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스트 클럭 제한만 했을때와 언더클럭설정햇을때 둘중 어떤점이 더 효율적인가요? 게임성능에 최적화된 기준이 궁금합니다. 두가지경우 어떤차이가 나나요? 실험중 I7-12650h cin벤치 기준 균형절전 cpu 최고온도 97도 최저 57도 부스트클럭제한 후 cpu 최고온도 64도 최저 46도 언더클럭 p4 e3 설정후 cpu 최고온도 89 최저 61도 언더클럭 p3.5 e2.5 cpu 최고온도 87 최저온도57도 파이어 스트라이크 부스트 클럭 제한 후 11,966 언더클럭 p4 e3 13,538 언더클럭 p3.5 e 2.4 13,865 이렇게 나왓습니다. 언더클럭 87~89도가 나오는데 적정온도는 몇정도가 안전할지.. 게이밍할시 여기서 더 낮춰야 할지 아니면 부스트클럭만 해야할지.. 이런 정보를 안지 얼마되지 않아 소중한 의견 부탁드립니다ㅜ
CPU 클럭제한하면 전력배분이나 온도가 안정적이 되어서 GPU에 전력공급도 안정적이 되기 때문에 특정점까지는 gpu성능향상이 있습니다. 게임할 때 조용하게 사용하고 싶으시면 P3.5 E2.5정도로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테스트온도보다 게임진행중 온도가 80도이상만 안나오게 사용하시면 장치수명도 길어집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질문1-[셋팅값 P3.5 3 e2.5] 진행시 온도가 87도 즉 80후반대가 나왔는데 게임중 온도를 80도 이하로 맞추기 위해선 그럼 옵션에서 타협을 해야 될까요? 소음은 신경쓰이진 않습니다ㅎ 질문2-부스트클럭제한시 전력배분문제로 온도는 안정적이지만 원활한 게임성능을 위해선 언더클럭이 더 효율적이다. 이렇게 이해해도 될까요?
오멘17쓰고있습니다. 언더볼팅은 오멘에있는 gaming hub 라는걸로 -0.1v 하고 p35 e25로 한다음에 제다이서바이버QHD돌렸을시 온도가 둘다 75~80도 정도 나오는데 이정도면은 좀 위험한 온도인가요...? 언더볼팅이 제대로 먹힌건지 잘 모르겠네요...cpu는 계속 2500mhz정도 찍긴하는데..
80도이하는 위험한 온도가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90도~100도가까이 나오는게 더 위험하다 생각하고요. 높은온도는 팬속을올려야되서 팬에 무리도 많이 가고요. cpu 언더클럭은 적용 잘 된 것 같습니다. gpu 언더클럭이나 언더볼팅사용하시면 좀 더 착한온도를 볼 수 있긴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오맨 16 -i7 14700hx GTX 4070 쓰는 중인데 소음이랑 발열 때문에 따라 해봤습니다. P4 E3 만들어서 해보는데 디아4 균형때 5009MHz에 166정도 나왔던 프레임이 1500MHz 50대로 줄었어요 ㅠㅠ 온도는 균형때 80-90 정도에서 60-70 중반 기록 중이구요. 프레임을 확보하고 싶으면 조금만 더 프레임 늘릴 방법이 없을까요? 100프레임 정도까진 하고 싶은데 온도 유지하는 선에서 ㅠㅠ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 그리고 프로세서 성능 강화 모드는 균형 (적극적) P4E3에선 (사용안함) 이예요. 감사합니다 ㅠㅠ
소품님 안녕하세요. 이전 영상도 확인하다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22년 12월 11일 올리신 cpu gpu 언더클럭 영상과 비교하면 어떤 설정이 발열에 더 좋을까요? 또한, 전 영상은 최대 프로세서 상태와 프로세서 성능 강화 모드도 설정하셨던데 지금 설정했던 거에 추가적으로 같이 설정하면 발열에 더 좋을까요?
소품생활님.. 정말 궁금한게 있습니다.. hp 빅터스 16 쓰는데 내장 그래픽 드라이버는 인텔 최신께 나을까요 아니면 좀 구버전이더라도 hp 공홈에있는 드라이버를 쓰는게 나을까요..그리구12500h는 발열 잡는법 없을까요?ㅠㅠ 클럭제한해도 온도가 높네요 특히 고사양게임하면 ㅠㅠ빅터스 모델이라 그런지 쓰로틀링도 빨리옵니다..
게이밍에 더욱 최적함을 추구하시면 E코어는 끄는게 좋습니다. 특히 전력과 발열부분에서 차이나고 GPU쪽에 전력을 더 주는 경향이 있어서 오히려 게임에서는 프레임 상승하기도합니다. 그리고 레지스트리 건드시는것보다 쓰로틀스탑을 사용하시는게 더 편리하고 여러 설정을 커스텀할수 있습니다.
E코어 끄는게 게임성능소폭향상 일부게임 스터터링현상제거 기능이 있는건 맞습니다. 멀티작업등 영상편집에선 E코어가 큰도움이 되기도 하고요. 스로틀스탑이 세세하게 적용가능해서 좋긴합니다. 하지만 인텔 cpu중에도 적용안되는경우도 있어서 레지스트리수정하는것이 편리하기도 합니다. 쓰로틀스탑이 적용이 다 되면 좋긴합니다만 적용시 지원되지 않는다는 팝업이 간혹나오던데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소품생활님. 올려주신 영상대로 p코어, e코어 클럭을 제한해서 게임을 하고 있는데, 그 결과 저는 cpu를 2190mhz로 맞췄습니다. 그런데 저는 fps는 80~100사이 나오고(평균 90정도 됩니다.) cpu온도는 70초반에서 90도까지 왔다갔다 하더라고요. 온도가 80대 후반 찍을 때마다 제가 뭔가 놓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요 ㅠㅠ 성능강화모드는 사용으로 해놓았고 배터리는 99%인 상태입니다. 제가 더 해 볼게 있을까요?
둘다 해서 적정 옵션을 만들어 사용하면 좋습니다. 언더볼팅은 밥(전기)을 적게주면서도 성능많이 안떨어지고 온도까지 낮추는 효과가 있는거고 언더클럭은 말그대로 클럭을 낮춰서 성능과 발열을 낮추게하는 방법입니다. 게임할 때 도움이되기도 합니다. 일부 온라인게임들은 cpu성능을 주로 사용하기에 언더클럭시 프레임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델 에일리언웨어x16r2 인텔 코어Ultra9 코어Ultra9-185H 지포스 RTX 4090 입니다 적당한 세팅값 부탁드려요😢 팬소음때문에 전원관리 옵션 왠만한건 다 설정했는데 p코어 e코어 적당한 값을 찾는건 컴맹인 저한테는 너무 어려운거 같아요 ㅠ 제발 적당한 세팅값 좀 알려주세요 ㅠ 구독과 좋아요 알람설정했어요 ㅠ
@@it_sopoom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올려주신 레지스트리를 다 적용한 직후(전원옵션을 만들기 전)에는 cpu 동작이 느려지는 것 같아서 싱글코어를 강제로 멀티코어로 돌리며 일하는건가? 하는 궁금증에 여쭤봤습니당 ㅎㅎ. 이걸로 클럭 제한이 아닌 오버클럭도 가능한건지도 여쭤봅니다
@@it_sopoom 코멘트 보고 다시 받아서 다시 적용해보니까 잘 됩니다 :) i9 헬네오 16인치 동영상과 같이 P4000 E3000 으로 설정했습니다. 지금은 프레데터 센서 성능에서 적용중이고 게임이나 웹서핑 할때 이대로 사용하고, 문서나 조용한것이 필요할때는 그냥 프레데터 센서에서 무음 모드 하면 될까요 ??
안녕하세요, 오픈톡방에 있다가 비오는날 주머니안에서 뭐가 잘못 눌렸는지 나중에 보니 0. 이라는 톡이 발송되었네요 본의 아니게 톡이 발송되어 미안합니다. 강퇴를 당해서 룰 때문에 그렇구나 하고 이해하면서도 일부러 멘트를 치거나 한 건 아닌데... 하는 아쉬움도 있었지만 좀 지나면 풀어 주시겠지 하면서 기다려보았습니다. 그런데 며칠이 지난 지금 그냥 그대로 강퇴가 유지되고 있는데.... 강퇴좀 풀어주시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입장시 사용한 프로필명이 어떻게 되나요? 확인해주시면 풀어드릴게요. 요새 간간히 광고 비난성 장난 글을 올리는 것 땜에 다른 분들이 많이 화나있습니다. 그래서 글 하나라도 올라오면 바로 강퇴시켜달라고 요청들어와서 바로 내보내고 있습니다. 시간지나서 풀어드리기엔 단톡방 차단 목록에 메모기능이 없고 누가 누군지 확인도 안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도 없고요. 고의가 아닌경우 기분이 나쁘셨을거에요 ㅜㅜ
안녕하세요 소품생활님! 지금까지 올려주신 언더볼팅/언더클럭 관련 영상들을 차근히 살펴보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인텔 12세대 이후 CPU의 언더클럭을 다룬 이번 영상에서는 이전 영상과 달리 1. "최대 프로세서 상태"를 100%를 99%로 바꾸는 설정과 2. "프로세스 성능 강화 모드"를 효율적 활성화로 바꾸는 설정 이 두 개의 설정이 제외돼 있는데요 혹시, 12세대부터는 이 두 개를 굳이 안 해줘도 되는 걸까요? 아니면 병행해주면 더 좋을까요? 좋은 정보 항상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답변 미리 고맙습니다~
네 상관없습니다. 그렇게 맞추시고 hwinfo에서 전력소비량 작업표시줄에 노출시키고 모니터링해보세요. 그리고 간혹 백그라운드프로세서가 전력소모가 많을경우 CPU사용률이 높은 프로세서를 중지또는 제거해보세요. 저는 개인적으로 인텔드라이버설치도우미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에서 cpu점유와 전력소모를 많이했습니다.
12세대 이전CPU 적용영상링크입니다.
ruclips.net/video/vKsgCUbItpo/видео.html
언더클럭레지스트리파일모음
P코어제어 drive.google.com/file/d/1khADShTlJ15_qF2cwhVFtuGZ9MoRrmBv/view?usp=sharing
E코어제어 drive.google.com/file/d/1E00xp_ZNbrEX2EVrnaerkchIYfcr7Y_I/view?usp=sharing
최대프로세서상태레지스트리 drive.google.com/file/d/16Oxu9-M0nezMhe9E34TKL4JmNYrOXMZs/view?usp=sharing
시스템성능강화모드레지스트리 drive.google.com/file/d/1lMnABSOxqPDWED5la0f2ajALbL_CtuzB/view?usp=sharing
오픈카카오(노트북핫딜) : open.kakao.com/o/gR8lEIyf
sopoomlife@gmail.com
어설픈 언더볼팅보단 언더클럭이 답이었네요~ 바이오스 들어갈 필요 없이 실시간 클럭조절하는거 너무 좋구요~ P4200 E3800 설정해놓으니까 완전 제가 원하던 셋팅 됐어요~~ 온도,전력,평균프레임 모두 대만족입니다 감사해요~!
i7-13620H 달린 노트북 구입하여 사용하는데 디아4 풀옵 구동시 100도넘게 찍어서 당근행하려던거 이영상보고 p코어4000,E코어3천에세팅해서 구동해보니 최대78도까지 밖에 안올라가고 렉없이 구동가능해서 너무나 감사드립니다~~~복 받으실꺼에요!!
저랑 비슷한 상항이신거 같은데, 혹시 프로세서 강화모드 어떻게 설정하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사용으로 하셨나요, 사용안함으로 하셨나요? ㅠㅠ
i5-13420H가 달린 노트북인데 팬소음 때문에 심란했습니다.소품님 영상덕분에 아주 노트북이 조용해져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ㅎㅎ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두번 감사드립니다.
엇.. 안그래도 아까 언더볼팅 영상이 있는지 찾아 봤었는데 어떻게 딱맞춰 올라왔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리전5i프로 언더볼팅영상은 ruclips.net/video/tgOVm3N-VLw/видео.html 이 링크에만 있습니다. 이영상은 언더클럭영상이고요. 그래도 도움되시기를 바랍니다. ^^
라데온6800 3600사용하는데요
게임만 들어가면 온도가 미쳐
날뛰고 있습니다~
그런데말입니다. P코어와 E코어를
수동으로 클럭제어하니..
그나마 60도대에서 살짝쿵
오르락내리락 하는군요.
영상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I7 12650H기준
P3.2 e2.2 82도 벤치점수 최고성능
P3.1 e2.1 78~79도 성능 약간 엇비슷
온도방어 성공 햇네요ㅎㅎ
덕분에 잘 쓰겟습니다ㅎㅎ
부스트 클럭 제한만 했을때와 언더클럭설정햇을때 둘중 어떤점이 더 효율적인가요? 게임성능에 최적화된 기준이 궁금합니다. 두가지경우 어떤차이가 나나요?
실험중
I7-12650h cin벤치 기준
균형절전 cpu 최고온도 97도 최저 57도
부스트클럭제한 후 cpu 최고온도 64도 최저 46도
언더클럭 p4 e3 설정후 cpu 최고온도 89 최저 61도
언더클럭 p3.5 e2.5 cpu 최고온도 87
최저온도57도
파이어 스트라이크 부스트 클럭 제한 후 11,966 언더클럭 p4 e3 13,538 언더클럭 p3.5 e 2.4 13,865 이렇게 나왓습니다. 언더클럭 87~89도가 나오는데 적정온도는 몇정도가 안전할지..
게이밍할시 여기서 더 낮춰야 할지 아니면 부스트클럭만 해야할지.. 이런 정보를 안지 얼마되지 않아 소중한 의견 부탁드립니다ㅜ
CPU 클럭제한하면 전력배분이나 온도가 안정적이 되어서 GPU에 전력공급도 안정적이 되기 때문에 특정점까지는 gpu성능향상이 있습니다. 게임할 때 조용하게 사용하고 싶으시면 P3.5 E2.5정도로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테스트온도보다 게임진행중 온도가 80도이상만 안나오게 사용하시면 장치수명도 길어집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질문1-[셋팅값 P3.5 3 e2.5] 진행시 온도가 87도 즉 80후반대가 나왔는데 게임중 온도를 80도 이하로 맞추기 위해선 그럼 옵션에서 타협을 해야 될까요? 소음은 신경쓰이진 않습니다ㅎ
질문2-부스트클럭제한시 전력배분문제로 온도는 안정적이지만 원활한 게임성능을 위해선 언더클럭이 더 효율적이다. 이렇게 이해해도 될까요?
아니면 부스트클럭제한+언더클럭 p3.5 e2.5 이렇게 해봐도 될까요?
오멘17쓰고있습니다. 언더볼팅은 오멘에있는 gaming hub 라는걸로 -0.1v 하고 p35 e25로 한다음에 제다이서바이버QHD돌렸을시 온도가 둘다 75~80도 정도 나오는데 이정도면은 좀 위험한 온도인가요...? 언더볼팅이 제대로 먹힌건지 잘 모르겠네요...cpu는 계속 2500mhz정도 찍긴하는데..
80도이하는 위험한 온도가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90도~100도가까이 나오는게 더 위험하다 생각하고요. 높은온도는 팬속을올려야되서 팬에 무리도 많이 가고요.
cpu 언더클럭은 적용 잘 된 것 같습니다.
gpu 언더클럭이나 언더볼팅사용하시면 좀 더 착한온도를 볼 수 있긴합니다.
일단 4:14 까지 따라해봤습니다. 이상 생기면 다시 복습해볼게요
게이밍 노트북 i7 12700H 사용중인데 배그 돌리면 cpu 온도 100도 찍고 쓰로틀링 걸리길래 P코어 4000, E코어 3000 제한했는데도 95도 찍고 P코어 3500 E코어 2500으로 쓰로틀링 간신히 안걸리게 해도 90도가 나오네요..
그런데 특정코어만 온도가 아주 높습니다 다른코어랑 거의 많이나면 30도, 적게나도 10도는 차이나더라고요 1,3,5 코어가 문젠데 이 세개때문에 쓰로틀링 걸리니까 억울해 죽겠습니다. 요 며칠동안 스트레스 받아서 써멀 재도포도 해봤는데 소용이 없네요... 수율이 달라서 높게 나올수 있는건 알아도 이건 너무 심한거 같은데 해결 방법 없을까요?
써멀재도포까지하고 언더클럭까지 했는데 90도면 많이 높네요 ㅜㅜ 혹시 윈10 사용하시면 윈11로 변경해보세요. 윈11 23H2버전부터 많이 좋아져서 게임도 쾌적해졌습니다.
@@it_sopoom 답변 감사합니다! 이미 윈도우11이긴 한데 버전 한번 봐야겠네요 글고 담부턴 데스크탑으로 가야겠습니다..
저도 게이밍 쓰는데 발열문제.. 데스크탑이 나을듯...요 서로 화이팅요!!
라데온6800 3600
게임들어가면 설정해놓은걸 깜박하는지..cpu가 3125mh로
고정되어버리더라는...
이거 해결하느라 한참 걸렸음~😅😅😅
안녕하세요, 저는 오맨 16 -i7 14700hx GTX 4070 쓰는 중인데 소음이랑 발열 때문에 따라 해봤습니다. P4 E3 만들어서 해보는데 디아4 균형때 5009MHz에 166정도 나왔던 프레임이 1500MHz 50대로 줄었어요 ㅠㅠ 온도는 균형때 80-90 정도에서 60-70 중반 기록 중이구요. 프레임을 확보하고 싶으면 조금만 더 프레임 늘릴 방법이 없을까요? 100프레임 정도까진 하고 싶은데 온도 유지하는 선에서 ㅠㅠ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 그리고 프로세서 성능 강화 모드는 균형 (적극적) P4E3에선 (사용안함) 이예요. 감사합니다 ㅠㅠ
p4 e3인데 1500으로 클럭이 너무 많이 감소했네요. 성능 99% 한거면 100%로 해보세요. 거의 저성능으로 맞춰진 것 같아요.
@@it_sopoom 네 감사합니다! 이것저것 시도 해보니까 P랑 E 수치 조절해두고 성능 강화 모드를 "사용"으로 바꿔줘야 적용이 되는거 확인했습니다. 미국에 사는데 미국 텍튜버 분들은 이정도로 디테일이 없는데 너무 감사해요! 응원하겠습니다!
소품님 안녕하세요. 이전 영상도 확인하다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22년 12월 11일 올리신 cpu gpu 언더클럭 영상과 비교하면 어떤 설정이 발열에 더 좋을까요?
또한, 전 영상은 최대 프로세서 상태와 프로세서 성능 강화 모드도 설정하셨던데 지금 설정했던 거에 추가적으로 같이 설정하면 발열에 더 좋을까요?
cpu가 어떤건가요?
@@it_sopoom Intel Core Rapter Lake i7-13650HX 프로세서 { 14Core (6P+8P) / 20 Thread / P-Core up to 4.9GHz / 24MB Intel Smart Cache }
NVDIA RTX 4060 GDDR6 8GB (TGO 140W)
입니다.
@@inman-m4j 이 영상만 참조하셔도 됩니다. 메테오나 렘브란트 외 7세대이하는 이 방법이 적용되지 않아서요^^ 좋은 주말 되세요~
@@it_sopoom 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소품생활님.. 정말 궁금한게 있습니다.. hp 빅터스 16 쓰는데 내장 그래픽 드라이버는 인텔 최신께 나을까요 아니면 좀 구버전이더라도 hp 공홈에있는 드라이버를 쓰는게 나을까요..그리구12500h는 발열 잡는법 없을까요?ㅠㅠ 클럭제한해도 온도가 높네요 특히 고사양게임하면 ㅠㅠ빅터스 모델이라 그런지 쓰로틀링도 빨리옵니다..
내장드라이버는 공홈걸로 충분합니다. 클럭제한하면 제대로 적용된다면 온도 내려가지 않나요?
@@it_sopoom 내려가긴 하는데 고사양으로 갈수록 온도가... 예를들어.. 60프레임 제한으로 해도 온도가.. 80~90몇도..를 찍어버려요..
소품님 영상보고 예전에 사무용 노트북 구매해서 지금까지 정말 잘쓰고있는데요
게임용 노트북을 하나 장만할까해서요 100만원 안팍으로 예산은 잡고있는데요 +-20~30만정도는 괜찮구요
혹시 추천할만한 모델있을까요?
단톡방 1:1채팅 주시면 리스트 보내드릴게요.
단톡방에 바로 글 쓰면 안되고 제 닉네임 선택해서 1:1채팅 주세요. 오픈카카오(노트북핫딜) : open.kakao.com/o/gR8lEIyf
안녕하세요. 레노버 노트북 리전 프로 7i 16irx i7-13700HX 인텔13세대 4060 노트북 사용중입니다.
영상에서 말하신 언더클럭 적용했는데
그러면 레노버밴티지에서 팬속도모드는 어떤걸로 설정해놔야 할까요?
[퍼포먼스 모드, 밸런스모드, 사일런트 모드, 사용자정의 모드] 이렇게 있어요.
cpu클럭 모니터링하면서 최종선택한 것으로 세팅되는지 보셔야합니다. 전원설정 언더클럭 후 벤티지 성능모드 선택시 풀리는지 보시고 풀린다면 언더클럭 다시 선택해서 지정된 클럭까지 제한되면 그 방법으로 사용하세요.
@@it_sopoom 밴티지 팬속도 성능모드설정에서
어떤 모드를 설정하든 P값과 E값을 초과안하면
밴티지 팬속도 성능모드는 어떤걸 해놓든 상관이 없는걸까요?
레지스트리 파일을 실행하더라도 관리옵션에서 따로 만지지 않으면 변경되지 않는거죠?
만약 다시 돌아가고싶다면 원래있던 모드로 바꾸면 돌아 가는건가요?
@@imcurtainkor 네 전원 설정에서 세팅하지 않으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다시 돌아가고 싶다면 기본 균형 조정은 그냥 놔두고 새로 만들어서 세팅하고 지우시면 됩니다.
혹시 데스크탑에도 같은 적용이 될까요? i7 13700F 인데 HP OEM H670칩셋 보드 입니다. (기본 제공된 공랭 쿨러인데 프리미어4K 랜더링시
순간 온도 95도 찍습니다.)
네 적용가능 합니다
@@it_sopoom 감사 합니다. 한번해 보겠습니다.
말씀대로 데스크탑에서도 되네요 P 코어 최대 95도 찍던게 75도 나오네요~
케이스 크기 때문에 쿨러 교체도 안되는 구조라 엄청 고민 중아었는데 저한테 정말 귀한 정보입니다.^^
게이밍에 더욱 최적함을 추구하시면 E코어는 끄는게 좋습니다.
특히 전력과 발열부분에서 차이나고 GPU쪽에 전력을 더 주는 경향이 있어서 오히려 게임에서는 프레임 상승하기도합니다.
그리고 레지스트리 건드시는것보다 쓰로틀스탑을 사용하시는게 더 편리하고 여러 설정을 커스텀할수 있습니다.
E코어 끄는게 게임성능소폭향상 일부게임 스터터링현상제거 기능이 있는건 맞습니다. 멀티작업등 영상편집에선 E코어가 큰도움이 되기도 하고요. 스로틀스탑이 세세하게 적용가능해서 좋긴합니다. 하지만 인텔 cpu중에도 적용안되는경우도 있어서 레지스트리수정하는것이 편리하기도 합니다. 쓰로틀스탑이 적용이 다 되면 좋긴합니다만 적용시 지원되지 않는다는 팝업이 간혹나오던데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it_sopoom 12세대는 모르겠는데 최신버전은 13세대 공식지원입니다.
그리고 팝업이 뜨는 문제는 처음들어보는데 옵션에서 start minimized 와 minimize on close를 체크하고 작업스케줄러에 등록해서 쓰시면 별 문제 없으리라 보이네요.
헬리오스네오 i9 13900hx 사용중인데 이거랑 똑같이해서 사용하고싶은데 더보기란 4개의 다운링크중 어떤걸 다운받아야하나요? 전부 받아서 하면돼나요?
네 다 받으세요
영상 감사합니다! 라이젠은 방법이 다른가요?
같아요. 윈도우 사용하는건 클락조정 다 가능합니다
오늘도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제 새 노트북은 ASUS G713--LL103 모델로, AMD 라이젠9 7845HX인데 적용 가능한가요 ?? : )
지금 8845hs 해보는데 이 영상방법으로 언더클럭은 안되네요 지헬퍼기능에 cpu온도제한 하는 것 등등 써보고 알려드릴게요
@@it_sopoom 네 두근두근 기대가 되네요~*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
소품생활님, 안녕하세요. 설명해 주신대로 세팅하고 있는데, 프로세서 강화모드에서는 어떻게 설정하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다른 영상들에서는 사용안함으로 하셨던데, 이 영상에서도 사용안함으로 두신 건가요? ㅠㅠ
안녕하세요 인텔 13 14세대는 사용중으로 놓으셔야 클럭값 반영되기도 하니 모니터링하면서 적용해보세요.
@@it_sopoom 감사합니다. 퇴근하고 나서 말씀대로 한 번 조정해볼게요!
안녕하세요, 소품생활님. 올려주신 영상대로 p코어, e코어 클럭을 제한해서 게임을 하고 있는데, 그 결과 저는 cpu를 2190mhz로 맞췄습니다. 그런데 저는 fps는 80~100사이 나오고(평균 90정도 됩니다.) cpu온도는 70초반에서 90도까지 왔다갔다 하더라고요. 온도가 80대 후반 찍을 때마다 제가 뭔가 놓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요 ㅠㅠ
성능강화모드는 사용으로 해놓았고 배터리는 99%인 상태입니다. 제가 더 해 볼게 있을까요?
@@Gallagher-m5t 클럭제한이 잘되고 있는데 온도가 그렇게 오르는거면 팬먼지나 서멀상태가 안좋을 수 있고요. 클럭제한이 안되는거면 성능강화모드 사용안함으로 하고 프로세서성능 100%로 해보세요
@@it_sopoom 답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꼭 해보겠습니다!
@@it_sopoom 노트북 산지 10개월 정도밖에 안되서 아직 팬먼지나 서멀이 약해진 건 아닌거 같아요. 후자를 해보겠습니다.
cpu가 어떤건가요?
@@it_sopoom i5 13500hx입니다.
1년 지난 영상인데요 언더볼팅하고 언더클럭하는게 좋은건가요??
아니면 언터클럭만 하면 되는건가요??
CPU 14900HX 리전슬림7I 입니다.
둘다 해서 적정 옵션을 만들어 사용하면 좋습니다. 언더볼팅은 밥(전기)을 적게주면서도 성능많이 안떨어지고 온도까지 낮추는 효과가 있는거고 언더클럭은 말그대로 클럭을 낮춰서 성능과 발열을 낮추게하는 방법입니다. 게임할 때 도움이되기도 합니다. 일부 온라인게임들은 cpu성능을 주로 사용하기에 언더클럭시 프레임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it_sopoom 혹시 추천 p코어 e코어 값 있을까요??
배터리 모드시 p코어 e 코어 값 최소로 정하면 배터리 타임도 오래가는지요??
와 클럭을 저렇게 낮춰도 온도가 뒤지게 높긴하네 ㅋㅋㅋㅋAMD 제품 클럭을 3800쓰는 제 제품이랑 온도가 비슷하네요 ㅎㅎ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고 따라해보고있습니다 혹시 라이젠 7940hs도 이 동영상에 나온 방법대로 적용할 수 있는건가요??
Gpu(4060)은 댓글보고 주파수 1650정도로 맞춰놨습니다.
안해봐서 잘모르겠습니다. 지금 8845hs 제품들어와서 밀린리뷰끝나면 테스트해볼게요
@@it_sopoom넵 답변 감사합니다~~
@@김영운-p9d 터프신형 8845hs인데 전원설정 언더클럭이 안먹히네요 ㅠㅠ
소품님 노트북 자체에 탑재되있는 내장키보드 계속 쓸수있나요? 쓰다보면 내장키보드도 닳아서 고장나나요
제가 게이밍 노트북 외장키보드 연결안하고 내장키보드로 그냥 게임하려는데 혹시 장기적으로 마모되거나 고장나나 싶어서요
잘 고장은 안나는데 위에 글자각인은 지워지는 것들도 있어요. wsad 부근이요. 고장은 잘안나요
@@it_sopoom 아하 넵 그러면 게이밍 노트북 내장키보드로 그냥 쭈욱 계속 써도될까요..??
@@Red-hr4dp 네 키보드를 소모품으로 보고 6개월보증해주는 한성 에이서 빼고는 1년일거에요. 기간잘봐서 교체받으시는 것도 좋고요
@@it_sopoom hp 빅터스도 사용하다가 키보드 고장나면 센터에서 유상수리(교체..??) 가능한가용!?
@@Red-hr4dp hp는 1년 무상일건데 확인해보세요. 근데 1년안에 고장나기 쉽지 않아요.
i7-12650H 사용중입니다 P코어 E코어 발열 게임성능으로 어느정도 선이 가장 적합할까요? 한가지 설정으로 계속 사용 예정입니다
게임은 p3.5 e2.5 정도로 해보세요. 일상사용은 빠릿하면서 온도괜찮은 p4 e3 좋습니다.
헬네오 i9 버전 사용중인데 전에는 잘적용되었는데 윈도우 재설치 후 4개파일 다 등록했는데 주파수를 조정해도 맥스가 p코어 e코어 2.1g로 고정이네요. 뭐가문제일까요ㅠ
전원 성능모드 사용안함으로 해놓으신건 아니죠?
리전5 프로 윈도우11사용중인데요, 공홈은 윈도우11용 드라이버만 지원이 되서 윈도우10 설치하려면 기존드라이버로 호환성문제가 없이 가능할가요?
네 그렇게하셔도 됩니다. 저는 공홈드라이버 모두받아 윈11설치시 장치관리자에 1개 느낌표 뜨더군요. 그것만 인터넷연결 후 자동 잡게했습니다
@@it_sopoom 아네, 답변 감사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헬리오스 네오 16 노트북 i9-14900hx 도 이 영상내용처럼 언더클럭해도 무방할까요?
@@N_GM_MA 네 적용하셔도 무방합니다
@@it_sopoom
감사합니다!
영상대로 따라했는데
전원사용시 주파수가 나갔다 들어오면 0MHz로 돌아와버리는데 왜그럴까요?
베터리 사용 일때는 4000, 3000 그대로인데 ㅠ
같은노트북인가요?
안녕하세요 혹시 젠북 같은 울트라북에 이 설정을 적용해도 사용하는데 크게 문제는 없겠죠? cpu 13500h에 인텔 그래픽입니다
네 적용가능한 cpu입니다.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소품생활님 이거 메테오 u7도 가능한가요???????
울트라시리즈메테오는 최대프로세서성능 사용안함 or 99%성능 만 적용가능하고. e코어위주로 돌아갑니다. 온도는 내려가고요. 클럭세부조정 안됩니다 14700hx 등 리프레쉬모델은 세부 클럭 조정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이 설정으로 해놓고 인텔 익스트림 튜닝 유틸리티로 터보 부스터를 65w 정도로 낮춰도 게임 하는데에는 지장이 없을까요?
온라인게임인 베그등은 cpu성능이 줄어들면 프레임이 많이 줄어들더라고요. gpu위주 게임은 괜찮을 것 같은데 컴사양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it_sopoom 주로 몬헌을 많이 하는데 확실히 선생님 방법대로 하니까 발열이 줄어들긴하네요. 감사합니다.
레지스트리파일 4개 받아서 실행시켰는데 전원옵션에는 균형조정만 나옵니다. 혹시 사전에 해야할 작업이 있을까요? ㅠ
왼쪽에 전원관리옵션 만들기 눌러서 만들으세요.
@@it_sopoom P4 E3으로 잘만들어집니다. 밸런스 모드인데 소음도 조용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커여운데굴이저도 같은 현상인데 혹시 어떻게 해결하셨나용?
@@99dyd59 2분 35초 보면 소품생활님이 만드는법 보여주십니다.
@@커여운데굴이아 그럼 나머지 네개도 숫자만 다르게 같은 방법으로 만들면 되나요?
델 에일리언웨어x16r2
인텔 코어Ultra9 코어Ultra9-185H
지포스 RTX 4090 입니다
적당한 세팅값 부탁드려요😢
팬소음때문에 전원관리 옵션 왠만한건 다
설정했는데 p코어 e코어 적당한 값을 찾는건 컴맹인 저한테는 너무 어려운거 같아요 ㅠ 제발 적당한 세팅값 좀 알려주세요 ㅠ 구독과 좋아요 알람설정했어요 ㅠ
저는 최대.최소 프로세서 주파수가 없어요 어디서 찾아야되죠?
온도가 내려감=소음도 내려간다 죠?
네 맞습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게임 비교 영상 상단에 수치 모니터링은 어떤 프로그램인가요?
ruclips.net/video/z9-LMRu-Fuo/видео.html
주파수설정이 없는데.. 왜이럴까요?
헬리오스네오 i5 14500hx입니다.
최소프로세서상태, 최대프로세서상태 밖에없네요..
@@수선화-u4b 더보기의 레지스트리파일 받아서 실행적용해보세요
인텔i5-13420H vs 라이젠5 7640hs
노트북 시피유중 뭐가더 좋을까요
가격은 다 비슷비슷하던데요
nanoreview.net/en/cpu-compare/intel-core-i5-13420h-vs-amd-ryzen-5-7640hs cpu성능은 비슷한데 gpu성능은 2배이상 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13900hx 유저인데요.
P코어 E코어별 최적화된 추천 클럭수치 있나요?
멀티성능 높으면서 발열을 최소화할 때는 P3 E4 조용하게사용할때는 P2.5 E3 부스터 안터지면서 성능 뽑고 싶으면 P4 E4 정도 상황에 맞게 만들어서 맘에 드는것 빼고는 제거하고요. 입맛에 맞게 여러개 만들어서 맞는 것 찾아보세요,
@@it_sopoom 감사합니다!
혹시 P라인업도 효과가 있을까요?
네 윈도우 사용하는 모든 cpu 가능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공부 중인데 p코어 활성화
인텔 12 13세대는 P코어 E코어로 나뉘어 있고 개별설정해야합니다.
@@it_sopoom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올려주신 레지스트리를 다 적용한 직후(전원옵션을 만들기 전)에는 cpu 동작이 느려지는 것 같아서 싱글코어를 강제로 멀티코어로 돌리며 일하는건가? 하는 궁금증에 여쭤봤습니당 ㅎㅎ. 이걸로 클럭 제한이 아닌 오버클럭도 가능한건지도 여쭤봅니다
@@it_sopoom 아 그리고 혹시 이전 세팅으로 초기화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염치 불구하고 물어봅니당..
14세대 울트라5 125h도 위 설정대로 가능한가요??
@@Himanzzful 14세대 울트라5 7은 클럭값 안먹힙니다. 최대프로세서 성는 사용안함을 선택하면 p코어성능이 절반으로 내려가서 발열은 잡힙니다.
@@it_sopoom와 자세한 설명 답변 감사합니다^^
현제 i7-10870H 를 쓰고 있는데요 P코어 건드는 건 의미 없겠죠?
@@ms.johnson3506 10세대는 p코어로만 되어있는데 윈도우 전원설정에서 p코어 e코어 둘중에 하나가 클럭 조정가능할거에요 해보세요
방금 시도 해보니 p코어 옵션이 켜지긴 했는데 이게 제대로 작동 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ms.johnson3506 네 작동되는지 입력해보시고 작업 관리자에서 CPU 프로세서 확인해 보시거나 HW인포 유틸로 CPU 코어 별 프로세서 주파수도 확인 가능합니다
@@it_sopoom 넵 감사합니다!
@@it_sopoomHWiNFO 로 확인 해보니 p코랑 e코 안 나눠져 있고 그냥 코어1 T0 이런식으로 되어 있는데 의미 없는 옵션인건가요?
혹시 적용후에 원상복구 하는법은 어떻게 하면 될까요?
세팅갑에서 1. 프로세서 주파수 모두 0으로 돌립니다. 2. 프로세서성능강화모드 모두 적극적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it_sopoom 아하^^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펄스15msi노트북사용중인대 어찌하죠?
cpu가 모델명이 어떤건가요?
원팬 13700h+4050 노트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4000 / 3000 유지도 못하네요 ㅜㅜ ㅋㅋㅋㅋ
혹시 AMD 7840hs도 적용이 가능할까요??
안될 것 같습니다. 8845hs도 안되더라고요
헬네오에서 무음모드로 하는거랑 비슷할까요?
여기서 gpu 언더클럭까지 하면 비슷해집니다. 헬네오 무음모드가 cpu gpu 언더클럭상태거든요
레지스트리를 다운받아서 실행까지 시켰는데 전원옵션에서 뜨지를 않네요 ㅠㅠ 왜이런걸까요
아직 안뜨나요?
13650HX도 동영상 세팅 수치 그대로 따라해도 될까요?
@@hirata2853 네 하셔도 됩니다
@@it_sopoom 감사합니다! 언더볼팅은 잘 모르면 안건드리는게 좋다는데 그냥 이 글 따라서 언더클럭만해도 충분할지 좀 여쭤보고싶습니다..
네 언더클럭만 하셔도 됩니다. xtu사용하면 언더볼팅 되는 cpu들이 있긴합니다
근데 이거 복구는 못하나여?
기존에 만들어진 균형모드만 남기고 나머지 제거하시거나 기존 값들로 변경하세요
게임할때 어떻게 gpu 클럭이 고정되는건가요?
@@화신-f1x MSI 애프터 버너에서 커브드 클럭 고정을 하면 게임을 할 때도 해당 클럭으로 고정이 됩니다. 적응 범위가 있기 때문에 무조건 되는 건 아니고요.
근데 전력제한 주고 적용 확인 이후 다시 돌아가서 보면 값이 임의셋팅으로 돌아가는건 뭔가요
어떤 cpu인가요? 작업관리자 모니터링하면 다르다는건가요?
@@it_sopoom 그램인데 이번 메테오 울트라 125h입니다 hw모니터로도 제한이 안됩니다 발열도 60도고
아 울트라시리즈는 최대성능 사용안함 or 최대프로세서상태 99% 2개가 동일한 효과를 보입니다. 그 외에 클럭제한 값은 안먹습니다. 다른 분이 알려주신방법도 저는 안되더라고요. 위 적용 효과는 p코어 50%이하사용 e코어 위주로 동작합니다
@@it_sopoom 아 어쩐지... 감사합니다!
I9 헬네오 진행중인데, 저는 전원옵션 프로세서쪽이 %로만 나오네요 ...?ㅠㅠ
레지스트리 4개 파일을 적용했는데도 그러나요?. 헬네오도 마찬가지로 이 방법 썼거든요.
@@it_sopoom 코멘트 보고 다시 받아서 다시 적용해보니까 잘 됩니다 :)
i9 헬네오 16인치 동영상과 같이 P4000 E3000 으로 설정했습니다.
지금은 프레데터 센서 성능에서 적용중이고 게임이나 웹서핑 할때 이대로 사용하고, 문서나 조용한것이 필요할때는 그냥 프레데터 센서에서 무음 모드 하면 될까요 ??
@@A.Hanari 네 그렇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it_sopoom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헬네오 덕분에 이렇게 친절하신분도 만나고 기쁘네요! 앞으로도 자주 시청하러 올게요 :)
안녕하세요, 오픈톡방에 있다가 비오는날 주머니안에서 뭐가 잘못 눌렸는지 나중에 보니
0. 이라는 톡이 발송되었네요 본의 아니게 톡이 발송되어 미안합니다.
강퇴를 당해서 룰 때문에 그렇구나 하고 이해하면서도 일부러 멘트를 치거나 한 건 아닌데... 하는 아쉬움도 있었지만
좀 지나면 풀어 주시겠지 하면서 기다려보았습니다. 그런데 며칠이 지난 지금 그냥 그대로 강퇴가 유지되고 있는데....
강퇴좀 풀어주시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입장시 사용한 프로필명이 어떻게 되나요? 확인해주시면 풀어드릴게요. 요새 간간히 광고 비난성 장난 글을 올리는 것 땜에 다른 분들이 많이 화나있습니다. 그래서 글 하나라도 올라오면 바로 강퇴시켜달라고 요청들어와서 바로 내보내고 있습니다. 시간지나서 풀어드리기엔 단톡방 차단 목록에 메모기능이 없고 누가 누군지 확인도 안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도 없고요. 고의가 아닌경우 기분이 나쁘셨을거에요 ㅜㅜ
@@it_sopoom 아이고 ㅜㅜ 그러셨군요 기분 나쁠일 까지는 아니고 충분히 이해하고있습니다 ^^ 닉네임은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했더니 :
벌 서는 라이언 입니다 ^^;;; 9월11일월요일에 강퇴되었습니다~
네 풀어드렸어요 .
감사합니다. 게임 중 노트북 팬 소음이 많이 줄어들었는데 영상에서 나온 P4 E3 상태를 게임 구동이 아니라 웹서핑 등 평상시에도 계속 해놓아도 괜찮을까요?
네 상관없습니다. 저도 평상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소품생활님! 지금까지 올려주신 언더볼팅/언더클럭 관련 영상들을 차근히 살펴보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인텔 12세대 이후 CPU의 언더클럭을 다룬 이번 영상에서는 이전 영상과 달리
1. "최대 프로세서 상태"를 100%를 99%로 바꾸는 설정과
2. "프로세스 성능 강화 모드"를 효율적 활성화로 바꾸는 설정
이 두 개의 설정이 제외돼 있는데요
혹시, 12세대부터는 이 두 개를 굳이 안 해줘도 되는 걸까요?
아니면 병행해주면 더 좋을까요?
좋은 정보 항상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답변 미리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네 12세대부터는 말씀하신 1번 2번이 유용하지 않습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it_sopoom고맙습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12세대 i7인데 e3000 p3000했습니다. 발열 최고 효율로 하려면 더 내리는게 날까요??게임보단 웹서핑 영화시청인데 테블릿이 i7 12700h라서 배터리 너무빨리ㅜ닳아요...
2000씩으로 마춰도 상관없을까요?
네 상관없습니다. 그렇게 맞추시고 hwinfo에서 전력소비량 작업표시줄에 노출시키고 모니터링해보세요. 그리고 간혹 백그라운드프로세서가 전력소모가 많을경우 CPU사용률이 높은 프로세서를 중지또는 제거해보세요. 저는 개인적으로 인텔드라이버설치도우미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에서 cpu점유와 전력소모를 많이했습니다.
i5 - 13500H는 p e 를 어느정도로 잡는게 좋을까요?
저는 p4 e3 를 기본세팅으로 잡고 있습니다. 부스터만 안터져도 영상인코딩시 80도 안넘으면서 평소 쾌적한 작업환경이 가능해서요
i5 12500h는 e코어 p코어 각각 얼마 정도 잡는게 발열과 성능잡기 좋을까요?
P 3.5 E 2.5 1개, p 2 E 2 1개, 2개정도 만들어놓고 필요에 따라 더 만들어보세요. ^^
일단 4:14 까지 따라해봤습니다. 이상 생기면 다시 복습해볼게요
여전히 안되네요 m.2 발열이 문제인건지... 뭐가 문제일까요 m.2 방열 스티커 중요한가요?
발열 자체는 잡히는데 뭐가 문제인지 버벅이는게 너무 심하네요 윈도우 10이 원인이 될수있을까요?
윈11에서 버벅임 없어지는경험이 있긴합니다. ㅜㅜ
@@it_sopoom 확실히 코어 제어는 11이
낫네요
혹시 Rog Srix G18 14900HX 제품 사용중인데 위의 영상에 나오는 방법으로 적용 가능할까요??, 가능하다면 적절한 클럭 값 셋팅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ㅠ
@@쉬바르킷세키 여러 개 만들어 놓고 맞는것 찾으시는 게 좋고요. 적용은 됩니다. P4 E 3로 하나 만들어 놓고 그 외에도 조금씩 낮춰서 사용해 보면서 적당한 거 찾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