 발급받아 사용가능한 인원 비율이 얼마나 될까요? 10대부터 20대 초반까지 아이폰 유저들이 맘대로 신용카드 발급받아서 사용을 하게 할까요? 2.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카드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애플페이 및 EMV 수수료를 감당하기 위해 카드사가 어떤 행보를 보여줄까요? 현실적인 한계점을 눈앞에 두고 그냥 애플이 들여온다니깐 무조건 좋겠지하고 호응만 하기엔 우리나라 현실이 그렇지만은 않죠. 우리나라가 마그네틱 방식이 보편화된거는 그만큼 일찍이 카드보급이 상용화되어 마그네틱 방식이 기준화되었고, 또 국가에서 낮은 카드수수료를 부과하도록 정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카드사들이 nfc방식으로 쉽게 못넘어가고 있는겁니다. 물론 nfc방식이 좀 더 편할 순 있겠지만 그만큼 우리낙 지불해야할 비용도 커지는거죠.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점을 제쳐두고, 사대주의에 쩌들어서 애플이 하는게 무조건 맞다고만 얘기할 수는 없다는거죠.
외국에서도 nfc방식이 빠른것만은 아니에여 ㅎㅎ 가끔 카드 단말기가 오래되었거나 단말기 통신상태에 따라 느릴때도 종종 있어서..ㅋㅋ 하지만 말씀하신대로 대부분 빠르긴해요. 아이폰 상단에 nfc가 있는것도 장점! 편하고 자연스럽게 쥐고 있어도 되는게 많이 편한건 사실입니다 ㅎㅎ
@@주튜브-m5z 잇섭님 혹시 이 글을 볼지도 몰라서 알려 드립니다. 지난 몇년 동안 소중한 구독자인 갤럭시 유저들의 댓글에 악플로 공격한 앱등이의 실명은 이진홍 이라는 사람이고 100여개의 부계정으로 댓글을 단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 영상 댓글에도 부계정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잇섭님 오늘 제가 희안한 걸 발견했습니다. 제아이폰 14프로 업데이트 만땅 폰은 애플 페이 설정이 안되지만 아내의 폰 아이폰 12 미니 업데이트 안한 폰에서 애플페이가 추가 되는 설정이 나오길래 해봣더니 ㅜㅠ 되네요 아 젠장 업데이트 해서 나만 애플페이 안되는건가요? 인증 영상 올리고 싶은데 안올라가네요 영상 만들어주세요 꼭~!!!! 흑흑
현재 아이폰 유저가 대략 27%. 20대까지는 신용카드를 거의 쓰지 않음. 어르신 세대는 삼페조차 어려워하심.(실물카드 선호) 끽해야 30~50대가 주로 사용할 것이고 거기에서 또 모바일페이 사용 여부로 갈리고 거기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등 갈리고 ...... 등등 내려가다보면 아무리 희망적이게 잡아도 한국에서의 시장성이 그리 크지 않아보이는데.. 수수료까지 타사 대비 부담스럽게 내면서까지 카드사가 이걸 통과시켜줄까 의문임
ㅇㅅㅇ...? 아니, 왜 현금을 쓴다고 생각하는 거임;; 카드사가 돈을 벌려면 신용카드를 써야 하는데 20대 사회초년생이 신용카드 쓸 확률이 얼마나 되냐는 건데...? 삼페 처음 2년 간 수수료 받지도 않고 마케팅에 집중해갖고 보급률 확 높였잖음 카드사들은 추가수수료 낼 필요 없으니 너도나도 삼성페이에 들어가줬고, 이제는 삼성페이에 등록 안되는 카드가 눈치볼 정도로 보편화되었는데 애플은 지들한테도 비싼 수수료 내라고 하잖음? 0.015% 와우 삼페는 건당 3~5원이라던데, 얘들은 퍼센트로 가져가려니 카드사가 부담스러울 수 밖에; 10만원 긁으면 15원을 자기들한테 내라는 뜻이니 삼페보다 몇 배나 비싼 꼴이고 박리다매 하자니 삼성페이의 절반도 안되는 규모인데다 거기서 또 여러갈래로 가르고 갈라지면 애플페이 유저 수는 엄청나게 적어짐. 애플이 삼성처럼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지 않는 이상, 카드사가 과연 얼마나 협력해줄까 회의적일 뿐임 난 현금 얘기는 1도 안 꺼냈음
애플페이는 최악의 시기에 도입을 시도하네요 ㅋㅋ 카드수수료도 많이나가고 단말기도 새로 사야하는데 그게 소상공인들 입장에서는 절대 쉬운일이 아니죠 빠르게 보급될려면 국가주도하에 실시해야하는데 그건 현대카드가 독점이라는 형태로 계약을 해서 지원을 해줄지도 미지수죠 잠재적 애플페이 이용자가 소비를 많이하는 층이 많으면 가능성이 많이 높아지겠지만 우리나라는 10대의 대다수와 20대 절반정도가 잠재적 애플페이 이용자라서 그것도 쉽지가 않죠 특히 현대가 주도적으로 했는데 과연 우리나라 시장에 얼마나 큰 영향을 보여줄지 궁금하네요
아~ 그래서 어쩔땐 결제 타이밍을 놓쳤을때 마그네틱 1.5이상 기다려야 되기에 오래 걸린것이고 또 다른 곳에서 결제할때는 긁는게 아니라 와이파이 모양이 있어 가져다 되니 엄청 빨리 결제가 되었던 거였군요. 어찌보면 결제방식이 2가지인 삼성것이 더 좋을수도 있네요. 방법 갯수로 비교했을때는 말이죠. 하지만, 그냥 결제만 놓고서 봤을때는 두 회사 똑같다는 이야기이구요. 좋은 정보였습니다. ㅎㅎ
애플페이 들어와도, 한국에선 반쪽자리인 이유가 대중교통 이용하는 사람은 교통카드 안되고, 자가용 이용하는 사람은 주유소 결제가 안되고, 그외 지방 식당 같은곳은 NFC방식 단말기 없음 결국 애플페이 도입되어도 삼성처럼 카드 안들고 다니긴 힘들고, 카드를 꼭 하나이상 들고다녀야 함! (그럴봐에 그냥 아이폰케이스에 현대카드(?) 넣어서 다니면서 결제하는게 교통카드도 되고 개이득)
애플에서 탭투페이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올해 말 실제로 사용 가능할 것 같더라구요. NFC지원 POS기 필요없이 아이폰을 POS기로 사용할수 있게 하는 기술인데 이게 상용화되면, 소상공인도 따로 단말기 바꿀 필요 없이 애플페이 사용가능한 매장이 늘어날 것 같아요. 그리고 애플워치에서 페이 기능을 쓸수있다는 점도 장점인데, 삼성도 NFC 결제만이라도 워치에 도입해야 경쟁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삼성이 NFC 방식 가능하다고 홍보하기 좋은 방법은 워치 4, 5에 NFC 방식 삼성페이를 넣어 주면 됩니다 하지만 삼성은 왜 국내에서는 미지원인지 설명도 없이 그냥 계획 없다는 말안 반복하고 있죠 아마 워치까지 지원하면 애플에 비해 그만큼 장점도 늘어나는데 이유를 알 수 없네요
기어3때 mst까지 지원하는 삼페를 탑재했는데 그때 당시 국내법상 가상카드는 하나의 기기에만 등록이 가능했습니다 그래서 휴대폰과 기어가 연결되지 않으면 삼페를 쓸 수 없었고 이 일로 욕을 퍼먹은 뒤 그 후로는 mst모듈을 빼버리고 해외판워치에만 nfc기반 삼성페이가 들어간 겁니다 Nfc만 된다하면 또 사기라며 욕만 먹을테니 국내판에선 빼버린 것이겠죠 Nfc 단말기 보급이 된다면 삼성도 추후 기능을 추가할 겁니다
@@정민서-r5r 현재 법으로도 불가능 하다면 설명을 법 때문이라고 하면 될 부분이고 욕 먹는 것이라는 것은 지금도 삼성은 꾸준히 욕 먹을 일 게속 하고 있는데 그냥 추측일 뿐이죠 삼성에 무언가 요구하면 말도 안 되는 변명 엄청 잘 합니다 그런데 워치에 NFC 삼성페이만 요청하면 아무 말을 못 합니다
@@crescentnebula 국민카드의 웨어러블 기기 정책을 확인한 결과 기기연동과 독립사용시 lte지원, 시간제한 등 2대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규제가 아직 남아있습니다. 이로 인해 탑재를 안하는 것으로 추정되고요. 삼성이 갤워치에 삼페를 탑재안해주는 핑계는 찾아볼 수 가 없네요 기어3때 삼페 이슈 이후 지원안한다고만 말하고 그에 대한 변명은 따로 없는것 같네요 애초에 완성된 기술을 급나누기도 아니고 삼성이 워치 시리즈 전부에 미탑재할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애플페이와 마찬가지로 카드사간의 문제죠
아이폰 14는 다음 영상에서!
이예스!
😍
기대중!
현재 한국에는 7개의 대형 신용카드 회사가 있는데 딸랑 현대카드만 애플페이 지원하는 것은 안하니 못하다고 전문가들 사이에서 평가되고 있음
숨참고 기다립니다.
인트로 주인공을 찾아서 꼭 유명해지길 바랍니다.
추가 : 이걸 살았네ㅋㅋㅋ
제발!!
구독자 220만 유튜브 채널에 커뮤하는 거 공개하기라니..
찾아주세요
-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3:40 IT강국 이라는 국뽕 환상에서 좀 깨어났으면 좋겠다. 20년전 땅덩이 좁아서 초고속 인터넷 빨리 깔린거 가지고 이작까지 IT강국이라고 착각하고 살지 말자. 해외 가면 어린이부터 70 80대 할머니 할아버지들도 스마트폰 엄청 자유자재로 사용하고 시설이나 인프라도 눈돌이가는 거 많다. 2022년 지금은 IT후진국 한국이 엄연한 팩트다.
ㄹㅇ 현 시점 애플페이 구글페이 다 안되고 IC 삽입결제가 주류인 이상 강국이라 칭할 자격 없지 ㅋㅋ
@@murevmpy0 그거 셋다 emv수수료 문제잖아요 ㅋㅋㅋㅋ
국뽕도 있긴 하겠지만 한국처럼 땅덩어리 좁다고 모든 나라가 다 속도 빠르지 않아요. 구축해놓고 잘 활용하는 건 좋은거죠. 우리나라도 어르신들 스마트폰 잘 쓰는 분들 많지 않나요? 뭐 윗분들이 언급한 사항처럼 답답하고 미진한 부분도 있지만요.
@@veemaniac2022 다른 나라는 emv 수수료 없나요? 신기술을 도입하는데 있어 각종 규제, 업계 카르텔, 밥그릇 싸움 등 이런게 제대로 정리되지 못하는 것도 IT 후진국이라는 증거임.
자칭 it강국이 esim도 이제들어옴 ㅋㅋㅋㅋㅋ 아이구야
ruclips.net/user/shortse1xq_ujQX4Q?feature=share 애플페이 설정 가능 IOS 16.1.2 mini 12에서 되네요. 14프로 16.2는 안되요 ㅠㅠ 제가 올린 영상 참조
결과적으로 국내에 애플페이가 도입되면 따라서 NFC 방식도 차츰 활성화 될 것이고, 나아가 워치로도 결제 할 수 있을테니 삼성 유저들 입장에서도 호재인 부분이었죠...그동안 수없는 루머와 여러 이견을 보면서 가려웠던 차 그 부분을 시원하게 긁어주셨습니다 ㅜㅜ 좋은 영상 항상 고맙습니다.
애플페이 수수료가 EMVco1%에 자체수수료0.05~0.15%면 신용카드 0.5%~1% 포인트적립 과 거의 맞먹는데 카드사가 이걸 부담해주지는 않을텐데 포인트나 페이백 혜택을 없애지않는다면 거래소별 할인혜택을 없애던지 영화관무료나 통신비할인을 없앨것같습니다. 그리고 단말기 부담금과 수수료때문에 가맹점주(가맹점주가 부담하지 않고 VAN사나 다른데서 부담해도 결과는같음)들은 가격을 올릴것이고 애플페이 쓰지않는사람마저도 오른가격을 지불해야할것으로 보이구요.
과거에 현금결제시 할인해주는거 카드랑 차별하냐해서 그냥 카드가로 동결쳐졌는데 애플페이가격 따로 만들리도 없고 결국에 물가만 조질거같네요. 나라별로 점유율 높은만큼 수수료가 높은데 이걸 좋아하기엔 너무 별로다..라는생각입니다.
결국 우리도 처음에 수수료 낮다가 나중에 올리겠죠(수정:배달앱을 보세요 처음에 편리하고 쿠폰도 주고 해서 "쓰다가 나중에 부담되면 안쓰면 그만이지.." 라고 했지만 결국 수수료 너무 높고 배달료높고 부담이 막심하다고 많은 원성이 나오지만 다들 맛들려서 그저 계속 이용하고 있지 않나요?
애플페이는 더 그럴텐데요. 지금도 배달앱때문에 배달앱안쓰면 주문조차 안되는 음식점이 많습니다. 그런데 배달수수료는 많고. 그러니 손해 안보려면 많이팔아야하고 이러니 전화를 받을 수 없죠. 배달앱이 분권해서 경쟁을 하면 모를까 경쟁도 안하고 있잖아요. 어떻게든 피해가 올텐데말이죠(수수료 1%가지고 왜그러냐 하겠지만 카드결제로 많은것을 하죠. 배달음식만 사는게아니라 차도사고 컴퓨터도사고 취미활동이란답시고 수백만원하는 자전거나 뭐라도 살 수 있죠. 그런데서 1%면 1년에 얼마일까요? 배달료 3~5000원 내는거보다는 훨씬많을거에요))
NFC방식은 애플페이와 별개로 차츰 활성화 되고 있는 중입니다.
영상에서 언급한 것처럼 삼성페이나 일부 카드사에서 지원중이며, 아직 애플페이는 도입되지 않았지만 이미 몇몇 점포에서는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근데 애플페이가 도입되면 그 수수료는 누가 부담하나요? 카드사? 아니면 점포?
윗분들 여러 댓글에서도 많이 보이시던데... 모쪼록 장문의견 감사합니다.
제 취지는 어디까지나 이번 애플페이 도입과 함께 NFC의 활성화로 얻는 기능적 수혜에 대해 말하고 싶었어요.
본 NFC결제 활성화를 통해 아이폰 뿐만아니라 기존 삼성단말의 NFC를 활용한 결제방식 개선,
아울러 기존 갤럭시워치 또한 NFC결제방식이었기에 애플페이의 도입으로 다방면에서 얻는 이점또한 있었거든요.
물론 현실적으로 풀어갈 숙제와 국면또한 많고 많겠지만 한편으론 그런면도 있었구나~ 정도로 봐주셨음 감사하겠습니다 ; )
@@keepcalm57 자세한 내용까지는 모르지만 외국에서도 애플페이의 수수료와 관련해서 기사화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junkl01 네 기존 대형 프렌차이즈 같은곳은 예전부터 차차 지원해왔었죠ㅎㅎ 하지만 실상 점유율은 그 한계가 존재했던... :(
앞서 언급하신것처럼 수수료 등 여러 국면때문에 당장은 힘들겠지만 그래도 이는 차차 풀어갈 문제인 점,
따라서 이번 애플페이 도입을 통해서 NFC방식의 확대가 박차되었으면 하고,
앞서 나열했던 그 수혜를 하루빨리 느꼈으면 하는 그런 바램이었습니다 :)
삼성페이도 NFC로 결제하면 진짜 빠른데... 이상하게 MST때문에 많이들 모르시더라구요.
NFC로 결제되는곳으로는 파리바게트, 스타벅스 같은 대형프랜차이즈는 거의 NFC로 되다보니까 찍으면 보급형폰이여도 바로 결제되어있는것을 볼 수 있어요.
더 신기한건.. 삼페에 해피포인트를 등록하면 파바에서는 해피포인트 찍을필요없이 자동 적립이 되더라구요.
집이 배스킨하는데 배라도요!!!
대형 프렌차이즈는 가능한 곳이 많죠.
@@ITSUB 미니스톱에서 저스트터치로 결제하는데 편하긴 하더라고요
@@chykjy4359 베라도 SPC소속이라 ㅎㅎ
@@ITSUB 맞습니다 대형은 다되는데
MST로 되는걸로 많이들 오해를...
MST만 지원되는 카드와 MST,NFT 동시지원되는 카드가 따로있는 줄 처음 알았습니다. 근데 여태 삼성페이 사용상 불편한 점을 못 느낌. 위치 상 가져다 대는 모션이 부자연스럽긴 해도 주머니에서 지갑 꺼내서 카드 꺼내서 구멍에 끼우고 다시 꺼내서 지갑에 넣어서 주머니에 넣는 반복동작보단 훨씬 편하니 저는 그러려니 했습니다 그려~
nfc는 그거와 비교도 안될만큼 더 빠르고 편합니다 ㅋㅋ 체감상 0.1초? 그정도에요
@@dnejsjdjnd 편의점에서 결제하는 5초가 아까우면 유튜브는 대체 왜봅니까 잇섭님 영상 13분인데 아까워서 돌아가시겠네요
@@142smdopp 더 빠른 게 있는데 굳이 느린 걸 고집할 이유가..? 인터넷도 더 빠르면 좋을 텐데?
@@kissgray2576 결제 시간이 5초에서 0.1초로 바뀌는게 획기적입니까? 저는 그렇게 생각 안합니다. NFC 도입이 되어야 하는 이유로 '결제가 빠르다' 라고 한다면 그게 빨라서 뭐할건데 라고 반박하고 싶네요
@@142smdopp 5초에서 0.1초면 엄청 획기적인 겁니다. 물론 삼페도 nfc 방식으로 하면 빠른데 왜 느린 걸 고집해야 하죠? 1초가 더 빨라도 난리가 나는 게 현재인데요. 사용자들의 사용감을 무시하지 마세요.
유튜브 영상도 느린 거 싫어서 어떤 영상이든 항상 2배속으로 틀고 보는 분들 널렸습니다.
얘플페이가 한국에 대중화된다면
삼성은 갤럭시의 장점을 하나 더
잃어버리는거다... 최근 얘플이 갤럭시만의
장점을 하나씩 흡수해가고 있는게 눈어 띔
삼성은 진짜 내년 s23부터 ㄹㅇ로 정신 차려야함
방금 이 영상 보고 NFC 마크 새겨진 내 현대 카드로 편의점에 가서 IC 카드 안 꼽고 그냥 갖다대니 진짜 결제가 되네요! 근데 궁금한 게 이런 비접촉 NFC 결제를 사용하면 EMVco에서 건당 1% 수수료 요구한다고 하지 않았나요? 그럼 이미 현대 카드는 애플 페이 도입과 상관 없이 이렇게 NFC 결제할 때마다 수수료를 내고 있다는 건가요?
궁금한게요 삼성은 nfc 그리고 mst를 모두 지원하는게 장점이고 말씀처럼 영세사업자까지 nfc단말이 보급되는데 걸리는 시간 정말 거의 90%이상 보급되기 전에는 mst와 함께 써야 하는데 그 모듈의 크기가 상단에 위치 할 수 있을 만큼 인가요?? 즉 아이폰에 들어있는 nfc모듈 정도의 크기면 두 모듈이 들어갈 수 있는 정도 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그렇게 위치가 옮겨지는 것도 좋지만 그게 아니라면 어렵지 않을까요??
애플페이가 들어오고 NFC단말기 보급이 가속화된다면 갤워치로 삼성페이를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갤럭시사용자든 아이폰 사용자든 소비자 입장에서는 둘다 좋습니다 ㅎㅎ
갤워치 결제도 젭알....
갤워치로 삼성페이는 못하는게 아니라 안해주는거잖아요 ㅠㅠ mst부품이 무거우면 차피 nfc되는데 그냥 nfc전용 삼성페이를 워치에 인식해주면 되는문젠데 ㅠㅠ
@@꽃내음-f2y 해외에선 됨 삼성페이를 워치에 이식하고 뭐 그딴거 필요 없음 걍 소프트웨어로 해금만 해주면 바로됨
@@ITSUB 갤워치도 티머니 결제로 잘 됩니다
@@꽃내음-f2y NFC 많아지고 애플페이 도입되면 자연스레 풀게될듯 이점이 하나라도 있으면 좋으니깐
저는 애플페이에 대해서는 아는 게 하나도 없는 수준이라 잘은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삼성페이의 은행 ATM 기기 계좌 입금/출금/이체까지 가능한 기능도 정말 좋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이 기능도 모르는 분들은 모르시더라구요 ㅠㅠ
그건 아마 토스의 영향도 있을듯 수수료가 0원이라 토스를 많이 이용하는듯
솔직히 요즘 현금 입출금 할 일 많지도 않고
이체는 삼성페이 아니어도 얼마든지 방법이 있으니까요....
토스 카카오페이가 있는데 구지 삼페를? 현금도 쓸일 거의 없구 ㅎㅎ
@@allem49 현금쓸일 거의없는데 그 어쩌다한번 급하게 필요한 상황에 구세주같음
코노 가는데 입구에 다다르고 보니 현금만 들어가는 곳이다?
그런데 지갑이 없다?
삼페 인출이 거의 구세주임ㅇㅇ
중요한걸 지켰네...
현재 사용중인 기종은 s20+인데 저는 롯데백화점이나 롯데아울렛에서만 유독 삼성페이 인식이 잘 안되던데 저만 이런건가요? 롯데쪽 단말기가 삼성페이 인식을 못해서 저는 저 두곳에 갈때는 카드 챙겨 갑니다.
실제로 애플카드를 표함한 다양한 미국 카드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AmEx BCE, Chase Sapphire Preferred 등을 사용하고 있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삼페가 느리다고 느껴진 이유가 가장 큰 건 지갑앱으로 들어갈때와 결제시 인증 방식이 차이가 컸던것 같네요. 애플페이는 화면을 키지 않은 상태라도 전원버튼 두번에 페이스아이디로 바로 인식해서 결제가 가능한데, 삼성페이는 오랫동안 삼성기기를 써본적이 없고, 주변에서 구매해 접는거만 봐서요즘에 플립, 폴드가 나오면서 결제 방식이 조금 달라진것으로 들었지만(확실하지않음), 제가 사용했을때는 화면을 키고 아래에서 끌어올리는데 시간이 좀 걸렸던것 같네요.
삼성페이는 앱을 키면 네트워크 통신을 해야하는데, 미국 특유의 노답적인 통신서비스와 콜라보를 쳐서 저에겐 느리게 느껴진 것 같습니다. 마트나 위치에 따라 조금 차인 있지만, 마트안에서 네이버 검색도 힘들정도로 느린 경우도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애플페이는 네트워크 통신이 필요가 없습니다.
삼성페이는 처음 론칭했을때부터 화면 꺼짐 상태에서도 화면 하단에서 위로 스와이프하면 켜집니다.
mst 방식에서는 애플페이는 결제가 느린게 아니라 아예 불가능 한데 이게 왜 삼성페이의 단점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뭐지 ㅋㅋ
nfc - 삼성페이, 애플페이 둘다 같은 속도로 결제 가능
mst - 삼성페이만 결제 가능
이건데 ㅋㅋ 교묘하게 짜집기해서 삼성페이의 mst방식과 애플페이의 nfc방식 속도를 비교해서 삼성페이가 느리다고 말하는 사람은 거의 기레기 수준인데
실드는 치는 너나 그렇게 말하는 애나 뭐가 달라
@@silver33412 뭔 실드야 사실을 말하는데ㅋㅋㅋ
아 역시 잇섭님 애플페이에 대한 소식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12월에 국내로 들어온다면 기대해도 되는 부분이겠죠..?😂
요즘 애플페이 루머 도는 거 보면 실제로 애플페이가 도입되더라도 현대카드 한정으로 도입되지 않을까 라는 예상을 해봅니다.
카드계의 갬성 = 현대카드
맛폰계의 갬성 = 아이폰
갤럭시 가려다가 다시 존버타봅니디..🤔
아이폰에 대한 통신 불만을 갖고있으신 류석님 ㅋㅋㅋ
@@ITSUB 이거 진짜 기분탓인지 확인해보고 싶은 마음 굴뚝🧐
역시 이런 루머를 시원하게 긁어주는건 잇섭님 영상이 쵝오임
댓글들 읽다 궁금한 점들이 생겼는데 스피드웨건 찾습니다
1. 애플페이가 해결해야 할 숙제 중 "국내에 애플페이 사용자격을 갖춘 사람이 적다(아이폰 주 유저층이 저연령층이라 신용카드의 발급이 적다)"라는 댓글을 봤는데, 그럼 애플페이는 체크카드는 지원하지 않나요? 예전 중학생때 삼성페이에 체크카드 등록해서 잘 사용했던 기억이 있는데 애플페이도 체크카드를 지원한다면 저연령층도 충분히 많이 이용할테고 그렇다면 사용자는 충분할 것 같아서요.
+ 애플페이에서 체크카드를 지원한다면 삼성페이에 체크카드를 등록했을 때처럼 아이폰만으로 ATM기 입출금도 가능할까요?
2. 근 몇년간 마그네틱 결제 횟수는 손에 꼽는 것 같고 거의 IC칩으로 바뀐 것 같은데 IC칩 결제도 마그네틱 결제와 같은 방식인건가요?
3. 모든 체인편의점, 마트 그리고 웬만한 음식적에서는 NFC방식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 같은데 현 단말기 보급 상태 그대로 애플페이가 도입된다고 하면 지갑없이 애플페이로만 돌아다닌다고 치면 큰 불편함이 있을까요?
현카도 체크카드 있음
1. 애플페이가 emv 방식이라 카드에 비자, 마스터, jcb,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브랜드가 붙어있어야 가능한데 현대카드 독점계약이라고 가정하면 현대카드에서 위 브랜드가 붙어서 나오는 카드가 신용카드밖에 없어요. 현대체크는 국내전용입니다.
나중에 현대카드 독점계약이 끝나면 다른카드사에서 체크카드에 비자, 마스터 브랜드 붙어있어서 체크카드 사용 가능해도 atm으로 입출금은 별개라서 애플이 국내 은행이랑 계약을 해야됩니다.
삼성페이도 체크카드로 atm 입출금 하는게 아닌 은행 계좌를 삼성페이에 등록시켜서 atm 입출금 하는겁니다.
2. ic결제는 결제 단말기와 ic칩을 접촉시켜서 ic정보를 읽어 결제하는 방식이고 마그네틱방식(삼페의 mst)는 카드의 마그네닉 자기장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하여 단말기는 해당신호를 수신하여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마그네틱방식은 신호 전송 거리가 너무 짧아서 ic결제처럼 결제 단말기에 들어가야됨.
3. 지금 당장 기준으로 카페 체인점이나 편의점, 대형마트 같은곳이면 상관없는데 거의 모든 음식점에서는 nfc 결제단말기를 안들어놨기에 실물카드 없이 애플페이 하나만 믿고 쓰기에는 힘들어요.
@@daekwon9581 감사합니다 스피드웨건,, 애플페이 독점계약 발표하면서 실사용층을 넓히기 위한 해외체크 신설해주거나 빨리 타 카드사와도 좋은 얘기가 있으면 좋겠군요 ..
진짜 궁금했던 정보였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현대카드 NFC 결제방식 지원하는지 모르고 공용주차장에서 결제하려고 긁으려는데 이미 결제가 끝나서 놀란적이 있었지요 ㅋㅋㅋ 암튼 하루라로 애플페이가 들어와서 삼페랑 맞짱 한번 떠서 삼페도 더 발전했으면 좋겠고 애플도 한국시장을 우습게 보는 일이 없었으면 합니다! 한국이 3차 출시국이라니...아놔
한국이 3차 출시국이 된 것은 통신사들이 아이폰 판매량을 4분기 매출실적으로 적용시키려고 하는게 큰 것 같아요. 작년엔 1.5차 였는데 달라진거라곤 공개이벤트 날짜 밖에 없으니까요
@@요약의달인-q5g 왜 자꾸 1% 수수료라고 박박 우기는지 모르겠음.. 애플이받는 수수료가 0.15%이고 EMVco 수수료는 받을지 안받을지 모름. 이미 편의점 등에서 EMVco 터치리스로 결제하면 국내카드는 국내 자체망으로 해외카드는 해외 결제건으로 결제되기 때문에 만약 애플페이가 나온다면 이부분에서 해결되었을 가능성이 큼. 해외 카드를 국내에서 사용하면 1% 수수료 물리는거고, 국내카드를 국내에서 사용하면 수수료 나올지 안나올지 모르는거고. 그리고 수수료보단 보안토큰 인증비가 맞음.
그리고 중국 일본에서 애플페이가 지지부진한건 일단 신용카드보다 현금이나 체크카드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음. 참고로 애플페이는 전세계 결제수단 사용 중 비자 다음으로 2위임. 삼성페이는 8위인가 하위권이고
@@요약의달인-q5g 서울에서 50% 정도가 아이폰 사용하고 거기에 20~30대 아이폰 사용 비율이 갤럭시보다 높음. 특히 서울권역은 구매력이 높은 사용자들이 많아서 현대카드가 이런 점을 이용해 애플페이를 적극 도입했을 것임. 현카가 바보도 아니고 전년도 순익에 해당하는 몇천억원의 개런티랑 단말기 보급 지원비용을 대면서까지 들여오려고 하겠나
@@Digizzzzs 아이폰을 가장 많이 쓰는 일본에서도 애플페이가 8위 정도인게 팩트라 한국에 도입되더라도 그닥 힘을 쓰지는 못할 듯
@@pooh3060 일본은 애초에 신용카드 자체를 많이 안쓰는 나라임.
컨택리스 카드를 편의점에서 쓸 때 문제가 있습니다...
거의 90% 이상은 점원이 카드 부터 꽂으라고 말해요.. 안꽂고 결제 눌러주세요 하면 빨리 카드 꽂으라고 실랑이 벌이게 됩니다.
이 실랑이가 귀찮고 짜증나게 되는데.. 꿋꿋하게 카드 결제 눌러주세요 하면 마지못해 누르게 되고 카드를 태그한 적이 엄청 많습니다..
단말기 자체는 이미 편의점과 대형마트 등 프렌차이즈는 대부분 NFC가능한 기기를 쓰고 있어서.....큰 문제는 아닌것 같고 문제는 식당이나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가게등이 문제인데 이것도 NFC단말기가 요즘 많이 출시되고 있어서 결국은 시간이 해결해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요약의달인-q5g 현카도 체크카드 있음
물론 체크카드 수수료가 훨 낮아서 손해보는 짓이긴 하지만 ㅎ
@@carrera4789 현카에 체크 있다고 해도 emv으로 애플페이 이용할려면 비자, 마스터 브랜드 붙은 카드 써야되는데 문제가 비자, 마스터 붙은게 죄다 신용카드라서..
시간이 아니라 명분이 없어서 10년이 지나도 변화없을꺼에요.
라기엔 보급속도 너무 느려서 아직까지 5%미만
@@soosia716 명분이 없지는 않습니다. 보안성, 결제속도 NFC가 모두 우세한데가 세계적 트랜드이므로 무시할 수 없겠죠. 그리고 단말기도 각 회사들이 애플페이가 가능한 NFC를 탑재한 제품을 속속 출시하고 있고요. 그리고 동방성장위원회에서 일정 기준을 갖춘 소상공인들에게 NFC 단말기로 바꿔주는 사업도 하고 있어 변화가 없진 않을 겁니다
헐.. 편의점 알바인데요 어쩐지 아주 드물게 특정 카드는 카드를 넣지 않고 올려만둬도 바로 결제가 되더라고요. 저희 편의점은 카드를 직원이 직접 꽂아줘야해서 그게 은근 귀찮고 코로나도 찝찝했는데 비접촉 결제를 지원하는 카드가 얼른 더 많아졌음 좋겠네요 결제속도 확실히 빠르더라고요~ 그리고 삼성페이도 nfc부분에 갖다댈걸 그랬네요 그게 있는데도 활용을 못하고 지금까지 더 느리게 결제를 해주고 있었던 거라니 ㅠ
저는 Nfc mst 모듈이 가운데 있는 게 편해요. 결제할 때 대부분 사장님께 핸드폰을 드리거든요. 아마 일부 편의점을 빼면 대부분 이렇지 않나요? 나이 있으신 사장님들이 삼성페이라는 방식으로 결제 시 여기저기 안비비고 빠르게 결제 하고 싶다고 하시면 모듈이 가운데 있는 게 더 편할 것 같아요.
카드사들 신기술 도입에 소극적인게 국내 카드사 점유율 탑3가 신한 국민 삼성입니다.
국민 삼성은 최근 앱 개편 등을 보면 나름 트렌드에 따라가려는 흔적이 보이지만(물론 사용성이 편한가는 또다른 문제이지만요) 나름 통합 앱이라고 하는 신한은 뭐 답도 없는 수준이네요..
아마 이런 마인드가 카드 시장 선도하는데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됩니다.
지금도 잘 돌아가니까 굳이 돈쓸필요를 못느끼는거죠 ㅠ
삼페는 mst nfc 둘 다 되는데
영상으로 삼페는 애페보다 느리다는 영상이
많아서 답답했는데
이를 기점으로 잘못된 정보를 올바른 정보로
다시 올려주신걸 감사해요
결제 속도 자체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데 앱실행 부터 결제완료까지 속도가 너무 차이나던데
@@GeoMeTry-yj7ze 그건 폰 속도 차이지 페이결제속도 차이가 아니니까
@@GeoMeTry-yj7ze MST 지원 안하니까 졸라 불편할걸요..
여름에 이태리로 휴가갔을 때 대부분
비접촉 결제하는걸 보고 현대카드로 해봤는데
빠르고 간단해서 넘넘 편하더라구요ㅋㅋ
한번써보면 IC카드 결제나 마그네틱이 구식처럼 느껴지는 마법!
09:09 저는 현대카드이고 저 와이파이 모양이 없는데 영국에서 그냥 비접촉으로 결제 잘 되더라구요 없어도 되는 경우가 있는것 같으니 참고하세여~~~
3년째 노트 10 쓰는 유저인데 요즘 편의점에선 결제가 잘 되는데 피시방,식당에선 삼성페이 결제가 안되더라고요 혹시 이런 현상 나타나시는 분들 있나요? 제 폰이 문제인 걸까요 아니면 단말기 문제일까요
단말기 보급이 상당히 느릴것으로 봄
대기업이 운용하는 편의점이나 프렌차이즈는 도입이 빠르겠지만 개인업체 소상공인은 안된다고 해도 무방함 그리고 거기서 나오는 수수료도 결국에는 소비자 뜯어먹게되는 수단...
대형프랜차이즈는 원래 nfc결제가는함
정부에서 기업이랑 손잡고 하지 않는이상... 근데 삼성이 가만히 있을까? ㅋㅋ
지금도 삼성폰 쓰면서 삼페 안쓰는 사람도 많은데 ㅋㅋ 소상공인이 굳이 단말기 바꾸진 않을것 같고 수수료까지 부담해야되면 더더욱...
@@142smdopp 지금 삼성도 몇년내로 nfc로 다 바꾼다고 하는중이라 삼성도 힘을 합칠 수 밖에 없을듯요
드디어 일본 갔을 때 많은 사람들이 카페나 지하철 개찰구에서 띡띡 찍는걸 많이 볼 수 있는건가? 잠실 애플 스토어도 그렇고 넘 좋다 허허 현대카드말고도 2년 안에 모든 카드사 다 계약하면 좋겠네요!!
루머에서는 1년 독점이라니까.. 단말기 보급이 어느정되되면 되겠죠!?
농협 토스 우리은행 카드도 비접촉 방식 아이콘 있는거 보니까 이미되는거 아닌가요? 독점이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ITSUB 어느정되되??!!
@@AG.UPA47 급했나봐 ㅋ
@@_Tritium_ 1년간 현대만 사용가능
일본도 비접촉결제 방식이 기본이긴해서 신경 안 썼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보니 재밌네요 ㅎㅎ
확실히 편한것도 있고, 일본은 카드 회사에서도 '비접촉으로 결제시 추가 포인트 혜택' 등 비접촉 결제를 권장하는? 이벤트도 많이 하다보니
소비자 입장에서도 사용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느낌도 받고 있어요.
뭐 그래도 아직까지 현금계산하는 사람이 많은게 일본이긴 하지만 ㅎㅎ
와... 보통 한국에서는 EMV 컨택트리스 수수료 때문에 잘 못하는데,
반대로 일본에서는 더 권장한다는게 상반되기도하네요 ㅎㅎ
@@ITSUB 일본도 emv 사용이 약간 제한적이긴 합니다(아이폰7즈음부터는 nfc-f, 즉 펠리카로 스이카 대응이 들어가있어서 emv가 아니라도 잘 됩니다). 다만 일본에서도 nfc 단말기 신규도입시 emv지원이 증가중입니다.
뭔소리 작년에 일본갔다 왔는데 90%는 현금 동전까지 전부 현금이더군요.. 물론 나이대가 많은곳에 가서 그런진 몰라도 백화점이니 식당이니 전부다 현금 결제하던데.... 그것도 동전. ㄷㄷㄷ
@@GangHyeMin 정확하게는 일본도 편의점 체인이라던가 자판기 등지에는 애플페이가 잘 됩니다. 전자머니고 애플페이고 상관없이 온리 현금인 곳도 꽤 존재하죠. 그래서 일본인들은 애플페이가 되더라도 딱히 지갑을 안 가지고 다니는 경우는 매우 적습니다...
@@GangHyeMin 저 올해 봄에 일본에서 들어왔는데 요즘 현금만 받는 곳은 드물어요. 웬만한 프랜차이즈나 편의점, 마트, 백화점은 카드나 페이 사용가능하고 일반 식당들도 카드나 페이되는 추세인데.. 제 생각엔 아마 페이는 가능한데 카드안되는 식당 가셨으면 페이 어플 없으셔서 현금 내셨던 것 같아요.
편의점 CU 결제 단말기의 패드는 NFC인가요? 아니면 MST까지 지원하는 방식인가요?
폰에 NFC 안켜놓는데 CU에서 패드에 올려놓으면 결제가 되더라고요.
폰 설정에서 NFC를 켜놓지 않아도 NFC가 인식이 되는 건가요? 아니면 MST 방식으로 결제가 된 건가요?
(확인해보니 삼페 켜도 NFC가 자동 활성화되지는 않네요.)
근데 솔직히 mst방식으로 삼성페이 쓰면서 느려서 불편하다고 느낄 일이 있나요? 무슨 교통카드 찍는것도 아니고, 점원이든 키오스크든 구매과정 전체가 짧아도 일분은 걸릴 일인데, 한번도 그 1.5초가 느려서 신경쓰인적은 없었습니다.
인식위치는 호불호가 좀 갈릴 일같긴 한데, 가끔 결제를 점원분이 해줄때는 무의식적으로 가운데 갖다대면 되니까 오히려 좋은점도 있기도 하구요
솔직히 편의점같은 단말기가 아니라 마그네틱 긁는데 찍어서 결제하는거면 느리다면 느릴순 있음
근디 빠른거 느린거 둘다 되는가 빠른거만 되는가 차이는 있죠
@@FirstSound01 1초 내외가 체감으로 딜레이가 생겼다고 느낄려면 지하철 개찰구처럼 전체 과정이 몇 초 내로 이뤄지는곳이어야겠죠. 근데 마그네틱이든 ic칩이든, 기존 카드로 걀제하는곳중에 그렇게 일 이 초가 체감되는곳이 있었냐는거죠. 3년정도 삼성페이 쓰면서 한번도 느리다는 생각 근처도 안해봐서 뭐가 있나 싶습니다.
@@kuf3320 MST랑 NFC 둘다 써보면 확실히 차이 나긴 합니다 NFC는 폰 올리는 순간 됐다고 나오고 MST는 잠깐이라도 대고 있어야 하니까요
물건 사는 과정 자체가 시간이 걸리는 일이기 때문에 그 차이가 중요하진 않습니다 신경 안 쓰거나 눈치 못 채는 사람도 많을 거고요 하지만 내 폰을 애매한 파지로 갖다대고 있는게 아주 찰나인지, 혹은 1~2초가 걸리는지의 차이가 의미가 없진 않다고 생각합니다
@@FirstSound01 네 맞아요. 아주 작은 의미라도 의미가 없진않죠. 근데 굳이 이렇게 비교꺼지 해가면서 뭐가더 낫네 마네 할 정도로 의미가 있지도 않은거같아서요.
요즘 삼성폰들 nfc 센서 위치 보고 진짜 소비자에 대한 배려는 1도없이 원가절감에만 진심이구나라는걸 느꼈습니다 진짜 극혐위치...
저도 삼성이 잇섭님 피드백을 받아서 차기작에서는 위치 바꿔줬으면 하는데, 통합형 센서로 원가절감 해야되어서 과연 해줄지는 모르겠네요 ㅎ
저 외국 사는데 여기는 100% nfc결재죠. 그런데 삼성폰 nfc 위치는 진짜 극혐. 물론 여기서 삼성폰은 가뭄에 콩나듯. 상점에서 삼성폰으로 결재하려 버벅대면 점원이 폰 대가리를 갓다 대야지라고 하면 더 짜증나요. 다들 애플 쓰니 대가리 대는게 당연하다 생각하니... 소비자 생각이라곤 없는 삼성. 그러니 선진국에서 삼성폰은 없죠. 한국 아재들만 갤럭시. 한국 할배 할매만 카톡...
국내에서는 그동안 삼성페이외 경쟁이 안되다보니 큰 불만이 없었지만
애플페이가 들어오면 아마 사용성에서도 비교될태니 개선되었으면해요 ㅎㅎ
@@ITSUB 삼성 정신좀 차리게 앞으로도 갤럭시 NFC 안테나 위치 많이 까주세요! ㅎㅎ GOS도 그렇고 겁나 까야 겨우겨우 바뀔까말까 하는 삼성 ....
차기작 기다리실 거 없이 MST 안테나는 여전히 무선충전 코일이랑 통합이지만 NFC 안테나 위치는 이미 카메라 옆으로 바뀐지 한참 됐어요. 아이폰이랑 다를 거 없죠.
NFC/MST/무선충전 전체 통합은 "요즘 삼성폰들"이 아니라 옛날 얘기입니다.
한 S10 정도까지만 맞는 얘기 같네요.
@@Ndkkn 뭔가 잘못아시는거 같네요 잇섭님 영상에서 통합안테나 예시로 나오는 그림보시면 폴드3고요. 폴드4도 바뀐거없이 똑같이 충전코일부분이고요
와 진짜 NFC 등등 결제방식에 대해 1도 몰랐는데 정말 쉽게 잘 알려주시네요!! 덕분에 잘 알아가요!! 고맙습니다!!
@@요약의달인-q5g 3번은 1,2번 중복 아닌가 요약의 달인이라며
@@apphunter1320 ? ,뭔소리
@@요약의달인-q5g 덧붙여 설명해드리자면, 애플페이에는 적립이 기능이 없어서 그런것도 있고, 일본이 재난 상황에 대비하여 캐쉬리스 발전이 더디기 때문이에요.
교통카드 = 어차피 현금을 가지고 다녀야해서 다들 지갑을 가지고 다니는지라 굳이 애플페이 이용안하고 실물 파스모나 스이카 사용함.(요즘은 그래도 잔액충전의 간편함때문인지, 지하철보니까 많이들 이용하는 편이더라구요.)
페이페이, 라인페이, 라쿠텐페이 등의 QR결제 기반 페이들이 애플페이와는 다르게 적립금이 상당합니다. 우리나라 QR 적립과는 다르게 항상 이벤트를 해서 진짜 쏠쏠한정도.
다만, 요즘은 페이페이카드와, 라인페이가 애플페이랑 연동이돼서 애플페이 NFC를 통해 간편하게 라인페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었습니다.
@@apphunter1320 ㄹㅇㅋㅋ
@@apphunter1320 NFC 한해서는 한국이 우물안 개구리맞습니다 MST는 극단적으로말하면 국내원툴이에요
해외 한국 다살아봐서 카드결제 다해봤는데요 진짜 결제 되는 시간은 둘이 거의 차이를 못느꼈어요 잇섭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애플페이는 핸드폰 윗부분을 대기만 해도 결제가 되서 훨씬 편리해요 그래서 손을 떼지않아도 된다는게 결제시간을 줄여주는것 같아요
애플워치로도 되서 ㄹㅇ편하죠
그 애플페이기능이 삼성페이도 똑같은거, 삼성페이는 두가지 기능 다 가능해서
이래서 애플만쓰는 앱등이가 멍청하단거
삼성도 nfc는자체가 근거리 10미터라 세선가 위치는 상관이 없습니다,
옛날 mst나 중간에 찍어야 대는거고,😅
@@보라마녀-o2l팩트) 가난한 사람만 쓰는 갤럭시 쓰는 애들이 더 지능이 낮다.. ㅠㅠ
@@보라마녀-o2l아.줌.마
삼성페이 쓰시는 분들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를 말씀드리자면, 갤럭시에서 삼성페이앱을 통해서는 NFC 결제가 가능하지만 페이코-삼성페이를 통해서는 NFC 결제가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기본 삼성페이 앱이 아닌 페이코앱에서 삼성페이를 기동하면, 오프라인에서는 1%가 추가로 적립되기 때문에 쓰시는 분들도 있거든요. 저도 포함해서요.
그리고 삼성페이는 지역락이 기본 정책이라서 갤럭시 출시국가, 신용카드 발급국가, 삼성페이 앱 국가 이렇게 3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사용가능합니다. 그럼 어떤 사람들은, 내껀 북미에서 출시한 갤럭시인데 캐나다 신용카드가 등록이 되고 캐나다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이것은 엄연한 우회사용 방식임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북미에서 출시한 갤럭시는 국내에서 삼성페이 사용 불가능하고, 반대로 국내에서 출시한 갤럭시도 기본적으로 해외에서 사용 불가능합니다. 다만, 최근에 삼성에서 '지역락'을 풀은 게 아닌 우리카드, 삼성카드 중 일부 마스터카드 신용카드에 한하여 해외에서도 결제가 가능하게 삼성페이앱을 업데이트 해주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것을 두고 삼성에서 지역락 풀어줬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팩트는 삼성에서는 지역락을 풀은 적이 없다입니다.
지역락이 풀렸다고 말하려면, 삼성페이에서 공식지원하는 국가라면 어떤 나라에서 갤럭시를 출시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삼성페이가 가능해야 하고 신용카드 발급국가도 그 어떤 나라여도 등록이 가능하여야 합니다. 예를들어 북미에서 출시한 갤럭시에 한국에서 발급한 체크/신용카드를 등록할 수 있어야 하고, 이 폰을 들고서 공식 지원국가 중 그 어떤 곳을 가더라도 삼성페이 결제가 가능해야 합니다. 이를테면 홍콩이나 캐나다 한국 스위스 대만 등지에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런 걸 두고 지역락이 풀렸다고 하는겁니다.댓글로 반박하시기 전에 삼성 멤버스에서 '삼성페이 해외'로 검색해서 갤럭시 삼성페이 담당자분들이 남겨놓은 답변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삼성페이의 이러한 정책은 출시부터 지금까지 유지해오고 있고요. 오피셜로 지역락을 풀었다라고 발표한 적은 없습니다. 제가 이렇게 길게 설명하는 이유는 저번에 어떤 유튜브에 댓글로 간단하게 남겼더니 나는 되는데? 지역락 풀린거 맞는데? 하면서 어그로 끄는 사람들이 있어서입니다. 아주 많았네요 ㅎㅎ 이런 분들 대부분이 팩트를 알려줘도 수정도, 삭제도 안 합니다
그리고 애플페이나 구글페이의 경우는 공식 지원국가일 경우 스마트폰 출시 국가, 신용카드 발급국가, OS 국가가 그 어떤 것이든지 전부 지원합니다. 예를들어 일본에서 애플페이를 지원하는데, 일본에서 출시한 아이폰에 애플페이를 공식 지원하는 국가에서 발급한 데빗/신용카드(프리페이드 카드 중 지원하는 것들도 있음)라면, 거의 대부분 등록이 가능합니다. 이를테면 미국 은행에서 발급한 체크카드를 등록했다손 치면, 이렇게 세팅이 완료된 아이폰을 들고서 국내의 NFC 지원 단말기에서도 결제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한국에서 출시한 아이폰도 가능합니다 다만, 한국은 애플페이 공식 지원국가가 아니니 해외발급카드를 등록해야 하고요. 구글페이도 똑같습니다 다만, 공식지원하지 않는 국가에서는 앱 오류가 있어서 꼼수를 이용해 사용 가능합니다.
더불어 EMVco(비접촉결제)의 결제 수수료는 1%이고 카드사에서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기 때문에 수수료 0.00001%라도 아껴야 하는 카드사 입장에서는 EMVco에 적극적일 수가 없겠지요. 다만, 해외 국가 중엔 소비자가 이런 전반적인 결제 수수료에 대해서 일부 부담하는 곳들도 있어서 해외와 비교하여 이렇다 저렇다 정답을 내기는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EMVco와 더불어 애플페이, 구글페이가 활성화 되어야 하는 이유는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게 결제 편의성을 제공해야 관광 활성화에도 단 1%라도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해외발행 신용/데빗카드의 결제를 막아둔 곳도 많고, EMVco를 정식으로 지원하는 NFC 단말기 개수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NFC 결제가 가능해도 꺼놓고 장사하는 곳들이 대부분입니다. 아니면, NFC 단말기를 갖다놨지만 해외발행 신용/데빗카드의 결제를 거부하도록 설정해놓는 곳들도 상당히 많습니다. 우리가 외국인 시점이 아니라서 와닿지 않겠지만, 외국인 입장에선 우리나란 일본이나 중국보다 페이먼트 후진국입니다. 관광하러 온 사람이 체류 90일 이상이어야 발급가능한 외국인 등록증을 만들리 없겠고 그래서 우리나라 체크카드를 못만들고, 간편결제도 중국이나 일본은 QR결제가 가능한 동시에 선불카드도 발급되고 편의점이나 우체국 등지에서 충전해서 사용가능하고 간편결제 플랫폼이 20개 이상이라 간편결제 시장의 점유율이 압도적인 반면에 우리나라의 간편결제는 앱에서 카드등록을 하지 않는한 사용이 불가능하고, 어찌어찌해서 포인트를 충전해서 사용한다고 해도 바코드나 네이버페이의 QR 결제를 지원하는 가맹점의 수가 매우 적습니다. 반면에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매장에서 QR 결제를 지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KB페이라든지 SSG페이라든지 간편결제라고 내놨는데, 아이폰에서 바코드 방식으로 사용하려면 편의점이나 신세계 백화점, 이마트나 일부 화장품매장이나 아주 극소수의 프랜차이즈 외에는 결제되는 곳이 없어서 이건 간편결제라고 하기엔 애매한 것이죠. 실제로 북미발 커뮤니티인 레딧에서 한국 여행 관련 쓰레드가 올라왔을 때 댓글에서 현금 말고는 사용할 수 없어서 매우 불편했다는 이야기가 압도적이었습니다. 이러니 누가 오고 싶어하겠습니까 차라리 일본을 가겠죠. 암튼 우리나라는 매번 IT를 선도하는 국가라고 하지만 이런 부분에서는 여전히 후진국입니다.
애플페이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애플페이도 혹시 삼성페이처럼 등록된 카드로 모바일 내에서(인터넷 쇼핑 등등) 결제하는 방식도 가능한가요??
국민카드에서는 여러 카드가 비접촉결제 지원했었는데 작년부터 지원되던카드도 지원 안 되는카드로 점점 바뀌고있어요 진짜 시대역행 ㅠ
ㅠㅠ
걍 nfc 잠잠하니까 필요없다고 생각했던거일듯요
visa나 master카드로 발급받으시면 무조건 비접촉결제 가능해요
전에 사용하던 BC카드에 EMV 로고가 있었고 작년에 동일한 카드로 갱신했는데 새 카드는 로고가 사라 졌더라구요.
@@wlgh3483 신한 비자 카드는 비접촉 결제 마크 없던데요. ㅠㅠㅠ
삼페 진짜 좋아요...업무때문에 애플이랑 투폰쓰는데 물론애플을 main으로 쓰구요!!근데 삼성은 삼페로 교통카드 홍보좀했으면...진짜편해요...애플만쓸땐 지갑두고와서 교통카드도 신용카드도없고 다시 집에뛰어갔다왔는데...삼페로 쓰니까 너~~무 편해요 삶의질이 달라짐..
토스카드 쓰고 있는데 최근에 카드 잃어버려서 새로 발급 받았는데 카드 뒷면에 못보던 마크가 있어서 뭔가 했는데 emv였구만 글고 진짜 지방쪽에도 애플스토어 진짜 들어왔음 좋겠다 애플스토어 가고 싶어도 서울까지 가야 되니.....
부산빼고는 다른곳에 생길확률은 거의 없어요 부산도 생길려면 몇년은 지켜봐야함 우리나라는 젊은층 제외하고 전부 삼성폰쓰기때문에...
@@もも-s9e5v 후...진짜 지방에서 사는 사람들은 억울해서 참...
저는 대만 거주중인데 아이폰 애플워치 사용중입니다 그전에는 삼성폰+삼성워치 사용했었는데 편한 결제를 하고싶으시면 워치로 결제하시는걸 추천해요 삼성워치는 기억이 안나지만 애플워치 같은경우 용두아래버튼을 두번 더블클릭하고 카드단말기에 가져다 대면 바로 되서 엄청편하기 때문이죠.
아무튼 한국에서도 빨리 애플페이결제좀됬으면 좋겠네요 ㅠㅠ
항상 습관적으로 애플워치 더블클릭하고 결제할라다 안되면 너무 답답해서요 ㅎㅎ
잇섭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삼성페이로 nfc 사용하려면 갤럭시 설정에서 nfc 설정을 활성화 시켜놔야 할까요?아니면 nfc 비활성화해도 삼성페이 켜면 사용할 수 있을까요?
삼성이 삼성페이 출시 전 고민을 했었다고 했는데 NFC방식으로만 사용할지 고민이 컸다고 하더라고요 결국 시장선점을 위해 MST방식을 도입했고 결과적으로 영업에 큰 이익을 가져다 줬다고 합니다.
대신 국내시장에 NFC 겸용 결제기기의 보급화가 늦어지는데 큰 영향을
큰 이익이 카드결제량 꼴찌구나
그게 독과점 시작이지 근거리 결제 방식 낙후의 원인이고
@@내맴 아니 삼성페이 결제량이 꼴찌인데 그게 갤럭시 판매량이랑 뭔 관계가 잇어 삼성페이 지원조차 않는 a12 판매량이 대부분인데 생각조차 없는놈이노 ㅋㅋㅋㅋㅋㅋㅋ
@@내맴 애초에 삼성페이 상단에 광고 박아놔서 돈받아먹는데?ㅋㅋㅋㅋㅋㅋㅋ 그럼 구글페이도 수수료 안받는데 왜 구글페이한테 쳐발리냐 ㅋㅋㅋㅋㅋㅋㅋㅋ
역시!! 논점 정확하고 이해 쏙쏙!! 애플페이 현대카드 관련 영상중에 최고입니다. 유튜버들이 여기에 대한 이슈로 너도나도 요즘 영상이 올리고 있는데요, 너무 이론적이거나 사업적인 측면에서만 논점이 있어서, 실제 사용자들이 느끼는 면에서는 미흡했었거든요. 감사합니다.
삼성폰의 모듈의 위치는 MFT 때문에 코일처럼 구성해야하는 면적이 넓어야하기 때문에 위치가 그런거 같습니다. (현재 코일이 아닌 FPCB로 하긴하지만 그래도 면적은 동일하겠죠) 만약 NFC만 지원한다면 삼성에서도 사람들 불편한점을 알고 위치를 변경했을꺼 같아요.
제가 최근에 여기저기 찾아보며 공부한내용들이 잘 요약되어있네요~!
카카오뱅크인지 토스뱅크인지.. 체크카드는 컨텍리스마크가 없는데도 해당기능이 들어가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던거같기도하구요.
또 Visa인지 Master인지 따라서도 가맹점에따라 비접촉결제가 안되는경우도 있었어요.
한 예로 제가 가지고있던 컨텍리스지원 삼성 Master 카드는 GS25에서 결제가 안되었지만(터치해도 인식실패했다고뜸)
현대카드에서 애플페이를 지원할수있단 루머가 뜬 이후에 현대카드(Visa)를 발급받았는데 이경우에는 GS25에서 잘 작동하는걸 확인했구요.
비접촉결제의경우 Visa가 가맹점이 훨씬 많더라구요. 비접촉카드 발급받아서 써보실분들은 참고하셔야할거같아요.
그럼에도 동네 음식점같은곳에서 밥먹을때 비접촉 카드단말기가 있는곳은 하나도 못봤으니 애플페이가 들어오더라도 갈 길이 얼마나 멀지 ..ㅎㅎ
저는 지금 한국에서 애플페이 쓰고 있습니다 삼성페이보다 더 좋습니다 저는 삼성도 써보고 애플페이도 써 봤지만 삼성이랑 애플페이랑 비교 해 보라 하면 결론은 삼성페이 쓰레기 라 생각합니다 비행모드나 데이터 꺼 있으면 결제 불가능 이거 실화임 비행기국제선 기내 에서 면세품 살 때 페이 안되는 거 실화 애플페이는 최강 인거 같습니다 삼성 아직 멀었음 이건 팩트 입니다
편의점에서 삼성페이 결제할때 어느순간부터 알바들이 단말기의 카드 긁는쪽이 아니라 접촉면 대라고 해서 그거 티머니 전용 아닌가 했는데 영상 덕분에 완벽하게 이해하고 갑니다.
카드 중에 payon이라 적혀진 것은 상당히 오래전부터 비접촉 결제를 지원하긴 했습니다..
지원하는 결제 단말이 별로 없어서 문제였지만..
그리고 삼성페이 전부터 NFC 결제가 지원되는 모바일카드 등이 있었지만 역시 단말부족으로 대부분이 사용하지 못했어요.
파요엔!!
말씀안하신 부분도 있네요 민감한주제라서 그런가 EMV수수료 1%에 애플페이 수수료 0.15% 합치면 1.15%인데 한국은 2000년대 카드보급을 굉장히 잘해놔서 정부가 세금걷기 편해진 대신 자영업자들은 현금결제비중이 낮아져서 카드사에게 수수료를 뜯기는 일이 발생했죠 하지만 카드보급률이 워낙에 높고 하다보니 정부가 계속 카드수수료 낮추라는 압력을 넣게 되었고 대신 카드결제를 거부하지 못하게 했고 전국민이 카드를 쓰다보니 카드수수료가 일종의 박리다매형으로 수수료율을 낮게 유지할 수 있었죠 근데 애플페이를 도입하면 수수료 1.15%나 뜯기게 되는데 이게 국내경제사정 결제구조사정으로는 감당하기 힘든 비율이고 결국 EMV수수료가 궁극적으로 한국에서 애플페이가 들어오는데 큰걸림돌이 되었는데 구조적인 문제는 다들 얘기안하시고 무조건 카드사탓만 하는데 어느정도는 카드사입장도 곤란한점이 있다고봅니다 우리나라카드사가 EMVco에 지분을 받아 들어가든가 아니면 EMV사용료를 내야하는데 현대카드가 이걸 어떻게 해결할지 궁금하네요
emv contactless 수수료가 1프로라는 근거나 링크좀 주세요. 어디서 그런 루머를..
@@user-harrry 자세히는 모르겠지만,예전에 애플페이 수수료 때문에 논란된적이 있었음
@@user-harrry 자나가는 1인입니다만
저도 어디서 주어듣기로는 수수료 1%라고 들었는데 1.15%였다니 카드사에서 거부할만 하네요. 삼성은 수수료 없잖아요?
기존에도 현대카드 대부분이 EMV결제를 지원한다고 영상에 있는데 이미 해결된 사항 아닐까요?
네이버페이만해도 네이버가 2퍼 먹고들어감;;;; 삼성페이는 수수료받으려다 반발로 잠시소강임!! 즉 곧 삼성페이도 수수료받을듯!! 진실이 삼성 애플다 장사꾼임
현카/애플 지원금 지급 신규 nfc결제단말 : 애플페이가능. 삼성페이 mst만지원
지원금 미지급/기존 nfc결제단말 : 둘다 nfc가능
이럴수도 있을까요..?
mst 방식도 속도가 빨라진거같던데,,,노트8쓰다가 이번에 폴드4로 바꿨는데 결제반응속도가 겁나게 빨라졌어요,,,,기술이 뭔가 달라진걸까요?
전과 다르게 대충대도 바로 인식하더라고요
해당 기술의 차이가 있을수도 있고, 결제 단말에 따라서도 속도가 좀 다르더라구요 ㅎㅎ
헐.ㅋ ㅋ 아이폰 교통카드가 안된다는거 첨 알았네요.. 그리고 제가 플립4쓰는데 삼성페이 결제 미스난적이 개인적으론 없었습니다 ㅋ
내가 당연히 누리는걸 아이폰쓰시느분들은 못쓰고계셨다니 쫌 안타깝네요. 얼른 애플도 이 편함을 고객들이 누릴수있도록 했으면하네요.
애플페이 :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결제가능 / 애플워치 애플페이 가능
삼성페이 : 네트워크 연결 해달라는 안내문 출력 / 갤워치 삼페 불가
이것도 차이가 있죠 갤워치 삼페 좀 해줘!!
삼성페이 기능 들어있는데, NFC 결제방식만 탑재해서 해외에서만 됨
삼성페이 넣은지 한참 됐음 2016년부터 들어 있었음
마그네틱방식이아니라 삼성도 nfc만 지원했다면 오프라인에서도 결제가 가능하죠>??
@@꽃내음-f2y 삼성에서 앱 기능 개선을 안하면 안될거같네요 될거같다면 지금이라도 NFC만 결제 가능합니다 하면서 해줬을법도 한데 안해주는거보면 안될거 같아요 ㅜ
@@Sherlock0504 국내도 NFC 아에 안되는건 아닌데 NFC전용으로라도 해줬음하네요 ㅜ MST때문에 혼란 방지 차원일수도 있지만요
저는 현대카드만 거의 10년째 쓰고 있는데 비접촉 가끔 사용하긴 했는데 현대카드만 된다는 건 처음알았네요.... ㅎㄷㄷ.... 이런 정보까지 주시는 잇섭님 정말 감사합니다!!
이제 통일만 남은 건가?... ㅋㅋㅋㅋㅋ
현대카드만 된다라기보다 현대카드가 요즘 카드 발급은 거의 기본 탑재하다시피해서 발급해주더라구요.
토스카드도 가능!
삼성카드도 가능해요!
농협 우리카드도 돼요
신한은행 체크카드말고 1~2개 신용카드만 됨
형님 2021년도 LG스마트폰 사업 철수 영상보고 새로운 영상이 올라와서 또보러왔는데 살 많이찌셨네요 ㅋㅋ 볼때는 몰랏는데 창 양쪽으로 띄워놓으니까 진짜 차이 많이나요 영상 오래오래보고싶으니까 건강을 위해서 살뺍시다!
nfc가 보안에 안전할 것이다 라는 것 착각입니다 복제 쉽고 nfc번호 조작은 마그네틱보다 쉽습니다
부랄때고 스트립쇼 저거 제 친구놈인데, 혹시 인터뷰나 그런건 생각 없으신가요? 허락은 대충 돌려서 받고 신상정보 넘길 의향 있습니다.
올해안에 나오면 ㄹㅇ 부랄짜른다나요 ㅎㄷㄷ??
apple pay korea country manager 채용 공고를 몇 달 전에 봤습니다 (본사 채용 공고에.. ) 이 말인 즉슨 찐찐찐에 가깝지 않을까 싶습니다..
'꿈'에서 듣기로는...유튜버들도 nda 풀렸나보네요
근데 삼성페이 nfc도 기술적으로는 애플페이와 완전히 동일하기떄문에 첨에 켜는 작동방식에 미미한 차이가 있을뿐 사용성은 거의 동일하다고 봐야하는데, 실제 간편결제에서 점유율을 보면 애플페이가 압도해버렸죠. 삼성페이는 수수료도 포기하고 삼성이 mst랑 연계해서 출시했는데 정작 해외에서는 애플페이에 압도당해버림...nfc는 사실상 동일하고 mst가 되는 장점까지 있는데, 결제건수가 많아도 삼성이 수익을 얻는 방식이 아니기때문에 삼성이 관심이 없었던건지 애플페이에 완전 밀림. 구글페이도 사용은 오히려 애플페이보다 편하다고 할수도있는데 삼성페이와 비슷한 점유율정도로 밀리는 상태구요
하드웨어 기반 간편결제는 애플페이만 살아남는 모양새인데 아이러니하게도 결제건수마다 수수료를 받는 방식이 살아남는...한국도 mst 기반이 워낙 강해서 삼성페이가 시장을 잡고는 있지만 삼성이 수수료도 없고 하다못해 광고라도 넣어서 유지보수비용이라도 커버해보려고했는데 소비자들 반발이 커서 못넣는 지금 애플페이때문에 nfc로 빠르게 전환이 이뤄져서 둘다 nfc로 결제하게 되면 해외처럼 애플페이가 압도하는 그림이 나올지 어떨지 궁금하네요
당장은 mst도 같이 되는 삼성페이가 시장을 먼저 만든 방어효과를 누릴거같긴한데, nfc 단말기가 빠른시일내에 도입되고 도심에서 사실상 nfc 사용에 제약이 없어지게 되면(대부분 매장에서 다 nfc 결제가 되고, 교통카드도 대체하는 수준으로) 삼성페이도 nfc 결제하는 사람들이 과반수를 넘어서고 그때쯤에는 과연 시장이 어떻게 흘러갈지...
어떻게 점유율이 나오든 nfc 로 대표되는 비접촉결제가 한국에서도 상용화돼서 카드를 긁거나 꼽는게 아니라 갖다대기만 하면 당연히 결제가 된다는 인식이 자리잡았으면 좋겠네요
근데 qr 코드 언급은...nfc가 더 직관적이고 편하고 qr코드 결제는 단말기 보급 부담이 있을경우에 qr 그림만 있으면 결제가 가능하기때문에 있는거라 굳이 nfc결제가 가능한데 qr코드 결제를 추가로 지원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되네요 nfc 보급이 쉽지않을때에 하는거라...이미 카카오나 네이버페이같은 간편결제는 qr 결제를 하고있으니까요
현카가 비접촉 결제방식된다고 알고 있었지만 써보진 않았는데 이영상 보고 마침 홈플러스 갔다가 어떨까 해서 써보니 카드투입구에 넣는 것보다 체감상 엄청 빠르더군요..ㅎ 이제 자주 써봐야겠네요 ㅋ 참..ㅋ 구독 첫댓글인데 ㅋㅋ잇섭님 말투가 되게 익숙하다 했는데 고향이 안동이셨군요 ㅋㅋ 저도 인근 도시 출신이라 ㅋㅋ반갑 ㅋ
한국에서 발급되는 대부분의 카드는 후불교통카드이용을 위해 페이웨이브부분에 터치하여 이용 가능한 "페이온" 기능이 탑재가 돼있습니다. 아마 유럽에서 이 페이온 기능이 있는 카드로 터치리스 결제를 이용했던 것 같은데, 그럼 페이온 기능이 탑재된 카드들도 애플페이에 등록만 가능해진다면 바로 이용이 가능해질려나요...?
+토스카드가 최초등록 시 NFC로 카드정보를 읽어와서 카드등록 후 이용하게 되는데 이도 마찬가지일까요!! 궁금한 점이 많네요
일단 한국 카드들부터 등록좀 하게해줬으면 ㅠ
삼페를 쓰면서 빠르게 될 때랑 오류가 걸려서 느리게 될 때가 있어서 왜인가 싶었는데 영상 때문에 확실히 알아가요
갤럭시를 쓰고 있지만 애플페이가 도입되어서 서로 경쟁하는 과정 중에 소비자로서 불편한 부분이 많이 개선되면 좋겠어요
사실 도입되면 너도 나도 좋은게 사실이죠 이미 편의점, 체인점은 NFC 단말기들이 들어와 있는 곳이 많아서 삼페도 가끔 카드리더기 부분이 아니라 이쪽에 대주세요 하는 매장가면 더 빠르게 결제가 되니까요ㅎㅎ문제는 노포와 체인이 아닌 자영업하시는 가게가 문제지 않을까 싶네요 😂 아직 그 뚱뚱한 전화기반 카드기 쓰는 집도 많으니까요
국내 페이분야에서는 애플이 후발주자인데 초기 시장확대를 위한 어떤 전략을 구사할지 기대됩니다. 국내에서는 편의점 등 일부 매장 아니고서야 비접촉이던 접촉이던 본인이 직접 결제하는 경우는 드물어서 페이는 지갑없을때 보험용이고 실물카드를 더 쓰게되더라구요. 제가 나이가 좀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삼성페이의 현금인출 기능은 정말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와 진.짜. 소비자가 궁금해하는 모든 부분에 대해서 속 시원하게 긁어주시는 영상이네요. 누구는 이런 얘기는 하나도 없이 진짜 들어온다 안들어온다 니 말이 맞니 틀리니 가지고 쓸 데 없는 말싸움만 존나게 하던데 정작 내용은 하나도없고…소비자가 궁금해하는건 이런 정보가 아닌가 싶네요. 덕분에 궁금증이 확 풀렸습니다. 역시 잇섭님이 짱이십니다 😊
난 해외 살아서 이미 갤럭시로 nfc 결제 하는 중.. 아주 빠릿함. mst로 결제는 안 해 봐서 얼마나 느린진 모르겠는데 삼성페이나 구글페이 둘 다 느리지 않아요! 갖다대자마자 결제 완료됨
이 루머 자체가 그냥 삼성에 관심 하나도 없는 악성 앱등이들이 퍼뜨리는것 같음 ㅋㅋㅋㅋㅋㅋㅋㅋ
애초에 상태표시줄 메뉴에 NFC 켜고 끄고 모드 변경하는 버튼이 있어서
모르는 놈들도 이게 뭐임? 하고 검색해볼 정도로
기기 내에서 NFC 지원 한다고 소리지르고 발악하면서 알려주는 수준이라서
삼페 지원 이후 갤럭시 기종 한번이라도 써봤으면 당연히 알고 있을 것 같음
1. 아이폰 유저들 중 실제로 현대카드에서 신용카드 발급받아 사용가능한 인원 비율이 얼마나 될까요? 10대부터 20대 초반까지 아이폰 유저들이 맘대로 신용카드 발급받아서 사용을 하게 할까요?
2.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카드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애플페이 및 EMV 수수료를 감당하기 위해 카드사가 어떤 행보를 보여줄까요?
현실적인 한계점을 눈앞에 두고 그냥 애플이 들여온다니깐 무조건 좋겠지하고 호응만 하기엔 우리나라 현실이 그렇지만은 않죠. 우리나라가 마그네틱 방식이 보편화된거는 그만큼 일찍이 카드보급이 상용화되어 마그네틱 방식이 기준화되었고, 또 국가에서 낮은 카드수수료를 부과하도록 정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카드사들이 nfc방식으로 쉽게 못넘어가고 있는겁니다. 물론 nfc방식이 좀 더 편할 순 있겠지만 그만큼 우리낙 지불해야할 비용도 커지는거죠.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점을 제쳐두고, 사대주의에 쩌들어서 애플이 하는게 무조건 맞다고만 얘기할 수는 없다는거죠.
외국에서도 nfc방식이 빠른것만은 아니에여 ㅎㅎ
가끔 카드 단말기가 오래되었거나 단말기 통신상태에 따라
느릴때도 종종 있어서..ㅋㅋ 하지만 말씀하신대로 대부분 빠르긴해요.
아이폰 상단에 nfc가 있는것도 장점!
편하고 자연스럽게 쥐고 있어도 되는게 많이 편한건 사실입니다 ㅎㅎ
일본에서 애플페이 쓰고있는데
편의점에서 비자카드로 결제시 폰을 갖다대면 아이폰은 햅틱반응이 오면서 0.1초만에 결제 끝났다고 뜨는데 단말기는 3초정도 있다가 결제끝나고 영수증이 나오더라구요....
저도 이것때문에 애플페이가 삼성페이보다 빠르다는거에 100%동의하진 못하겠더라구요
mst 방식 자체가 보안에 취약해서 해외에서는 거의다 nfc 방식을 쓰는거임. 현실은 전세계 애플페이 결제량이 삼성페이의 80배임.
제대로 찝어주시네요
NFC+MST 둘다 되는거 모르는 사람이 많죠
전자기기 좋아하시는 분들만 알지 대부분 모르시더라구요 ㅎㅎ
삼페가 좋은 이유는 지갑을 여는 시간을 없애줘서 아니라, 지갑을 안 들고 다닐 수 있기 때문이지.
속도는 사실 별로 중요하지 않음.
이게마따 갤럭시 쓸땐 지갑 어딘가엔 있겠지~ 이러고 살았음 ㅋㅋㅋ 토스나 스팀이나 그런데 카드 써야할때는 지갑을 찾았어야 했는ㅋㅋㅋㅋ
삼페는 느리다고 하는 사람들 때문에 답답하긴 5지게 답답했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만들어줘서 확실히 근거가 있으니 이 얼마나 좋은 유튜버인가~
ㄹㅇㅋㅋ
삼페는 안느린데 삼성폰이 느림
@@주튜브-m5z 잇섭님 혹시 이 글을 볼지도 몰라서 알려 드립니다. 지난 몇년 동안 소중한 구독자인 갤럭시 유저들의 댓글에 악플로 공격한 앱등이의 실명은 이진홍 이라는 사람이고 100여개의 부계정으로 댓글을 단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 영상 댓글에도 부계정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외국 사는 사람이고, 노트쓰다가 최근에 아이폰으로 바꿨는데 불편한 점 너무너무 많지만 확실히 애플페이가 빠른느낌이더라구요. 아마 버튼을 눌렀을 때 구동되는 시간이 조금 다른 걸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제 노트가 최신형은 아니었으니까요ㅠ
잇섭님 오늘 제가 희안한 걸 발견했습니다. 제아이폰 14프로 업데이트 만땅 폰은 애플 페이 설정이 안되지만 아내의 폰 아이폰 12 미니 업데이트 안한 폰에서 애플페이가 추가 되는 설정이 나오길래 해봣더니 ㅜㅠ 되네요 아 젠장 업데이트 해서 나만 애플페이 안되는건가요? 인증 영상 올리고 싶은데 안올라가네요 영상 만들어주세요 꼭~!!!! 흑흑
옛날 기억엔 NFC방식 결제에 대한게 나올 때는 꽤 됩니다!!라고 홍보를 쫌 했던 거같은데 사람들이 잘 안써서인지 어느샌가 다들 기능을 빼거나 홍보도 안하더라구용 ㅠㅠ
영국에서 애플페이로 열차, 전철, 버스 등을 쉽게 타고 다닌 입장에서 한국에도 교통카드 기능 또한 적용될수 있었으면 합니다.
현대카드가 티머니쪽이랑 협의중이란 얘기를 들었습니다 교통카드도 가능할거 같아요
아이폰에서 애플페이 말고 다른앱으로 NFC 결제가 되나요?
해외에 살아서 가끔 한국가면 북미 삼성폰으로 교통카드 잘쓰고 있는데 아이폰도 잘 되면 넘어가고 싶네요 ㅎㅎ
현재 아이폰 유저가 대략 27%.
20대까지는 신용카드를 거의 쓰지 않음.
어르신 세대는 삼페조차 어려워하심.(실물카드 선호)
끽해야 30~50대가 주로 사용할 것이고
거기에서 또 모바일페이 사용 여부로 갈리고
거기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등 갈리고
......
등등 내려가다보면 아무리 희망적이게 잡아도 한국에서의 시장성이 그리 크지 않아보이는데..
수수료까지 타사 대비 부담스럽게 내면서까지
카드사가 이걸 통과시켜줄까 의문임
요즘 현금 들고 다니는 사람이 없습니다. 신용카드 발급이 안되는 1020도 체크카드만 써요. 사실상 27% 점유율을 다 먹을수 있다는 겁니다.
오히려 젊은애들이 현금을안가지고다니죠... 어른들이 현금 갖고다니심
ㅇㅅㅇ...?
아니, 왜 현금을 쓴다고 생각하는 거임;;
카드사가 돈을 벌려면 신용카드를 써야 하는데 20대 사회초년생이 신용카드 쓸 확률이 얼마나 되냐는 건데...?
삼페 처음 2년 간 수수료 받지도 않고 마케팅에 집중해갖고 보급률 확 높였잖음
카드사들은 추가수수료 낼 필요 없으니 너도나도 삼성페이에 들어가줬고,
이제는 삼성페이에 등록 안되는 카드가 눈치볼 정도로 보편화되었는데
애플은 지들한테도 비싼 수수료 내라고 하잖음?
0.015% 와우
삼페는 건당 3~5원이라던데, 얘들은 퍼센트로 가져가려니 카드사가 부담스러울 수 밖에;
10만원 긁으면 15원을 자기들한테 내라는 뜻이니 삼페보다 몇 배나 비싼 꼴이고
박리다매 하자니 삼성페이의 절반도 안되는 규모인데다
거기서 또 여러갈래로 가르고 갈라지면 애플페이 유저 수는 엄청나게 적어짐.
애플이 삼성처럼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지 않는 이상, 카드사가 과연 얼마나 협력해줄까 회의적일 뿐임
난 현금 얘기는 1도 안 꺼냈음
애플페이의 가장 큰 문제는 수수료 때문이라던데 삼성페이 처럼 수수료 무료면 이미 예전에 들어왔을듯...진짜 아이폰 쓰고 싶다.
현대카드에서 수수료 합의 잘해서 들어오면 현대카드 만들어야 겠다.
애플페이 수수료도 있지만 더 큰건 EMV 컨택트리스 수수료가 아주 크기 때문입니다 ㅎㅎ
수수료 무료면 뭐함 결제할 단말기가 없는뎈ㅋㅋ
@@ITSUB 오~마이갓!!! 잇섭님이 답글을...오마이갓... 감사합니다.
말끝에 “ 습니다아아~” 이거 일부러 하시는 건가요 ..? 어느 순간부터 늘어져서 한번 신경쓰이니까 계속 신경쓰이네요 .. ㅋㅋㅋㅋㅋㅋㅋ
@@인순데용 죄송합니다아아 ..
애플페이는 최악의 시기에 도입을 시도하네요 ㅋㅋ 카드수수료도 많이나가고 단말기도 새로 사야하는데 그게 소상공인들 입장에서는 절대 쉬운일이 아니죠
빠르게 보급될려면 국가주도하에 실시해야하는데 그건 현대카드가 독점이라는 형태로 계약을 해서 지원을 해줄지도 미지수죠
잠재적 애플페이 이용자가 소비를 많이하는 층이 많으면 가능성이 많이 높아지겠지만 우리나라는 10대의 대다수와 20대 절반정도가 잠재적 애플페이 이용자라서 그것도 쉽지가 않죠
특히 현대가 주도적으로 했는데 과연 우리나라 시장에 얼마나 큰 영향을 보여줄지 궁금하네요
지금이라도 정부가 더더 합리적이게 그 문제를 잘 처리했으면 하는 바램이네요.
@@지형-m7m 솔직히 합리적이게 처리할려면 세금 들여서 설치하는 것보다 그냥 두는 게 맞죠.. 한국은 갤럭시 사용자가 훨 많고 고소비층이 4050인데 갤럭시를 많이 쓰다보니 굳이 하지 않는 게 맞죠
@@user-lf5qz9vx1p 어차피 nfc도입해야될거면 지금 해야된다고 봅니다 이번기회놓치면 전세계사람들다 nfc쓰는데 우리나라만 구식mst쓰는 나라될지도 몰라요.. 아날로그 고집하는 일본 욕할게못되버림 ㅠㅠ
저희는 단말기 NFC 기능 켜놓으면 MST 인식 오류가 너무 나서 NFC기능 꺼놓고 쓰고 있습니다.
왜그런지는 잘 모르겠지만, 업데이트를 하거나 기기를 교체해야 하지 않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다른 유튜버분이 그러던데 현대카드가 애플과 애플페이의 국내사용 독점권을 얻으려고 협의중이고 단기간안에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는식으로 말하던데 어떤지요?
아~ 그래서
어쩔땐 결제 타이밍을 놓쳤을때 마그네틱 1.5이상 기다려야 되기에 오래 걸린것이고
또 다른 곳에서 결제할때는 긁는게 아니라 와이파이 모양이 있어 가져다 되니 엄청 빨리 결제가 되었던 거였군요. 어찌보면 결제방식이 2가지인 삼성것이 더 좋을수도 있네요. 방법 갯수로 비교했을때는 말이죠. 하지만, 그냥 결제만 놓고서 봤을때는 두 회사 똑같다는 이야기이구요. 좋은 정보였습니다. ㅎㅎ
삼성페이는 2가지가 같이 작동해서 아무 방식으로 해도 되는데, NFC되는 곳에서는 엄청 빠름을 체감하실거예요 ㅎㅎ
애플페이가 한국에 들어와서 NFC 결제가 활성화되면 갤럭시 워치에서 삼페 사용하는것도 가능해질테니 갤럭시 유저 입장에서도 매우 기쁜 소식이네요
영상에 나온 것처럼 삼페가 MST 결제 방식만 너무 홍보해서 저런 오해가 생기는 것도 많이 안타깝고...
저 처음에 걱정했는데 이젠 걱정안해도 되겠네요 ㅋㅋ
워치는 기계문제가 아니라 금융법까지 해소되어야 해서 더 복잡해질텐데
애플페이 들어와도, 한국에선 반쪽자리인 이유가
대중교통 이용하는 사람은 교통카드 안되고, 자가용 이용하는 사람은 주유소 결제가 안되고, 그외 지방 식당 같은곳은 NFC방식 단말기 없음
결국 애플페이 도입되어도 삼성처럼 카드 안들고 다니긴 힘들고, 카드를 꼭 하나이상 들고다녀야 함!
(그럴봐에 그냥 아이폰케이스에 현대카드(?) 넣어서 다니면서 결제하는게 교통카드도 되고 개이득)
인간은 언제나 그렇듯 수단 방법을 동원해 결국 해결할 것이다
@@lllololl 물론..그시간이 너무오래걸릴뿐
애플에서 탭투페이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올해 말 실제로 사용 가능할 것 같더라구요.
NFC지원 POS기 필요없이 아이폰을 POS기로 사용할수 있게 하는 기술인데 이게 상용화되면, 소상공인도 따로 단말기 바꿀 필요 없이 애플페이 사용가능한 매장이 늘어날 것 같아요.
그리고 애플워치에서 페이 기능을 쓸수있다는 점도 장점인데, 삼성도 NFC 결제만이라도 워치에 도입해야 경쟁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삼성은 이미 NFC 있어요
@@사랑하자-m2l 아 그런가요?? 갤워치에서 삼성페이 되는거였나요??
@@뭉뭉-i8h 워치에 nfc 기능은 있어서 티머니로 결제가 되는데 현재 삼페기능은 빼고 있어요 기능은 있어서 넣으려면 넣을 수 있는데 안넣고 있어서 이유가 있긴 할 것 같아요
흠... 우리나라는 MST 방식을 많이 쓰니까 폰으로 삼페가 되는데 워치로는 안되는 매장이 많아서 그럴까요? NFC 단말기 보급이 많아지면 풀릴거같기는하네요
참고로 탭투페이는 안드로이드에서 이미 몇년전부터 기술로 구현되던 형태입니다. 다만 쓸일이 없어요 한국에서...
현대카드 그린 사용중인데 비접촉결제 엄청 빠르고 편하더라구요. 근데 가끔 결제할 때 카드단말기에 카드 올리려다 직원분이 거기 아니라고 가져가서 긁기도 하시는.. 😅
삼성이 NFC 방식 가능하다고 홍보하기 좋은 방법은 워치 4, 5에 NFC 방식 삼성페이를 넣어 주면 됩니다
하지만 삼성은 왜 국내에서는 미지원인지 설명도 없이 그냥 계획 없다는 말안 반복하고 있죠
아마 워치까지 지원하면 애플에 비해 그만큼 장점도 늘어나는데 이유를 알 수 없네요
워치시리즈 블루투스 모델도 티머니 깔면 단독으로 이미 nfc만켜두면 티머니 결제가능
셀룰러에서 삼성페이 단독 생기면 좋겠지만 지금은 티머니로도 충분
@@whiletru2 NFC 섬성페이 이야기 하는데 티머니 된다는 말은 현재 삼성페이를 사용 안 하거나 삼성페이와 티머니 차이를 모르는 사람인 것 같네요
티머니 외에 네이버페이도 지원 합니다
기어3때 mst까지 지원하는 삼페를 탑재했는데
그때 당시 국내법상 가상카드는 하나의 기기에만 등록이 가능했습니다 그래서 휴대폰과 기어가 연결되지 않으면 삼페를 쓸 수 없었고
이 일로 욕을 퍼먹은 뒤 그 후로는 mst모듈을 빼버리고 해외판워치에만 nfc기반 삼성페이가 들어간 겁니다
Nfc만 된다하면 또 사기라며 욕만 먹을테니 국내판에선 빼버린 것이겠죠
Nfc 단말기 보급이 된다면 삼성도 추후 기능을 추가할 겁니다
@@정민서-r5r 현재 법으로도 불가능 하다면 설명을 법 때문이라고 하면 될 부분이고
욕 먹는 것이라는 것은 지금도 삼성은 꾸준히 욕 먹을 일 게속 하고 있는데 그냥 추측일 뿐이죠
삼성에 무언가 요구하면 말도 안 되는 변명 엄청 잘 합니다
그런데 워치에 NFC 삼성페이만 요청하면 아무 말을 못 합니다
@@crescentnebula 국민카드의 웨어러블 기기 정책을 확인한 결과 기기연동과 독립사용시 lte지원, 시간제한 등 2대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규제가 아직 남아있습니다. 이로 인해 탑재를 안하는 것으로 추정되고요.
삼성이 갤워치에 삼페를 탑재안해주는 핑계는 찾아볼 수 가 없네요 기어3때 삼페 이슈 이후 지원안한다고만 말하고 그에 대한 변명은 따로 없는것 같네요
애초에 완성된 기술을 급나누기도 아니고 삼성이 워치 시리즈 전부에 미탑재할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애플페이와 마찬가지로 카드사간의 문제죠
나 편의점에서 삼페로 결제할때 단말기 위에 핸드폰 올려놓고 결제했는데 항상 되게 빠르던데?
그게nfc
인트로의 주인공 꼭 찾으시길 바랍니다. 애플페이 들어오면 시행착오가 있겠지만, 잘 정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ㅋㅋㅋㅋㅋㅋ
0:54 어디서 들었다고여..?
오 저는 신한카드 농협카드 2개만 사용하는데 모두 비접촉 결제방식을 지원해서 그런가보네요, 저는 그동안 삼성페이를 너무 잘쓰고있어서그런지 아이폰으로 못옮기겠다라는 생각?이 굳혀진거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