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차단 관련으로 박사학위까지 받았습니다. 해당 내용에 조금 오류가 있습니다 1. 아보젠존은 미국에서는 많이 사용하지만 미국이외의 국가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2. 아보벤존이 자외선 차단 물질의 대표적인 물질이 아닙니다 오히려 UVB영역까지 그리고 고른 영역을 커버할수 있는 자외선 차단 물질이 많으며 앞선 설명과 같이 이러한 물질들이 최근 자외선 차단제에 많이 적용하는 추세입니다
잘못된 지식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일반인의 생각과 다르게 햇빛이 강한 일조시간에 물을 주면 오히려 식물이 말라죽을 확률이 커집니다. 물을 주는 적정 때는 오히려 햇빛이 약한 시간대입니다. 강한 일조에 식물에 물을 주면 증발이 심해져 탈수가 오히려 심해지기 때문입니다. 대신 영상에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그늘을 만들어주는게 가장 효과적입니다.
@@시공석여름철 일조가 강한 시간에는 식물의 잎에 물이 닿건 안 닿건 물을 주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됩니다. 궁금하시면 해보세요. 제가 이걸 언급힌 이유는 어그로를 끌려는 게 아니라, 이게 일반인이 오해하여 식물을 죽이는 대표적인 사례이기 때문입니다. 남을 비난하기에 앞서 남의 글을 제대로 읽는 것부터 하시는게 어떨지.
식물을 집안에서 키우는 것도 식물학대인게 광합성에 필요한 빛의 양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많고 실내와 바깥의 빛의 양 차이도 심할 정도로 많이 나기 때문... 때문에 동물이든 식물이든 키울려면 그 생물의 특성을 잘 알고 키워야 하는건 똑같음... 야외를 활용할 수 없는 도시인들의 경우에는 키울 수 있는게 엄청 제한적...
예전이라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본 다음. 직접 발라 변화와 결과를 알아보는 정도였겠지만, 과학이 더 발달하면서 괜한 낭비를 막을 수 있군요. 뭐 모든 식물이 다 그럴진 모르겠지만,... 반대로 직접 발라서 식물의 성장을 돕거나 손상된 걸 복구 한다던가 그런 건 있으려나 합니다.
그냥 알루미늄 호일을 잎에 감아놓거나 검은색 물체로 감아놓으면 어떻게 될까 생각하면 알 수 있음... 가시광선을 대거 반사하거나 식물이 흡수하기 전에 감아놓은 물체가 먼저 흡수해버릴 경우 사람 눈으로도 바로 변화가 인식되니... 그러고보면 학교 생물 교과서에도 잎의 일부분만 가시광선이 못오게 막아놔 무늬 만드는 실험이 있었음...
저같은 경우는 광합성 과정에서 어느 파장 영역의 빛이 주로 흡수되는지 몰랐어요. 만약 엽록소가 자외선 영역의 빛을 주로 사용한다면 UV-A 선크림으로 충분히 광합성이 더뎌지지 않을까 궁금했는데요.. 모든 사람이 이런 지식에 정통한게 아닐테고 모르는 사람이 훨씬 많을텐데 이렇게 지식을 전달해주는 유익한 영상의 댓글에서 사람이 궁금증을 가지는 것조차 비판해버리니 참 안타깝네요
이 제목을 어떻게 참아
ㄹㅇㅋㅋ
사람 미치게 만드네 기자 출신인가
ㄹㅇ 못참고 들어옴
날 미치게 하는군
ㅋㅋㅋㅋㅋ
지금까지 신경 안쓴 부분인데
제목만 보고 엄청 궁금해지네요😅
없던 궁금증을 만들고 해소해주는 사물궁이 너무좋아
정말 생각치도 못한 좋은 내용!
3:19
참고로 저런 햇빛이 쨍쨍한 날에 함부로 물주면 물방울이 렌즈역할을 해서 잎이 다 타버릴 수 있으므로
영상처럼 높은 위치에서 주지말고 뿌리에만 주거나 해가지고 주는편이 좋습니다.
물을 준다고먄 했지 물을 끼얹는 식으로 말하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늘을 만들어주는 얘기도 했구요.
@@시공석영상 에니메이션의 고증 오류기는 하죠
@@시공석 그렇긴 하죠 ㅋㅋ
그냥 급발진 한번 해봤어요
와.. 이런걸 궁금해 해서 질문한 질문자에게 박수를.. 👏 👏 👏 👏 👏 👏
윌로우! 박사님 수고가 많으십니다!
안궁금했는데 너무 궁금해!!!
궁금하지 않았지만 궁금증이 해결되었다 ㅋ
결론: 잎의 광합성 효과는 조금 줄어들 수 있으나, 광합성은 가능함.
사물궁이 보기 전: (제목 보고) 오 이런 걸 궁금해할 수도 있구나
보고 난 후: 오 그렇구나!!
아무튼 없던 궁금증도 들게 해서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 모두에 도움을 주는 사물궁이 채널!!😉🤩
1분만이라는 유튜브 채널이 있는데 거기에서 최근 업로드된 꽤 많은 영상과 사물궁이의 옛날 영상이 겹칩니다. 한 번 확인 바랍니다
파장이 다르므로 광합성은 별 상관 없을 것 같고 오히려 기름 성분이 기공을 막아서 물리적으로 방해가 될 것 같은데 이 부분은 설명이 없네요 재밌는 주제입니다!
3:00
ㅋㅋㅋ 전혀 생각해본적도 관심도 없었는데
제목보고나니 결론이 너무 궁금함ㅋㅋㅋㅋ
아!! 생각지도 못한 주제였다. 클릭합니다.
엽록체도 종류가 있구나. 간혹 입이 매끈매끈한 식물이 있는데 왁스층 때문에 그런거군요
이영상을 보니 뱀파이어들이 썬크림을 발라서 대낯에도 활동하는 영화가 생각나네
😂😂무슨영화인가요? 보고싶네요 ㅋㅋㅋ
@@invincible-s7t 넷플릭스 영화인 '데이 시프트' 입니다!
뱀파이어가 자외선 쬐는게 인간이 감마선 쬐는것과 동일하다는 설정?
@@invincible-s7t블레이드 시리즈에서 2부터인가? 그런 내용이 나왔을걸요
피부 타고 피부암 생기기 싫으면 햇빛심한날 까불지 말고 선크림의 불쾌한 느낌 참고 바르고 나갑시다.
테이지 선크림 너무좋아요 꼭써보세요 평생 선크림안바르던 사람 정착시켰습니다
와 재밌네요
이건 진짜 신기한데
그 햇빛이 너무 강할때 물을 주면 잎이 그을립니다..
본격 식물 고문타임
진짜 그냥 넘어 갈수가 없네
3:16 햇빛이[햇비치]
엌ㅋㅋㅋ궁금했던건데ㅋㅋㅋ
식물은 선크림을 무시한다? 광합성 못하게 하려면 그냥 가려주면 되는군요!
1시간전! 사물궁이님 사랑해요~~
신박한 제목이다
이런 아이디어를 생각할수 있는 머리가 부럽다
안물안궁. 그런데 재밌음.😊👍
자외선 차단 관련으로 박사학위까지 받았습니다. 해당 내용에 조금 오류가 있습니다
1. 아보젠존은 미국에서는 많이 사용하지만 미국이외의 국가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2. 아보벤존이 자외선 차단 물질의 대표적인 물질이 아닙니다 오히려 UVB영역까지 그리고 고른 영역을 커버할수 있는 자외선 차단 물질이 많으며 앞선 설명과 같이 이러한 물질들이 최근 자외선 차단제에 많이 적용하는 추세입니다
직접 바르는거 보고싶었는데
그럼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사람의 비타민D 체내 합성에는 문제가 없을까요?
비타민 D의 생합성 경로를 보면 콜레스테롤이 비타민 D가 될 때 UVB가 필요하기 때문에, 선크림을 바른 부분에 한해서는 생합성이 어렵지 않을까 싶어요
비타민D 합성 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자외선 차단제를 잘 바르고 다니셨다면 비타민D 보충제를 드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
제목 보자마자 생각나는 그 짤
'무슨 약을 하셨길래 이런 생각을 하셨나요?'
이런 생각은 누가하는거지..?
제목 보자마자 궁금해지네 ㅋㅋㅋㅋ
잘못된 지식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일반인의 생각과 다르게 햇빛이 강한 일조시간에 물을 주면 오히려 식물이 말라죽을 확률이 커집니다. 물을 주는 적정 때는 오히려 햇빛이 약한 시간대입니다. 강한 일조에 식물에 물을 주면 증발이 심해져 탈수가 오히려 심해지기 때문입니다. 대신 영상에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그늘을 만들어주는게 가장 효과적입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참조할만한 근거가 있을까요??
+ 토마토나 오이 수박처럼 여름에 많이 나오는 여름작물들은 광포화도가 높아서 일조량이 많아도 광합성을 잘하기 때문에 관계가 없지만, 상추나 딸기처럼 봄가을에 많이 나오는 작물들은 광포화도가 낮아서 여름 한낮에 물 주는순간 탈수작용으로 며칠동안 몸살합니다.
그 타는 현상은 일반적으로 물이 식물의 몸에 닿아야 햐는데 영상에서는 그늘을 만들어주거나 물을 준다고만 했을 뿐, 물을 식물의 몸에 끼얹어준다고는 하지 않았는데 "잘못된 지식"으로 치부하는건 좀 앞서냐간게 아닌가 합니다. 어그로도 많이 끌리고요.
@@시공석국평오
@@시공석여름철 일조가 강한 시간에는 식물의 잎에 물이 닿건 안 닿건 물을 주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됩니다. 궁금하시면 해보세요.
제가 이걸 언급힌 이유는 어그로를 끌려는 게 아니라, 이게 일반인이 오해하여 식물을 죽이는 대표적인 사례이기 때문입니다. 남을 비난하기에 앞서 남의 글을 제대로 읽는 것부터 하시는게 어떨지.
다이어트 방법좀!
벌레잡이 식물들도 광합성을 하나요?
잘 연구하면 제초제로도 쓸 수 있으려나
호오...... 그럼 식물에 기름을 뿌리면 이파리의 왁스성분을 녹여서 공격을.....
🤔 🧐
식물을 집안에서 키우는 것도 식물학대인게 광합성에 필요한 빛의 양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많고 실내와 바깥의 빛의 양 차이도 심할 정도로 많이 나기 때문... 때문에 동물이든 식물이든 키울려면 그 생물의 특성을 잘 알고 키워야 하는건 똑같음... 야외를 활용할 수 없는 도시인들의 경우에는 키울 수 있는게 엄청 제한적...
그러면 잔디 깎으면 식물 학살임...?
이런 기발한 궁금증은 누가 생각해내는 거죸ㅋㅋ
자 이제 이론이 아닌 실험으로 보여주세요
주제 추천:선인장은 왜 가시가 있을까?
잎의 수분 증발을 막기위해 잎이 가시로 진화한거임.
유기자차 무기자차 차이가 있어서 무기자차는 입자로 반사판을 만드는 원리로 효과가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파장때문에 그냥 식물엔 필요가없군요 ㅋㅋㅋㅋ
실제로 바른것도 결과가 궁금하네요
그러게, 어떻게 되지?
하고 들어왔다
내시는 정말로 거기를 자를까 보고 왔더니 마지막에 꽃이 왜 거기 같지...
궁금증은 해결됐는데, 빛이 빛을을, 비치 비츨이라고 안 하시고, 비시 비슬이라고 하는 게 궁금합니다. 다뤄 주세요.
연음법칙때문에 비치 비츨이 맞는데요…
솢간이 미안해....
로켓쏠때 실수로 인공위성맞추면 어케되용?
와 이번 주제는 진짜 한 번도 궁금해본적 없고
제목보고도 그렇게까지 궁금하진 않은 내용이었음
a^(-b)=1/a^b 가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물음표-QM a^(-b)=a^(0-b)=a⁰÷a^b=1÷a^b=1/a^b
평소 영상뜨면 걍 볼까말까 였는데 이건 못참았다
도대체 누구생각이냐ㅋㅋㅋㅋㅋ
나 엽록소인데 햇빛 너무 쨍쨍하면 선크림 바른다
예전이라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본 다음. 직접 발라 변화와 결과를 알아보는 정도였겠지만, 과학이 더 발달하면서 괜한 낭비를 막을 수 있군요. 뭐 모든 식물이 다 그럴진 모르겠지만,...
반대로 직접 발라서 식물의 성장을 돕거나 손상된 걸 복구 한다던가 그런 건 있으려나 합니다.
그러면 그 파장을 차단하는 썬크림을 만들어서 식물에 바르면 식물은 광합성을 못하고 죽게 되려나
그냥 알루미늄 호일을 잎에 감아놓거나 검은색 물체로 감아놓으면 어떻게 될까 생각하면 알 수 있음... 가시광선을 대거 반사하거나 식물이 흡수하기 전에 감아놓은 물체가 먼저 흡수해버릴 경우 사람 눈으로도 바로 변화가 인식되니... 그러고보면 학교 생물 교과서에도 잎의 일부분만 가시광선이 못오게 막아놔 무늬 만드는 실험이 있었음...
굳이 식물에 선크림 바를 필요가 있을까
요즘 신호등 스피커 옆에 지나갈 때 음성 갑자기 에어팟에서 나오는 거 왜그런지ㅠㅠㅠㅠㅠ 고막에문제생길뻔한적이 한두번이아니여 고쳐줄가능성이잇을까요
ㅋㅋ 신박하네.
2:00 보이면 정상임?
검은화면이 정상
ㅋㅋ 이건 좀 신박하네
이건 또 뭔 신박한 주제인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근데 ㄹㅇ 갑자기 궁금해지네.
제목은 누가 선정하는지 알려주새요 ㅋㅋㅋ 어그로 만랩 캬 ㅋㅋ
2024년 5월 12일 일요일 오전 5시 29분
진짜 창의적인 악동들 많네 ㅋㅋㅋㅋ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지?
광기에 혀를 내두른다 ㅋ
오늘 ㄹㅇ 잡학지식이네 ㅋㅋㅋㅋㅋ
글쎄... 광합성을 무슨파장으로 하느냐가 중요할거같은데......
이그노벨상 가나ㅋㅋㅋㅋㅋ
아니요
반대로 태닝 오일을바르면광합성이 더잘될까요?
오늘도 사탄은 직장을 잃었습니다.
선크림중에 화학적 작용으로 멜라닌색소를 못만들게 만드는 선크림이 있다고 들었는데, 그냥 물리적 작용을 하는 선크림만을 전제로 설명하신 걸까요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발생하는 멜라닌 생성을 막기 위해 피부 위에 반사층을 만드느냐, 반사층 대신 흡수층을 만들어 열로 변환 배출하느냐의 차이지, 화학 성분이 인체에 침투해서 신경물질처럼 작용하는 게 아닙니다.
도대체 이런생각을 왜 하는거야..
결론: 뻘짓이다.
ㅈ간 또 당신입니까…
뭘 바바라? 3:30
제목 싼다
오잉2빠
어라 ㅋㅋ
🟥👉 팩트 👈🟥
선크림은 자외선 차단제지
햇빛 차단제가 아님
이런 의문을 느낀다는게....ㅋㅋㅋㅋ
근데 그걸 알아도 일반인들은 광합성에 필요한 파장이 몇인지 모를텐데 의미가 있나. 운이 좋아서 자외선이 아닐 뿐인건데
저같은 경우는 광합성 과정에서 어느 파장 영역의 빛이 주로 흡수되는지 몰랐어요. 만약 엽록소가 자외선 영역의 빛을 주로 사용한다면 UV-A 선크림으로 충분히 광합성이 더뎌지지 않을까 궁금했는데요.. 모든 사람이 이런 지식에 정통한게 아닐테고 모르는 사람이 훨씬 많을텐데 이렇게 지식을 전달해주는 유익한 영상의 댓글에서 사람이 궁금증을 가지는 것조차 비판해버리니 참 안타깝네요
@@dduzy 저 사람이 이상한 거 맞지. 애초에 식물 키우는 거 좋아해서 led 전구 알아본 게 아니라면 모르는 게 보통인 지식인데. 아마 저분은 자외선이 뭔지 모르는듯? 자외선도 햇빛의 일부인데
팩트 : 팩트 ㅇㅈㄹ하는 애들 진자 팩트가 뭔지 모름.
햇빛으로 살아가는 식물이 있는데 머리에 뿔 달린 말이 없다고?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하는거에요? 마는거에요?
영상도 안볼거면 덧글 왜 쓰는거지
영상을 쳐 보고 댓글을 쳐 다세요 핑프새끼야
@@youtube_ksb 숏츠가 아니라서요
요즘 사람들은 숏츠에 절여져서 10초점으면 안본답니다~
@@dondegirigiri광합성 못한다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