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소자물리 | long-channel MOSFET model | 2.1]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4 дек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18

  • @가나다라-j9s
    @가나다라-j9s 2 года назад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Elephant880
    @Elephant88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4:00 경에 나오는 Vt(V_SB)를 C_dep를 통해 구한 식의 경우 sqrt(V_SB)에 비례하는데 (그림 아래 식) 이는 앞서 구한 V_SB 에 linear한 경우(그래프의 linear 선)와 달라 보이는데, 둘은 서로 다른 level 에서 유도된 건가요? 궁금합니다.

    • @DevicePhysics
      @DevicePhysics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댓글만으로 수식없이 자세히 설명하기는 어려운데, 결론만 말하자면 루트가 포함된 식은 Vsb에 따라 body 쪽의 depletion width (Wdmax) 가 변하는 상황이 고려된 수식입니다. 다시 말하면, body 의 도핑농도가 균일하고, Vsb 가 증가될수록 Wdmax 도 증가하는 상황에서의 수식입니다.
      하지만 최신 MOSFET 인 경우에는 body 를 uniform 하게 도핑하지 않습니다. 채널 근처와 그 아래 body 쪽 도핑농도를 다르게 도핑합니다.
      보통 채널 근처의 도핑농도가 body 쪽보다 낮은 농도로 도핑을 합니다. 따라서 Wdmax 가 Vsb 에 의해 거의 변하지 않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수식을 유도해보면, Vt 는 Vsb 에 linear 한 관계를 가집니다. 이 linear 관계가 그래프로 표현된 것입니다.
      자세하게 이해하길 원한다면, "Modern Semiconductor Devices for Integrated Circuits, Chenming Hu" 교재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 @레쓰비러버
    @레쓰비러버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교수님 안녕하세요 우선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10:41 에 나온 Id와 Vds의 그래프에서 Vgs가 커질수록 Id가 같은 비율(간격)로 커지고 있는데 저거는 short-channel일때 저런 그래프이고 long-channel에서는 Vgs가 커진다면 Id가 제곱형태로 커져야되므로 간격이 점점 넓어져야 하는거 아닌가요?

    • @DevicePhysics
      @DevicePhysics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엇 그렇네요. short-channel device 의 그래프가 맞습니다.

    • @레쓰비러버
      @레쓰비러버 7 месяцев назад

      @@DevicePhysics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 @Ipray4U_forever
    @Ipray4U_forever 2 года назад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강의 중간에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본 강의 15:26 에 나온 VT 식에 대해
    중간에 -Qoxide/Cox 항이 들어가 있습니다.
    교수님 설명으로는 학부때 배운 식이라고 하셔서
    제가 교수님 강의 Vt에 관한 강의들
    기초반도체소자 강의 4.4강 이나 5.4장
    또 고급소자강의 1.1강의 mos cap리뷰 강의 등등 여러강의를 찾아 보았습니다만
    모두 -Qoxide/Cox 항이 빠져있습니다.
    그래서 바쁘시지 않으시다면
    -Qoxide/Cox항이 어떻게 생긴항인지
    정성적으로, 수학적 수식으로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DevicePhysics
      @DevicePhysics  2 года назад +2

      지금 다시 보니 제가 설명을 안하고 배웠다고만 말했네요.
      사실 oxide charge 에 대한 부분은 수식적으로는 자세히 다루지 않았었고, [고급소자물리|1.5] 강의 7분30초쯤에서 간략하게 정성적으로만 다루어 보았습니다.
      Qoxide 는 oxide 내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전하량을 뜻합니다.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 또는 (-) 전하들이 oxide 내에 발생할 수 있고, 이것들이 V = Qoxide/Cox 만큼 potential 의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Vt 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고급소자물리|1.5] 강의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최신의 MOSFET 은 매우 얇은 두께의 oxide 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Qoxide 의 대부분은, interface trap 에 trap 된 전자/홀 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Qoxide 에 대한 분석이나 모델링은 상당히 오래전부터 연구되던 주제였기 때문에 보통 한 권의 교재로 따로 만들어질정도로 디테일하게는 내용이 많습니다.
      간략하게 한번에 요약하기가 힘들어서 가볍게 정성적으로만 설명하고 넘어간 부분입니다.
      시간이 되면 조금씩 분석방법에 대해 다루어볼까 계획중입니다.

  • @joonhan9
    @joonhan9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강의 잘들었습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Body를 deep하게 했을경우 source drain의 depletion도 같이 커질건데
    이로인한 punch through 현상은 생기지 않나요? 항상 감사합니다.

    • @DevicePhysics
      @DevicePhysics  2 года назад

      body를 deep(?)하게 한다는게 무슨 의미인가요?

    • @joonhan9
      @joonhan9 2 года назад

      @@DevicePhysics 아 제 의도는 nmos의 경우 negative bias로 -3, -4v... 이런식으로 more nega로 걸 경우를 문의 드립니다. 또 충분히 short ch. 일 경우일때요.

    • @DevicePhysics
      @DevicePhysics  2 года назад

      수평한 방향으로 depletion region 이 늘어나는것이 아니라서 punch through 를 유발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 @franciscosuh4286
    @franciscosuh4286 2 года назад

    도핑이 많이 될수록 충돌(scattering)에 의한 이동도 저하가 발생되는데, .저저항 특성을 위해 소스와 드레인은 고농도 도핑을 하는것으로 아는데, 이때는 이동도 감소 문제는 없나요?

    • @DevicePhysics
      @DevicePhysics  2 года назад

      이동도(mobility) 라는 것 자체가 E-field 에 의해 캐리어가 가속되는 상황에서 정의되는 값입니다. 그리고 전자가 가속하는 것을 방해하는 현상이 scattering 입니다.
      드레인 영역은 저항이 매우 낮은 영역이기 때문에, voltage drop 도 없고, 따라서 마치 금속처럼 E-field 가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됩니다. 즉 드레인 안에서는 전자가 가속하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애초에 이동도를 고려해야하는 영역이 아니게 됩니다.

  • @franciscosuh4286
    @franciscosuh4286 2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십니까? MOSFET을 제작하기 위해 n 혹은 p type 불순물을 Si 기판에 이온 주입공정을 이용하여 주입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자가 하나 결핍된 이온이 실리콘 내에 주입되면 도판트로 작용하지 못 할것 같은데, 예를들어 As+ 이온이 주입되면 Si 원자와 공유결합 후 남는 전자가 없어 n type 반도체로 작용하지 못 하는 것 아닐 까하는 생각이 드는데..이 부분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 @DevicePhysics
      @DevicePhysics  2 года назад

      이 질문은 댓글로 간단히 답변하기 어렵습니다. 이온주입공정에 대해 자세히 기술된 교재나 자료들을 공부해야 합니다.

  • @ksj931027
    @ksj931027 3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질문 드릴게 있는데요, 그래프에서 Vth가 Na(Body doping density) 증가 시 Exponential하게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Vth식을 보면, Vth는 Na의 제곱근에 비례한다고 나와있어서 식과 그래프가 서로 맞지 않습니다. 제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 @DevicePhysics
      @DevicePhysics  3 года назад

      phi_fp 항이 Na 에 대한 함수이기 때문에, Vth 가 단순히 Na 의 제곱근에 비례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