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삼십수 - 광동어 (唐诗三百首)粤语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낭송의 묘미가 있는 광동어
로마자 발음 표기 옆에 있는 숫자 1, 2, 3, 4, 5, 6 은 성조를 뜻합니다.
1, 2, 3 은 음조라 하여 무게중심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4, 5, 6 은 양조라 하여 무게중심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무게중심이 성대 혹은 성대 아래 쪽에 있는 느낌입니다.)
1, 2, 3 음조는 전통 성운학의 청음에 대응하고,
4, 5, 6 양조는 전통 성운학의 탁음에 대응합니다.
칼그렌의 연구 이후 청음과 탁음은 오방언, 일본한자음을 근거로 학자 혹은 사람들이
무성음, 유성음이라 믿게 되었는데, 이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청음과 탁음을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으로 볼 경우,
세종대왕의 연구 및 기록에 전혀 부합하지 않습니다.
적어도, 세종대왕이 생각한 청탁은 초분절자질로서
음조와 양조를 가리킨다고 봐야, 비로소 맞춰지지 않던 퍼즐이 제 모습을 찾게 됩니다.
광동어로 시를 낭송하면, 음조와 양조가 어우려져 묘한 균형을 이뤄냅니다.
격앙되지 않지만, 균형미가 있고,
짜임새가 있지만, 어지럽지 않습니다.
담백하면서 섬세한 느낌이 일품인 광동어,
광동어로 시를 낭송한다는 것은 큰 의미를 갖습니다.
물론 저도 배움의 길에 있고, 아직 가야할 길이 멉니다.
광동어 한자음의 받침 -p, -t, -k와 한국 한자음의 받침 -ㅂ, -ㄹ(변화), -ㄱ
은 100% 대응합니다.
입성이 100% 대응한다는 것은
한국한자음의 원류가 중국 중원의 한자음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뜻하며,
이는 적어도 한나라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됩니다.
광동어는 중국 한자음의 화석이라 평가받는데요,
인체 발성기관의 공명강을 균형있게 활용하고,
한자음에 그것을 담아내는 미학은 경이감마저 들게 합니다.
한국에도 광동어를 배우고 관심을 갖는 사람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1. 정야사(静夜思) - 이백(李白) - 五言诗 (五言古绝) (五言绝句)
2. 등관작루(登鹳雀楼) - 왕지환(王之涣) - 五言绝句
3. 산거추명(山居秋暝) - 왕유(王维) - 五言律诗
4. 춘효(春晓) - 맹호연(孟浩然) - 五言绝句
5. 용어(咏鹅) - 낙빈왕(骆宾王) - 五言古诗
6. 춘야희우(春夜喜雨) - 두보(杜甫) - 五言律诗
7. 회향우서(回乡偶书) - 하지장(贺知章) - 七言绝句
8. 상사(相思) - 왕유(王维) - 五言绝句
9. 민농(悯农) - 이신(李绅) - 五言绝句
10. 심은자불우(寻隐者不遇) - 가도(贾岛) - 五言绝句
11. 청명(清明) - 두목(杜牧) - 七言绝句
12. 풍교야박(枫桥夜泊) - 장계(张继) - 七言绝句
13. 황학루송맹호연지광릉(黄鹤楼送孟浩然之广陵) - 이백(李白) - 七言绝句
14. 죽리관(竹里馆) - 왕유(王维) - 五言绝句
15. 망려산폭포(望庐山瀑布) - 이백(李白) - 诗歌
16. 부득고원초송별(赋得古原草送别) - 백거이(白居易) - 五言律诗
17. 녹채(鹿柴) - 왕유(王维) - 五言绝句
18. 조발백제성(早发白帝城) -이백(李白) - 七言绝句
19.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 - 왕유(王维) - 七言绝句(乐府)
20. 망천문산(望天门山) - 이백(李白) - 七言绝句
21. 구월구일억산동형제(九月九日忆山东兄弟) - 왕유(王维) - 七言绝句
22. 관산월(关山月) - 이백(李白) - 五言古诗(乐府)
23. 망월회원(望月怀远) - 장구령(张九龄) - 五言古诗
24. 송우인(送友人) - 이백(李白) - 五言律诗
25. 출새(出塞) - 왕창령(王昌龄) - 七言绝句(乐府)
26. 억강남(忆江南) - 백거이(白居易) - 古诗
27. 망동정(望洞庭) - 유우석(刘禹锡) - 七言绝句
28. 양주사(凉州词), 출새(出塞) - 왕지환(王之涣) - 七言绝句(乐府)
29. 악유원(乐游原) - 이상은(李商隐) - 五言绝句
30. 등악양루(登岳阳楼) - 두보(杜甫) - 五言律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