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D+QQQ 자산 배분 효과? "전혀" 없습니다. |위험분산효과|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6

  • @tomantic
    @tomantic  Месяц назад

    [인생의 기회가 누구나 3번인 경제적인 이유] 알아보기
    ruclips.net/video/BQ59PW3_CDo/видео.html

  • @Sui-50-S-0.14K
    @Sui-50-S-0.14K 5 дней назад

    다양한 의견 감사합니다~

  • @cjsjjang2
    @cjsjjang2 Месяц назад +13

    슈드랑 큐큐큐 혼합해서 투자하라는이유가 투자수익률을 상호보완해주는게 아니라 투자섹터가 거의 겹치지않을만큼 극명하게 다르니 그걸 보완하기위해 투자하라는거 아니예요? 겹치는게 4% 정도라든데.
    저두 슈드투자자이지만 6대4 비율로 qqq s&p 우량개별주 소량 투자하거든요.
    지금같이 기술주상승이 크고 상대적으로 슈드가 덜 오를때 박탈감이나 포모로 인한 배당주투자를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위한 장치 정도로 알고 투자중인데..
    데이터상으론 효과가 1도 없어보이는건 맞다해도 직접투자하고있는 입장에선 슈드 와qqq 조합은 꽤 좋다고 생각중입니다.심리적으로나마.
    그래도 이렇게 데이터로 보니 투자효과나 효율에 대한 부분을 알게되서 좋네요~

    • @tomantic
      @tomantic  Месяц назад +1

      네, 적극 동의합니다. 투자에서 통제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부분은 심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투자는 심리(=멘탈)가 전부라고 볼 수 있죠. 피드백 주셔서 감사합니다!

    • @MoonEmpty
      @MoonEmpty 26 дней назад

      잼투리의 SCHD+QQQ는 포모 방지용임.

  • @sari6793
    @sari6793 3 дня назад

    전반적으로 공감하는 영상입니다.
    자산배분 효과는 같은 주식파트인 qqq와 schd만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두 etf간의 비중은 큰 경제위기를 대비하는 측면에서는 취향문제라고 보구요.
    경제상황 등을 고려해서 주식군(qqq, schd 등)과 안전자산군(금, 채권 등)간의 비중을 어떻게 조정하느냐가 투자성공의 관건이라고 봅니다.

  • @makeitcho4164
    @makeitcho4164 Месяц назад +4

    잼투리님이나 환상감자님하고 세분이서 같이 이야기 해보시며 나온 여러가지 이야기들에 대한 영상이 있음 좋을 거 같네요..

  • @공바
    @공바 16 дней назад +2

    SCHD+QQQ 조합은 애초에 자산 배분을 위한 조합이 아닙니다.
    그저 장기 적립식 투자를 한다면 주식 100% 인 만큼 조정을 감안하고 장기적 우상향을 생각하며 투자하는 것이지 단기적인 조정장을 피해가고자 한다면 당연히 안전 자산을 섞어야 합니다.

  • @HeunDeun
    @HeunDeun 23 дня назад +5

    SCHD도 어쨋든 결국 주식 카테고리 안에서의 배분이고, 자산배분을 제대로 하려면 주식(SCHD+QQQ)+채권+금+달러를 운영하는게 맞습니다.
    QQQ에 SCHD 섞는건 사실 그냥 "성장주+배당주" 개념으로 심리적 방어용도 같고, 배당주/배당ETF중에 이것저것 비교했을 때 그나마 제일 낫다 느낌이라 인기가 많은 것 같습니다.(사실 요즘은 슈드의 장점이라던 안정성, 배당성장도 옛말 느낌인 것 같지만요)
    배당주도 결국 주식이라는 한계가 있으니, 다들 채권+금(or코인)은 무조건 섞어서 투자하시고, 현금/달러는 항상 일정수준이상 보유하는결 유지하시길...
    오랜 투자자들은 기존에 쌓아둔 수익율/평단가가 있어서 어지간한 이슈로는 안 흔들리지만, 최근에 투자를 시작하신 분들은 수익율이 좀 줄더라도 언제나 증시가 떡락했을 때를 대비합시다.

    • @lukelee1051
      @lukelee1051 13 дней назад

      2024년 안정성 괜찮았고 배당성장도 좋았는데 왜 옛말일까요? 2023년에 잠깐 정체되었다가 2024년에 배당성장성은 예년 정도 수준을 회복했네요
      SP500이나 나스닥 비교하려면 2024년엔 분명 폭발적이었는데 코로나 시절에 바닥치던 것도 기억해야죠?
      SCHD의 목적은 배당입니다 그리고 평균 토털 리턴은 연 10퍼 내외 정도 예상하는 게 맞습니다. 무슨 30퍼 40퍼 업앤다운이 아니라요

  • @정은성-n2v
    @정은성-n2v 25 дней назад

    상관계수가 낮은 자산을 조합한다는 관점을 새로히 배웠습니다 ㅎㅎ화이팅입니다!

  • @똑똑-z6z
    @똑똑-z6z Месяц назад +5

    아니 애초에 사람들이 슈드는 주가 성장은 구리지만 배당 복리 보고 하락장에도 배당으로 손해 보완하는 개초장투하는 종목이고 큐3은 우상향 상승폭이 크지만 하락장에서도 많이 떨구는 종목이라 슈드 배당으로 손해 보완하라고 두 조합 추천하는겁니다.
    누가 주가흐름만 봄
    그 퍼센티지는 종목 25~75퍼 채권25~75 금0.5~1퍼 정도 유동성 가지고 운용하는게 좋고요

  • @in-star6248
    @in-star6248 6 дней назад +1

    SCHD는 장이 좋지않을 때도 늘어가는 배당으로 투자를 이어갈 수 있는 역할을 하고,
    QQQ는 장이 좋을 때 포모에 빠지지 않고 투자를 이어가게 도와주는 것 아닐까요?

    • @tomantic
      @tomantic  6 дней назад

      네 맞습니다. 영상 내용은 심리적인 측면과 구분하여, 두 상품의 리스크 분산 효과를 분석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 @cnrn77777
    @cnrn77777 Месяц назад +18

    가장 최근 폭락장인 22년은 쏙빼놓코 말하시네요
    국내에서 현재 슈드위상을 가지게 해준 가장 큰사건인대요

    • @세원오
      @세원오 Месяц назад

      그때 상승했나요?

    • @prussia92
      @prussia92 Месяц назад +2

      ​@@세원오qqq voo 개같이 멸망하고 피눈물 흘릴때 개같이 방어해준 슈드

    • @jsl5763
      @jsl5763 Месяц назад

      모든 통계분석은 기준점이 뭐냐에 따라 달라질수 있습니다.
      이런의견도 있으니 투자에 참고하면 될듯 합니다.
      영상 제작자도 이번분석에 꾀나 많은 시간을 들였을겁니다.

    • @tomantic
      @tomantic  Месяц назад +4

      디테일하게 분석하지 못해 심려를 끼쳐 드린 점 사과드립니다. SCHD는 대안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의미 있는 ETF 상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QQQ와의 결합으로 리스크 감소 효과를 얻기가 생각보다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좀 더 디테일한 분석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cnrn77777
      @cnrn77777 Месяц назад

      @@tomantic 그렇다고 죄송까지야~~^^

  • @JK-qo2jk
    @JK-qo2jk Месяц назад

    오 감사합니다.! 채권이 내려간 상태에서 오히려 지금이 자산배분 기회가 되는건가 리는 생각이 스칩니다

  • @히든서포터
    @히든서포터 20 дней назад

    우선 큰 자산배분 즉 금. 부동산. 주식 이리 나누고 그 주식내에서 잔가지 배분은 필요함. 그 대안으로 다우와 나스닥은 종목 겹침이 최소화되니 충분하 유의미함.
    어차피 경제가 어려우면 모든 색터가 다 어려운데 그나마 그안에서 최선을 찾는 것임

  • @lRuminal
    @lRuminal Месяц назад +9

    대단히 착각하시는 부분이 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식 100% 포트폴리오 전제를 깔아놓은 상태에서
    S&P500 대비 기술주 섹터 노출을 줄이면서도 비슷한 수익률을 따라갈 목적으로 SCHD 70~80% + QQQ 30~20%를 하는거지,
    '자산분배'를 목적으로 하지는 않습니다. 애초에 그럴 생각 조차도 없거든요.
    +일반적으로 채권으로 분산투자하면 보통 중기채까지가 마지노선인데, '장기채'로 자산분배를 하는게 일반적이진 않죠? 그건 큰 의미가 없으니까요.

    • @JK-qo2jk
      @JK-qo2jk Месяц назад

      음 점투리님 영상중에 상관성 설명하면서 자산배분효과 강조하던데.. 지금schd qqq 점투리님 영상보면서 투자하시는 분들은 자산배분고려하고 있을거에요 ㅋ

    • @JK-qo2jk
      @JK-qo2jk Месяц назад

      결론은 백묘흑묘처럼 변동성낮은 상태에서 수익률 높은 조합이 최고죠

    • @user-op4iv9nj9e
      @user-op4iv9nj9e Месяц назад +1

      @@JK-qo2jk 잘못봤네 거기서도 채권등 다른 자산분배 이야기 있음 다만 성장률을 보는거지 분산하면 안전하지만 성장이 떨어짐을 이야기 하는거고

  • @lukelee1051
    @lukelee1051 13 дней назад +1

    SCHD + QQQ 조합은 헷징조합이 아닙니다. SCHD의 목적은 배당성장인데 이 ETF가 버블이 상대적으로 안끼다보니 생각보다 오르는 폭이 적어서 FOMO가 올수 있는 단점이 있어서 성장성이 높은 기술주 중심의 QQQ로 적당히 달래라 뭐 이런 정도죠 거기다 SCHD + QQQ 8:2 정도면 수익성 대비 변동률도 낮아지니까 (통계는 통계일뿐...) 좋지 않나 하는 거죠
    방향을 완전히 잘못잡으신 것 같네요. 무슨 주식 + 채권 헷징 포트폴리오 처럼 설명하셨는데 그런게 아닙니다.

  • @lwsman213
    @lwsman213 20 дней назад

    SGOV도 들어가야합니다. 당분간 국채금리 상승구간이라 TLT비중 늘리면 힘들어집니다

    • @tomantic
      @tomantic  20 дней назад

      감사합니다. SGOV 활용한 분석 자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 @다현파
    @다현파 Месяц назад +2

    schd에 금융비중이 높아서 2008년엔 많이 떨어졌죠. 시스템위기가 또 올까싶네요.
    또한 슈드:qqq 8:2가 아닌 다른 비율이였음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하네요.
    저도 qqq랑 개별종목투자지만
    개인적으로 qqq+채권 금 보다
    qqq+현금이 낫지않을까도 싶네요ㅎ

    • @세원오
      @세원오 Месяц назад

      네..슈드는 몰빵 아니면 비추

  • @백실장-p5q
    @백실장-p5q 18 дней назад +1

    아고 슈드를 그렇게 분석하면 어쩐답니까 ,,
    슈드는 배당 성장보고 투자하는겁니다.
    지금같은 성과로 보면 무조건 TQQQ 사야된다는겁니다

  • @Kim-v7t6y
    @Kim-v7t6y 10 дней назад

    어차피 미국 주가가 하락하면 원달러 환율이 올라서 방어해주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한국인 입장에서는 미국 채권까진 굳이 투자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한국인 입장에서는 원화 가치를 기준으로 한 자산 배분이 더 맞는 것 같긴 합니다.

    • @tomantic
      @tomantic  10 дней назад

      환율 상승으로 원화 기준 가격 방어 효과가 있다는 점에는 동의합니다. 그러나 자산 배분 효과 중 리밸런싱을 활용한 위험 자산 확대의 기회를 고려해야 합니다. 모든 자산을 위험 자산에 투자할 경우, 미국 주식이 하락했을 때 저렴해진 위험 자산을 추가 매수할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이와 별개로 논의할 세부적인 사항들이 많겠지만, 단순히 "달러로 투자한다"는 이유 만으로 전체 자산을 위험 자산에 배분하는 것은 전략적으로 허점이 많을 수 있습니다.

  • @수희이-h1m
    @수희이-h1m Месяц назад +1

    글러벌 금융위기일땐 그렇지만 만약 이번 붕괴가 ai버블이 이유라면 닷컴버블 시기와 비슷할듯 합니다 그런실수를 안하기위해 23년 초 btfp제도 도입을 햇구요 조만간 다가올 상환시기가 올때 연준이 통화정책을 어떻게 할지 모르겠지만 만약 증시 붕괴가 온다면 ai버블일 확률이 높지 않을까요?

    • @tomantic
      @tomantic  Месяц назад

      말씀하신 AI 버블 가능성은 매우 전문적이고 흥미로운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AI 산업은 닷컴 버블과 몇 가지 유사점이 있지만, 다양한 산업에서 실질적인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한 차이도 있습니다. 다만, 과도한 기대감으로 인한 높은 밸류에이션이나 검증되지 않은 사업 모델에 자금이 몰리는 현상은 산업 및 기업 단위에서 더 미시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특히, BTFP와 같은 정책은 단기적으로 금융 안정에 기여할 수 있지만, 긴축 전환 시 잠재적인 취약점이 드러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AI 버블 여부를 논하기 위해서는 산업 가치와 시장 기대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상당히 깊이 있는 논의를 요구하는 주제일 것 같습니다. 향후 콘텐츠에서 이를 더 자세히 다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박대표박대표
    @박대표박대표 Месяц назад

    슈드 큐엘디 반반조합믿고가고있는데 충격적이네요 조합별로 엠디디 목표수익률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h__-zn4sl
    @h__-zn4sl Месяц назад

    자산배분 관점에서는 확실히 범주가 다른 종목들을 섞는게 좋게 나오네요. 최근에는 tlt가 기대와는 다른 움직임을 보이던데 앞으로도 영상의 견해가 유지될거라 예상하시나요? 그리고 절세계좌에서는 tlt와 gold를 어떤 종목으로 대체해야할까요?

    • @seeker7535
      @seeker7535 Месяц назад

      미국달러단기채권~~

    • @tomantic
      @tomantic  Месяц назад

      안전 자산 관련: 저는 여러 시행착오 끝에, 장기 채권과 금을 일부 보유하는 방식으로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 기간 동안 안전 자산에서 높은 수익을 올린 경험은 몇 번을 제외하고 그다지 많지 않았습니다. 다만, 1) 예상치 못한 추가 매수 기회에서 운신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는 점, 2) 그러한 경험과 분석 결과 덕분에 심리적 안정을 갖고 투자를 지속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두 가지 장점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 견해라고 하기에는 거창하지만, 저는 일정 부분 위험 자산 편입에 대한 보험료를 지불한다는 생각으로 안전 자산을 활용할 것 같습니다.
      절세 계좌 관련: 절세 계좌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상장 미국 장기 채권(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및 금(ACE KRX금현물) ETF가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절세 계좌를 초장기적 관점에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분할 효과를 활용하여 위험 자산 비중을 높게 가져가고 있습니다. 안전 자산으로는 일부 단기, 중기 채권만 활용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온빛-f1h
      @온빛-f1h Месяц назад

      금거래 비과세 거래로 할 수 있는데 굳이

  • @세원오
    @세원오 Месяц назад

    솔찍히 슈드보다는 금이 낫다고 생각 되네요

  • @상추-v9c
    @상추-v9c 11 дней назад

    머가 좋다는건가요

    • @tomantic
      @tomantic  10 дней назад +1

      어떤 금융 상품이 적합한지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은퇴 후 안정적인 현금 흐름이 필요한 경우라면, 성장 위주의 QQQ보다는 배당 수익률이 높은 SCHD가 더 적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본 영상은 리스크 관리 관점에서 두 자산을 동시에 투자하는 것은 기대하는 만큼 효과적이지 않다는 점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더블제이_JJ
    @더블제이_JJ Месяц назад +3

    자산배분의 의미를 전혀 모르시는거 같은데..ㅋㅋㅋ

    • @tomantic
      @tomantic  Месяц назад

      도움이 되어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앞으로 더 열심히 배워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