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소각시설 곳곳 포화인데…그냥 놀리는 민간 소각장만 180만 톤 [MBN 뉴스센터]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 앵커멘트 】
    2026년부턴 수도권 매립지에 생활폐기물을 땅에다 묻는 직매립이 금지되면서 지자체마다 소각장 확충에 비상이 걸렸는데요.
    그런데 주민들은 왜 하필 우리 동네냐 하며 반발이 거센 상황이어서 대비가 지지부진한데요.
    대안은 없는 걸까요?
    최돈희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수도권에서 나오는 생활폐기물을 바로 매립하는 인천 서구에 위치한 수도권 매립지입니다.
    3년 뒤부턴 타고 남은 재나 타지 않는 잔재물만 묻을 수 있고 직매립이 금지됩니다.
    매립지 사용 연장은 사실상 불가능해 소각시설을 추가 확보해야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마포 소각장 신규 설치를 증설로 호도하는 오세훈은 반성하라, 반성하라"
    서울시가 마포에 하루 1,000톤의 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는 시설을 추가로 짓기로 했는데 주민 반발이 만만치 않습니다.
    ▶ 인터뷰(☎) : 변행철 / 마포 소각장 백지화투쟁본부 위원장
    "서울시는 초지일관 건설하겠다는 거고 우리 주민들은 초지일관 반대한다는 거고 이걸 중지시킬 수 있는 건 사법부의 판단을 받아보는…"
    소각시설 확충을 둘러싼 갈등은 화성과 수원, 천안 등 전국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민간 소각시설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민간 폐기물 전문 처리업체로 트럭들이 줄지어 들어갑니다.
    ▶ 스탠딩 : 최돈희 / 기자
    "이곳에선 전체 처리용량의 70%가 사업장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데 추가로 10~15%는 생활폐기물로 처리되고 있습니다."
    일주일에 250톤 정도가 처리되는데 자치단체는 소각 시설 증설 부담을 덜고, 업체는 시설 가동률을 늘릴 수 있어 일석이조입니다.
    ▶ 인터뷰 : 민간 폐기물 처리업체 관계자
    "(산업폐기물은) 계약 상황에 따라 들쑥날쑥한 부분이 있는데 생활폐기물은 지자체에서 배출하는 만큼 반입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적인 물량을…"
    실제로 전국엔 민간 소각시설 75곳의 처리 가능 용량은 390만 톤, 이 중 210만 톤만 가동하고 있습니다.
    180만 톤을 더 처리할 수 있는 셈인데, 공공 소각시설에서 하루 500만 톤이 처리되는 걸 감안하면 적지 않은 양입니다.
    ▶ 인터뷰 : 김상배 / 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 부회장
    "정부의 민간 소각시설 활용 방침이 만약에 정해진다면 민간 소각시설 업계는 바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생활폐기물 직매립을 금지하는 폐기물관리법을 공표한 2021년 이후 환경부는 관련 업계와 한 차례 논의를 한 것 외엔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MBN뉴스 최돈희입니다.
    [choi.donhee@mbn.co.kr]
    영상취재 : 김현석 기자
    영상편집 : 이유진
    그래픽 : 이새봄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goo.gl/6ZsJGT
    📢 MBN 유튜브 커뮤니티 www.youtube.co...
    MBN 페이스북 / mbntv
    MBN 인스타그램 / mbn_news

Комментарии • 6

  • @솔사랑-r8p
    @솔사랑-r8p 2 года назад

    기 승 전 민영화...

  • @yj-ii9bd
    @yj-ii9bd 3 месяца назад

    민간이랑 시멘트업계에 넘기는 게 답이다.

  • @alaalba2
    @alaalba2 2 года назад

    ?? 민영화 하자는건가? ㅋㅋㅋ 또또 민영화 얘기야?

  • @okb2283
    @okb2283 2 года назад

    매립지 종료
    2025년 반드시
    가즈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