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변론 종료 전 구치소 이동...부정선거 공방 / YTN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에 나온백종욱 전 국정원 3차장은선관위 시스템이 취약했다면서도바로 부정선거와 연결하는 건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오늘도 헌재에 출석했던윤 대통령은 변론을 끝까지 보지 않고구치소로 갔습니다.
현장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영수 기자!
[기자]
헌법재판소입니다.
[앵커]
윤 대통령이 변론을 다 보지 않고 그냥 구치소로 간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6시 20분쯤 윤석열 대통령이 호송차를 타고 헌재에서 나갔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후에 있었던 신원식 실장 신문까지 심판정에서 자리를 지켰고요.
이후 백종욱 전 3차장 신문은 대기실에서 지켜봤습니다.
그런데 김용빈 중앙선관위 사무총장 신문이 진행될 때쯤 윤 대통령이 이곳 헌재를 빠져나간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윤 대통령이 현재 진행되는 증인들과 관련해서는 특별히 의견을 밝힐 게 없는 것으로 안다 이렇게 말했습니다.
[앵커]
결국 부정선거 의혹이 쟁점이었는데 그 얘기는 안 나왔습니까?
먼저 백종욱 전 차장 증언 내용부터 좀 정리해주시죠.
[기자]
백 전 차장은 선관위에 대한 보안 점검 당시 국정원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인물입니다.
백 전 차장은 오늘 선관위 시스템이 최고의 보안 수준이 유지되고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점검 결과 여러 취약점이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또 외부로부터 내부 침투가 가능한 걸 포함해 문제점을 확인했고 상당히 부족한 수준이었다고 점검 결과를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앵커]
결국, 부정선거가 쟁점인데 그 얘기는 안나왔습니까?
[기자]
국회 측이 신문하는 과정에서 나왔습니다.
국회 측은 부정선거가 이어지려면 많은 사람이 조직적으로 해야하는 거 아니냐 이렇게 물었습니다.
백 전 차장은 그런데 부정선거에 대해선 말하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부정선거 관련 부분은 점검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만 가지고 부정선거를 같이 보는 건 안 될 수도 있다 이렇게 언급했고요.
그러면서 선거 조작이나 개입보다도 선거 시스템 마비나 파괴됐을 때가 두려웠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앵커]
대통령 측 반박은 어땠습니까?
[기자]
윤 대통령 측은 이어지는 신문에서 국정원 점검 자체가 부정선거 확인 목적이 아니었다는 건 확인했습니다.
다만 의도를 가지고 그런 행위를 하면 실현될 조건이 갖춰진 것 아니냐고 백 전 차장에게물었습니다.
백 전 차장은 이 질문에 점검상에서 나온 부분이다라고 답변했고요.
또 통합 선거인 명부가 조작될 수 있다면 선거 기초가 무너지는 거 아니냐,
그래서 국정원도 선거인 명부 조작이 가능한지 점검한 거 아니냐고 물었고 백 전 차장은 그렇다는 답변을 했습니다.
[앵커]
현재 김용빈 전 사무총장 증인신문이 진행 중이죠?
[기자]
김용빈 사무총장은 국회에도 여러 차례 나갔었는데 부정선거 없다는 입장을 밝힌 적이 있습니다.
국회 측이 신문을 마치고 현재 대통령 측 신문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회 측에서 신문에서는대부분 부정선거가 없다거나, 불가능하다는 취지의 증언을 했고요.
이 내용은 조금 더 정리해서 전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앵커]
윤 대통령 발언 내용은 뭐가 있었습니까?
[기자]
이상민 전 장관 증인신문을 마친 뒤에 윤 대통령이 발언 기회를 얻었습니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 직전에 국무회의가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국회에 나왔던 총리나 장관들은 국무회의같은 어떤 형식적인 게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고 증언한 적이 있었죠... (중략)
YTN 김영수 (yskim24@ytn.co.kr)
▶ 기사 원문 : www.ytn.co.kr/...
▶ 제보 하기 : mj.ytn.co.kr/m...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