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읽어주는 훈장 누나] 동양 고전 논어(論語) 읽기⎮쉽게 배우는 동양철학⎮기초 한문 배우기⎮『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 04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고전읽기 #고전문구 #동양고전다시읽기 #동양고전강독 #동양고전 #경전 #경전이야기 #논어 #논어강의 #논어오디오북 #논어읽기 #논어해설 #논어집주 #논어독송 #논어특강 #논어강독 #논어학이편 #논어강좌 #한문배우기 #동양철학
    안녕하세요. J제이입니다.
    이번에는 동양 고전 논어(論語)를 쉽게 읽어드리면서 성현의 가르침과 기초 한문 공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상을 만들어봤습니다.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 04에 대한 영상입니다.
    이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 꾸~~욱 눌러주세요~^^
    ◆J제이 SNS◆
    *유튜브 구독 :
    / @jj333
    *페이스북 :
    www.facebook.c...
    *네이버TV : studio.tv.nave...
    *인스타그램 : / arima333
    *카카오스토리 : story.kakao.co...
    ------------------
    ◇이메일 : doongchi@daum.net (광고제안/ 이색 장소나 맛집 추천, 연애상담 및 사연, 문의 사항이 있으면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Комментарии • 16

  • @dokdo-arirangtv3298
    @dokdo-arirangtv3298 4 года назад +2

    훈장누나 덕분에 오늘 아침 머리를 맑게 시작하네유~
    누나, 고마워유~! ♡ ^,~

    • @JJ333
      @JJ333  4 года назад +1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강아지-y2b
    @강아지-y2b 4 года назад +3

    논어 내용 쉽게 설명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JJ333
      @JJ333  4 года назад +1

      되도록 쉽게 알려드리고 싶었는데 다행이네요~^^

  • @dongjuwon84
    @dongjuwon84 3 года назад +1

    고맙습니다

    • @JJ333
      @JJ333  3 года назад +1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 @yhwoo
    @yhwoo 4 года назад +1

    고맙습니다~~♥

    • @JJ333
      @JJ333  4 года назад +1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lovepinkusa7767
    @lovepinkusa7767 4 года назад +2

    어려워서 3번들었어요. .무척 도움 .🤣❤thank you

    • @JJ333
      @JJ333  4 года назад +2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좋네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MymdBoeing
    @MymdBoeing 4 года назад +2

    I have no idea what was said. But at least I’m feeling better!

    • @JJ333
      @JJ333  4 года назад +1

      Thanks for watching. How are you feeling?

    • @MymdBoeing
      @MymdBoeing 4 года назад +1

      J제이
      I’m getting better. Thank you!

  • @나현-o1p
    @나현-o1p 4 года назад +3

    당신은 🐀니어스 인가요

    • @JJ333
      @JJ333  4 года назад +1

      과찬이세요~~^^*

  • @한연방-b1e
    @한연방-b1e 3 года назад

    해석은 문자대로
    방식은 교과서적으로
    그러니 망했지요.
    왜 공자가 그런 접대성 말들을 남무시켰을까를 생각해야지 안을까요?
    전 성심리를 괸심있게 듣다가 보니 이런 것도 했군요.
    공자의 시기적인 사기성 접대말을 구분해야 공자를 압니다.
    공자는 자기 신분을 고려해서 왕 밑에서 세상을 바꾸고자했지만 맹자는신분을 넘어 뒤집어서 세상을 바꾸려 하자 않았나요?
    재미있는 논리를 즐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