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낚시 다녀오느라고, 반응이 늦어 죄송합니다. 무게감은 역도를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못들었어도 무겁잖아요? 못들게 무게를 느끼는 것입니다. 낚시대를 지렛대의 원리로 적용하면, 봉돌에 아주 작은 힘이 더 붙어도 안들어지게요. 안들어진다면, 뭐라도 붙었으니 저항감으로 확인하는 절차로 넘어갑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쭈낚시에 입문해서 겨우 2번 배를 타본 초보입니다. 제이주님 영상을 좀 더 빨리 보고 갔다면 어땠을까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특히 그 이론적인 설명 영상에서 진지한 표정으로 인형을 들어올리시는 영상에서는 풉~ 터졌습니다. 저는 2번의 출조 동안 계속해서 콩콩콩~ 을 하면서 바닥을 찍고 있었는데요. 옆에서 연신 잡아내시던 분에게 나중에 여쭤보니 그 분은 봉돌을 계속 바닥에서 굴리시다가 저항감이 느껴지면 챈다고 하시더라구요. 영상에서 제이주님은 정확히 어떻게 하시는거에요? 얼마나 자주 바닥 확인을 하시는거에요? 이미 다음 배를 또 예약해뒀습니다. 제이주님 영상 오프라인저장 시켜놓고 배타기전에 한번 더 보고 가야겠습니다❤
제가 설명드리는 영상은 쭈꾸미 탑승 감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질문하신 봉돌 컨트롤은 운영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 같구요. 물때와 바닥(뻘,여), 바람을 잡아주는 상황인지에 따라 하위 방법은 너무나 많고 다양합니다. 방법보다, 방향이 중요합니다. 어느 상황이던지 어린아이가 걷는 속도로 에기를 바닥을 탐색하게 만드시면 좋습니다.
멋진영상 잘보고
웃음소리에 덩달아 힐링하고 갑니다
또보고 또보고 공부합니다 😂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낚시 많이 공유드리겠습니다!
좋아요 굿!!
시청해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더 좋은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저항감 예전에 어디서 봤다했는데
예전에 제이주님이 올렸던 영상이었나보네요
감사히 잘보고 갑니다😊
정말 후질근하게 집에서 TV 찍은 것이라면, 저 맞습니다 ㅎㅎ
시청해주시고, 기억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
반가워요. 즐낚하세요~ ^-^
감사합니다 열심히하겠습니다!!
굿
시청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실력있는 분들이 즐겁게 낚시하시는 모습이 너무 좋아보이네요~ 노하우를 전수해주려는 영상 내용도 좋습니다~
콤비보트의 묘미죠. 유선배에서는 쉽지 않긴 한 분위기는 맞습니다 ^^
시청해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려요!
잘 보고 갑니다
정말 잘생기 셨네요^^
설마요~ 최대한 가려서 착각하신 것 같습니다 ㅎㅎ;;
시청해주시고 댓글까지 너무나 감사드려요!
무게감을 느낄때 봉돌을 바닥에서 뛰우고 느끼시나요? 그러고 확인할때는 저항감으로 확인하시고요?
주말 낚시 다녀오느라고, 반응이 늦어 죄송합니다.
무게감은 역도를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못들었어도 무겁잖아요? 못들게 무게를 느끼는 것입니다.
낚시대를 지렛대의 원리로 적용하면, 봉돌에 아주 작은 힘이 더 붙어도 안들어지게요.
안들어진다면, 뭐라도 붙었으니 저항감으로 확인하는 절차로 넘어갑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쭈낚시에 입문해서 겨우 2번 배를 타본 초보입니다. 제이주님 영상을 좀 더 빨리 보고 갔다면 어땠을까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특히 그 이론적인 설명 영상에서 진지한 표정으로 인형을 들어올리시는 영상에서는 풉~ 터졌습니다.
저는 2번의 출조 동안 계속해서 콩콩콩~ 을 하면서 바닥을 찍고 있었는데요.
옆에서 연신 잡아내시던 분에게 나중에 여쭤보니 그 분은 봉돌을 계속 바닥에서 굴리시다가 저항감이 느껴지면 챈다고 하시더라구요. 영상에서 제이주님은 정확히 어떻게 하시는거에요? 얼마나 자주 바닥 확인을 하시는거에요? 이미 다음 배를 또 예약해뒀습니다. 제이주님 영상 오프라인저장 시켜놓고 배타기전에 한번 더 보고 가야겠습니다❤
제가 설명드리는 영상은 쭈꾸미 탑승 감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질문하신 봉돌 컨트롤은 운영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 같구요.
물때와 바닥(뻘,여), 바람을 잡아주는 상황인지에 따라 하위 방법은 너무나 많고 다양합니다.
방법보다, 방향이 중요합니다.
어느 상황이던지 어린아이가 걷는 속도로
에기를 바닥을 탐색하게 만드시면 좋습니다.
@JayJoo-Fisherman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다음 조금때 다녀와서 후기 말씀드리겠습니다!
질문요
요즘 가지 채비가 유행이잖아요 저도 쭈 가면 가지채비 직결채비 한대식 만들어 놓고 시작 하는데 직결에서는 저항감이 잘 느껴 지는데 가지에서는 잘 느끼질 못해요 혹시 저항감을 느끼는 방법이 있을까요?
전 쭈꾸미를 가지로 잡지 않습니다.
만약에 잡는다고 가정하면, 로드를 들면서만 파악해야할것 같네요.
봉돌과 쭈가 분리되어서 에기에 쭈가 붙어도 봉돌 낙하가 비교적 수월해질테니까요.
많이 들면서 느껴보셔요~
이방법으로 갑오징어도 되는건가여? 낚시 초보입니다
갑오징어 직결때는 이방법 쓰고 가지채비때는 가지 채비 길이만큼 들어 올려야겠죠?
진짜 초보입니다 알려주세여 ㅎㅎ
댓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쭈꾸미는 한번 붙으면 오래 메달려있지만,
갑오징어는 이물감을 느끼게 하면 먹이를 놓고 도망갈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무게감을 버리고, 바로 저항감 상승만으로 파악하신다고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트 사이즈가 어떻게 되시나요??
같이 간 일행인데 430 입니다~~
주인장이 바쁜가 봅니다ㅎㅎ
친구가 답먼저 했네요.
저도 잘 몰랐는데 430이었군요 ㅋ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제가 알고 있는 선배님이신가요? (아니라면 대단히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