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특강]김누리 교수에게 듣는다 (3) ‘공정’의 ‘정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1

  • @범수김-o2g
    @범수김-o2g 10 дней назад +1

    후손을 위하여 좌우를 두루 섭렵한 김누리가 남북통일대통령이 되기를 부처님께 간절히 기도드립니다 경상도할배

  • @문규빈-s9l
    @문규빈-s9l 3 года назад +12

    김누리 교수님 정말이지 이 사회에 얼마나 큰 영향을 앞으로 끼치게 될지 나라에 희망입니다

  • @김기생-g3o
    @김기생-g3o 2 года назад +8

    감사합니다.

  • @김정숙-q8d
    @김정숙-q8d 3 года назад +8

    공정이란 단어가
    담고 있는 의미를 의심하고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김둘리-m8c
    @김둘리-m8c 3 года назад +19

    요즘 공정이란 화두에 대해 고민하던 중 김누리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어느정도 공정의 숨은 의도를 다시 되돌아보게 되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공정이 사실은 경쟁이라는 것을 정당화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머리를 한대 맞은 느낌입니다. 늘 존경합니다.

    • @happymam1991
      @happymam1991 3 года назад

      ㅣㅣㅣㅣㅣㅣㅣㅁㅃㅁㅁㅁㅁㅁ

  • @joyfulpeace4726
    @joyfulpeace4726 2 года назад +7

    교수님 말씀에 적극 공감 동감입니다. 들을수록 핵심을 찌르는 논리적 설명으로 왜 우리가 이렇게 잘못되고 있나는 직시하게 됩니다. 늘 감사합니다.
    왜 우리나라에 이런 지식인이 거의 없고 나라를 걱정하고 자성의 목소리를 내는 지식인은 극소수인지 반성해야 합니다.

  • @나비언니-e6y
    @나비언니-e6y 3 года назад +14

    날카로운 지적과 통찰 넘 감사하고 이런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wiseleader-d4y
    @wiseleader-d4y 4 месяца назад

    경쟁구도를 벗어나야한다는 말씀에
    극하게 공감합니다.
    한정된 자본 속에 공정의 개념은
    개개인의 입장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래서 배려, 같이 이끌고 가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휘게문화, 낙오자들에게 더 투자를 하는 함께 하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교수님 같은 분이
    '덴마크의 그룬트비' 같은 교육 혁신가가 되시길 간절히 기도합니다.

  • @김성희-q8o
    @김성희-q8o 3 года назад +6

    경청했읍니다

  • @yakim4565
    @yakim4565 2 года назад +3

    공정이 경쟁을 전제로 하고 경쟁이 자본주의적 가치라는 것. 잘 명심하겠습니다. 저도 우리 조직에서 시험을 통한 입사와 승진에 의구심을 가지지 않는것이 이상했는데 공정이 바로 이런 배경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는것을 이제야 알게 되네요.

  • @joyfulpeace4726
    @joyfulpeace4726 2 года назад +6

    공정이 아닌 회복적 정의가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부의 대물림이 태어나는 순간부터 한 사람의 인생을 비극적으로 만들기 시작합니다.
    어디에 태어나느냐의 운이 인생을 좌우하는 정말 불공평한 사회입니다.
    어디에 태어났건 교육의 기회는 동등해야 하고 인간의 기본적 권리는 누리는 사회가 되어야 합니다.

  • @kf-2188
    @kf-2188 2 года назад +3

    정말 하나하나 공감되어 좋아요를 누르지 않을 수 없었다...

  • @두류기행
    @두류기행 3 года назад +13

    내 자신의 성찰을 넘어 우리사회를 보는 새로운 시야를 열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왕전
    @왕전 2 года назад +3

    이시대의 진정한 어른

  • @noonsul9836
    @noonsul9836 3 года назад +26

    이런분이 교육부 장관이였어야 했었는데…

  • @지리산의아침-m7s
    @지리산의아침-m7s 2 года назад

    이해가 덜 됐지만 맞아라고 생각함.
    내가 그동안 이런 나라에서 이런교육을 받고
    이런 언론에 통제를 받고 살았구나.
    안개속에서 희미한 빛?
    나도 소위 지부장을 했던 사람으로서 명확한 정의를 확립하지 못하고 엉뚱한 정의위에서 향동했구나하는 생각을 가집니다. 백번 맞는데 덜 이해되는것은
    저의 지식과 지혜가 짧다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 @오잉-f3k
    @오잉-f3k 2 года назад +1

    근데
    일단 불공정으로 피해보는걸 막으려면
    공정은 중요할수밖에 없습니다

  • @기린봉-x7k
    @기린봉-x7k 2 года назад

    맞아요 공정한 게임(싸움,투쟁,자본가와 노동자의 싸움)에 쓰이죠. 한국땅은 싸움 투쟁의 터전이라는 생각이 잠재된 위삭속에 숨어있는 거죠. 한국은 싸움의 터전이므로 이를 해소할 방안이 필요한거죠.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번 강의 실로 명겅의입니다.한 가지 진지하게 권하고싶습니다. 한국 언어의 타락상이 하 분하여 제가 외국에서 쓴"한국 어문을 고발함"을 읽어 주시까요? 미국 변 완수 드림

  • @피그마리온-o5h
    @피그마리온-o5h 2 года назад

    세상엔 수 많은 꽃이 있다... 그꽃의 기준은 우리가 정한 아름다움이 아니다....

  • @무서운헤라
    @무서운헤라 Год назад

    티비에서
    정치인
    자신
    비교햇을때
    공정 하게 느껴지는지

  • @기린봉-x7k
    @기린봉-x7k 2 года назад

    맞아요 경쟁은 싸움닭을 기르자는것과 동일하죠. 우리가 싸움닭 ? 싸움닭이 되겠다고 그 오랜세월을 학교다녔나 ? 아 끔찍하다.

  • @dfjlge
    @dfjlge 2 года назад +1

    공정이 오히려 기득권과 불평등을 정당화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말이 굉장히 인상적입니다. 교수님의 이야기가 한국 사회에 더 널리 퍼지길 바랍니다.

  • @kilsueo3819
    @kilsueo3819 2 года назад

    공정한 분배, 공정한 처우, 공정한 잣대 등의 표현도 많이 쓰이고 있지요. 왜 꼭 경쟁에만 쓰인다고 하시나요?

  • @기린봉-x7k
    @기린봉-x7k 2 года назад

    지금 사람들은 낯선 사람(외부인, 타지인, 지역별 등등)에게 적개심을 많이 가지고 있죠. 그래서 항상 경계심을 거지고 있지요.

  • @K나은-e6y
    @K나은-e6y 3 года назад +1

    공평 상부상조

  • @피그마리온-o5h
    @피그마리온-o5h 2 года назад

    기울어진 운동장은... 멀리서 보면 사회라는 조직의 피라미드의 일부 이다.... ..

  • @오잉-f3k
    @오잉-f3k 2 года назад +2

    경쟁을 없애려면
    분데스리가도 없어져야죠

  • @나무-p7l5o
    @나무-p7l5o 3 года назад +2

    교수님의 말씀은 정의를 우선하지만 자원 없는 우리나라는 경쟁을 우선시해야 다른 나라를 이겨낼 수 있습니다. 다만 공정이라는 틀에서 경쟁을 해야만 정의가 이루어 진다고 생각합니다. 정의도 내가 먹고 살만해야 실천할 수 있다고 봅니다. 무한산무항심............................

    • @sophiakim1359
      @sophiakim1359 3 года назад +6

      그래서 나르시스트가 되어져도 괜찮다는 건가요. 아무리 자원이 부족하다는 구조적인 결점이 있더라도, 학문을 공부하는 데에서는 경쟁으로부터 벗어나 공평하고 자유로운 분위기가 되어야 진정한 학자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lodoejf7205
      @lodoejf7205 3 года назад +3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경쟁죽어라해서 노벨상나오고 기초과학발전했나요?

    • @배웅진-v5y
      @배웅진-v5y 3 года назад +2

      노벨상 하나 없는 나라였죠

  • @김왕열-o7m
    @김왕열-o7m 3 года назад

    미국에서 취업하려면 추천장 없으면
    안되고 일본은 추천장 있어도 안돼
    그래도 우리나라는 공채라도 있고
    공무원시험이라도 있지
    말도 안되는 소리를 대책없이 하고
    모든거를 너무 단순하게 획일적으로 얘기하는데 전세계 인간사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출세하기가 쉽냐 미국일본이 쉽냐
    니가 우리나라니까 교수인척 하지
    미국가면 명문대나와도 훨씬 어렵다
    교포들이 왜 우리나라가 돌아오는 비율이 높냐
    한마디로 약장사

    • @w2342-q7c
      @w2342-q7c 3 года назад +1

      이미 다알고 계시고 이미말씀하셨고 이미 해결방안 말씀 하셨는데 혼자 교수님 한테 인생은 단순치 않아그러시면 정말 뭐없어 보인다

  • @진흥물산
    @진흥물산 3 года назад

    "형보다 나은 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