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돈내산-x8o 제네시스가 대단한 이유는 ai 가 물리법칙을 이해하고 구현해줘서가 아니라 기존 다른 물리법칙 시뮬레이터보다 압도적으로 빠른 성능을 가지고 있어서임. 만약 ai 가 구현해주는 거라면 비 현실적인 움직임을 보여주거나 일관되지 않은 물리법칙을 구현하는 등 단점이 많았을거고. 그게 아니라 시뮬레이터랑 자연어 도우미가 따로 나눠져있고 시뮬레이터 자체의 성능이 엄청 좋은건데 뭔 ai 가 물리법칙을 이해하니 어쩌니 전혀 관련도 없는 내용을 가지고 영상을 만들어버리니까 어이가 없지 그럼 장단점이 전혀 달라져 버리고 어떤 기술이 어떻게 발전한건지 알 수가 없잖아. 제발 핀트좀 잘 잡아라
와... ai에 관한 책을 현재 읽고 있는 데 ai는 몸을 얻으므로써 물리적인 세계를 이해하여 완벽한 지능을 갖게 된다는 구절을 보게됐는 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물리세계를 이해하게 된다는 것은 머리가 띵하도록 충격 받았네요😮😮 기업이 시뮬레이션을 적용 시켜 배운 ai 휴머노이드를 도입하게 된다면 생산성이 급격하게 좋아져서 생산비가 줄어들어 물가가 많이 줄어들겠네요 대박이다..
AI that can simulate real world with real physics seems to work, with greater speed. Which can used as AI learning for real world robots control. Robot control software AI can learn how to interact with real world in AI sim, in much faster rate.
아직 documentation과 api가 부실하고 논문도 개재준비중이란걸 보니 좀 의심스럽긴한데(특히 메쉬생성이나 애니메이션 등에 대해서 자세한 내용이 안보이네요) 실제 코드 뜯어보지않은 한 잘 모를일이기도하고.... 공식 페이지의 예시들이 과장이나 사기가 아니라면 좋을텐데요
운전을 배울 때도 돌발상황에 대처하기가 가장 힘들듯이 ai도 마찬가지지. 영상도 전부 학습으로만 이뤄진 거지. 학습만으로 발전하는 속도는 엄청나겠지만, 그 선을 넘어서는데 걸리는 시간이 만만찮을 거야. 난 그 시간이 20년 이상 걸린다고 봐. 이 돌발상황 대체가 ai에서 이뤄지지 않으면 일반인은 편하게 사용하지 못해. 로봇개가 아무리 압도적 성능을 보인다해도, 로봇개가 반련견 역할을 하게 되는 순간이 빠르게 오진 않는다는 거야.
엔비디아가 직접적으로 경쟁에 뛰어드는게 아니라 후발주자에대한 도움, 서포트정도라고 보시면 될듯합니다.. 태슬라 자율주행은 엔비디아 시뮬레이션 도움 받아서 지금시작한다고 따라잡을수있는 정도가 아니기도하고.. 향후따라온다고 해도 이미 독점이나 시장에서 플랫폼 지위를 가지고있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옵티머스또한..
@avdolKing 제가 쓴 문장에 오해가 좀 있었나 보네요 현 시점에서 모델링과 리깅은 존재하는 에셋을 활용해야한다는 말입니다 당장 ai가 그런 에셋들을 실무에 사용할 수 있는 퀄리티로 생성하기에는 멀었고, 영상에 나오는 각종 가구, 캐릭터들의 경우 즉석에서 생성되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Cornkkal 글쿤요. 좀 의심스러운 부분이긴 해요 말했다시피 물리시뮬레이션 위주 프로젝트에 메쉬생성까지 끼워넣었으니 그런데 '외부 어필'목적으로 사이드로 진행했다고 하면 이해안될 것도 없기도 하고 사실 '저게 사실이라면 사용 가능하다'인거니까요 제 말투가 다시보니까 좀 재수없었네요 죄송합니다 제 의도는 '다른 ai 프로젝트들이 완성도가 떨어지는 것에 대한 지적이라면, 해당 프로젝트에 왜반대하는 건가요?', '해당 프로젝트가 완성도가 떨어진다고 판단한 거라면, 아직 offline인 기능인데 어떻게 판단한 거가요?' 였습니다.
게임은 유저가 조작하는 모든 것을 게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체스도 게임이고 흙장난도 애들에게는 게임입니다. 게임이 단순히 컴퓨터로 국한되는게 아니에요. 그래서 지금 나오는 생성형 ai를 게임 비슷하게 보는겁니다. 우리가 보고있고 조작을 못하는 건 감상이지만 내 스스로 컨트롤해서 뭔가를 생성하고 조작하고 현실세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을 게임이라고 규정짓습니다. 이게 큰 차이점입니다. 근미래에는 유튜버도 ai로 대체될수도 있습니다. 생성형 ai로 인기게임 엔딩을 보고싶은데 모든 트로피를 따고싶어 또는 음식을 먹는 사람영상을 보고싶은데 몇 개 만들어줘 이런식으로 만들면 세상의 당연한것들이 조금씩 사라질겁니다.
게임은 실시간성이 중요한데, 물리시뮬레이션은 8배 빨라진다고 해도 실시간으로 구동은 불가능합니다. 유니티나 언리얼들에 사용되는 물리엔진은 엄밀한 시뮬레이션 보다는 필요에 맞춰서 간소하게 작동하는 것 뿐이거든요 물론 해당 툴이 발전속도 자체를 가속한다면 바뀌겠지만, 직접적인 연결은 힘들거라봅니다. transformer모델이 유니티를 대체한다는 것과 비슷한 정도라고 생각해요. 물론 블렌더는 공유하는영역이 더 많아서 진짜대체가 될 수 있을 수도있을 것 같긴 한데... 프레임워크가 워낙달라서 어찌될지 모르겠네요 만약 게임엔진을 대체할정도로 발전한다면, 그 땐 게임이 아니라 현실세계를 컴퓨터 내부에서 구현가능해지기때문에, 게임엔진 얘기할 상황이 아닐겁니다.
엔비디아는 대체 어느 정도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
사기와 우롱으로? ㅋ
물리적이아닌 물리적인것처럼 홍보하는 실력,, 대단하다면 대단하지 ㅋㅋ
@@게임-t5k 사기와 우롱으로 마이크로 소프트, 구글, 아마존, 테슬라 등 공룡기업 전부 제치고 전세계 시총 2위 4800조 기업이 될 수 있다고 믿는 모습 참 보기 좋습니다~
@@게임-t5k ? 엔비디아가 뭐가 사기와 우롱이야. 거품낀건 맞지만 그동안 엔비디아가 구축해 놓은 시스템은 엄청난 진입 장벽이고 시장에서의 절대적 우위가 맞음.
@@게임-t5k뭔데 이 찌질이는
뭘 또 완벽히 이해해 애는오바 싸고 있었어 또ㅋ
ai 가 물리법칙을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니라 그냥 엄청 빠른 물리법칙 라이브러리 하나 만들고 거기에 ai 는 여러 오브젝트를 자연어로 쉽게 추가할 수 있게 지원하는 거 아님?
그러게요 world model 얘기 나오길래 물리엔진이 world model기반이라는 줄 알았는데 대충 읽어보니 그건 또 아니네요ㅋㅋ
꼭 이렇게 뭐든 깎아내리는 사람이 있더라
그렇게 치면 스마트폰도 사실 이미 개발되있던걸 사용화한거뿐인데?
누구나 할 수 있는 걸 모아서 하나로 통합하는 것도 진보임
저런 작업들이 더해져서 좋아지는 시스템인거고
@@내돈내산-x8o 제네시스가 대단한 이유는 ai 가 물리법칙을 이해하고 구현해줘서가 아니라 기존 다른 물리법칙 시뮬레이터보다 압도적으로 빠른 성능을 가지고 있어서임. 만약 ai 가 구현해주는 거라면 비 현실적인 움직임을 보여주거나 일관되지 않은 물리법칙을 구현하는 등 단점이 많았을거고. 그게 아니라 시뮬레이터랑 자연어 도우미가 따로 나눠져있고 시뮬레이터 자체의 성능이 엄청 좋은건데 뭔 ai 가 물리법칙을 이해하니 어쩌니 전혀 관련도 없는 내용을 가지고 영상을 만들어버리니까 어이가 없지 그럼 장단점이 전혀 달라져 버리고 어떤 기술이 어떻게 발전한건지 알 수가 없잖아. 제발 핀트좀 잘 잡아라
@@에델바이스-i9n 답변 좋았다~ 고맙지~~
이런 수준 낮은 유튜버가 구독이 몇십만인게 신기함 구독 안했는데 유틉에서 추천뜨더라 유트추천이 강제로 구독자 늘려줌
오늘도 훌륭한 영상 고맙습니다.
꾸준히 좋은 콘텐츠 만들도록 노력할게요!
AI 가 이해 한 다기 보다는, 되든 안되든 결과물을 내 놓는다. 그 결과물에 만족을 하든 안 하든 그건 인간 몫.
와...진짜 세상의 발전이 멋있으면서도 정말 빠르게 바뀌네.
월텍남님 영상 너무 재밌게 보구 있습니다~ 세상에 새로 나오는 기술들이 너무 재밌어요ㅎㅎㅎㅎ 곧 열리는 CES 2025도 너무 기대되네요~ 항상 재밌게 최신 기술들 보여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3:23에 나오는 wheel-legged 로봇 개는 Unitree B2로 한화로 약 1~2억입니다.. 300~400만원대 아닙니다
에혀... 진짜... 여기서 신뢰도 팍 떨어지네;
가상과 현실 구분이 없어지고 상상 환상이 모두 현실이 되는 마법의 세상 얼마 만남은 진짜
진짜 월텍남 비디오는 최고입니다. 엔비디아 처럼요. 감사합니다.
1900년대 말 2000년대 초 핸드폰이랑
컴퓨터 보급됬을 때의
어른들이 이런감정을 느꼈을까😮
이거보단 더 충격이었습니다 ㅎㅎ
진짜 개미쳤네.. 이거 퀄리티가 그냥 상상을 초월하네.. 이거 이러다가 소설 입력하면 자동 영화제작 아니야? 챗gpt처럼 1사간 분량으로 만들어줘 2시간 분량으로 만들어줘 다 될듯.. 웜홀이나 워프드라이브 같은 고비용 cg도 그냥 만들듯
조만간 하드웨어는 알리테무 수준으로 싸고 허접하게 만들어놓고 피지컬ai 학습으로 사람 뺨치게 움직이는 로봇이 나올수도 있겠네요
와.... 다음세대는 어떻게 적응해야하냐 놀랍고 무섭다
기억해 제네시스가 스카이넷이야
스카이넷이 지구를 정복해서 얻는 이익은 뭔가요?
@@yongs3497기생충 박멸 및 지구보호, 스카이넷 종료라는 변수제거
@@yongs3497 생존
지구에 해끼치는 인간 소멸, 최소한의 동력생성을 위한 노동력만 남긴다
@@yongs3497 스카이넷의 본능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지금도 밤낮없이 현실보다 수십만배 빠른 세계에서
놀라운 속도로 뭔가를 진행중이겠네요. ㅋㅋ
와... ai에 관한 책을 현재 읽고 있는 데 ai는 몸을 얻으므로써 물리적인 세계를 이해하여 완벽한 지능을 갖게 된다는 구절을 보게됐는 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물리세계를 이해하게 된다는 것은 머리가 띵하도록 충격 받았네요😮😮 기업이 시뮬레이션을 적용 시켜 배운 ai 휴머노이드를 도입하게 된다면 생산성이 급격하게 좋아져서 생산비가 줄어들어 물가가 많이 줄어들겠네요 대박이다..
와아....
뭔가 5년뒤면 세상이 정말 많이 바뀔듯
태클거는건 아닌데 최근 ai시장 발전속도 보면 2년만 봐도 세상이 바뀔거같음,,
확실히 로보틱스의 학습에 뛰어난 효율성을 가져오는 기술 같네요.
기가 막히네요. 파이썬 배워야되나. ㅎㅎ
AI의 생각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 인간의 1분은 AI에겐 억겁의 시간일수 있다. 지적 존재가 된다면 미쳐버리거나 초월자가 되거나 둘중 하나일것.
미친다는 관점이 너무 인간적인 내용인것같네요.
관련 주식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제 문과가 말로만 게임을 만드는 시대가 오는건가 ㄷㄷ
AI that can simulate real world with real physics seems to work, with greater speed.
Which can used as AI learning for real world robots control.
Robot control software AI can learn how to interact with real world in AI sim, in much faster rate.
근데 이렇게 되면 3d 모델링 하던 사람들이랑 3d 애니메이션 만들던 사람들은 어떻게 되는 거지...
이미 1년전부터 관둔 사람들도 많습니다. 혹시라도 이쪽으로 취업 준비하시거나 지인분중에 있으시면 뜯어말리세요.
이 세상이 과연 진짜가 맞을까
그러면 이제 3d 아티스트도 큰일 난 건가요?
핵융합도 시뮬레이터해서 상용화시키는 날이 올 것 같음
이제 머지않아 실시간으로 말로 영상 편집을 할 수 있겠군요... 말 그대로 전문적인 영상 편집 제작 능력 없는 아무나 저런 고퀄리티 영상 작업이 가능한 시대네요
내 1 분은 너의 80만 분 이야 ... 와 ❤
AI로 fluid 경향만 시뮬레이션해도 남는 장사겠네요.. 지금 간단한 2d로 fluid 시뮬레이션만해서 엄청나게 리소스가
소모되는데,. 기술이 발전되는게 눈으로도 보일 정도네요..
저도 이생각 했어요 근데 현실 데이터를 import 하고 시뮬레이션 되어 나온 데이터가 export 되는지가 관건일거같네요
오우 정말 fluid 생각만 하면 토나오네요. 간단한 것도 너무 연산이 오래걸려서 포기하고 싶었을 정도였는데..
요즘은 AI로 하면 어떨지... 얼마나 현실적으로 적용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멋지네요.
이건 진짜 게임체인저가 맞네요...
왠만하면 이런 말 안하는데
diffusion이나 영상제작과는 다르게 진짜 gpt급의 게임체인저가 될듯....
아직 documentation과 api가 부실하고 논문도 개재준비중이란걸 보니 좀 의심스럽긴한데(특히 메쉬생성이나 애니메이션 등에 대해서 자세한 내용이 안보이네요)
실제 코드 뜯어보지않은 한 잘 모를일이기도하고....
공식 페이지의 예시들이 과장이나 사기가 아니라면 좋을텐데요
와 진짜 몇년만 있으면 정말 다른 세계가 되어있을듯
영상이아니라 모델링이라고 강조를하시는데 모델링 추출이 가능한가요??
제네시스가 스카이넷이야!
일론 머스크가 Ai로 게임 만든다고 선언한 이유가 다 있었네요 ㅋㅋㅋ 레디플레이어원 실현화 기대됩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시뮬레이션이다.
드론, 로봇도 사람이 알고리즘을 짜는게 아니라
제네시스로 다양한 동작을 학습시키고 도출된 그 기계어 코드를 로봇에 심으면끝
기존 3d소프트웨어 산업은 난리날듯
제네시스 ai를 일반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나요?
우리 세계가 시뮬레이이션일수도 있다는 생각이 강하게드네 이거보니..
와 로봇개는 진짜 보스턴 다이나믹스가 좀 억울해할 정도로 성능이 엄청나네
이런거 보면 테슬라가 무슨 자신감으로 로봇시장에 뛰어드는지 좀 보이는거같음...
과연 히토미의 태그들도 이해할 수 있겠느냐
로봇이 인간대체 하는건 시간 문제 로봇들이 10억대씩 팔리면 국가보다 대기업들의 힘이 막강해질듯...사이버 펑크 2077에서 보인 미래가 2044에 이뤄질지도....
"자,우리가 내려가서 거기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케하여 그들로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하자 하시고
여호와께서 거기서 그들을 온지면에 흩으신고로 그들이 성쌓기를 그쳤더라"
Ai 의 프롬프트 를 혼잡케하면
간단히 견제될문제죠 기업형 바벨탑이 세워질일은 없을겁니다
이런 거 보면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라는 음모론도 이해가 된다.
선생님, 이것도 아마 10번 시뮬레이션 해서 가장 좋은 결과물들만 보여준 거겠죠?
다른 AI들이나 소라도 그랬던 것처럼요. 아무튼 물리 시뮬레이션 AI라니 유저들이
간곡히 바라던 기술이라 환영합니다.
그래픽엔지니어 일자리 날아가고 알파고이후로 빛을 별로 못보던 강화학습에 숨통이 트이는거같고 망상 더 하자면 소아온처럼 가상현실에서 자라난 agi가 생겨날거같다ㅏ
이걸 볼수록 일론머스크가 정말 대단한 인물이라는 걸 느끼게 되네요. 물론 젠슨황도,, 개인적으로 물리적 AI 시대의 리더는 테슬라, 엔비디아, 브로드컴 이 될거라고 봅니다.
스카이넷이 제네시스라고 했던거 같은데..... ㄷㄷ
스카이넷이 등장했네. 사이버와 현실이 연결되는구나.
이형 ces2025 젠슨이 얘기하려던거 해버리네..
안녕하세요 영상잘보았습니다
의문인것은 ai로 3d로 만든다고하셨는데 그럼
다운을 받을수있다는것일테고 다운받는 확장자형식과 렌더엔진프로그램이 무엇인가요?
3d모델링까지 해준게 맞나요? 오공 모델링을 가져와서 ai 돌린거 같은데요.
그럼 3d를 ai로 구현할수있다는...? 설계를????
제네시스??? 스카이넷의 또 다른 이름 인가요? 😅
개지린다
로봇개 절대 300-400이 아닐 것 같은데 맞는 정보인가요?
go2시판용은 그가격대가 맞는데 저건 실험실모델 같긴하네요.. 확인해보겟슴다
제네시스가 스카이넷이야! 존코너를 지켜..읍읍
😊
오 1빠 반도체 가즈아~
운전을 배울 때도 돌발상황에 대처하기가 가장 힘들듯이 ai도 마찬가지지. 영상도 전부 학습으로만 이뤄진 거지.
학습만으로 발전하는 속도는 엄청나겠지만, 그 선을 넘어서는데 걸리는 시간이 만만찮을 거야.
난 그 시간이 20년 이상 걸린다고 봐. 이 돌발상황 대체가 ai에서 이뤄지지 않으면 일반인은 편하게 사용하지 못해.
로봇개가 아무리 압도적 성능을 보인다해도, 로봇개가 반련견 역할을 하게 되는 순간이 빠르게 오진 않는다는 거야.
상용화가 되고, 실제 일상생활에 녹아드는 것 까지는 생각보다 오래걸리는 것도 맞습니다. 부분적으로 동의합니다.
블렌더 대체 실제로 가능할까요?
오픈소스라 블렌더로 가져올듯 ㅋㅋㅋ
Alembic 포맷으로 임포트 가능하면 대박인데
그 동안 엄청난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여 이루어낸 쓸만한 엔지니어들의 종말을 보네요. 앞으로 패시브적인 인간의 노동은 사라질것이고, 인류도 도태 될 것입니다. 네비게이션의 보편화가 대부분의 사람을 길치로 만들어냈듯이..
혹시 RXRX 에 대해 의견있으시면 제게 도움되겠슴니다.
와 메타버스뜨겠다
어디가면 배울 수 있나요?
후디니도 밀리는 시대가 오는건가
맥미니로구동할수있나요
와... 해보고 싶네요. 파이썬 기초만 배웠는데 접근해 볼 수 있을까요? 혹시 가능하다면 접근할 수 있게 입문 영상 등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코준서라는 유튜버가 올린 영상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제네시스.. 터미네이터의 시작.. 같은 느낌이 들긴 하네요
중국이나 북한이 로봇개에 무기달고 군단 만들어서 침략한다고 생각하면 끔찍하네요 어떻게 막냐ㄷㄷ
이름 자체가 엄청 무섭군....
자율주행 데이터를 실제에서 얻을 필요도 없어지겠군
모든 자동자 주행 유형 환경 이벤트(한문철 레전드 etc) 를 죄다 때려박은 다음
시간과 정신의 방으로 시뮬돌려버리면 되겠네요
유성이 떨어질 경우같이 말도 안되는것도 시뮬할수 있으니 현실보다 더 충실해 질지도 ㅋㅋㅋ
실제로 테슬라에서도 이와 비슷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엣지케이스를 합성시킨 데이터로 학습을 하는 방법을 이용했다고 ai데이에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저 개모양 로봇위에 총이랑 카메라 하나 달려있다고 생각하면 소름이구만
이미 중국보면 하고있던데 미국도 당연히 비밀리에 하고 있을거고
블랙미러에 나오는 로봇개가 생각나네요.
오픈소스니까 블렌더랑 섞이면 진짜..
아쉽게도 gs.generate 함수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
'두고보자.. 언젠가는 1억년 버튼을 누르게 만든 인간들에게 복수 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테슬라 자율주행, 옵티머스는 망하는건가 ㅜ
엔비디아가 직접적으로 경쟁에 뛰어드는게 아니라 후발주자에대한 도움, 서포트정도라고 보시면 될듯합니다.. 태슬라 자율주행은 엔비디아 시뮬레이션 도움 받아서 지금시작한다고 따라잡을수있는 정도가 아니기도하고.. 향후따라온다고 해도 이미 독점이나 시장에서 플랫폼 지위를 가지고있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옵티머스또한..
딥러닝의 수준이 다릅니다..
테슬라가 괜히 많은 gpu로 자율주행데이터와 옵티머스 데이터를 만드는게 아닙니다.
일반적인 업체들에서 따라하기 어려운 수준이죠
매트릭스가 가능하겠네
저지먼트 데이가 다가 오는건가??
이제는 겁난다..
후에 많이 발전하면 판타지 세계를 만들어놓고 수만년 지난 후 탐험하면 그냥 알아서 구성된 역사가 있는 퓨전판타지 탐험이나 게임인데?
혹시 제네시스 사이트가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어 있나요? 그렇다면 사이트 주소 알려주실 수 있나요?
글자로 영화를 만드네.
오... 테슬라개떡상하겠네...
너무 기대됩니다 앞으로 미래
진짜 개 족같은 알바들은 안쓰고 ai로봇을 쓰는 미래
두눈으로 보고도 못믿는 세상이 온건데 좋아하기만 할 일이 아닌듯
나 저런 로봇 개가 사람들 다 죽이고 다녀서 아포칼립스 된 영화 본 거 같다
물리법칙을 이해했다고?
잠깐 비켜봐봐 물어볼게 많아
늦지 않은거 같군
3d 모델링이나 캐릭터 애니메이션은 아직 이미 있는 에셋을 활용해서 만들어야하지 직접 리깅까지 하는 건 멀었어요
물리 시뮬레이션과 애니메이션은 전혀 다른 분야
현재 online은 아니지만, 로드맵상으로 빠른시일 내에 모델 및 애니메이션 생성이라고 적혀있고
의심스럽긴 하지만 일단 공식 페이지에 모델 및 애니메이션 생성 예시가 나와있습니다.
'이미 있는 에셋을 활용해야한다'는 관점은 잘 이해가 안가네요.
영상을 안보신건지?
@avdolKing 제가 쓴 문장에 오해가 좀 있었나 보네요
현 시점에서 모델링과 리깅은 존재하는 에셋을 활용해야한다는 말입니다
당장 ai가 그런 에셋들을 실무에 사용할 수 있는 퀄리티로 생성하기에는 멀었고, 영상에 나오는 각종 가구, 캐릭터들의 경우 즉석에서 생성되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압둘Avdol 영상에서 모델링과 리깅 애니메이션을 분리해서 정확히 어떤 부분이 생성이 가능한지를 설명하지 못하고, 계속 물리 시뮬레이션이라고 퉁쳐서 설명하길래 댓글 달아봤어요
@@Cornkkal 글쿤요. 좀 의심스러운 부분이긴 해요
말했다시피 물리시뮬레이션 위주 프로젝트에 메쉬생성까지 끼워넣었으니
그런데 '외부 어필'목적으로 사이드로 진행했다고 하면 이해안될 것도 없기도 하고
사실 '저게 사실이라면 사용 가능하다'인거니까요
제 말투가 다시보니까 좀 재수없었네요 죄송합니다
제 의도는 '다른 ai 프로젝트들이 완성도가 떨어지는 것에 대한 지적이라면, 해당 프로젝트에 왜반대하는 건가요?', '해당 프로젝트가 완성도가 떨어진다고 판단한 거라면, 아직 offline인 기능인데 어떻게 판단한 거가요?' 였습니다.
serve robotics 주가가 그냥 오른건 아니구나
나온지 오래됐음
잠깐, 잠깐만. 세상이 너무 빨리 돌아가고 있어. 좀 잠깐만.
솔직히 ai 조금 무섭다
순위권
저게 오픈소스로풀리면 사실상 유니티랑 언리얼엔진과 마야,블렌더 이런것들 전부 필요없지않나요?
그냥 코드로 저거랑 연동해서 3D툴겸 게임툴을 새로만들면 게임계의 혁명아닐까요?
코드로 연동하는 그 부분이 게임업계가 해야할 부분일듯. 영상만으로 사용자의 지시가 들어가있는 게임은 겜업계가 아니고서는 제작이 아직은 힘들거같음. 나중에 그것도 명령질하면 되긴 하겠다 ㅋㅋ
게임 개발툴 쪽은 협업을 하지 않는 이상 힘들거라고 봄 단순히 시뮬 돌리는것과 게임을 만드는건 천지차이니
게임은 유저가 조작하는 모든 것을 게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체스도 게임이고 흙장난도 애들에게는 게임입니다. 게임이 단순히 컴퓨터로 국한되는게 아니에요. 그래서 지금 나오는 생성형 ai를 게임 비슷하게 보는겁니다. 우리가 보고있고 조작을 못하는 건 감상이지만 내 스스로 컨트롤해서 뭔가를 생성하고 조작하고 현실세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을 게임이라고 규정짓습니다. 이게 큰 차이점입니다. 근미래에는 유튜버도 ai로 대체될수도 있습니다. 생성형 ai로 인기게임 엔딩을 보고싶은데 모든 트로피를 따고싶어 또는 음식을 먹는 사람영상을 보고싶은데 몇 개 만들어줘 이런식으로 만들면 세상의 당연한것들이 조금씩 사라질겁니다.
게임은 실시간성이 중요한데, 물리시뮬레이션은 8배 빨라진다고 해도 실시간으로 구동은 불가능합니다.
유니티나 언리얼들에 사용되는 물리엔진은 엄밀한 시뮬레이션 보다는 필요에 맞춰서 간소하게 작동하는 것 뿐이거든요
물론 해당 툴이 발전속도 자체를 가속한다면 바뀌겠지만, 직접적인 연결은 힘들거라봅니다. transformer모델이 유니티를 대체한다는 것과 비슷한 정도라고 생각해요.
물론 블렌더는 공유하는영역이 더 많아서 진짜대체가 될 수 있을 수도있을 것 같긴 한데... 프레임워크가 워낙달라서 어찌될지 모르겠네요
만약 게임엔진을 대체할정도로 발전한다면, 그 땐 게임이 아니라 현실세계를 컴퓨터 내부에서 구현가능해지기때문에, 게임엔진 얘기할 상황이 아닐겁니다.
@@맥그슨 논점을 전혀 파악하지 못하시는군요
이거 꽁짜에요?그냥 설치하면 아무나 하는거에요?
아마 그정도 지식수준이면 못할 것 같습니다.
나쁜얘기는 아니고... 소비자용이 아니라 전문가용이라 사용 못하는게 당연합니다...
로봇개 ㅋㅋㅋ 내가 어그리시브 인라인 타고 하는거랑 비슷한것을 하고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