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딧불이는 왜 빛날까?│알, 애벌레, 번데기까지 빛나는 진짜 이유!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1 фев 2025
- ※후원하기 : toon.at/donate...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은
영상 제작과 채널 성장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많은 사람들이 반딧불이의 빛을
'짝짓기' 용으로만 알고 있는데요.
그런데 여러분 그거 아세요?
사실 반딧불이는
알도, 애벌레도, 번데기도
빛을 냅니다.
빛이 짝짓기를 위한 용도라면
굳이 성충이 되기 전에는
이렇게 빛을 낼 필요가 없을 텐데요.
도대체 이 녀석들이 내는 빛의 정체는 뭘까요?
오늘은 반딧불이의 빛에 숨겨진
또 다른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그럼 영상을 통해 만나 보세요!
#반딧불이 #빛 #독소
================================================
[참고 자료]
Eisner, Thomas, et al. (1997). Firefly "femmes fatales" acquire defensive steroids (lucibufagins) from their firefly prey.
Lewis, Sara M., and Christopher K. Cratsley. (2008). Flash signal evolution, mate choice, and predation in fireflies. Annual Review of Entomology, 53, 293-321.
Ballantyne, Lesley et al., (2011). "Pteroptyx maipo Ballantyne, a new species of bent-winged firefly (Coleoptera: Lampyridae) from Hong Kong, and its relevance to firefly biology and conservation."
Yuichi Oba et al., (2011) "The Terrestrial Bioluminescent Animals of Japan."
Nooria Al-Wathiqui et al., (2016)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firefly nuptial gifts: a multiomics approach sheds light on postcopulatory sexual selection."
Manabu Bessho‐Uehara et al., (2017).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Luc2‐type luciferase in the Japanese firefly, Luciola parvula, involved in a dim luminescence in immobile stages.”
Bessho-Uehara et al., (2017)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gene expression profiles of two paralogous luciferases from the Japanese firefly Pyrocoelia atripennis (Coleoptera, Lampyridae, Lampyrinae): insight into the evolution of firefly luciferase genes."
[음악]
Sweet Day Instrumental Version
Cartoon Ukulele
Climb On Instrumental
[사진]
썸네일 및 사진/ Pixabay, 123RF
영상/ 셔터스톡
일러스트레이션/ all.freevector.com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이유부터가 처음이고. 모든 내용이 처음 들어여ㅋㅋㅋ
이 영상이 새로운 포문을 뚫어 줬군요 ㅋㅋㅋ
그건 좀 너무한데;;
@@TV-ut2tn ㅇㅈ
얘네가 왜 ‘개똥벌레’ 노래 속에서 친구가 없는 외톨이였는지 알 것 같다ㅋㅋㅋ 독이 있으니까 ㅋㅋ
ㅋㅋㅋㅋㅋ인정!^^
어...
와 개똥벌레 완전히 과학적이였잖아..
반딧불이 나는 속도가 느리고 눈에 띄는 빛을 내는데도 생존할 수 있었던 이유가 있었군요.😲
믿음직한 독!!^^
철원에서 군생활하면서 반딧불이 처음봤는데 정말 신기하더라구요 반짝반짝 거리면서 몇십마리씩 날아다니는데 진짜 이쁩니다ㅋㅋ
4:30 카피추ㅋㅋㅋ여기서도 흥하시는군요
ㅋㅋㅋ보고싶다고 다 볼 수 있다면 이별없는 세상이겠지요
또 신기한 주제다 너무좋아 ㅠ
다음엔 더 신기하고 유익한 컨텐츠로 돌아오겠습니다 :)
역시 반딧불은 위험한 곤충이니 밤에 공부한답시고 잡아서 등불 만들지 말고
아침6시에 일어나 개밥 줘 소밥 줘 할머니 밥 차려드려 깨밭에 가서 깨 털어 비 오면 고추 걷어 해떨어지면 자빠져 잡시다.
ㅋㅋㅋㅋㅋㅋㅋ형설지공 뚝배기 깨는 댓글
이거 이제보니 이지노..
진짜 강원도급 산골에서만 볼수있는 신기한 생물...
도심에서는 절대 보기 힘든 ㅠ
포천에서 전술훈련할때 텐트에서 엄청 봤습니다 아 그게 강원도급 산골인가
강원도급산골을아니지만 촌인데 몇년전까진 울동네에서도 간혹 몇마리보긴했는데 최근엔 본일이없네요...
무주에서 봄
참 늦게 알았지만. 항상~~~
재미. 사실. 과학적에 알려줌
감사해요. 😷🇰🇷♥.
시골에서 살때 반딧불이를 보면서 너무 느리네 했는데 이유가 있었군요
오랜 고민이 한번에 풀렸습니다 감사합니다^^
앗! 직접 반딧불이를 보셨구나 전 한번도 못봤어요 ㅠ
진짜 정말 감사해요💚 영양가 높은 지식들 덕분에 얻구가요. 과학드림 흥 하시길🎊🎉🎉
엇! 감사합니다 (--)(__) 꾸벅!
반딧불이 곤충중에서 제일 이쁜거같아요👀
이쁘면서도 신비한! ^^ 가끔은 잔혹한? ㅎㅎ
우왕 일찍왔다 항상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봐 주셔서 감사해요!
첨보는데 반했어요~~>
진짜 태어나서 처음으로 군대에서 반딧불이를 봤었는데 밤에 바닥에 떨어져서 깜빡깜빡하고있길래 수신기 같은건가...? 근데 저런게 왜 떨어져있지 해서 가보니까 반딧불이더라 ㄹㅇ 무슨 기계같음 개신기했음
크~ 실제로 반딧불이 보셨구나! 전 사실 태어나서 한번도 본적은 없어요. 무주산 반딧불이 축제에 가 보고 싶네요 ㅎㅎ
@@ScienceDream 진짜 기계로 만든 곤충같아요 곤충한테서 빛이 나온다는거 자체가 넘나 신기함
우와 진짜 신기해요
신기한 녀석들이죠? 저 빛이 뜨겁지 않은 냉광인 것도 신기하더라고요
신기하넹 ㅋㅋ 반딪불이 보호체계였다니!
루시 부파긴~!
정말 신기하고 아름답네요~
알까지도 빛을 내다니 코건 몰랐네요 ㄷㄷㄷ 성대가 너무 잘생기셔서 자꾸 보게돼여ㅜㅜㅋㅋ 귀살녹..ㅜ
목소리 너무 좋으세요...!
감사합니당!!:)
강원도 인제에서 신교대나왔는데...
야간사격대기중 반딧불을 첨봤는데 거기 조교,교관,훈련병까지..다들 예쁘다고 하더라구요
진심 예뻣습니다
와.. 곧 반딧불 축제 갈거라서 영상 찾아본건데 여러영상 중 이 영상이 최고네요👍✨️✨️ 반딧불이 사람한테 다가와도 위험하진 않은거죠? 그런것도 다뤄주셨으면 좋겠어요😊
5:06 뭐야! 진화의 퇴물이잖아
신기신기~~
와 이런거 너무 신기 한거 같아요
저만 신기한 게 아니라서 다행입니닷 헤헤^^
오~신기하네요.
감사합니다 ^^
오늘도 유익한 영상 재미있게 봤습니다. 기회가 되신다면 아르마딜로, 개미핥기, 나무늘보 로 구성된 이빨에 에나멜 물질이 없으며 이빨에 뿌리가 없는 빈치목에 대해서 다뤄주세요.
나무늘보, 아르마딜로 둘 다 끌립니다 :) 시간만 많다면 다 다루고 싶어유 ㅠ
다슬기가 있는곳에서 발견가능성이 높지요
구독누릅니다 진짜 궁금했던내용을 알려주시네요!!! ㅋㅋ개미편도 진짜 궁금했었는데 ! 여왕개미가 제일 최곤줄 알았는데... 제일 안쓰럽네요...ㅠ
내용 너무 알차고 친절한 설명덕에 이해도 쏙쏙 되었어요! (*´ ˘ `*)
1:17 "익숙"한 이요?! 처음 듣는데...
훈련소에서 야간행군할때 반짝반짝하던 반딧불이 태어나서 첨이자 마지막으로 본건데 그때가 떠오르네여 좋은영상감사해요
네 저는 군대에서 야간 초소 쓸때 반딧불본적있어요 그게 첨이자 마지막으로본 반딧불
크~ 야간 초소 근무!! ㅠㅠ 그때 고라니도 종종 등장하곤 했었더랬죠 ㅎㅎ
반딧불 보러 군대 한번 더 콜?
@@이름-u5d6x 차라리 자살하겠어요 ^^;;;;;
2:37 이 실험 수능 영어 지문에 나왔던데
ㅇㅈ
*반딧불의천적은 바로 사람이다*
우와 우리의 과학드림이다!!! 고막남친(오빠)
동영 올라온거 이제알앗네 회사가기전에 보구가야징!! 오늘은 신나는하루!!!
토욜 출근? ㅠㅠ
4:40 카피추 형이 거기서 왜 나와?
오랜 구독자인데요,,
그림 전환속도가 너무 빨라졌어요..ㅜㅜ
그림속 말주머니 대사가 많은데
읽을 틈 없이 팍팍 넘어가 버리는 장면들이 많아요..ㅜㅜ
앗ㅠㅠ 이번에 나름 내레이션 속도를 조절해 봤는데 다음 제작 때는 더 신경 쓰겠습니다. 말풍선에 들어가는 글량도 좀 조절을 해 봐야 할 것 같아요 ㅠ
좋겠다 반딧불이는 건강하기만해도 할수이ㅆ.....헙
아 진짜신기해
^^
저런걸 연구하는 사람이 존경스러울 뿐
반딧불이 귀여워 보이는데 잡아먹는거에서 섬뜩;;
냉혹한 자연의 세계죠 ㅠ
뒷산에 토끼굴 있고 독수리 떼 날라다니는 깡촌에서 살았으나 반딧불이는 초딩시절 제주도 성산일출봉 가족여행가서 처음 봤엇는데 커서도 잊질 못함. 너무 이뻐서 잡을 생각도 못하고 보기만 했는데..
과학드림님 질문이 있습니다!!
부모와 자식은 유전자의 50%를 공유한다고 하잖아요?
근데 침팬지와 인간이 dna가 99% 가 일치한다고 하던데
둘이 어떻게 다른건가요?
dna랑 염색체를 구별할 수 있으시면 이해하기 쉬우실것같아요.
사람은 23쌍 염색체가 있는데, 부모로부터 반반씩 물려받아서 염색체를 공유하는거에요.
그리고 그 염색체 안에 유전정보, dna가 있는거에요 !
그리고 이 dna 염기쌍은 30억개정도가 있어요.
그리고 이 30억개 중에서 침팬치가 몇프로 유사하다는걸 의미하는거에요. 기억으론 침팬치가 80퍼로 정도인거같은데 99퍼는 인지는 모르겟네요.
침팬지는 24쌍의 염색체, 인간은 23쌍의 염색체를 지니고 있습니다. 수십억 개의 DNA 전체의 염기서열을 모두 비교하기란 불가능합니다. 서열이 다른 부위가 너무 많기 때문이죠. 그래서 과학자들은 비교하기 곤란한 DNA 중 약 13억 개의 유전자는 잘라버리고 나머지 24억 개를 하나하나 맞춰 본 결과, 인간과 침팬지는 98.77%(약 99%)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그러나 이 수치는 침팬지의 유전자에서는 18%가 제외돼 있고, 인간에게서는 25%의 유전자를 제외한 후 맞춰 본 수치입니다. 그래서 유전자가 몇% 일치한다는 말은, 사실 큰 의미를 지니지는 않습니다. :) 반면, 부모와 자식이 유전자의 50%를 공유한다는 말은 DNA 전체 중 50%가 같다는 말이기 때문에 앞선 침팬지의 상황과는 조금 다르다고 볼 수 있어요.
@@ScienceDream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합니다!!
왜 빛이 나는지도 알려주셨으면 ㅎ
반딧불이는 본적있지만 별을 본적이 어렸을때뿐일듯 요즘 별찾기가 힘들어
요즘은 반딧불이를 보고싶어도 못본다는...
숲이 개발되면서 서식지가 많이 사라져 가고 있다고 하죠 ㅠ
오늘 동물의 왕국에서 물총물고기 나왔는데 되게 의미 심장한 말만하고 끝나서 물총물고기에 대해서도 다뤄주세요
목소리도 좋고 이해 쏙 되게 정리도 잘해주셔서 너무 감사합ㄴ디ㅏ ^^
지금은 실제로 보기힘든 반딧불이. 예전에는 옥수수밭에만 가도 드글드글했었는데..
2:40 이 실험 작년 6월 모의고사 문장삽입문제로 나온건데 ㄷㅂ
여담) 초딩때 선생님이 해주신 말씀중에 옛날옛적 전기없을때 쟤들 여러마리 모아서 밤에 글 공부도 하고 그랬다고 하던데.. 실제로보면 빛이너무 희미함 ㅠㅠ뻥친걸까 선생님..
통에 꽤 많이 넣어서 그렇지 않았을까요? 그때는 밤에 밝지않아서 어두운 곳에서 눈 동공이 커져서 요즘 사람들보다 어두운데서 보는게 익숙했을 거에요
형설지공 이라는 고사성어를 말씀해주신 거 아닌지요.
진나라의 차윤이 반딧불이를 모아 공부하여 벼슬길에 올랐다는데서 유래한 말입니다.
반딧불이 1마리의 밝기가 3lux인데, 이는 촛불 하나의 밝기와 비슷하다고 하네요. 하지만 반딧불이는 빛을 계속 깜박거리고 깜박이는 시간 간격도 제각각이라서 책을 읽기에는 무리라고 들었습니다 :)
빛보다 신비하다!
알도 빛나는거는 처음 알았네요 ㅋㅋㅋㅋㅋ진짜신기하네
사람이나 반딧불이나 밤에 일하면서 빛을 내는건 똑같군요
우왕 신기해
새삼 박쥐가 귀여워보였다
절레절레 하며 반딧불이 먹기 싫어하는 거 귀엽던데요 ㅋㅋㅋ
근데 팜므파탈반딧불이는 채내에 독소가 없는데 저 독소를 버텨내니까 채내에 보관이 가능하다는건데 어떻게 안죽고 버티는건지..
생각해보니까 형설지공에서 차윤 부분(반딧불이 잡아다가 그 불로 공부)에서 잡힌 반딧불이들 개불쌍하네 ㅠㅠ
사람으로 치면 고백하려고 케이크 들고있는데 어떤 거지가 그거 낚아채서 먹은 셈...
참고로 실제로 반딧불이 모아다가 보면 빛이 그렇게 밝지도 않고 주머니에 넣으면 다 질식해버리는 바람에 책을 보기에는 어렵다고 한다.
궁금 한거 왤케 잘찾으심 ㅋㅋ 영상들 다 안누를수가 없네
감사합니다 :)
옆에 떠서 이번에 처음 본 '지구 공동설' 이라는 얘기 있는데 요런것도 알려주실 수 있나요?
처음 본 얘기라 뭔가 싶어서 궁금한데
외계인 얘기 같은 계열이라 관심 없으시려나
왜 빛날까? 라고 해서 어떤 원리에 대해 말해줄주알았는데 그런 내용은 하나도없네..
21학년도 6평 영어 39번에 이 내용이 문장 삽입 문제로 나왔어요
^^
원래 우리 지역이나 근처에는 반딧불이 없었는데
코로나로 사람들 많이 없어지니까 반딧불이 많이 보임
ㅎㄷㄷㄷㄷ
제주도 갔을때 태어나서 처음으로 반딧불이를 봤어요
수업 시간에 배웠는데, 반딧불이의 루시페라제라는 성분을 이용해서 유전자 조합에 쓰인다고 합니다. 유전자가 재대로 수정되었다면 빛이나고, 제대로 되지 않으면 빛이 나지 않는점을 이용해서 간단히 유전자 확인에 이용 한다고 합니다. 아마도?
살면서 반딧불이는 군대에서 처음봤었어요. 위병소 근무서다가 앞에 반짝거리는게 날라다녀서 보니깐 이것이 반딧불이구나.. 했죠
내가 어릴땐 추석날쯤에 반딧불이 지천에 날아다녀 잡아서 불만떼네 눈에 붙이고 다녔는데...
반디의 불은 화학반응을 일으켜 빛을 내는 것이지 특정기관이 발광하는 게 아니다. 배때지 짤라내면 화학물질 분비가 멈춰서 꺼진다
따라서 불만 떼내는 것 같은 건 불가능하다고 ㅋㅋㅋㅋ
@@pool71026 어릴떄잖아요 ㅎㅎ
우리나라에서는 본적도 없고 필리핀 보홀섬에서 딱 한번 봤음. 슬프당
요즘 정치 유튜버들 판치는데 이런 과학유튜버 너무 좋다.
조회수1화라니!!
첫 시청 감사합니다^^
반딧불이 보고싶어요 한번을 못봤네 ㅠ 지천으로 천천히 날아다니는거 보고 죽어야지 핳
저도 한번도 못봤어요 ㅠ 보고싶다 반딧불!
반디불이 애블레는 달팽이가 지나간 자리에 남는 점액을 보고 추격한대요!
과학은 세상을 보는 창
강원도 인제에서 군생활할때
밤에 종종 날아댕겻지..
너무 느려서 잘잡혔었는데
그때본게 처음이자.마지막이네
스스로 빛을 내는 곤충도 있고 스스로 전기를 뿜는 물고기도 있고 목 길이만 수미터에 뿔 달린 동물도 있는데 그깟 뿔이랑 날개달린 말이 왜 없냐고 왜....
반딧불 외계어로 뮤탈입니다
우아 잡아먹고 독소 저장하는건 참신한 방법이네요
그래서 반딧불이는 무슨 맛인가요?
아 사람이 얼마나 먹으면 죽는 지도 궁금해요
맛은 잘 모르겠지만 아마, 1~2마리 먹어서는 죽을 것 같지 않습니다 :)
반딧불이 잡고 싶당😂
어떻게 왜 빛을 내는가 라는 설명은 1도 없군 !
어릴적 외할머니네 영월 가면 밤에 고추밭에 수십 수백마리 반딧불 봣었는데 .. 이젠 거의 없어졌을 듯 .. 그립다 초등학교 시절 ..
몸길이:23~27m
등화채집
포투리스 이 요망한 것~
팜므파탈!
반딧불이 유격때 야간근무서다가 처음 봤는데 엄청 밝은 빛이 날라다니길래 개놀랬다.. 조그만 led처럼 빛나더라 와우
1마리가 내는 빛의 밝기가 촛불 하나의 밝기라고 하더라고요
박쥐가 반딧불이 불빛을 보긴 보나 보네요....초음파로 잡는게 아니고? 눈으로?....... 고것도 신기하네~
인간이랑 똑같네
몸매나 외모를 잘 가꾸어야 인기가 많을 수 밖에 없는게 현실
너무 궁금한데 동물들도 밥을 먹을때 자신의
혀를 깨물때도 있나요?
헛! 글쎄요...근데 깨물 것 같습니다 ㅎㅎ
진주 훈련소 야간 사격하면서 처음 본 반딧불이ㅋㅋ
사람은 돈 누가 제일 잘버나로 암컷의 택함을 받는데,, 동물은 역시 힘이 권력이구만..
엇 이 내용 6월 영어 모의고사에 나왔어요...ㅋㅋㄱ 물론 틀렸지만...
발광미생물은 암컷에게서 오나오, 수컷에게서 오나요? 아니면 양쪽 모두에게 와서 섞이나요?
거미가 반딧불이 잡아먹던데, 거미에게는 독이 안 통하는 것일까요?
암수 모두 발광을 할 수 있으며, 거미는 반딧불이 독에 대한 내성을 가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ScienceDream 아니아니, 알이 갖는 발광미생물이 어느쪽에서 왔느냐고요.
거미란 녀석 대단하군요!
반딧불이 에너지 효율이 99%란말이 있음 보통 인간이 만든 것들은 60%정도라고하던데..
반딧불은 누구도 안무서워하겟네요~
반딧불이 잡아 보면 냄새가 지독하긴한데.독때문에 그렇군요.. .
ㅎㅎ
우와
북 아메리카 붉은박쥐에게 뱉어진 반딧불이는 살았나요?
궁금해지네요 >-<
박쥐야 실험때문에 미안해 ㅜ.ㅜ
님들 반딧불이 애벌래가 사냥하는거 본 적 있으신가요? 개오집니다
반딧불잡아 그들의빛을이용해
공부했다는 전설도있음🌜🌘🌗🌖🌕
형설지공이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