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이번에 입학한 공대 신입생인데.. 행렬 교수님이 설명도 엄청 못하시고 말도 어눌하시고 글씨도 못알아보게 인터넷 수업 하셔서 중간고사는 다가오는데 전전긍긍하고 맨날 대충 듣고 부분부분 이해만 하고 있엇는데 강의가 다 너무 ㅠㅠㅠㅠ 좋아요ㅜㅜㅜㅜ 이게 이거였구나 5분마다 한번씩 하면서 보고 있습니다 ㅠㅠㅠㅠㅠㅠ 정말 감사해요 ㅠㅠㅠㅠㅠㅠㅠ 진짜 귀하신분 ㅠㅠㅠㅠㅠㅠ 제가 할수있는게 좋아요랑 구독밖에 없네요 ㅠㅠ 너무감사합니다ㅠㅠㅠㅠㅠ
2:57 선생님 consistent는 연속된 또는 일치하는이라는 뜻으로 많이 쓰여요! 따라서 요쪽 강의에서 봤을 때, 미지수의 해가 없으면 연속이라고 볼 수 없으니까 consistent라고 하는것 같아요! inconsistent 같은 경우에는 연속되지 않으므로, 모순된, 또는 불일치라는 뜻으로 쓰이기 때문에, 해가 없을때 라는 뜻으로 쓰는것이 이번 강의에서는 맞을 것 같아요! 따라서 consistent같은 경우에는 해가 있는, 연속된, 일치하는 이라는 뜻으로 보면 될것 같아요! 설명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p
쑤튜브 자명해 부분이요! 예를 들어 y’+y=0이라는 식은 y=0이 자명해 잖아요, 그리고 이 방정식을 풀어서 예를 들어 해가 y=cx가 나왔다고 하면, 상수c를 제가 0으로 고르면 y=0이니까 자명해가 일반해에 포함된다고 하잖아요, 그런데 해가 y=x+c꼴이 나왔다면 자명해가 일반해에 포함되려면 아무리 제가 c에 어떤 값을 넣어도 x값도 고려해야 하잖아요,(x=0,c=0 이런식으로요) 이럴 때도 y=0은 일반해에 포함된다고 하나요?
여러분들의 구독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쑤튜브 구독하기→ bit.ly/Ssootube
[목차]
행렬의 필요성 0:04
연립선형방정식의 해의 개수 2:01
consistent 2:29
inconsistent 2:59
동차 연립선형방정식 3:04
가역행렬과 동차 연립선형방정식 3:45
자명해 4:37
A가 가역행렬이면 동차연립선형방정식은 자명해 만을 가진다. 4:50
역 증명 5:32
AB=I 이면 BA=I 이다. 7:24
증명에 대한 고찰 8:50
진짜.... 이번에 입학한 공대 신입생인데.. 행렬 교수님이 설명도 엄청 못하시고 말도 어눌하시고 글씨도 못알아보게 인터넷 수업 하셔서 중간고사는 다가오는데 전전긍긍하고 맨날 대충 듣고 부분부분 이해만 하고 있엇는데 강의가 다 너무 ㅠㅠㅠㅠ 좋아요ㅜㅜㅜㅜ 이게 이거였구나 5분마다 한번씩 하면서 보고 있습니다 ㅠㅠㅠㅠㅠㅠ 정말 감사해요 ㅠㅠㅠㅠㅠㅠㅠ 진짜 귀하신분 ㅠㅠㅠㅠㅠㅠ 제가 할수있는게 좋아요랑 구독밖에 없네요 ㅠㅠ 너무감사합니다ㅠㅠㅠㅠㅠ
ㅎㅎ감사합니다!
비유를 코딩에 해주셔서 정말 확 와닿았어요..ㅎㅎ 역시 오늘도 많은 도움이 되네용ㅎ
감사합니다!!
2:57 선생님 consistent는 연속된 또는 일치하는이라는 뜻으로 많이 쓰여요! 따라서 요쪽 강의에서 봤을 때, 미지수의 해가 없으면 연속이라고 볼 수 없으니까 consistent라고 하는것 같아요! inconsistent 같은 경우에는 연속되지 않으므로, 모순된, 또는 불일치라는 뜻으로 쓰이기 때문에, 해가 없을때 라는 뜻으로 쓰는것이 이번 강의에서는 맞을 것 같아요! 따라서 consistent같은 경우에는 해가 있는, 연속된, 일치하는 이라는 뜻으로 보면 될것 같아요! 설명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p
감사해요~~~
@@ssootube 제가 더 감사합니다!
음, 연속이라는 의미보다는, 시스템을 이루는 방정식들이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고, 일관되다는 의미 아닐까요? 그러므로 방정식들이 함께 일관된 해를 적어도 하나 가지게 되는 것이고요.
consistent 번역
KREYSZIG 공업수학책에는 아래와 같이 나와있네요
연립방정식이 적어도 하나의 해가 있다면, 모순이 없다(consistent)고 하고
해를 갖지 않으면 모순이 있다(inconsistent)라고 한다.
오ㅋㅋ그렇군요ㅋㅋㅋ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가즈아!!
1:54 선생님 ㅋㅋㅋㅋㅋㅋㅋ 국어 이것도 찾아보셨나욬ㅋㅋㅋㅋㅋㅋ
증명과정 나중에 기억안나니깐
이것만 알고가겠어요
A가 가역행렬이면 동차연립 방정식은
자명해만을가진다
그역도 성립한다
앞에 강의중에 A가 I 행동치 (선형?)이면
A를 항등행렬화 시켜주는 기본행렬들은 그대로 항등행렬에도같은 기본행연산을 적용시켜주면 A의 역행렬된다
이것들이 포인트같아요
머리나쁜1인 잘보고갑니다
1 a12 a13 ..... a1n 0
0 1 a23 ..... a2n 0
. . . .
. . . .
. . . .
0 0 0 ...... 1 0
다음과 같은 첨가행렬을 갖는 동차연립방정식이 자명한 해를 갖는다는것을 설명하는 문제인데
자명한 해만을 가지는 필요충분조건은 계수행렬 A가 가역행렬일때 A가 가역행렬이면 AX=0은 유일한 해이고
X =A-1 = 0이므로 자명한 해 0을 가진다라는 방식으로 풀어보려고 했는데 역행렬을 이용하기엔 무리가 있는것 같아서...
어떠한 방법으로 접근해야 할까요?
제시해 주신 행렬의 기약행사다리꼴이 단위행렬이 된다는 것을 보이면 되겠네요! back substitution 만 하면 되겠죠?
우와..진짜 감사합니다
consistent를 해가 존재한다라고 번역하면 좋지 않을까요??
그것도 좋네요!!
6 : 24에 왜 A의 행렬이 항등행렬이 되는건가요?
6강 확장 행렬 강의를 참고해보세요!
한국어 맞춥법 진짜어렵습니다..
시옷.. 차타고 세수해만 예외라고 외우면 된대요 ㅋㅋ 셋방 숫자 횟수 .... 는 예외고 나머진 빼고요!,
우왓 유용한 팁! 감사합니다~~~
음~~~~~쑤튜브의 김치찌개mmm
안녕하세요
y=0이 자명해라고 했을 때
해가 y=x+C 이면
x=0이고 C=0이면 y=0은 일반해에 포함인가요?
보통 자명해가 일반해에 포함 된다고 볼 때는 x는 고려안하고 상수c만 고려하는 것 아닌가요?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겠어요ㅎㅎ강의의 어느 부분이 이해가 안 되시는 건가요?
쑤튜브 자명해 부분이요! 예를 들어 y’+y=0이라는 식은 y=0이 자명해 잖아요, 그리고 이 방정식을 풀어서 예를 들어 해가 y=cx가 나왔다고 하면, 상수c를 제가 0으로 고르면 y=0이니까 자명해가 일반해에 포함된다고 하잖아요, 그런데 해가 y=x+c꼴이 나왔다면 자명해가 일반해에 포함되려면 아무리 제가 c에 어떤 값을 넣어도 x값도 고려해야 하잖아요,(x=0,c=0 이런식으로요) 이럴 때도 y=0은 일반해에 포함된다고 하나요?
아마 선형대수가 아니라 미분 방정식 파트를 물어보시는 거 같은데, 제가 맞게 이해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일단은 일반해에 포함이 안된다고 하는 게 맞는 거 같네요ㅎㅎ
아 진짜 설명 어렵게 하네 ㅋㅋ
어디가 어떻게 이해가 안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