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극약. 잘못 적용하면 회사 흔들린다” (이호수 전 SKT 사장)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68

  • @TTimesTV
    @TTimesTV  2 года назад +4

    📌오늘의 주제 모아보기📌
    00:00 하이라이트
    03:44 과거 수차례 '인공지능 겨울'이 있었다?
    09:56 3차 AI 겨울이 도래할 가능성은?
    14:04 딥러닝이 AI의 대세가 된 이유?
    16:28 손정의 회장의 AI 특이점은 과장됐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와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 @A201DW
    @A201DW 2 года назад +53

    그냥 본인 생각을 이야기할수있는거죠. 다만 wap, 위피기반으로 게임, 컨텐츠, 메신저, sns, 앱스토어 등 이미 십여년의 노하우와 엄청난 리소스를 가지고 있었던 sk가 모바일 패러다임 대변화의 시기에 어떤 혁신을 이뤄낸게 하나도 없었으니 skt 조직이 소위 ‘내가 해봐서 아는데’ 라며 혁신에 대해 뭐라 언급할만한 자격이 있는지 생각해보게되네요.

    • @Josh-ce6ss
      @Josh-ce6ss 2 года назад +2

      진짜...기회는 많았는데 다 놓친 느낌이네요. 결국 통신 수수료에 의존하는 회사로 전락하게 됐죠

    • @dioxin2768
      @dioxin2768 2 года назад

      격하게 공감

  • @dosi-jayeonin
    @dosi-jayeonin Год назад +3

    인공지능을 논하기 전에 우리가 인간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부터
    질문해야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 @김종신-f8m
    @김종신-f8m 2 года назад +3

    제가 아는한 이호수 사장님은 우리나라 최고의 전문가 이십니다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Han-qb4vr
    @Han-qb4vr 2 года назад +6

    당장 내일 일도 모르는데, 한계를 두는 건 아닌 듯. 역설적으로 우리는 머스크 손정의 같은 리더가 없는데는 역시나 이유가 있었구나라는 생각만드네요 왜이리 부정적이야 ㅋㅋ

  • @jotcca
    @jotcca 2 года назад +5

    AI, AI 되도않는 AI 붙이기보고 AI는 멀었구나....싶었는데 chatGPT 써보고 진짜 신세계를 발견했다.... AI가 진짜 가까이 와있구나

  • @solvidkim9155
    @solvidkim9155 2 года назад +6

    실험실 이야기가 아닌 최고의 Guru께서 기업 현장에서 피 땀 눈물 흘리며 배운 지혜와 지식을 이렇게 전수받게 되서 너무도 감사합니다. 귀한 지혜와 지식이 사장되지 않게 대한민국 후손들에게 널리 널리 전파되길 바랍니다. 일본에 손정의가 있다면 한국엔 이호수 Guru님이 계시니 너무도 감사합니다👏👏👏

  • @방구석중도
    @방구석중도 2 года назад +12

    격하게 공감합니다.
    인공지능 뿐만아니라 3d 영화, 5G, 블록체인 등 신세계가 된 것 마냥 과대포장 되어있죠.
    인공지능 냉장고 , 에어컨이라 말하고 비싼 기계라고 씁니다. 개발자는 자동화 시스템이랑 인공신경망 구분 못할리가 없는데, 마게팅이라고 하지만 소비자를 우롱하는 행위라고 봅니다.

    • @이영우-m3y
      @이영우-m3y 2 года назад +5

      개발자들은 그런 단어 오남용 하는거 극혐하는데 문과출신 마케터들이 문제 ....

    • @sober100pct
      @sober100pc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영우-m3y ㄹㅇ 겪어본 바로는 마케팅팀이 문제맞음 ㅋㅋㅋ 개발부서에서는 제발 오버좀하지말라고 이러다가 개발부서만 독박쓴다고 말해도 국내영업 해외영업부서는 말을 안 들음 다 ai 만 존나강조함

  • @magekweon8335
    @magekweon8335 2 года назад +9

    '평생동안 인공지능을 하셨다'라는 말은 팩트가 아니죠. 젊은시절에 한건 맞지만..
    알고리즘이 모델에 녹아 있는건데 다르게 말씀하시네.

  • @eunkyunglee844
    @eunkyunglee844 2 года назад +14

    혁신기업
    미래를 보고 나아가는 선두주자에 선 사람들을 앉아서 평가하는 쉬운 사람들
    실패를 통해서 우리는 나아갈수있음을 모르는듯
    일론 머스크 손정희의 깊은 뜻을 캐나다 시골에서 사는 할버니도 아는데.....
    인류가 나아가야 할 길이라면 그길이 멀고 험란해도 나아가야한다는 생각입니다

  • @dailybread-p6i
    @dailybread-p6i 2 года назад +5

    시간이 더 지나보면 알겠지요 누가 미래를 잘 꿰뚫어본 인간인지는
    손정의는 결국 AI 관련 사업을 장악하겠지요

    • @vinacorea
      @vinacorea 2 года назад

      손정의는 미투기법임 어라 이게 괜찮은것 같네 하며 진입하는거임
      선도하지는 못하는 투자가 그냥 도박꾼이라 보면됨 ㅋ

  • @친절한에듀테크쌤
    @친절한에듀테크쌤 2 года назад +11

    역시 현직의 훌륭한 연사님을 모시는 강의라 경험도 없는 방송용 전문가들의 추상적인 강의랑 수준이 다르네요! 매번 멋진강의 감사합니다^^

  • @arep0s
    @arep0s 2 года назад +12

    정말 핵심기술 내용을 알고 얘기는 하는건지 의심이 가네요

  • @doovely1161
    @doovely1161 2 года назад +5

    AI에 대해 현실적인 뷰를 볼 수 있는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AI Insight"책도 읽어 보았는데 사례중심으로 AI의 현주소를 잘 알 수 있었던 책이었습니다.~

  • @gaepopodong
    @gaepopodong 2 года назад +1

    이호수 사장님께서 인문학까지 겸비하시게 되면 굉장히 성공하실 것처럼 느껴지네요👍

  • @rirnfkflgk
    @rirnfkflgk Год назад +4

    SKT 사장까지 했던 사람도 별거없구나

  • @gwonlee236
    @gwonlee236 2 года назад +3

    인공지능시대는 필연적으로 도래할 인류의 운명이다.요즘 입에 오르내리는 양자컴퓨터
    가 실용화단계에 접어들면 눈깜짝할 사이에 이름에 걸맞는 AI시대가 될것이다.인류의
    운명이라고 말한것은 "이익을 추구하는 탐욕과 호기심"이 인간의 본성이다.

  • @bomenbun
    @bomenbun 2 года назад +5

    특허를 내는 사람들이 흔하게 빠지는 착각이 자신의 상상력과 창의력에 과몰입하여 구체/실질적인 가치판단을 못하는것인데 사실 대부분 기업인들도 같은 착각을 합니다. 인간 세상에 발굴되지 않은 감추어진 가치들이 너무 많아 발굴하기 좋았으므로 그동안 자본이 손쉽게 돈을 벌 수가 있었습니다. 연구개발비용보다는 영업이익이 높았으므로 자본이 개입하면 성공확률이 높았던것인데 기업인들은 자신들의 능력으로 만들어낸 가치로 착각을 합니다. 우리의 물리이해수준으로 발굴될 수 있는 가치는 어느정도 나왔습니다. 그래서 세상이 만들어내는 성장이 쪼그라들고 있는것이고 자본은 손해를 보거나 뭉쳐지고 있으며 국가는 코로나 이전부터 계속 경제성장을 받치기 위해 부채를 지속늘렸던 것입니다. 새로운 물리이해수준을 얻지 못해서 다른 가치 암반을 뚫어내지 못하면 이제는 고마고마한 가치로 서로 생존해야 합니다. 그래서 기업인들이 지속적으로 자본 손실을 초래할 수 밖에 없습니다. AI 가 막연하게는 엄청난 가치체인을 파생시킬것 같지만 구체적으로 수익모델 만드는 것이 꽤나 한정적으로 보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우리의 물리이해수준에서는 큰 가치로 연결할 잠재력이 크지 않습니다.

  • @howardlee84
    @howardlee8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할배 2명이서 AI를 까고 있을 동안 AI가 세상을 지배하는 시대가 오고있다!

  • @nobodysome6009
    @nobodysome6009 2 года назад +11

    생성 AI기술로 난리나고 있는 시점에서 좀 올드한 얘기들이 아닌지요 뉴욕타임즈 시리즈 기사에서 다루고 있듯이 지금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나오던 때와 비슷하다는 전망이 유력해보입니다

    • @user-38e9f4e7cu
      @user-38e9f4e7cu 2 года назад +2

      반문 드립니다. 뉴욕타임즈가 오히려 좀 올드한거 아닌지요? 생성 기술이요? 그럴듯 하죠. 그래서 화제도 되는 거구요. 문제는 그럴듯 한 정도에 그친다는 것 아닐까요? 저도 Chat GPT를 보고 혹했는데, 구현원리를 보니 오히려 ‘별로 나아진게 없다‘라는 생각만 들더군요. 결국 통계에 기반한 귀납적 모사 혹은 눈속임에 불과한 짜집기이고, 이루다와 뭐가 다를지 회의감이 들던데..제가 잘못 이해한건지 모르겠지만 그 정도로 과연 인터넷과 스마트폰 정도의 파급력이 있을까요?
      창작에 있어 보조 툴 정도의 효용은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이를테면 어도비 포토샵앱 정도의…적용 범위는 산업 전반에 걸쳐 훨씬 넓을 수 있겠지만 말 그대로 보조 정도이지, 독립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기엔 요원한..아, 신약개발에서 활용하는 AI가 생성기술 기반인지 모르겠는데, 맞다면 현재로써 최대 아웃풋은 딱 그 정도..?
      뉴욕타임즈에서 얘기하는 그런 떡밥은 팬데믹 이전부터 무분별하게 만연해있었고 덕분에 지금 힘든시기에 다들 정신차리고 꿈에서 깨어나는 시점인데, 아직도 그런 기사들 쓰는거 보면..🤔 어떤 시리즈를 보셨는지, 근거가 무엇이고 과거와 무엇이 다른지 내용이 궁금하긴 하네요.

    • @choonsik9207
      @choonsik9207 2 года назад +1

      @@user-38e9f4e7cu 구현 원리를 보니 오히려 나아진게 없다? 통계에 기반한 귀납적 모사 혹은 눈속임이다? ㅋㅋㅋㅋ 그쪽이야 말로 어떤 자료를 보고 그런 소리를 하시는건지…ㅋㅋ

    • @Bellname
      @Bellname 2 года назад

      @@choonsik9207 통계 맞는데요? Chatgpt도 예전부터 나왔던 챗복이랑 근본적인 차이는 없습니다. 차이라고 한다면 조금 더 진보된 학습 알고리즘, 더 많은 텍스트 데이타 (대화 예시 포함) 등이 있겠네요. 출처는 openai 공식 웹사이트입니다

  • @soso-zt5jl
    @soso-zt5jl 2 года назад +4

    skt는 잡힌 고기 돈빨아먹는데만 관심있자너

  • @user-38e9f4e7cu
    @user-38e9f4e7cu 2 года назад +7

    critical한 인사이트를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편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레이 커즈와일의 ’특이점이 온다‘가 책상 위에 있는데, 잠시 넣어둬도 괜찮겠네요.😂 대신 AI인사이트를 한 번 읽어보고 싶어졌습니다.

  • @the-time-rich
    @the-time-rich 2 года назад +4

    시장 리드하는 플레이어에게 훈수를?

  • @데이터와이즌
    @데이터와이즌 Год назад

    현 수준을 냉철하게 잘 짚어 주신거 같네요~

  • @waferk6355
    @waferk635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리더는 비젼을 제시해야 하는데, 실무에 찌든 대리 과장급 얘기를 하시는 것 같은 이상한 기분이..

  • @alexnd08
    @alexnd08 4 месяца назад

    OpenAI O1이 출시되었습니다.

  • @finegap6243
    @finegap6243 2 года назад +1

    세번째 Hype cycle이 도래했군요.

  • @goyashiro5298
    @goyashiro5298 Год назад +5

    챗gpt4 나온거봐라 이호수 아저씨야 당신이 쪽팔려

  • @손바노-p3y
    @손바노-p3y 2 года назад +2

    멜론하고 싸이월드 생각나는 이유가 뭐지 ???

  • @miraenurinabangyong9826
    @miraenurinabangyong9826 Год назад

    1.인간의 욕망과 공포, 문제해결에 대한 갈증은 인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회현상을 드러내지만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사회현상은 가립니다. 욕망과 공포가 없는 AI가 그 부분의 실마리를 찾는 망원경 역할을 할 것입니다. 2. 현재 시대의 사람들은 LISP를 이해할 기회가 사실은 막혀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구를 제작하는 능력이 없습니다. 저는 당장은 이 부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3. 대중이 지식을 여과를 최소화 하여 직접 습득할 수 있는 창구가 열렸습니다. 구텐베르크가 서양 철학과 과학에 끼친 정도의 수만배에 해당하는 영향력이 인류를 깨어나게 하고, 역사를 바꿀 것이나, 무기가 있으면 휘두르는 인간의 속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잔인한 암흑의 시기를 통과하리라 예상됩니다.

  • @lomica
    @lomica 2 года назад +7

    특이점갤러리에서 이 영상을 안좋아합니다

  • @찰스-n6c
    @찰스-n6c 2 года назад +4

    바둑몇판 이겼다고 인간형 인공지능을 만들수있다라고 생각하는게 재앙 아직까진 빠른 계산기 일뿐 인간형 ai가 물리적으로 가능하다면 인간의 기쁨 절망 촉감 고통 등을 다 느낄수 있어야 함. 그런것을 무한히 복제 할수 있고 인간의 수백만배의 능력을 가질수 있는 존재가 있다면 그것은 신임

    • @ecj2000
      @ecj2000 2 года назад +1

      프로기사 시장 다 죽었음. ㅋㅋ 고집이 아집됨.

    • @choonsik9207
      @choonsik9207 2 года назад

      ChatGPT 만 보고외도 신세계인데 무슨 무식한 소릴….ㅋㅋ

  • @ssss-ou4bn
    @ssss-ou4bn 2 года назад +3

    저도 AI에 의존하면 안된다고 봅니다..인간이 태어나서 살아가는 이유가 어려움을 이겨내고 성취하는데 의미가 있는데 그걸 AI가 다해줘버리면 인간은 점점 타락하고 나태해져서 멸망의 길로 갈수 있어요..!!!

  • @redcoffee4308
    @redcoffee4308 2 года назад +7

    이분은 SKT 사장 하셨던 분이 두리뭉실 넘어가는 것 같네요. 직접 인공지능 프로그램 해 보고 이야기 하는지 모르지만, 전자공학과 출신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저런 말로 먹고 사는 사람들이 빨리 없어져야 합니다.

    • @Haviving
      @Haviving Год назад

      국내기업 아니고 미국 IBM Watson에서 뛰어난 개발자들이랑 같이 일하면서 인공지능 개발 코딩 다하신 분인데, 정작 본인 문과시죠?ㅋ
      꼭 비전문가들이 이런댓글 다시더라고

    • @bhorg9715
      @bhorg9715 Год назад

      ​@@Haviving오히려 이공계 전공한게 생애 유일한 업적인 사람이 공학 전공하면 모든 분야의 본질을 다 꿰뚫는다고 착각하는 경우에 저럼.

  • @cost1812
    @cost1812 Год назад

    하지마! 안돼!!

  • @한상준-q5u
    @한상준-q5u 3 месяца назад

    지금와서보면 한국인지식인들은 무조건안된다고한다는거 그래서 노벨상수상자가 없군

  • @RiroKiku
    @RiroKik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

  • @집게사장-o9u
    @집게사장-o9u 2 года назад +11

    최부잣집 마름이 옆동네 손대감한테 하고싶은 말이 있다네요~

    • @solvidkim9155
      @solvidkim9155 2 года назад +4

      지적 사대주의 노땅 멘트 ㅋㅋ

  • @정진하-z5e
    @정진하-z5e 2 года назад +1

    시대가 앞서간다고 함부로 폄훼하는 지식의 건방짐은 삼가 합시다.

  • @vr3lo4kx7h
    @vr3lo4kx7h Год назад +4

    말장난 ㅋㅋ 인공지능이 있는 회사와 없는 회사가 나눠지는것도 맞고 그걸 잘쓰는 회사와 못쓰는 회사도 맞지 뭘 ㅋㅋㅋ

  • @cheesebombjalapeno
    @cheesebombjalapeno 2 года назад

    흠....

  • @dojo3872
    @dojo3872 Год назад

    이 분 안타깝

  • @다해먹네
    @다해먹네 2 года назад +1

    법에 감성이 들어가니 나라꼴이 이 모양아니냐..좌파독재시대..전공분야 밖에 모르는 바보구만..전공은 제대로 아는지도 의심스럽다..

  • @JyTi25YsY26
    @JyTi25YsY26 2 года назад +1

    AI는 어디까지나 앵무새 기술인 것을 깨달아야 주식 사기꾼에게 속지 않습니다. 모든 의미있는 창조기술은 창조의 근본이신 하나님 아버지로부터 온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 @ncy-gv8pl
    @ncy-gv8p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뭣도 모르네

  • @사라하솔래소랠
    @사라하솔래소랠 2 года назад +15

    이호수가 대단한사람인가요 손정의가 대단한사람인가요??

    • @김화수-y2v
      @김화수-y2v 2 года назад +6

      이호수가 누구죠?

    • @mpsofficial9028
      @mpsofficial9028 2 года назад +4

      대단하다는 기준이 뭔가요? 돈을 많이 번 기준? 아니면 AI 현실에 대해 더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 기준?

    • @이남교-z3q
      @이남교-z3q 2 года назад +8

      손정의는 사업가로써 이분보다 대단하고 이분은 손정의보다 기술자로써 더 대단할 것 같네요

    • @ninja69891
      @ninja69891 2 года назад

      그거이 뭐가 중합니까? 손정의가 꼭지에 엄청나게 물린건 확실한데

    • @이영우-m3y
      @이영우-m3y 2 года назад

      운용펀드 수익률 기준 손정의님 평범한 펀드매니저 못하심 요즘은 ㅜㅜ

  • @dongwoolee8904
    @dongwoolee8904 Год назад

    최재홍은 전공도 아닌 사람이 진행을 하니 너무 답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