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코님의 이번 영상도 여느 철학 관련 콘텐츠에 뒤지지 않는 깊이와 의미를 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젠슨 황과 손정의의 우정, 그리고 AI 시장의 가능성을 바라보며, 그들이 단순히 수익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비전과 꿈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인상 깊게 보았습니다. 솔직히, 이러한 모습들을 보며 우리나라의 현실과 비교하게 되었고, 부러움과 동시에 아쉬움이 교차하는 감정이 들었습니다. 특히, 과거 삼성이 엔비디아의 낮은 시가총액을 이유로 젠슨 황을 무시했다는 일화를 알게 되었을 때, 우리 사회가 물질만능주의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안타까움도 느껴졌습니다. 아무튼 이번 영상을 통해 오랜만에 마음이 뜨겁게 움직이는 경험을 할 수 있어 정말 기뻤습니다. 감사합니다.
젠슨 황조차 하드웨어 기업의 기업인이라는 한계 때문에 여전히 현존하는 개념인 플랫폼이라는 좁은 개념으로 밖에 바라보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근시일 안에 진정한 보편적인 수준의 인공지능이 나온다면 그것은 궁극적으로는 단순히 산업의 변화가 아니라 문명을 이끄는 주체의 변혁일거라 예측해봅니다
몇일전에 스필버그의 AI를 다시 봤는데 어릴땐 영화로만 보였던 이야기가 현실과 멀지않은 내용이겠구나 싶더라구요. 조만간 인간은 자신의 로봇으로 돈을 벌어 장을 보고 데이트를 하고 전쟁까지 벌이는 가상의 존재가 될 것 같아요. 돈이 없어서 망가진 로봇을 다시 살 수 없다면 곤란할 일도 겪을거구요. 결국엔 모든 기능을 그들에게 넘기고 사라지는 존재로만 남을까봐 씁쓸하네요.
안녕하세요? 철학공부에 관심이 생겨서 검색하다가 우연히 들렀습니다.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저는 철학을 전공하거나 전공자에 준하게 전문적으로 공부하려는 게 아닙니다. 그저 근현대 철학자들, 이를테면 칸트, 스피노자, 루소, 홉스, 들뢰즈, 롤스 등 이런 철학자들의 저서를 무난히 읽고 이해할 수준이 되고 싶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말씀하신 것처럼 철학사 몇 권 읽고, 바로 관심있는 저자들의 책을 골라 읽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학부 전공생들처럼 철학사와 더불어 '논리학', '존재론', '인식론', '해석학', '구조주의', '실존주의' 등을 공부한 후에 관심 가는 저자들의 책을 읽어야 할까요? 물론 학부 전공자들처럼 체계적으로 저것들을 다 공부하는 게 철학자들의 책을 이해하기 쉽겠지만, 철학을 전공하거나 전문적으르 공부하는 게 아니라, 살면서 필요할 때마다 철학자들의 시선으로 문제를 입체적으로 바라보고 그것을 통해 문제의 실마리를 찾기 위한 공부로서는 너무 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고민이 많이 되는데 선생님께서는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
자본주의 시장에서 미래를 내다보는 듯한 황의 예견을 충코님은 좋은 면만 보시는 듯합니다. AI 윤리, 대세론을 따르려는 공리주의적 도움말이 넘쳐날거 같지는 않나요? 넘어야 할 산은 많고 노벨상 받으신 분들도 많은 걱정을 하시더군요. 황씨말 대로 쉽게 되진 않을겁니다. 좀더 비평적 논조의 충고님의 고견을 정리한 후속을 기대합니다.
새로운 산업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지요. 전기혁명, 컴퓨터혁명, 인터넷혁명, 스마트폰혁명 그리고 다음 혁명은 AI혁명이라는 것은 확실해보입니다. 스마트폰의 보급화로 세상이 변화 한 것처럼 AI가 상용화 되고 스며드는 세상이 되면 세상은 지금과는 또다른 세계와 저의 세계가 만나게 될 시간이 곧 다가올 것이 흥미롭습니다. 재미있게 잘 봤어요 :)
@@OmVoid_jockey 당연히 현재 소비자들이 접근할수 있는 수준의 서비스야 한달에 20달러어치 가치의 컴퓨팅으로 제공할수 있는 수준이니까 그렇죠 당연한 이야기지만 그 Ai가 인간의 일을 대체하면서 생기는 효용가치가 컴퓨팅 비용을 넘는 임계점에 도달할때까지 일반인의 생활에 침투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몇년안에 그 임계점을 도달할수 있을정도로 발전은 가속되고 있는게 분명하기 때문에 이런 말을 하는거죠
오늘은 지난주에 했던 라이브를 편집해서 올렸습니다. 철학적인 내용이라고 보기엔 애매하지만, 저에게는 미래에 대한 흥미로운 상상으로 다가왔습니다. 다음주에는 세계의 형태와 예술에 대한 내용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충코님의 이번 영상도 여느 철학 관련 콘텐츠에 뒤지지 않는 깊이와 의미를 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젠슨 황과 손정의의 우정, 그리고 AI 시장의 가능성을 바라보며, 그들이 단순히 수익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비전과 꿈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인상 깊게 보았습니다. 솔직히, 이러한 모습들을 보며 우리나라의 현실과 비교하게 되었고, 부러움과 동시에 아쉬움이 교차하는 감정이 들었습니다. 특히, 과거 삼성이 엔비디아의 낮은 시가총액을 이유로 젠슨 황을 무시했다는 일화를 알게 되었을 때, 우리 사회가 물질만능주의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안타까움도 느껴졌습니다. 아무튼 이번 영상을 통해 오랜만에 마음이 뜨겁게 움직이는 경험을 할 수 있어 정말 기뻤습니다. 감사합니다.
레이커즈 와일이 말한대로 될듯 최소한 비슷하게 인공지능 자체가 지능의 폭발이고 지능의 폭발은 모든 생산단가를 제로에 수렴하게 하며 우리가 상상도 못한 세상이 올듯
젠슨 황조차 하드웨어 기업의 기업인이라는 한계 때문에 여전히 현존하는 개념인 플랫폼이라는 좁은 개념으로 밖에 바라보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근시일 안에 진정한 보편적인 수준의 인공지능이 나온다면 그것은 궁극적으로는 단순히 산업의 변화가 아니라 문명을 이끄는 주체의 변혁일거라 예측해봅니다
몇일전에 스필버그의 AI를 다시 봤는데 어릴땐 영화로만 보였던 이야기가 현실과 멀지않은 내용이겠구나 싶더라구요. 조만간 인간은 자신의 로봇으로 돈을 벌어 장을 보고 데이트를 하고 전쟁까지 벌이는 가상의 존재가 될 것 같아요. 돈이 없어서 망가진 로봇을 다시 살 수 없다면 곤란할 일도 겪을거구요. 결국엔 모든 기능을 그들에게 넘기고 사라지는 존재로만 남을까봐 씁쓸하네요.
안녕하세요? 철학공부에 관심이 생겨서 검색하다가 우연히 들렀습니다.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저는 철학을 전공하거나 전공자에 준하게 전문적으로 공부하려는 게 아닙니다. 그저 근현대 철학자들, 이를테면 칸트, 스피노자, 루소, 홉스, 들뢰즈, 롤스 등 이런 철학자들의 저서를 무난히 읽고 이해할 수준이 되고 싶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말씀하신 것처럼 철학사 몇 권 읽고, 바로 관심있는 저자들의 책을 골라 읽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학부 전공생들처럼 철학사와 더불어 '논리학', '존재론', '인식론', '해석학', '구조주의', '실존주의' 등을 공부한 후에 관심 가는 저자들의 책을 읽어야 할까요?
물론 학부 전공자들처럼 체계적으로 저것들을 다 공부하는 게 철학자들의 책을 이해하기 쉽겠지만, 철학을 전공하거나 전문적으르 공부하는 게 아니라, 살면서 필요할 때마다 철학자들의 시선으로 문제를 입체적으로 바라보고 그것을 통해 문제의 실마리를 찾기 위한 공부로서는 너무 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고민이 많이 되는데 선생님께서는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
챗GPT 같은 AI도 아직 멀었음. AI가 쓴 글은 AI 디텍터로 100% 감지 가능함. 한마디로 진짜 사람 처럼 언어를 구사 못 한다는 뜻.
재밌당..
자본주의 시장에서 미래를 내다보는 듯한 황의 예견을 충코님은 좋은 면만 보시는 듯합니다.
AI 윤리, 대세론을 따르려는 공리주의적 도움말이 넘쳐날거 같지는 않나요? 넘어야 할 산은 많고 노벨상 받으신 분들도 많은 걱정을 하시더군요. 황씨말 대로 쉽게 되진 않을겁니다. 좀더 비평적 논조의 충고님의 고견을 정리한 후속을 기대합니다.
새로운 산업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지요. 전기혁명, 컴퓨터혁명, 인터넷혁명, 스마트폰혁명 그리고 다음 혁명은 AI혁명이라는 것은 확실해보입니다. 스마트폰의 보급화로 세상이 변화 한 것처럼 AI가 상용화 되고 스며드는 세상이 되면 세상은 지금과는 또다른 세계와 저의 세계가 만나게 될 시간이 곧 다가올 것이 흥미롭습니다. 재미있게 잘 봤어요 :)
Nvidia Ai 기술력이 흥미있긴한데, 아직은 모르겠어유~ 한 기술만 멋있다고 그거 지배되는건 아니니까.
다른기술도 AI를 위한 기술들로 대체되어야 유의미할거 같은데.
현대 문명의 모든 기술은 인간이 창조해내고 발전시켜온 것들이고 이를 인간의 지능으로 사용하는 것들인데 인간과 같은 보편지능을 가진 Ai가 나온다면 당연히 손쉽게 대체하겠죠
@oumuarice 소프트웨어 얘기라기보다는 하드웨어가 받쳐줘야한다는 말 인데 그게 아직은 좀 힘든듯요
@@OmVoid_jockey 오히려 초기 AGI의 경우 현세대 하드웨어로도 도달가능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oumuarice 리얼요?...아닌거같은데. 쓸모에 있는게 아직은 다 프로토타입 같은 느낌이라. 내논게 아직ㅋㅋㅋㅋㅋ전문가들 위주니 소비시장까진 무린거같음요.
@@OmVoid_jockey 당연히 현재 소비자들이 접근할수 있는 수준의 서비스야 한달에 20달러어치 가치의 컴퓨팅으로 제공할수 있는 수준이니까 그렇죠 당연한 이야기지만 그 Ai가 인간의 일을 대체하면서 생기는 효용가치가 컴퓨팅 비용을 넘는 임계점에 도달할때까지 일반인의 생활에 침투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몇년안에 그 임계점을 도달할수 있을정도로 발전은 가속되고 있는게 분명하기 때문에 이런 말을 하는거죠
일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