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싸고 위험한 가정용 LP가스…그럼에도 못 바꾸는 이유는? / SBS 8뉴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앵커〉
    도시가스 공급이 안 돼서 LP가스를 사용하는 가구가 여전히 많습니다. 가격도 비싸고 위험성도 크지만, 도시가스를 끌어오기에는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해법은 없는지 안희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춘천에 사는 75살 오공신 할머니는 수십 년째 LP가스로 요리를 합니다.
    한 통에 4만 4천 원 정도 하는데 아무리 아껴 써도 1년에 드는 돈만 수십만 원.
    [오공신/우두동 주민 : 약하게 아껴 쓰느라고 이렇게 쓰죠. (손으로 그걸 일일이 다….) 네, 손으로 해야 해요.]
    건너편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며 도시가스를 쓸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컸지만 1년 가까이 별 진척이 없습니다.
    가스 배관을 끌어오려면 사유지를 지나야 하는데, 소유주 동의를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입니다.
    [오공신/우두동 주민 : 돌아다니시면서 서명도 하고 그랬거든요. 갑작스레 안 된다고 그러니까….]
    LPG는 도시가스보다 2배 넘게 비싼 데다, 각종 사고로 인한 사상자 수도 지난해 세 배 많았습니다.
    그런데도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곳은 총 372만 세대, 전체 15%나 됩니다.
    특히 강원도가 보급률이 55.4%에 그치는 등 지방 대부분이 수도권보다 현저히 낮았습니다.
    공용 도로임에도 땅 주인이 배관 설치를 허락하지 않는 건 부지기수, 120명 넘는 소유권자에게 일일이 승낙서를 못 받아서 무산되는 등 이유도 다양합니다.
    [김세연/부산시 남구 (도시가스 미공급 세대) : (땅 주인이) 죽은 사람도 있고 어떤 사람은 자식한테 넘겨줬는데 자식들이 외국 나가버리고 연락도 안 되고….]
    시도지사에 배관 설치 허가권을 주는 법 개정안이 지난해 발의됐고 산업부도 필요성을 인정했지만,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유재산에 대한 기본권을 제한한다는 이유입니다.
    [박수영/국민의힘 의원 : 도시가스라고 하는 깨끗하고 싼 에너지를 사용하지 못해서 오히려 역차별을 받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편익이 훨씬 크다면 충분히 법률에 의해서 유보할 수 있는 것이 기본권인데….]
    땅 소유권자와의 소송이 벌어질 수 있는 데다, 시도지사에게 과도하게 권한이 집중된다는 우려도 있는 만큼 개정안 통과를 두고 치열한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김학모·이용한, 영상편집 : 김종미)
    ☞더 자세한 정보
    news.sbs.co.kr...
    #SBS뉴스 #8뉴스 #도시가스 #LP가스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yo... , 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n.sbs.co.kr/in...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pf.kakao.com/_...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
    카카오톡: pf.kakao.com/_...
    인스타그램: / sbsnews

Комментарии • 139

  • @문정국-k5k
    @문정국-k5k Год назад

    돌아가면되죠 왜 직진해서 땅주인생각해쥬야한다
    자기땅도 아닌데 길을 내고 그런 사람들법으로
    다스려야한다

  • @jcl2448
    @jcl2448 Год назад

    미국처럼 마을단지 계획을하고 집을 졌어야지. 집먼저 짓고 하수구, 가스 넣을려면 그게 되냐? 집나가면 바로 도로...건평 늘리느라 인도도 안지음....거지나라

  • @robocop543
    @robocop543 Год назад

    상임위문턱을 넘지못하고있다? 이러면 국회의원이 왜 필요한거지?

  • @니가가라하와이-z4y
    @니가가라하와이-z4y Год назад

    그래도 사유지는 보호되어야한다
    공공의 이익도 중요하지만
    공산당과 다른점이다

  • @rldjrthr-apffhel96
    @rldjrthr-apffhel96 Год назад

    그많은세금을 정치인들이 도둑질만 하고 자빠졌으니. 이좁아터진 나라하나 통치도 못하냐?

  • @TheJinMinHo
    @TheJinMinHo Год назад +59

    경기도 광주에 어느 마을 입구에 보니 '경축 도시가스 진입'이라고 크게 현수막을 붙어 놓은 걸 보고 시골은 가스관 설치하는게 그만큼 힘들다는 걸 알게 되었음.

    • @대한민국-m8w
      @대한민국-m8w Год назад +4

      사측 입장에선 인프라 구축이 돈이 제일 많이 들면서도 이익은 없다시피하니 잘 안하려고 하죠.소수의 주민만 사는 동네에 저 멀리서 가스 끌어다가 제공하려면 가스관 매립이 큰 관건인데,매립해오는 과정에서 사유지 국유지 허가를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공비 등등..이게 쉽지가 않죠.그러니 해당 마을에선 당연히 경축 플랜 카드가 내걸릴 수밖에요.

    • @아이바네즈-m2j
      @아이바네즈-m2j Год назад +3

      인천에 연안부두만 해도 KTX GTX들어온거 아니라 노선버스 하나 정류장 하나만 생겨도 현수막 붙입니다 인천도 외진곳은 거의 시골수준이에요

    • @999space6
      @999space6 Год назад +3

      기존 도시가스 들어오는곳 있어도 일이백미터 떨어져있어도 부담하는 금액이 높아서 들어오기 힘들죠

    • @대한민국-m8w
      @대한민국-m8w Год назад +1

      @@999space6 맞습니다.직선으로 깔아도 비용이 드는데,사유지나 혹은 건물 피해 배관 돌려 까는게 비용 면에서도 엄청나게 큰 차이가 생기거든요.직선 10미터면 될 것을 건물,사유지 돌아서 50미터 돌려 깔면 5배 시공비 들어가니..그것보다 과정에서 법적인 문제 등등까지 해결하려면 10만원 들거 5배인 50만원이 아닌 법 해결 비용까지 포함한 200만원이 들 수도 있고요.

    • @장대-g9d
      @장대-g9d Год назад +5

      식당 짓는데 도로에서 길어야 50여미터 끌고 오는데 8천만원 부르던데 걍 lpg 쓰기로 했어요

  • @111go
    @111go Год назад

    말도안되는 뉴스네 개인사유재산을 무단으로 사용해야한다는 뉴스인데 말이안되지 지들땅밑으로 가스관을 허가없이 설치한다고하면 허락할놈이 어디있나

  • @꼬마텐시
    @꼬마텐시 Год назад

    기본권이 중요한건 알겟는데 그렇다고해서 사유지를 강제로 침탈하는건 아니죠.
    그땅주인이 나중에 건물을 올릴수도 있는거고 지하를 팔수도 있는건데 땅주인합의없이 다른사람을 위해 희생해라 하는건 아닌듯.
    그리고 lpg를 꼭쓸 이유도 없습니다. 요새는 전기로 난방도하고 요리도 하는데 도시가스 못드러온다고 lpg가 절대적인 해법은 아니죠.
    그거 떄문에 도시가스 배관을 사유지까지 침해해서 기본권을 지켜야 한다기엔 기본권을 지킬 다른방법이 존재하는데
    너무 억지입니다.
    물론 도시가스 배관이 들어오는게 모가 어찌됏든 좋은건 맞습니다. 다만 그방법을 토지구매같은 방법과 병행해야지 사유지에 무단공사로 이어지는건 좀 아닌거같습니다.

  • @운명은선택
    @운명은선택 Год назад +2

    도시가스관 지나는 도로에 붙은 집인데 도시가스 연결하려면 2천 달라더라 장난하냐

  • @muse1129
    @muse1129 Год назад

    반대로 내땅에 지나간다고 하면 안해줄꺼면서

  • @h.s.k9723
    @h.s.k9723 Год назад +1

    아니 슈밤바같은 ㅋㅋㅋㅋ 배관이 지하로 가는데 뭔 재산권 침해여 연락 안되면 시도지사 권한으로 그냥 공사진행해

  • @찬율-z3n
    @찬율-z3n Год назад +1

    서울시내에도 많은데요 뭘

  • @mekopark3201
    @mekopark3201 Год назад

    아니 편익이고 자시고 애초에 도로를 매입하던가 건물 지을때 기부를 받던가 해야지 넘에 땅에 공구리만 치고 도로요 거려놓고 이제와서 공공 ㅋㅋㅋㅋ 어차피 반백년 써오던 lpg 인제 이제와서 문제삼는것도 그래.

  • @正月초하루
    @正月초하루 Год назад

    야~~ 그동네는 가스값도 싸네!!!! 대구는 55.000원 인데

  • @My_Style17
    @My_Style17 Год назад

    전기렌지로 바꿔라

  • @hanaj2787
    @hanaj2787 Год назад

    우리동네는 5만5천원인데

  • @꽃님이-p7j
    @꽃님이-p7j Год назад

    전기렌지쓰세요

  • @자유로운영혼-q4x
    @자유로운영혼-q4x Год назад

    정부에서 땅 매입후 설치 !!! 개꿀...

  • @Jin-sm9ng
    @Jin-sm9ng Год назад

    ?엘피지가 더 싼데 뭐지? 취사용으로만 4~7만원으로 1년 사는데

    • @GRS9123
      @GRS912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적게쓰면 상관없는데 많이 쓰면 싼게 좋죠. 규모의 경제입니다. 대출이자 생각하면되요. 단기간에 적은돈은 이자50퍼 300퍼도 낼수 있지만 긴시간동안 큰금액을 빌리면 3프로냐 5프로냐에도 엄청난 차이가 발생하죠

  • @gunglow
    @gunglow Год назад +26

    저런땅은 정부에서 사들여서 해야지
    누가 자기땅에 가스배관 박게 하냐 박는순간 나중에 자기땅에 건물도 못올리고 아무것도 못하는데

  • @UC6w8
    @UC6w8 Год назад +1

    근데 시골마을 노인네들 이제 감소하고있는데 큰돈 깨지면서까지 할필요가 있나?

  • @rich-son1
    @rich-son1 Год назад

    법좀 바꿔라 십장생들

  • @별빛하늘-y5l
    @별빛하늘-y5l Год назад

    엘피가스 엄청나게 비쌈.

  • @iilliiii
    @iilliiii Год назад

    인덕션이.....

  • @준희이-i6e
    @준희이-i6e Год назад

    뒤쪽으로 연결 불가능 ??

  • @cleandust530
    @cleandust530 Год назад +81

    저건 개인재산권 침해지. 상당한 보상을 해주던가 해야지. 누가 자기땅 밑으로 배관지나가는걸 그냥 좋다고 하겠나. 두고두고 땅사용할때 걸림돌 될텐데

    • @라테-d6l
      @라테-d6l Год назад +1

      ㄹㅇ ㅋㅋ

    • @고정도
      @고정도 Год назад

      틀린건아닌데 뭐 예시들중에 아예 연락이 안되는 부류들도있으니까 그런부류정도는 묵시적 동의로 간주하고 진행하는것도 어떨가싶음
      대신 추후에라도 연락이오면 그에대한 뭐 보상같은거라도 해주는식으로
      뭐 그땅을가지고 건물을짓거나 농사를 짓거나 해야되는경우라면 뭐 어쩔수없이 철거를하거나 해야겠지만
      그리고 상당한 보상이라는게 뭐 얼마나말하는지는 모르겠음 근데 저 가스공급이 저런 도로밑에 깔아서 몇가구공급해봐야 1년통틀어도 매출 천만원도 안될거고
      우리나라는 공기업이 가스나 전기를 공급하기때문에 상당히 싸게공급하는거라 실제이익분도 낮을거고
      상당한 보상을 하기는 힘들지않을까싶음

    • @joovali
      @joovali Год назад

      @@고정도 공기업 한국도가스가이 유통업체에 팜
      우리동네도 그 유통업체 충청가스가 공급함

  • @호잇-t8h
    @호잇-t8h Год назад

    개인 사유재산이 중요하지. 그래서 맹지도 똥값이잖아

  • @보석십자수수재샵김천
    @보석십자수수재샵김천 Год назад +1

    상가건물에 도시가스가 있는데도 몇군데는 LPG가스 사용하더군요 설치비가 너무비싸서 안하다고 하더군요 설치비도 제각각이고 이런거왜이렇게 비싼지 취재좀했으면합니다

  • @elly9368
    @elly9368 Год назад +2

    가스한통 1년 넘게 써서 비싸다는 생각을 못했네

  • @nq5254
    @nq5254 Год назад +10

    기부가 아니라 지자체가 지자체 소유지로 절차를 밟아 수용하는게 맞죠.말만 기부지 그게 기부입니까? 당신 재산부터 기부나 해보슈~

  • @hui475
    @hui475 Год назад

    근데 본인 개인소유 땅인데...그걸 공용길로 써주는것도 별로 일텐데 거기다 땅속에 이것저것 설치하면 그거 땅만 자기 소유지..마을 재산일듯...

  • @mskim355
    @mskim355 Год назад

    앵커 멘트랑 뉴스는 딴소리 메들리네요.
    꼴랑 저기인데 꼭 전체 엘피 사용하시는 분들
    얘기인줄...또 해법을 제시 하는줄..,

  • @x264720p
    @x264720p Год назад

    쓰고 싶어 쓰는게 아니라 안들어 오니 못쓰는거지.

  • @jejulife88
    @jejulife88 Год назад +3

    제주도는 거의전부 lpg임 언제나 도시가스들어올지.... 예전부터 가스 보일러는3-40 기본

    • @절식남-g1w
      @절식남-g1w Год назад

      들어오긴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그건 한전에 연결하려는 공사중이고오.
      또 제주시 신제주권 중에 일부에는 들어왔다고 알고 있습니다

  • @김용석-c6e
    @김용석-c6e Год назад

    도시 가스.공사나 해주고 이런.뉴스 쓰지

  • @독도강치
    @독도강치 Год назад

    가스 배관은 도로를 따라 배관 만들어야지 남의 땅을 임의로 쓰면 안됨 땅주가 개인적으로 쓸때는 문제가 심각해지거든..
    가스공사 에서도 일반 가정집에 가스배관 설치하는거 싫어함.. 왜 수익이 너무 적어서 그렇다고 하더군
    배관 하나 들어가면 수백가구가 연결되는 아파트와 농어촌 이나 좀 멀리 떨어진 집 때문에 모든 길을 파고 집집마다 연결할려니
    시간과 돈이 많이 들거든..

  • @하루한끼-d9t
    @하루한끼-d9t Год назад +12

    집앞에 바로 지나가도 배관에서 집으로 연결하려면 최소 5-600만원임.

  • @chan2gim
    @chan2gim Год назад +1

    배관지나가는데 사유지 낀사람들 자기 동의필요하다는거알고 마을주민들한태 동의해주는 조건으로 한몫 두둑하게 챙김 ㅋㅋㅋㅋㅋ

  • @ioiolove602
    @ioiolove602 Год назад

    이번에 도시가스올라서 죽는다고 앓는소리하던데 시골운 기름보일러때고 LPG쓰는데 지원1도 없음 노인들이 아껴가며 쓰는방법밖엔..도시까스라도들어오면 좀 나아질텐데..대한민국은 서울수도권으로 돌아가는 나란데 머 신경쓰겠나

  • @다시는-d3y
    @다시는-d3y Год назад

    LP까스업자도. 먹고살자.쫌..내 시골집도 안들어온다^^

  • @antenna..
    @antenna.. Год назад +28

    내 고향도 시골인데 ㅠㅠㅠㅠ 싼 도시가스 들어오면 좋겠어.. 가스는 가스대로 기름 보일러는 시름 보일러대로 나이드신 아버지에겐 큰 부담

    • @JJ-jj4ms
      @JJ-jj4ms Год назад +2

      이번에 시골 내려갔는데 기름 보일러 쓰고 가스 떼는거 보고 깜놀;;

  • @Myung98
    @Myung98 Год назад

    다 서울로 와라 서울은 산 꼭대기에도 도시가스 들어온다 !!!

  • @명풍청월
    @명풍청월 Год назад

    기본권 침해하는 재산권은 쳐내야지

  • @손미스터
    @손미스터 Год назад

    마을마다
    하나씩 탱크설치하고
    공동구매합시다
    정부에서 지원하라

  • @jwp-eb7jv
    @jwp-eb7jv Год назад +2

    국힘당 의원이 나와서 인터뷰 한 거 보면 반대하는 측은 민주당인가 보네

  • @ksc3276
    @ksc3276 Год назад +5

    시골 겨울 난방비 수도권에 비해 몇배 듭니다....귀농하신 분들 또한 겨울 난방비에 놀라 도시로 다시 가시는 분이 있을 정도니까요 시골농사 짖고 사는 분들 좀더 저렴한 도시가스가 빠른시간 내에 전국에 설치 되기를 희망합니다.

    • @황제라그래
      @황제라그래 Год назад

      시골까지 도시가스관을 어떻해 매설???

  • @팝콘-p3y
    @팝콘-p3y Год назад +1

    진태 양난

  • @maddogtom8203
    @maddogtom8203 Год назад +5

    지방중에 촌에 살면 도시보다 돈 많이드는게 , 가스비용, 교통비.

  • @개미개미-v6m
    @개미개미-v6m Год назад

    사유지로 가스관 지나가면
    땅값을 줘야지.
    가스관 지나가는 땅에. 집 건축 할수있냐?
    가스관. 전기관. 지나가는 땅
    땅값이 1/10~1/20폭낙해
    뉴스. 똑바로 하자

  • @임용덕-z1c
    @임용덕-z1c Год назад

    lpg가스 화력이좋아서 음식맛이 좋아요

  • @알밤똘똘이아빠
    @알밤똘똘이아빠 Год назад

    기본권도 공공복리를 위해서는 제한될 수 있는게 당연할텐데 국회 문턱을 못넘는다는 걸 보니 또 국회의원들 직무유기하거나 로비에 의해 뇌물성 방임하고 있구만!

  • @박희선-j4s
    @박희선-j4s Год назад

    제 부모님도 그래서 태양광으로 바꾸고 전부 인덕션과 전기보일러로 돌렸어요. 솔직히 말하면 대충 80프로 절약됩니다. 뭐 시공비용 생각하면 3년은 더 써야지만 당장 비교하면 엄청 줄어듭니다.

  • @김경숙-w5k
    @김경숙-w5k Год назад

    ,무슨 45000...우리 동네는 55000인데..

  • @mkikir
    @mkikir Год назад

    도심지역 주택가라도 주택앞 골목길 50~100m 밖에 안되는데도 땅주인 따로 있어서 그쪽에서 돈 많이 요구해서 무산된 경우도 있어요;; 집 바로앞 수십년간 보도블럭 깔린 골목길이어서 그전엔 주인 따로있는지도 몰랐는데 듣기론 첨에 주변 집들 지을때 땅에 집지어서 팔고 골목길만 남겨 가지고 있던걸 자식이 상속 받아 그렇다더군요;; 일반 사유지도 아니고 이미 땅속에 수도배관이니 다 묻혀있을텐데도 갑질하니 방법없다 그래서 여러번 무산되고 흐지부지됨.

  • @capiain3
    @capiain3 Год назад +5

    5만3천원 줬는데 1만원 더 싸네 저기는

  • @귤놀이
    @귤놀이 Год назад +1

    도시가스 들어와도 설치비 가구당 수백나가는데 그돈 아까워서 안하는 집도 많어. 울 시골집도 동네에 한다는 사람들 없어서 배관 안들어온다는거 울집까지 겨우 끌고왔어

  • @네오범버맨
    @네오범버맨 Год назад

    도시가스는 도시에만 공급되는게 도시가스임.

  • @6k2euq
    @6k2euq Год назад

    사유지를 허락없이 마구 파면 안되죠.

  • @GomTorii
    @GomTorii Год назад

    저정도면 인덕션이 훨씬 싸지 않나??

    • @mkikir
      @mkikir Год назад

      LPG가스 자체야 가스렌지만 사용하긴 하지만, lpg 사용하는 집들은 보통 보일러도 석유보일러 떼기 때문에 그문제가 더 크다고 보시면 됩니다. 난방비 차이가 어마무시 하죠.

  • @담양죽창
    @담양죽창 Год назад

    땅밑 배관 들어온다고 끝이아님 그거 각 집으로 배관연결하는것도 돈 상당히듬

  • @김빵실-e6d
    @김빵실-e6d Год назад +1

    안타깝지만 남에땅에 뭔짓거리하면 누가 좋아하겠냐 개인제산권침해하면 곤란하긴하지

  • @김동현-m3r
    @김동현-m3r Год назад

    시장경제상....

  • @__TRC__
    @__TRC__ Год назад

    앞으로도 기대도 안됨. 저출산과 수도권으로 인구가 모여서 인프라 확장하기 사실상 힘듦

  • @개풀뜯어먹는소리-j4g
    @개풀뜯어먹는소리-j4g Год назад +1

    수도관 100M 끌어 오는데 총 건축비 5% 지급했다
    날 강도들
    기존 사용자에게 수도관 연결 허락 받는 것이 문제이다
    방관하는 공무원들 짤라야 한다

  • @junghum6642
    @junghum6642 Год назад +2

    그건 둘째치고 도로로 땡겨올려면
    공사비 자체가 엄청비쌈

  • @용원김-b5i
    @용원김-b5i Год назад

    시골에는 도시가스 공급이 안되지요
    우리나라 시골 실정을 좀 알아야할텐데
    배부른 자들이 어찌 다 헤아리겠소..

  • @topsigi
    @topsigi Год назад +15

    도시가스 난방비가 10만원 나온나고 치면 LP가스는 50만원정도 나옴

  • @HG.P282
    @HG.P282 Год назад

    명지에 집.. 사유지 노!

  • @재명이네학교
    @재명이네학교 Год назад

    요리는 해야지

  • @RYU-ri4wh
    @RYU-ri4wh Год назад +6

    우리집도 통 까스 쓰는대 ㅋㅋㅋㅋㅋ

  • @박영철-z3p
    @박영철-z3p Год назад

    같은 건물인데도 도시가스 안들어온 곳에 2~3미터새관로 설치해서 신규로 쓰려해도 금액이 부르는게 값인 현실도 있습니다.
    설치업체 면허라는 이유로 그들이 말하는 면허세, 관행이라는 이유로 실 공사비의 몇배를 청구합니다.
    도시가스, 전기 승압 이런 면허관행 없애야 합니다.
    정확한 법적 근거와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실공사비는 언제나 나올까요?

  • @빵호-t6x
    @빵호-t6x Год назад

    엘피지나도시가스나 가스비별차이없다

  • @Armagit
    @Armagit Год назад

    땅주 이전에 예산도 안 나오는 곳도 수두룩한게 현실
    지방 인구 줄어드니 투자비도 적어지는거죠 머

  • @훈남-e8f
    @훈남-e8f Год назад

    아파드로이사가라

  • @솜사탕-z3t
    @솜사탕-z3t Год назад +1

    4.4만이면 싼 편이네 5만 원 넘은 지 한참 됐지

  • @winner247
    @winner247 Год назад +2

    서귀포쪽은 도시가스 거의 없지 않나

  • @pad3996
    @pad3996 Год назад +1

    도로로 사용되는 사유지를 국가에서 산후 공사해야지

  • @알리송-n7b
    @알리송-n7b Год назад

    저런곳은 재개발안하는이상 계속 저렇게 살아야지 별수있나

  • @양회송-r7l
    @양회송-r7l Год назад +5

    기자 말하는것 보소 무슨 엘피가스 조리용으로 사용 하는데 수십만원이냐??? 방송 잘해라

  • @하와이니가가라-o1v
    @하와이니가가라-o1v Год назад

    포천만가도 안들어오는곳도 많은데모 ㅋㅋ

  • @박동훈-h2x
    @박동훈-h2x Год назад

    1년에 수십만원이라.. 딱히 잘 산다고는 느껴지지 않는 내 주변만 해도 다들 하루에 밥값만 20만원이 넘는데..

  • @가리봉-q6v
    @가리봉-q6v Год назад

    시골도로를 국가에서 다매입을해야함. 시골길참복잡함

  • @Use-fgtdsyuhgfd87
    @Use-fgtdsyuhgfd87 Год назад +6

    치열하긴 그냥 이핑계 저핑계… 그러면서 놀고 있는거지… 시도지사에게 권한이 집중된다는 것도 문제 삼는것이고…

  • @HG.P282
    @HG.P282 Год назад

    위험? 존까는 소리

  • @성윤식-l4i
    @성윤식-l4i Год назад

    한통이면 삼개월 쓰는데

  • @슬픈인생-y9w
    @슬픈인생-y9w Год назад

    참 재미있다. 사유재산 뭐뭐하면 사기꾼공범로 의심되는 사람한테 확인도 안하고 동의도 없이 개인정보 가르쳐주고 개인간 돈거래를 개인회생것 무슨권리로 해주는것지?

  • @hmcho7658
    @hmcho7658 Год назад +3

    저런곳은 도시가스가 못들어오면 도시가스가격 받고 들여줘야한다 세금이 이런식으로 쓰여야하지않을까싶다

  • @Rudolph123
    @Rudolph123 Год назад

    도시가스 난방비 폭탄 아니였나요?

  • @byebyebye514
    @byebyebye514 Год назад +2

    나라의 부가 이래서 중요한 것
    가난하면 추위를 피하기 위해서 위험하더라도 쓸수 밖에없고
    국가의 부가 쌓이면 큰 어려움 없이도 난방이나 식료품 지원정도는 할 수 있는거지
    당연한 얘기를 중국 북한 간첩들 때문에 구구절절 설명해야 하는 현실

  • @무진장촌넘
    @무진장촌넘 Год назад

    이야 싸다 4만4천 우리 5만인데

  • @kyush8940
    @kyush8940 Год назад +2

    도시가스가 싸다고 느껴지지가 않는게 현실.

    • @999space6
      @999space6 Год назад

      엘피지나 등유 난방해보면 도시가스가 헐값이란걸 알듯요

    • @kyush8940
      @kyush8940 Год назад +1

      @@999space6 25평 25도 해놨는데 46만원 나왔는데 헐값은 아니지 않나?? 4년된 컨버터 보일러고 20만원 이상 나온적 태어나 처음인데 30도 아니고 두배가 넘게 나왔는데....헐값??

    • @gunsan_si
      @gunsan_si Год назад

      ​@@kyush8940lp였으면 100만원..

  • @nerveve44
    @nerveve44 Год назад

    이게 에초에 잘못된게.
    누군가의 땅 위에 멋대로 도로를 낸거면 몰라도, 그냥 도로인데 그게 왜 사유지로 되어 있냐고.
    집으로 들어가는 골목길 같은 것도 아니고, 마을 주민이든 그냥 지나가는 사람이든
    모두가 사용하는 길인데 말이야.

    • @blingbling9653
      @blingbling9653 Год назад +1

      누군가의 땅위에 도로가 된거죠.

  • @용기를내세여
    @용기를내세여 Год назад

    어르신 인덕션 쓰셔요

  • @rem5861
    @rem5861 Год назад

    우리 시골집도 시골 마을 전체에서 유일하게 도시 가스 못쓰는집... 강을 건너야 하는대 배관으로 강을 건너는 비용이 너무 비싸서 못씀..ㅠㅠ 사유지(밭)을 통하면 가능은 하나.. 땅주인이 허락을 안해주지..

    • @John_Lee91
      @John_Lee91 Год назад

      땅을 마을돈 모아서 매입해라.....

  • @wogawoga919
    @wogawoga919 Год назад

    개인한테 너무 많은 비용을 청구 한다 우리구역이 2가구 살아서 반반씩 부담하기에느너무 큰 금액이라서 위험해도 lpg 써야한다

  • @ojisten
    @ojisten Год назад +1

    LPG 대신 DSG 쉽게 안되나요

  • @이용문-p5n
    @이용문-p5n Год назад

    국개의원들 줄이고
    월급도 주지 말고 국민들
    의식주 지원 해라 이게 나라냐?

  • @principle_of_money
    @principle_of_money Год назад

    공도에 도시가스 배관 묻는건 소액의 보상금을 지급하고 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할 듯 합니다.

  • @아아시나요
    @아아시나요 Год назад

    누가 요즘 LPG 가스 씀;;??

  • @진혜란-k3l
    @진혜란-k3l Год назад +1

    참 이유가 성의없다 어제 오늘 일이 아닌데 나라 살림을 어떻게 하는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