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을 묶는 최선의 방법 (서버랙 만들기 Ep.2)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9 июн 2024
  • 우와 여러분 이거 해보니까 하나하나가 너무 다 오래걸리네요.
    오늘은 서버랙 구성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선정리부터 해볼게요.
    제가 선정리를 가장 깔끔하게 할 수 있는 툴도 추천해드릴거니까 영상 재밌게 봐주세요 :)
    댓글 열심히 보면서 잘 배우고 있습니다!
    좋은 정보 항상 감사드려요!
    지난번 영상에서 랜선에 1M마다 표시되어있다는 댓글 보고 랜선 자를 때 엄청나게 편하게 했어요!
    서버랙 영상은 진짜 구독자분들 댓글보면서 거의 같이 하고 있다고 봐도 되거든요 ㅠ
    많이 도와주세용❤️
    *패치패널 (넷메이트 NM-SUP02 CAT6 24포트 패치 판넬 1U) : smartstore.naver.com/youngone...
    *케이블 번들러 (Cable Organizing Kit) : www.amazon.com/dp/B08BJ978ZX
    ✨서버랙 에피소드 몰아보기
    *홈네트워크 구성하기 👉🏻 • 누구나 3만원으로 홈 네트워크 만들기, ...
    *인생템 랜테스터기 👉🏻 • 4600원으로 평생 쓰는 홈네트워크 구성...
    *랜선 만들기 Ep.0 👉🏻 • 랜 케이블은 직접 만들어 써야 하는 이유...
    *서버랙 Ep.1 (서버렉 구성품) 👉🏻 • 왜 아파트에 서버랙을 설치하게 되었나? ...
    *서버랙 Ep.2 (케이블 정리 방법) 👉🏻 • 케이블을 묶는 최선의 방법 (서버랙 만들...
    *서버랙 Ep.3 (구성도 & 패치패널) 👉🏻 • 홈 네트워크 구성도 & 패치패널 작업기 ...
    * 서버랙 Ep.4 (KVM over IP) 👉🏻 • 서버랙 안의 맥미니를 원격으로 사용하는 ...
    *서버랙 Ep.5 (나스 마이그레이션) 👉🏻 • 드디어! 170TB 서버랙으로 이사갑니다...
    *서버랙 Ep.6 (10Gbe 스위치) 👉🏻 • 400만원짜리 10Gbe 24포트 스위처...
    *서버랙 Ep.7 (NAS HDD 증설) 👉🏻 • 맥미니 서버 활용 & 400TB NAS ...
    0:00 - 인트로
    0:50 - 서버랙 위치 및 필요한 랜선
    1:54 - 패치패널이 뭔가요?
    2:29 - 패치패널을 굳이 써야하나요?
    3:12 - 케이블을 묶는 이상적인 도구
    4:16 - 케이블 번들러 실제 사용 모습
    6:07 - 케이블 번들러 사용 팁
    7:14 - 다음 에피소드 예고
    8:02 - 에필로그
    #서버랙 #선정리 #패치패널
    * Music : Evergreen Fields - Tape Machines @Epidemic Sound
    * 아래 링크를 통해 Epidemic Sound 무료로 30일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
    (share.epidemicsound.com/38jRVf)
  • НаукаНаука

Комментарии • 457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28

    ✨서버랙 에피소드 몰아보기
    *홈네트워크 구성하기 👉🏻 ruclips.net/video/FxGQ1le-Si8/видео.html
    *인생템 랜테스터기 👉🏻 ruclips.net/video/dqF2JlH6Yng/видео.html
    *랜선 만들기 Ep.0 👉🏻 ruclips.net/video/1JfwF4JEUNM/видео.html
    *서버랙 Ep.1 (서버렉 구성품) 👉🏻ruclips.net/video/25xYwTFJQxw/видео.html
    *서버랙 Ep.2 (케이블 정리 방법) 👉🏻 ruclips.net/video/gg4Gu_CzR-4/видео.html
    *서버랙 Ep.3 (구성도 & 패치패널) 👉🏻ruclips.net/video/IEM9mtoCP7c/видео.html
    * 서버랙 Ep.4 (KVM over IP) 👉🏻ruclips.net/video/KVfHM9TEkoc/видео.html
    *서버랙 Ep.5 (나스 마이그레이션) 👉🏻ruclips.net/video/ZjMBWIESTGA/видео.html
    *서버랙 Ep.6 (10Gbe 스위치) 👉🏻ruclips.net/video/tH-Ra5zJ2LE/видео.html
    *서버랙 Ep.7 (NAS HDD 증설) 👉🏻ruclips.net/video/GPQfsh5J8a8/видео.html

    •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2 года назад

      1 : h->1: h

    • @BlackSkyUploadTube
      @BlackSkyUploadTube 2 года назад

      그리고 지난 번에 말씀드렸던 고속망 대여 국가기관에서 SFP도 대여해주고 있으니 참고 하세요

  • @YSSWIM
    @YSSWIM 2 года назад +18

    서울리안님 시놀로지 영상보고 나스로 2베이 8베이 두개 이번 달 구축했는데 ...
    이번엔 서버 ㅠ
    내 지갑은 시무룩 ...

  • @agent9084
    @agent9084 2 года назад +54

    서버랙에 모든걸 몰아넣지 마시고, 통신사 모뎀(또는 공유기)과 스위치허브(필요 시)는 단자함에 남겨두시면 세상 편할 것 같네요.
    시행착오와 함께 늘어가는 테크지식 응원합니다.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5

      아 그럴까요... 제가 꿈꾸는건 통신사 모뎀에서 외부망 용도로 서버에 연결하고, 스위치허브에서 내부망 용도로 별도로 구분해주고 싶었거든요 ㅜㅠ

    • @user-gh2cx3rc3e
      @user-gh2cx3rc3e 2 года назад +2

      @@seoulian 전문가는 아니지만 공유기를 하나더 쓰거나 매니저 기능이 있는 스위칭허브로 게이트웨이 다르게 잡아주면 그렇게 사용가능한걸로 알고있어요
      같은 네트워크망에 내부망 외부망 같이쓰는...?? 오래전에 테스트로 한번해봣는데 기억이 가물가물 하네요

    • @user-dy1br6ve2y
      @user-dy1br6ve2y 2 года назад +4

      @@seoulian dmz 영역을 따로 주고 싶으신건가요? 공유기가 vlan 으로 네트웍 나눌 수 있고 구매한 스위치가 vlan 기능이 있으면 될거 같은데 네트워크 구성도를 한번 그려보시면 좋을거 같네요. 댓글 쓰시는 분들도 현업에 계신분들 많으니 저 포함 훈수질 엄청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user-pz8dw7wg5f
      @user-pz8dw7wg5f 2 года назад +6

      ㅋㅋㅋㅋㅋㅋㅋㅋ 테크유튜버 에게 조만간 CCNP 따라고 할 판이네…

  • @user-dy1br6ve2y
    @user-dy1br6ve2y 2 года назад +147

    커플러는 일단 은근 불량 많아서 현압에서 진짜 급한 경우 제외하고는 사용안하고 정 써야된다면 이전에 나스 영상에서 나온 일반 커플러 말고 cat6 이상되는 거 쓰시던지 좀 깔끔하게 정리하실려면 키스톤형 커플러에 블랭크 패치판넬로 하시거나 110block 같은거로 점프 끄시면 될 것 같습니다

    •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2 года назад +7

      던->든
      판넬->패널

    • @user-fi6os7tr3e
      @user-fi6os7tr3e 2 года назад +4

      맞아요 영상에서 보여주신 커플러는 연결이 불안정한 경우가 많더라고요.. 군대에선 저거밖에 없어서.. 그냥 선 새로 따는편을 선호했습니다

    • @chrissss_000
      @chrissss_000 2 года назад +10

      현업 네트워크 엔지니어입니다
      커플러 장애 정말 많습니다
      가급적 사용하지 마세요

    • @user-cf9qj4lg5w
      @user-cf9qj4lg5w 2 года назад +6

      @@chrissss_000 커플러...악어....진짜 급할때만 쓰지 결국 한 몇달 지나면 부식되고 장애나고....그때 작업한 사람 아니면 히스토리 전달도 안되는 진짜 작은 장애포인트라서 찾기도 쉽지 않아서 항상 고생이죠 ㅠㅠ

    • @Engineer-og4ni
      @Engineer-og4ni 2 года назад +3

      노란 커플러 극혐..ㅋㅋ

  • @asyncronize
    @asyncronize 2 года назад +50

    1. 커플러는 문제 발생 소지가 있으므로 사용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2. 커플러 없이 어떻게 단자함~서버랙을 연결하나요? --> 단자함~서버랙까지는 광으로 연결하세요. 단자함에 공간이 있다면 광컨버터 설치하시고 서버랙의 허브에 광 sfp를 달아서 연결하시면 광2가닥으로 해결됩니다. 광컨버터와 허브의 sfp광은 멀티로 연결하시면됩니다. 둘다 싱글이면 가까운 거리에서 너무 빛이 강하기 때문에 감광기를 달아야 할 수도 있어요. 멀티로 하시면됩니다.

    • @Bluehill-daepark
      @Bluehill-daepark 2 года назад +4

      여기 고수분이 계셨네

    • @user-uk2lq6rt3i
      @user-uk2lq6rt3i 2 года назад +4

      저도 한표.

    • @csjgowar
      @csjgowar 2 года назад +1

      ㄹㅇ 광점퍼 코드 10미터짜리면 해결 ㅋㅋ
      대신 POE 스위치랑 지빅은 쬐끔 비쌉니다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11

      광 컨버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 @haah2738
      @haah2738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이거 생각했는데 역시 고수님들은 빠르시네요.

  • @user-rl2ct2gm8m
    @user-rl2ct2gm8m 2 года назад +35

    군대 시험병 / 전 서버엔지니어 / 현 솔루션엔지니어.... 퇴근하고 인강듣는기분.... 그치만 나쁘지만은 않은 기분...?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유튜브에서까지... 죄송합니다 ㅋㅋ

  • @테크충
    @테크충 2 года назад +11

    항상 궁금했는데, 공유기로 끌어와서 전부 연결해버리면 통신사 모뎀에 각 방마다 직접 연결하는것보다 속도가 느려지지 않나요?? 체감할 정도인가요? 공유기 성능에 따라 다른가요?🙋‍♀️🙋‍♀️

    • @user-si1lr4kx1l
      @user-si1lr4kx1l 2 года назад +1

      통신사 모뎀에서 바로 쓰시는거나, 중간에 공유기 거쳐서 전부 끌어다 쓰신다고해도 큰 차이는 없을듯 합니당.

    • @jt4383
      @jt4383 2 года назад +1

      그렇게 연결해도 레이턴시 1ms도 안 늘어나요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1

      홈 네트워크 구성하면서 확인했던 부분인데, 통신사 모뎀에서 공유기 거쳐 분배를 해도 지연이 되지는 않았어요~ 내부망을 구성하는 효용이 워낙 크기도 하구요~

    • @테크충
      @테크충 2 года назад

      @@seoulian 우왓 감사합니다😇

  • @pontain218
    @pontain218 2 года назад +24

    와.. 댓글 전문가분들 많으시네여 ㄷㄷ
    이 컨텐츠 정말 좋은 것같아요
    직접해보기엔 엄두가 안났던 것들인데, 같이 배워가는 느낌이네요ㅎㅎ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2

      저도 그래서 좋아요~ 배우는 느낌으로 하면서 막히는것들 질문하고 대답해주시는거 참고해서 또 해보고 하려구요~

  • @_ksuper1624
    @_ksuper1624 2 года назад +6

    대단하네요. 서버랙도 서버랙이지만 그걸 촬영하고 편집까지 생각하니 에너지가 엄청나신듯~

  • @mkkang663
    @mkkang663 2 года назад +4

    사용하시는 방마다 선통 하시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접속점이 안생기니까요, 선통이 힘들다면 직젤로 물려주는게 커플러 보단 좋을것같습니다~~

  • @ChicPj10
    @ChicPj10 2 года назад +3

    커플러 색이 cat.5 처럼 보이는데 나중에 10g 인터넷 사용할수도 있을텐데 커플러 규격 높은걸로 사용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랜연결하는 구멍 윗쪽에 규격 보통 나와있어요) Cat.5e 는 되어야 기가비트 지원 가능하고요.

  • @SuperLegendaryUnicorn
    @SuperLegendaryUnicorn 2 года назад +10

    흡사 케이블 하네스 공장을 보는 기분이네요... 정말 존경합니다👍여담으로 예산이 충분하시다면 통신 레이어에 따라 선 색상을 구별해 쓰시면 시각적으로도 만족스러우실 겁니다. 그리고 라벨기 있으시면 선마다 라벨링 하시는걸 습관적으로 하시면 운용중 장애 대응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브라더나 앱손 라벨기는 실제 데이터센터/통신실 구축에도 많이 사용합니다) 동시에 추후 유지보수 편리하도록 문서로도 통신망 구성을 꼭 남겨두시는것도 권해드립니다...! 저도 보면서 같이 배우는 느낌이네요ㅎㅎ 댓글에 굉장한 능력자분들도 많으시고ㄷㄷ

  • @GhJin
    @GhJin 2 года назад +2

    UPLINK를 어짜피 끌어오실거면 CAT6으로 색상만 다르게 하나 새로 만드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어짜피 110-통신사모뎀-공유기 구조라면 110에 연결해놓고 랙으로 넘기면 돼니까요.
    별도로 요청주시면 튜브터치랑 라벨기 가지고 일부 작업은 개인적으로 도와드릴 수 있을것 같습니다.

  • @user-tk1eh8mm2z
    @user-tk1eh8mm2z 2 года назад +8

    다른 분들 댓글에도 있듯이 커플러가 생각보다 비효율적일수 있습니다. 커플러 불량도 많은 편이고 커플러때문에 속도저하가 발생하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저도 커플러는 반대드리며 다른 대안 두루두루 꼭 확인하고 하셔요~^^
    화이팅~~~~~^^

  • @bytelogic56
    @bytelogic56 2 года назад +4

    와.. 이건 찐이다. 눈팅만했는데 가정집에 서버랙 두시는거 보고 구독 누르고 가요 ㄷㄷ

  • @gcs1005
    @gcs1005 2 года назад +1

    군대에서 통신병을 하면서 선정리를 많이 했었는데 역시 도구가 있는게 확실히 편리하군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hd398
    @hd398 2 года назад +4

    서울리안님 랜케이블 피복 벗겨서 만든 꽃다발 vs 실제 꽃다발 하면 케이블 다발에 더 설레여 하실것 같은 모태IT유튜버 느낌이 낭낭합니다.. 대단하시네요..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1

      아니 당연히 랜케이블 아닙니까? 누가 실제 꽃다발 좋아함??ㅋㅋㅋㅋ

  • @godians
    @godians 2 года назад

    패치펜넬 이 좋습니다 캐블러는 다좋은데 신호를 먹는거라 10미터 이내면 괜찮은데 선마다 달라서 따로 전원을 넣어야하는 상황도 생길수도있어요

  • @wannywa
    @wannywa 2 года назад

    이분은 진짜 찐이다..

  • @owen_7441
    @owen_7441 2 года назад +8

    랜선특화 유튜버... ㄷㄷㄷ
    저희도 건축에서 통신맡고 있는뎈ㅋㅋ

  • @hojunmyung9760
    @hojunmyung9760 2 года назад +25

    안녕하세요! 네떡 20년 경력 엔지니어입니다.
    단자함에서 서버랙으로 굳이 24개 케이블이 갈 이유가 있을까요? 미관상 보기도 안좋고 걸리적 거릴것 같습니다. 이 경우 단자함에 24 포트 스위치가 또 있어야 할텐데요. 단자함에서 라인하나만 업링크로 빼서 서버랙으로 보내는 것이 제일 간결한 구성입니다.
    그리고 보통 업링크는 노출 시 바닥으로 포설(설치)하지 않고 벽을 타고 올리고 천정으로 돌려서 다시 벽으로 내려오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그래야 인재로 인한 장애를 줄일 수 있습니다.

    •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2 года назад +2

      렉->랙

    • @hojunmyung9760
      @hojunmyung9760 2 года назад +1

      @@user-vf1tj3vg6s 수정했어요 ^^; 고맙습니다.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2

      통신사 모뎀까지 끌어오려고 하는 이유가 외부망 케이블 별도로, 내부망 별도로 서버에 연결을 하고 싶었거든요... 그거 하나때문에 지금 효율적인 구성이 안되나 싶기도 하고 그렇네요 ㅜㅠ 조언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 @haah2738
      @haah2738 2 года назад +1

      처음 서버랙 구성하시는 영상 보면서 저도 궁금한 부분이었는데 내외부망 별도 구성을 하는게 아파트라는 구조상 그렇게 효율적이지 않을 수도 있을 거 같아요.. 고수님이 말씀해 주신 업링크가 가장 깔끔하게 구성하는 방법이긴 한데 또 서울리안님이 어떻게 난관을 해쳐가실지 궁금하기도 하고 그러네요 ㅎㅎㅎㅎ 힘내세요!!!

    • @hojunmyung9760
      @hojunmyung9760 2 года назад +3

      @@seoulian 보통 zone을 용도에 따라 세 분류로 나눕니다 외부망은 인터넷, 내부망은 내부 단말(여기서는 pc, 스마트 tv 등), dmz는 서버로 나누는데요
      1. 외부망 : 통신사 모뎀 to 공유기(라우터) 연결
      2. 내부망 : 라우터의 내부포트 또는 스위치 연결
      라우터는 방화벽 기능이 일부가 있어서 dmz를 통한 서버영역을 나누어 사용합니다. 이 구성은 외부에서 dmz통신은 가능하게하고 내부망 통신은 막는 것입니다 또한 내부에서 dmz 접근이 가능합니다
      서버렉이 어느 zone으로 분류되나요? dmz인지 내부망인지 판단하셔야하고 외부접근이 필요없으면 내부망에 놓으셔도 됩니다
      만약 서버렉 장비들이 물리적으로 dmz와 내부망으로 나뉘면 라우터 및 랙 스위치에서 논리적으로 나눠주는 설정을 하던지 케이블 두개로 나누는 방법이 있습니다.
      서울리안님이 생각하시던 24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구성이 잘못된것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단지 지금은 여러 이유로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라서요

  • @gooduncletv
    @gooduncletv 2 года назад +1

    통신관련 좋은정보 많은도움되었습니다 평소 많이궁금했던 서버랙안의 구성 패치패널을 알게되서 감사합니다 서울리안 최고^^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1

      다음에 연결까지 하는거 보여드릴게요~

    • @gooduncletv
      @gooduncletv 2 года назад +1

      @@seoulian 정말 유익합니다

  • @Garacer
    @Garacer 2 года назад

    커플러 땜시 좋은 케이블들이 무용지물이 될수도 있어요 이더넷 스위치나 이런거로 연결하시면 어떨까요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 @user-bs9ys8ft1m
    @user-bs9ys8ft1m 2 года назад +22

    전기기사 전기관련 직업인데 통신 쪽도 공부하고 있어서 이런 간단하고(?) 접근하기 쉬운 세심한 설명 재밌네요ㅋㅋㅋㅋ
    진정한 테크 유튜버같아요!! 바로 구독했습니다.
    아 선 정리하시기 전에 라벨링(선 구분하기 쉽게 따로 표시해두는 것)하시고 묶으시지... 나중에 혼돈의 카오스가 온답니다 ㅋㅋㅋㅋ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6

      이거 구독자분들이 랜선에 미터별로 번호 있다고 알려주셔서, 랜선에 처음과 끝 미터 번호 확인하면 되서 따로 수기 안했어요 :)

    • @davidyu7651
      @davidyu7651 2 года назад +4

      @@seoulian 미터별로 번호 확인하는게 번거로울수 있어서 보통 케이블 별로 따로 라벨링을 하죠. 작업해보시면 알꺼에요 라벨링이 이렇게 작업을 쉽게 해주는구나.. 하구요..^^ 뭐 알아서 잘하실거 같지만 노파심에 한번더 말씀드려봅니다.^^

    • @user-vf6vw1un1i
      @user-vf6vw1un1i 2 года назад

      @@seoulian 라벨링... 하는이유는 단선 후 재결합 작업할때 양 끝부분 뭔지 몰라서 섞이는 대참사가 있을수도 있어서입니다.
      일일이 단자 체크하면서 연결하다보면 이게 어디꺼에 연결하던거였지 하면서...ㅎㅎ

    • @user-vf6vw1un1i
      @user-vf6vw1un1i 2 года назад

      @@seoulian 간단하게 선에 색상전기테이프 하나 둘러주는 식으로 하시는것도 좋고 라벨타이로 묶어주시는것도 좋습니다

  • @kihwannam7811
    @kihwannam7811 2 года назад

    서버랙 컨텐츠는 보면 볼수록 흥미롭네요👍🏻

  • @Engineer-og4ni
    @Engineer-og4ni 2 года назад

    이런 작업? 일하는거 저도 집이 생긴다면 꼭 하려고 생각중인데 먼저 대리 만족 시켜주셔서 너무 좋네요 ㅋㅋ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1

      일단 어떻게든 완성해보겠습니다 ㅋㅋㅋ 다음에 시행착오 줄이는데 사용하세요 ㅋㅋ

  • @user-dl9dh5zz8w
    @user-dl9dh5zz8w 2 года назад

    랜선 연장을 해야 한다면 커플러보다는 심선 접속자를 추천드립니다. 심선끼리 직접 연결해서 더 안정적입니다. 현업에서도 많이 쓰입니다.

  • @user-gz3gr6sc6j
    @user-gz3gr6sc6j 2 года назад +3

    너무 유익한정보에요
    외국에서는 이런 영상많은데
    국내에서는 처음보는듯해요
    케이블이 길면 전부조이고 해도 돼는데요
    8미터면 조금 타이를 느신하게 하시고 묶는게 유동성이 좋으실겁니다~~
    마킹은 처음부터요
    좋은 영상 대박이요~~^
    커플러는 좋은거 쓰세요~~^

    •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2 года назад

      에요->예요
      돼->되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커플러는 무조건 바꿔야겠습니다 !!

  • @sumersae
    @sumersae 2 года назад

    많은 분들께서 말씀하셨듯이 커플러는 고장이나 오류가 꽤 많아요! 저는 개인적으로 중간지점에 허브 사용했었어요. 와이파이 공유기처럼생겼는데 안테나 없는 기기들이 있어요..

  • @user-kq8zp2iz7b
    @user-kq8zp2iz7b 2 года назад

    한쪽은 커넥터 그리고 다른쪽은 랜선만든다음 연결하고 연결된 랜선 꼬다리 밑으로 케이블타이로 뭍으면 꽤 튼튼하고 오래가요 현업에서 주로 저렇게 연결해서 써요 그리고 커플러는 진짜 안써요 나중에 문제가 많아요

  • @Suny78
    @Suny78 2 года назад +1

    보기 전부터 골치 아프다 선선선정리~~ 이런 컨덴츠 너무 좋다~~

  • @user-ds2ie8hn8h
    @user-ds2ie8hn8h 2 года назад

    제 생각에 제일 간단한건
    심선접속자2P (메뚜기) 로 연장해버리는거 같네요.
    커플러는 접불이 은근 많아서 품질에 문제가 잘 발생하죠

  • @user-ie7gz1iw3y
    @user-ie7gz1iw3y 2 года назад +15

    6:04 저렇게 긴 랜케이블 작업을 혼자서 다 하시다니 대단해요. 7:03 케이블 뱀 완성!! 고생하셨어요!!👏👏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디게 쉬울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시간도 많이 걸리고 랜선 왜이렇게 무거운건지 ㅋㅋ

  • @wlwhfhs
    @wlwhfhs 2 года назад

    같이 배워가며 하나하나 노하우도 같이 습득하며 알려주는 서울~리안~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1

      이건 제가 배우는게 더 많아서 좋습니다~

  • @user-vm5rk5zb7f
    @user-vm5rk5zb7f 2 года назад +2

    댓글 적어주신 부분으로도 아직 24개의 UTP가 왜 필요한지 이해를 못했네요. 외부망, 내부망분리여도 2개면 되지 않을까해서요. 일단 저는 케이블정리는 많이 안해봤는데 IDC 및 금융 공공에서도 저렇게까지 서울리안님처럼 열심히 케이블 정리하시는분들은 거의 없는 편인데 케이블 정리 열정에 놀라서 박수 드립니다. 현직자들이 케이블번들러를 사용하는 모습을 한 번도 못봤는데 이유는 댓글에 써있었군요.

  • @t_elga
    @t_elga 2 года назад

    케이블 자를 때 마킹을 해 놔야 나중에 대조 작업 안 해도 됩니다. 미터로 잘랐으니 미터를 확인 해야 할 듯...?
    케이블을 처음부터 저렇게 묶어 놓고 작업하면 나중에 정리 할 때 불편합니다
    일반 저가형 커플러에서 장애가 많이 나옵니다.
    cat6 이상의 익스텐더를 쓰던지 원 텐 블럭이나 패치 판넬 작업 하는것이 나아요.

  • @user-vt5dl2tp5w
    @user-vt5dl2tp5w 2 года назад

    힘내세요! 고생많으십니다. 보기만봐도 머리아픈데 대단하시네요!

  • @The_Broadcast_Company
    @The_Broadcast_Company Год назад

    랜선 중간 중간에 라멜로 번호를 붙여 놓으면 추후 문제 발생시 랜선 수리가 편리하지요. 물론 처음과 끝에도 랜선마다 동일한 번호를 붙여주고요. 물론 8미터 정도면 그렇게 길지 않으니 간단히 찾을 수도 있지만, 20미터 30미터 넘게 가면 중간 중간에 넘버를 붙여주는 게 좋습니다.

  • @user-dl9dh5zz8w
    @user-dl9dh5zz8w 2 года назад +3

    사실 스위칭허브도 10g 4포트 + 1g 24포트로 구매하셨는데 10g는 내부망으로 쓸거라 vlan으로 대역나누는건 필수일텐데 10g를 lacp로 묶는것보다 1g 24포트 매니지먼트 허브에다 추가로 내부망용 40기가 인피니티밴드 스위치로 가시는걸 더 추천드립니다. 지금 서버 클라우드 쪽은 100기가가 기본이라 인피니티밴드 스위치도 생각보다 저렴하게 구하실 수 있을겁니다.

  • @shawnpark18
    @shawnpark18 2 года назад +4

    음... 저라면 단자함에서 서버까지 cat6 한라인으로 뽑아서 가고(거리가 가까워서 속도 저하 없을거라고 봐요) 서버랙이 통신사 모뎀 넣고 거기서 다시 분배하고 다시 cat6 한줄로 단자함 보내서
    스위칭 허브로 방방마다 분배해줄 듯합니다.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1

      아 좋은 방법이네요... 제가 생각한 구성에서 하나를 바꾸자면, 전 서버에 외부망 용 케이블 따로, 내부망 용 케이블 따로 구성하고 싶었는데... 이걸 못하게 되네요 ㅜㅠ

  • @moonhunt87
    @moonhunt87 2 года назад

    참고로 사용하신 것의 정식 명칭은 cable comb (케이블 빗) 입니다.또는 비슷한 것들을 cable organizer 라고 조금 멋있게 부르기도 합니다.

  • @myolivenet
    @myolivenet 2 года назад

    와우 점점 하나씩 준비, 작업,정리가 되어 가네요 멋집니다 ^^
    한가지 경험을 공유 하면 케이블 타이를 묶기 전에 시작위치와 끝위치에 케이블 전체를 위치면서 해야해요 선이 꺾이면 길이가 달라지거든요…
    알고 계신것 처럼 커플러는 불량도 많고 노이즈도 많이 탑니다
    배선은 보통 패치패널을 시작,끝 양쪽에 설치 하고 패치패널간 케이블링 작업을 하고 고 정 후 패치 패널에서 허브로 케이블링을 합니다
    케이블 피복도 최대한 짧게 탈피해서 패치 하셔야 하구요 utp케이블 규격문서 보시면 설명이 나와 있어요
    다음 영상 기대 합니다^___^

  • @user-dh1ev8jt6c
    @user-dh1ev8jt6c 2 года назад

    제일 깔끔한 방법은 50p 나 100p 로 패치판넬 작업및 반대쪽은 110블럭(커플러는 나중에 장애가 많이 생겨요) 작업으로 작업 하시면 좋을듯하네요 ㅎㅎ
    익숙해지면 날선보다 훨신깔끔한 작업이 됩니다

  • @user-yq9vg3fk8h
    @user-yq9vg3fk8h 2 года назад

    서버 케이블 깔끔하게 정리한 사진들 보면 정말 신기했는데 이렇게 하는거였군용
    많이 알아갑니다!

  • @cheolminkim4124
    @cheolminkim4124 2 года назад +1

    요약하자면 저는 설치/관리가 편리하도록 단자함 - 서버랙은 10gb UTP 케이블 한개에 VLAN으로 구성할 것 같습니다.
    서버에 내부망/외부망을 동시에 연결하고 싶다고 하셨는데요, VLAN 구성을 하시면 논리적으로 망 분리(내부망/외부망)가 가능합니다.
    이 구성을 하려면 스위칭 허브가 한개 더 필요합니다.
    이미 서버랙 스위칭 허브를 구입하셨으므로, 최대한 이 장비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단자함에서 방으로 가는 포트가 몇개가 필요하신가요? 8 포트가 필요하다고 가정하겠습니다.
    - 서버랙: 기존에 구입하신 NEXT-3029GL2-10G (다행히, VLAN 지원합니다.)
    - 단자함: 기가비트 10포트 + 10gb 업링크 지원 추가 포트 스위치 구매 (VLAN 지원 필수)
    => 8포트는 각 방에 연결되는 포트와 연결, 1포트는 통신사 모뎀/공유기 연결
    단자함 스위치에 각 방으로 연결되는 선을 꽂고, 10gb 업링크 지원 포트를 서버랙 스위치에 연결합니다.
    이렇게 하면, 서버랙 스위치 - 단자함 스위치는 10gb로 연결됩니다.
    단자함 스위치와 서버랙 스위치에 VLAN 2개 (외부망(VLAN ID: 0), 내부망(VLAN ID: 1))을 설정합니다.
    이후, 단자함 스위치와 서버랙 스위치 VLAN 설정을 합니다.
    - 서버랙 스위치: 내부망으로 사용할 포트에 VLAN ID 1을 할당하고, 외부망으로 사용할 포트에 VLAN ID 0으로 할당합니다.
    - 단자함 스위치: 통신사 공유기/모뎀이 연결된 포트에 VLAN ID 0을 할당하고, 외부망으로 사용할 포트에 VLAN ID 0을 할당합니다.
    마지막으로, 단자함 스위치와 서버랙 스위치 간 연결된 포트를 Trunk 모드로 구성합니다.
    이렇게 하면 전송되는 트래픽에 VLAN이 적용되어 물리적으로는 UTP 케이블 하나가 연결되어있지만, 논리적으로 망이 분리가 됩니다.
    논리적으로 망이 분리가 되었기 때문에 현재 구성에서는 내부망 사용자는 외부망(인터넷) 접근이 불가능하며, 외부망에서 내부망 접근 역시 불가능합니다.
    이 경우 추가 설정이 필요한데, 내용이 길어지므로 관심있으신 경우 추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간단하게 두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 단자함 스위치를 L3 지원 스위칭 허브로 변경
    - 서버에 라우팅 설정 (이 경우, 보안을 위해 서버에 추가 SW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링크 어그리게이션은 대역폭이 늘어나지만, 실제 전송 속도는 대역폭이 늘어난 만큼 늘어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한쪽 UTP 케이블에 문제가 생기거나, 스위치/PC의 랜 포트 하나가 고장난 경우에 끊김없이 다른 포트로 전송을 계속하기 위해 사용합니다(failsafe).
    보통 10gb를 연결하더라도 한 순간에 잠시동안 10gb를 사용하지 항상 10gb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될 것 같진 않네요.

  • @yjoseph239
    @yjoseph239 2 года назад

    랜선 유지보수 하실때 랜선이 많아지면 현재 사용하시는 것 보다 탐지형 랜선 테스터기로 하시는게 편하실거에요.

  • @rucasbrother
    @rucasbrother 2 года назад

    이분 진짜 인정
    꼭 대박나세요

  • @user-qc8sg2qf6w
    @user-qc8sg2qf6w 2 года назад +3

    정말 도움이 많이 됩니다 ~~!! ㅋㅋㅋ 다른 분들이 알려주시는 꿀팁도 덩달아 감사해요!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그거 보는 맛에 재밌습니다 :)

  • @masterjo98
    @masterjo98 2 года назад

    역시 서울리안님에겐 이런 크고 복잡하고 단단해보이는 서버랙이 어울림

  • @user-mw3hb4mm5s
    @user-mw3hb4mm5s 2 года назад +29

    케이블 양 끝에 숫자 안써놓은 상태로 묶으면 나중에 테스터기로 일일히 확인해야 합니다...

    • @sodcreate
      @sodcreate 2 года назад +12

      이미 확인 해야 되는 상태가 된 것 같음 ㅋㅋ

    • @user-zi4sh6be5n
      @user-zi4sh6be5n 2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 벌써 속상하네여. ㅋㅋㅋㅋㅋㅋㅋ

    • @t_elga
      @t_elga 2 года назад +4

      미터수로 확인 하면 될듯...

    • @Oh-ub3kp
      @Oh-ub3kp 2 года назад +1

      나도 이생각했는데...
      중간중간 칼라 다른 케이블 넣었으면 찾기 쉬울 듯 했는데 😭😭

    • @nine_wolvez
      @nine_wolvez 2 года назад

      미터수 적혀있어서 괜찮을거 같아여

  • @IllIIllIlIIIlI
    @IllIIllIlIIIlI 2 года назад

    케이블 타이가 닫는 선은 스트레스가 많을거 같네요
    케이블 개수가 많으니 많은 힘으로 쪼여서 단선될거 같아요

  • @user-rk7uz4uv7i
    @user-rk7uz4uv7i 2 года назад

    Isp에서 sfp 광케이블로 끌고와서 스위치에 꼽는게 젤 좋아보여요..

  • @generl7599
    @generl7599 2 года назад +4

    랜선에 주기를 해놓으면 유지보수 하기 편하긴 합니다. 고무튜브로 라벨링 하는게 현업에서 제일 많이 쓰이긴 하는데 그냥 매직으로 선마다 숫자로 주기해놓아도 좋아요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패치패널에 어차피 연결을 할거기도 하구요~ 작업하는 중에는 케이블 롤 하나에서 뽑은거라 미터 수치가 다 주기가 되어있어서 그걸로 구분하려구요~

    • @skonmeme
      @skonmeme 2 года назад +1

      @@seoulian 작업환경이 어두울 경우가 많아서 태킹을 달아서 표시하시는 걸 권합니다. 물리적으로 잡히도록 하는 거죠.

  • @forunix
    @forunix Год назад

    세상에나 랜케이블 정리를 저렇게까지 하다니 대단해요

  • @jinlee6417
    @jinlee6417 2 года назад

    잼있게 보고 있어요 ㅋ리안님 덕분에 저도 작년에 작업하다 만 서버작업 마무리 해볼까 합니다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우왕 ㅎㅎㅎ 다되면 인증 해주십쇼 ㅋㅋ

  • @xthejs
    @xthejs 2 года назад

    아 진짜 다음 빨리 업업업 ㅋㅋㅋㅋㅋㅋㅋ 아 이채널 사랑스러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kn9ct6ic4o
    @user-kn9ct6ic4o 2 года назад +3

    테크유튜버의 자질을 재정립한 유튜버
    처음엔 그냥 애플 외 랩탑 등 다양한 거 소개
    이후 별의별 특이한 대용량 배터리나 UPC 소개
    어느 순간 보니 하드코어 앱등이
    사실 알고보니 하이엔드 데스크탑 조립도 쌉가능
    이제는 통신설비를 자가로 건드리기 시작
    이후엔 통신공사(OPTICAL 포설 및 랜선 포설 등)까지 건드릴 것이 자명함
    이 다음 단계는 전기공사까지 건드릴 듯
    최종적으로 건축가가 되어 테크충들의 모든 꿈을 모아놓은 집을 지을 예정

  • @ljh9923_yeosu
    @ljh9923_yeosu 2 года назад

    단자함에서 랙까지 25P 케이블 2조 깔면 더 깔끔 합니다 저희집 cctv 가 허브랙에서 외부 하이박스 까지 25P 한줄로 하니 깔끔하게 돼습니다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1

      그게 뭔지 댓글보고 오늘 알았습니다... ㅜㅠ

    • @ljh9923_yeosu
      @ljh9923_yeosu 2 года назад

      @@seoulian 50p 케이블도 있지만 더무 무겁고 단단해서 작업하기는 25P 케이블이 편합니다^^

  • @user-si9li8ke8n
    @user-si9li8ke8n 2 года назад

    길이 재실때도 1미터 정도 접어서 세면 편해요. 눈으로 더하기 빼기하면 은근 헷갈림

  • @sens-review
    @sens-review 2 года назад

    랜케이블로 멋진 아나콘다를 만들었네요... 멋있습니다.

  • @Pizza_100
    @Pizza_100 2 года назад

    다른 거 떠나서 케이블 상/중/하 부분에 Name 케이블 타이로 표시 해놓으시는 거 추천드립니다.
    커플러 사용하시면 나중에 접불에러 발생 가능성이 생기니 추천드리지 않고 메뚜기 커넥터 추천드립니다.
    꼭 커플러를 사용해야 한다면 coms 꺼 사용 추천 ^^

  • @ljh9923_yeosu
    @ljh9923_yeosu 2 года назад +1

    다자함에 25p IDC 패치 로 기존 UTP와 신설 UTP 연결하면 편할듯하니다.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아 제가 25p 케이블 생각을 전혀 못했네요...

  • @radisys0
    @radisys0 2 года назад

    패치패널로 두개로 해서 50P또는 100로 연결하면 더 깔끔 할꺼에요. 필요하시면 가서 설치 도와 드릴게요. 커플로로 하면 장애가 많이 나요. 선도 저렇게 두꺼워 지지 않아요.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하... 저 50p 케이블 이런게 있는지도 몰랐어요 ㅜㅠ 미리 알았어야 하는데...

    • @radisys0
      @radisys0 2 года назад

      @@seoulian 설치도움 요청하시면 도와 드릴게요 50p로 하면 깔끔해진답니다

  • @user-fo2fk4gq2e
    @user-fo2fk4gq2e 2 года назад

    음.. 통신병에 전기쪽으로 밥먹고사는데 케이블타이로 깔끔하게만 할줄알았지 우물안 개구리였네요 🐸
    랜선 관련해서 검색하다가 영상 몇개보고 구독하고 갑니다.
    +Ups는 보통 업스라고 부르는건가요?
    유피에스로만 불러서

  • @kuin9620
    @kuin9620 2 года назад

    1) 세대단자함에서 케이블 연결은 110블럭을 이용하세요 작업하기편하고 깔끔할것입니다. 5핀툴사용하셔야합니다.
    2) 광케이블이용한다 세대단자함에 광스위치설치하고 서버랙에 역시 광스위치설치 케이블은 광점퍼코드 싱글케이블 LC대LC타입으로
    그럼 광점퍼코드RX/TX 그럼 모나미 볼펜심정도 굴기 2코아만 지나가면 됩니다. 아...지빅도 싱글타입으로 준비하시고요
    참고: 멀티광은 1G까지 지원합니다. 싱글광은 10G도 가능합니다.

  • @user-vk9ss6py4j
    @user-vk9ss6py4j 2 года назад

    커플러 자체가 일명 땜빵 역할하는건데...불량도 불량이겟지만
    데이터가 원할하게 돌아가지 않겟죠!!
    귀찬아도 직결하는게^^
    새로 구성이 최고ㅎㅎ

  • @Mr-keydary
    @Mr-keydary 2 года назад

    근데 24개 케이블 위치 확인하시면서 하시는거죠?
    머리랑 꼬리에 같은 이름이나 숫자적거나...
    고정하는걸로 하는걸보니 괜찮아 보이긴 하는데 유지보수때 머가먼지 모르면 지옥일텐데

  • @young-ceo
    @young-ceo 2 года назад

    서버랙 컨텐츠 ㄹㅇ 꿀잼이네요 제 로망도 집에 서버랙 설치하는 것입니다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완성되면 신날것 같아요 ㅋㅋㅋ

  • @user-jl9wf7fo5l
    @user-jl9wf7fo5l 2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 책상밑 선정리 콘텐츠도 보여주시면 안될까요?~

  • @junghwanmoon5710
    @junghwanmoon5710 2 года назад

    케이블 연장은 방법이 많지만 제가 현업에서 쓰는방법은 커플러 연장 / 메뚜기 사용 / 아웃렛/ 광컨버터를 이용한 연장 을 대부분 활용하고있습니다.
    커플러는 단순하게 앞뒤로 케이블을 꼽기만하면 간단한대 비해 커플러의 결착성이 약간 약해서 커플러내의 8pin 의 접촉불량이 조금 있는경우가 있어서 급하게 임시연결일떄만 사용하는방법입니다^^
    저같은경우엔 메뚜기 연장젠더를 사용하는경우가 많고, 아니면 아애 단자가 깔끔하게 보이게 하기위에서는 아웃렛을 이용한 방법도 있습니다 ^^
    마지막 방법은 utp -> sfp 광케이블로 변환해주는 컨버터를 양쪽에 달아서 사용하는 방법인데. 이건 광컨버터가 1G급을 쓰게되면 제법돈이 들어가는부분이라 가성비를 따진다면 메뚜기나 아웃렛을 추천드립니다 ^^ 그리고 광 컨버터가 들어가면 케이블 구간에서 장애포인트가 하나더 늘어난다는 점에서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

  • @user-wr7jg7ui8z
    @user-wr7jg7ui8z 2 года назад

    케이블 정리후 유지보수를 더 쉽게하시려면 라벨프린터라는 제품이있는데 RJ45쪽 케이블에 붙여두면 보기는 좀 그래도 관리는 정말 편합니다. 나중에 어느정도 완성되면 벨크로타이로 변경하시겟지만 어처피 뭐 한두개 추가되면 결국 트위스트되는건.... 크흠....

  • @user-mm3if5oy4o
    @user-mm3if5oy4o 2 года назад +5

    그냥 단자함에 기가허브 설치 하고 utp한가닥만 써버렉 가면 되는데 굳이 24개를 ...
    패치판넬이 컨텐츠면 노답
    커플러 쓰면 더 노답
    아이고야 그냥
    집을 사셔서 각방 광커넥터로 시공하시지요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서버와 나스에 외부망과 내부망 케이블이 동시에 연결되서 대역폭을 구분해주고 싶었거든요~ 이거 하나로 랜선이 엄청나게 늘어나게 되더라구요~

  • @iosu0623
    @iosu0623 2 года назад

    커플러쓰면 손신 높아지니 오래쓸꺼면 직젤커넥터 추천, 근데 편의성은 커플러가 좋구요

  • @opera798
    @opera798 2 года назад

    랜 커플러중에 벤션 cat7 용 커플러 제품이 데이터 로스가 엄청 적은편입니다.

  • @justinjjeon5030
    @justinjjeon5030 2 года назад

    와.........선정리 잘하신다 대박멋있어요

  • @KkK-iw8my
    @KkK-iw8my 2 года назад

    광 컨버터로 광케이블 연결해서 서버랙에서 연결하면됩니다. 여러선을 길게연셜안해도됩니다.

  • @susa1165
    @susa1165 2 года назад

    보통은 선정리 저렇게까지 안하고 그냥 랜케이블에 라벨 불여서 구분해놓고 뭉텅그려 케이블 타이로 묶어버림...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센터 어디서든 똑같았음...
    그리고 UTP 연장은 커플러말고 리피터라는 것을 사용하면 더 좋긴합니다.

  • @flynnpark.developer
    @flynnpark.developer 2 года назад

    휴 진짜 통신병 시절 생각이 ㅋㅋㅋㅋㅋㅋㅋ 다음 시리즈도 너무 기대되네요
    댓글에 전문가분들 많으니 저는 감상평만 남기는 걸루...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1

      ㅋㅋㅋㅋ 저도 배우면서 하고 있어요~ 궁금한거 많이 질문해주세요~

  • @glassballl
    @glassballl 2 года назад

    처음 선 정리할때 선 끝마다 라벨링이나 표시해야지 나중에 연결할때 일일히 확인 안해도 되는데 으아ㅏㅏ 이미 늦은거 같네요...ㅠㅠㅠㅠ 화이팅..! 서버 컨텐츠 재밌네요!!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롤 케이블에서 미터 주기된거 보고 끊어둔거라 나중에 작업할때는 주기 보면서 구분하려구요~

    • @glassballl
      @glassballl 2 года назад

      @@seoulian 오홍 그렇게도 쓸 수 있군요!! 잘 배워갑니다 ㅎㅎ

  • @KwonWonje
    @KwonWonje 2 года назад +10

    커플러보다는 패치패널 50p 케이블 패치패널이 더 깔끔할꺼 같아요,,
    50p케이블, 25p케이블 종류별로있어요
    참고로 모통신사 설치 기사입니다 ^^ㅋㅋ

    • @ljh9923_yeosu
      @ljh9923_yeosu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통신기사 입니다 방갑습니다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아 제가 25p 케이블, 50p 케이블 이런게 있는지 몰랐어요 ㅜㅠ

  • @ch.eb.
    @ch.eb. 2 года назад

    이미 스위칭 허브가 있기때문에
    벽면에서 24가닥의 UTP케이블을
    견인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허브에서 업링크로 한 라인만 끌어서
    공유기 쪽으로 연결하고
    랙에 실장되어있는 장비들은 허브에 연결하면
    선도 얼마 안되고 정리하기에도 쉬우실겁니다.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제 욕심에는 서버에 외부망 케이블 따로, 내부망 케이블 따로 구성을 하고 싶었거든요 ㅜㅠ

    • @protop0129
      @protop0129 2 года назад

      @@seoulian 물론 서울리안 방식에 크게 문제 있는건 아닙니다. 일단 해보시고 문제점이 생기시면. 그때가서 수정하셔도 .. 물론 방화벽 장비는 필수사항으로 보입니다.
      ISP (KT) -> 방화벽장비 -> 서버 -> 내부망 이런식으로 구성하는걸 추천드립니다.
      ISP(SKB) ->
      그리고 케이블 문제는 서버구축 완료후에 수정하셔도 될거에요.

  • @kilee6213
    @kilee6213 2 года назад

    케이블타이는 한국업체 골든타이 좋습니다~ 저도 케이블 정리용으로 사용중입니다

  • @user-lx6ml2ke4j
    @user-lx6ml2ke4j 2 года назад

    머지 않아 1등 신부감으로
    서울리안님이 기준이 되실겁니다 ㅎㅎ
    영상보고 집에 서버랙 설치하고 싶어지네요

  • @ing-mon
    @ing-mon 2 года назад

    댓글들 덕분에 혹시 아주 만약에 따라하게 될 때 큰 도움이 될 진짜 꿀팁 영상이 될 것 같네요ㅋㅋ

  • @ChicPj10
    @ChicPj10 2 года назад

    그리고 단자함에서 24개 선을 모두 연결할 생각이신가요?심미적 관점에서 얇은 선 하나로 연결하는게 편하지 않나요? 국사에서 오는 선은 요즘은 광섬유라서 광섬유커플러하고 spf 나 rj45로 바꿔주는 광컨버터 사용하서도 되고요.
    광섬유 연장해서 서버랙에서 통신사공유기에서 바로 연결하는 방법도 있고 rj45 cat.7이상 규격에 랜케이블 연결하는게 좋아보이네요. 랙마운트에 랜선만 만지는거 보다 광케이블까지 만져주는게 재미있을꺼에요

  • @belarumo
    @belarumo 2 года назад +4

    커플러는 접촉불량이 잦아서 급할때말곤 잘 안씁니다. 쓰다가 중간중간에 접속끊기면 대부분 커플러 문제라서요...
    그리고 저도 계속 드는 의문이었는데요... 단자함에서 굳이 24p를 끌어오시는 이유가 있으신가요?
    어차피 단자함에서 끌어오는건 외부 인터넷 신호선에 각 방으로 뿌려지는 선들만 있지 않나요?...
    단자함으로 24p가 다 들어가려면 단자함에 24포트 꽂을데가 있어야....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24포트 전부가 벽 포트로 가는건 아니고, 예를 들어 외부망 모뎀에서 4개가 들어와서 2개는 나스, 2개는 서버 외부용도로 연결하고, 이렇게 구성을 위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euiseok
    @euiseok 2 года назад

    공부도 되네요 최고의컨텐츠

  • @user-vg8ue5iz2m
    @user-vg8ue5iz2m 2 года назад

    고급 커플러도 있기는한데.. 아마 100메가 랜으로 인식할수도 있으니 체크하세요~
    케이블 오와열 노가다 작업 하신다고 고생이 많아요
    화이팅

  • @rebeccacalix
    @rebeccacalix 2 года назад

    단자함에 있는 패널이 패치 패널 한쪽 면과 똑같은건가요? 그럼 다음 영상을 보면 단자함에 드디어 허브를 달 수 있는걸까요? 이 집에 온지 7년이 됐는데 귀찮아서 방 2개에 선 넣어놓고 나머지는 싹 다 무선으로 쓰고 있었는데 나도 유선 쓰고 싶다아...
    그리고 패치패널은 이더넷허브인가 스위칭허브인가 그거랑 뭐가 다른건가요?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패치패널은 정말 단순하게 랜선 1가닥을 포트로만 바꿔주는 겁니다~ 동시에 여러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유기와 스위칭허브로 분배해주는 작업이 꼭 필요합니다~

  • @YEO5191
    @YEO5191 2 года назад +1

    와.. 여태 전산일 하면서 케이블 번들러 처음보네요.
    그럼 현장에서는 지저분한거 어떻게 정리하냐고요?
    그냥 지저분하게 살거나 대충 두께 안맞아도 뭉쳐서 케이블 타이칩니다.. ㅠ

  • @SoondaePark
    @SoondaePark 2 года назад

    6:08 이야 정리되어져가는 모습에 편안~~

  • @user-nx8pt8xl2x
    @user-nx8pt8xl2x 2 года назад +1

    이 누나 너무 진심이다... 케이블가이가 아니라 케이블걸...

  • @user-si9li8ke8n
    @user-si9li8ke8n 2 года назад

    케이블 주기는 꼭 해주세요. 현업에선 라벨링 기계로 출발지와 목적지를 케이블에 꼭 라벨링 해둡니다. 안그럼 나중에 케이블 구분이 안되요

  • @seungmin_joa
    @seungmin_joa 2 года назад

    커플러 보다는 포인트 박스 또는 아울렛 케이스를 사용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유튜버 렌스타님 영상을 참고하시면 편하실 것 같습니다

  • @SkyMin0
    @SkyMin0 2 года назад +2

    Cat6 25p or 50p 케이블+110블럭(or패치판넬) 사용하면 깔끔하게 할수 있을거 같았는데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아니 25p? 이런게 있었어요?? 헐...

  • @MrDongpal
    @MrDongpal 2 года назад

    와 흥미진진하네요. 너무 재미있습니다.

  • @jongseopchoi3802
    @jongseopchoi3802 2 года назад

    케이블 고정하기 전에 케이블에 라벨링을 해 두면 나중에 케이블 정리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겁니다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롤 케이블에서 직접 끊어 사용하는거라 미터 주기가 되어있습니다 :)

  • @IIllIll
    @IIllIll 2 года назад +1

    참신한 영상 콘텐츠는 구독자를 늘려준다!

  • @user-si9li8ke8n
    @user-si9li8ke8n 2 года назад

    선 모으는 것도 저런 가이드보다는 벨크로 부직포로 묶는게 편하실텐데..

  • @bnnvn725
    @bnnvn725 2 года назад +5

    단자함에서 렉까지 중간에 광으로 바꾸는건 원하시는 구성과 맞지 않을까요?? 조그만 애들도 많이 있던데

    •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2 года назад +1

      렉->랙

    • @seoulian
      @seoulian  2 года назад

      오... 생각을 못해봤었는데... 관련 제품들 한번 찾아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