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주거에 복지시설…고령자복지주택 첫 입주 / KBS 2023.04.25.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1 фев 2025
  • [앵커]
    어르신들을 위한 맞춤형 공공임대주택인 고령자복지주택이 전남에도 들어섰습니다.
    주거와 함께 각종 복지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을 갖추고 있는데요.
    김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낮은 건물이 대부분인 농촌지역에 12층짜리 건물이 들어섰습니다.
    건물 내 복도에는 이동할 때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어디에나 있고, 휠체어를 타고도 세대 내부까지 어려움 없이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졌습니다.
    영암에 문을 연 광주·전남지역 첫 고령자복지주택입니다.
    고령자복지주택은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이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게 설계됐습니다.
    문턱을 제거했고, 곳곳에는 손잡이를 비롯한 맞춤형 시설을 설치했습니다.
    생활 속 사고에 대비해 충격을 완화해주는 바닥재가 시공됐고, 위급한 순간에 누르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비상벨부터.
    일정시간 움직임이 없을 때 관리사무실에 알려주는 동작 감지기가 설치됐습니다.
    영암군이 국비를 지원받아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함께 세운 고령자복지주택은 100호 규모로, 건물 1층과 2층은 경로당과 치매전담형 주간보호센터 등 복지시설로 운영됩니다.
    [김영일/고령자 복지주택 입주민 : "생활하기에 아주 편리할 것 같습니다. 사고가 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시설이 잘 돼 있네요. 샤워시설의 의자 같은 것도 (만족스럽습니다)."]
    고령자복지주택은 공공임대주택의 한 형태로, 만 65세 이상이면서 무주택 세대 구성원인 기초·의료급여수급자와 유공자, 소득이 도시근로자 월평균의 50% 이하인 경우 입주할 수 있습니다.
    전용면적 약 27㎡ 기준, 월 임대료와 관리비를 포함해 10만원 안팎만 내면 생활할 수 있습니다.
    [고진호/LH 광주전남지역본부 차장 : "무장애 설계로 어르신들을 위해 특화된 주택입니다. 어르신들이 함께 모여살면서 사회적 고립을 예방할 수 있고 단지 내 복지시설에서 고령자 친화형 복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국의 고령자복지주택은 현재 3000호 규모로, 국토교통부는 사업이 확정된 7000호와 함께 해마다 1000호씩 사업량을 늘려간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정현덕

Комментарии • 23

  • @광순유-r6d
    @광순유-r6d Год назад +9

    8평은 새장도아니고 우울증거립니다 노부부도같이사는데 15평은필요하지요

  • @해피몽-o5x
    @해피몽-o5x Год назад +17

    경주시안강고령자복지주택에 가봤는데
    복지시설이며 식당도없어 식사해결도 안되고 월임대료 제외하고 관리비만 15만원입니다
    이게 무슨 고령자를 위한 복지 아파트입니까?
    하루속히 개선이 필요합니다

    • @mirabeau33
      @mirabeau33 Год назад +2

      식당은 공동 식당에서 식사하는 걸로 돼있는데
      거긴 좀 미비 합니다

    • @광순유-r6d
      @광순유-r6d Год назад +1

      구체적으로. 어떠케들어갈수있나요? 다가서보면 어려운장벽이 나옵니다

    • @Sara-mb7he
      @Sara-mb7he 4 месяца назад

      맞습니다. 관리비 17만원정도 나옵니다. 임대료5만원까지.... 어르신들 일상이 더 힘들업니다. 개선이 시급합니다

  • @파로호-e3t
    @파로호-e3t Год назад +11

    전용7-8평규모네요 1인실이라해도 너무 좁아 보여요 답답해서 우울증 걸릴것 같아요
    부부 기준은 최소15평은 되어야할듯 합니다

  • @Water.403
    @Water.403 Год назад +13

    노인을 위한 시설에는 식당이 필요...

  • @hellodanbi
    @hellodanb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부모님들 노후를 꼼꼼하게 준비하세요. 노후준비는 가족과 우리를 위함입니다. 세상에는 부모님을 간병하고 또는 가족을 간병하게 되는 사람이 많습니다. 앞으로는 더 많아질테구요. 문제는 간병도 힘들지만 그 이후입니다. 저는 독박간병을 하고 홀로 남아 샐프부양을 준비중인 절실하게 건강하고 싶은 1인가구로 사는 사람입니다. 이제 허리띠를 더 졸라메야 할 것 같습니다. 건강악화로 퇴사까지 하게되어 더 절실한것 같습니다. 건강악화에 퇴사, 이제 생활비 걱정까지 언제까지 안절부절하며 살아야 할까요. 이번에도 무너져 우울증과 공황으로 힘들었습니다. 살고싶은데..살아야하는데 왜 자꾸 무너지는걸까요..저는 폭력가정에서 자란 생존자이기도 합니다. 효녀라서 간병을 했던것 같지는 않습니다. 책임감이 컷었던것 같습니다. 무남독녀니까요. 부모님 두 분 모두 치매와 치매에 파킨슨까지 걸리셔서 직장도 그만두고 오랜시간 혼자 대,소변 갈아가며 간병을 해야했던 무남독녀입니다. 어머니는 알츠하이머와 파킨슨, 아버지는 신경성치매셨습니다. 작년에 두 분이 3개월 차이로 돌아가셨습니다.저는 큰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부모님 돌아가시고 제게 남은건 병든 몸과 마음뿐이었습니다. 저는 뇌동맥류시술을 받았고 아직 두개의 뇌동맥류가 머릿속에 남아있습니다.다른 혈관질환도 생겼고요. 간과 신장 기능저하, 갑상선저하증까지 와서 15kg이 갑자기 쪄버렸고 걷는것도 움직이는것도 힘이듭니다. 그리고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불면증을 아직도 치료중입니다. 씬지로이드와 아스피린 정신과약을 매일 잘 챙겨먹고 있습니다. 이제 부모님 돌아가신지 1주기가 되었고 부모님이 좋은곳에서 평안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아직은 치료중이고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아프지만 공유하고 소통하고싶어 용기를 내어 유튜브도 시작하고 산책도하고 여행도 가보았습니다. 이제 저는 건강하고 싶습니다. 저를 챙기고 싶습니다.나중 이야기지만 고독사란 말만 들어도 무섭습니다. 뇌동맥류를 가지고 후유증이 많은 저에게는 남일 같지가 않습니다. 건강하게 홀로 서고 싶습니다. 건강을 잃으면 인생이 없어집니다.
    치료를 받는데도 자꾸만 무너지는 마음입니다. 상처입니다.

  • @강냉이-n5b
    @강냉이-n5b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고령자 복지주택 필수시설은 식당입니다. 식사해결이 제일 힘든일입니다.

  • @박소람-e8z
    @박소람-e8z Год назад +4

    좋으네요.
    많이 지어 주세요.
    늙어서 자식들 힘들게 하면 안되죠.

  • @김미애-k4i
    @김미애-k4i Год назад +6

    고령자 인구가 늘어나면서 맞춤형 공공임대주택이 늘어날것 같네요~~ 어르신들이 아무래도 거동도 불편하고 일상생활
    하는데 보다 편리하게 시설을 갖춘것이 놀랍네요~~
    앞으로 더 좋아질것 같아서 기대되는 특화된 좋은 주택이네요~

  • @승원-p7u
    @승원-p7u Год назад +8

    아래층 식당서 싸게 사먹는다합니다ㆍ
    간호사ㆍ관리실ㆍ경로당
    1층

  • @이다-j5z
    @이다-j5z 6 месяцев назад

    60부터 사람 아픈 이력 따져서 신청하게 해 주야죠. 두가기전에 주껏네.

  • @정보안관-f5r
    @정보안관-f5r Год назад +1

    좋은 제도네

  • @김선자-f3f
    @김선자-f3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금천구는고령자복지주택언제인가요

  • @soonjaback4981
    @soonjaback4981 Год назад +4

    식생활은 어떻게 하나요?

  • @shlee3163
    @shlee316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실 노인들 넓은걸 좋아해서... 군대 다녀온 노인들은 3년가까이 갔는데 군대 안다녀온 사람들이 더 잘되서 우울하지. 지하철타면 정신 멀쩡한데 막 사건 알리려는 노인들도 만나기 쉬움.

  • @죄사함예수님십자가보
    @죄사함예수님십자가보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료의료

  • @죄사함예수님십자가보
    @죄사함예수님십자가보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모두 내집에서 살 권리

  • @김선자-f3f
    @김선자-f3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월5만원하드니십만원되었네

  • @김정수-p3q5p
    @김정수-p3q5p Год назад +1

    나인롸웃 신인허경영 대한민국 세계통일 세계황제 신인허경영 동방의등불 메시아오셨다 허경영 허경영 허경영 허경영 만세

  • @이태석-p1d
    @이태석-p1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8평? 어떤 사람이 설계한 거야 이런 탁상 행정이 욕을 먹지 난 국가 유공자 무주택자, 컨테이너 하우스에서 살지라도 이런 곳은 안들어가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