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에 대체 무슨일이?약은 제대로알고 해야지 잘못하면 수확 못할수도 있어요. 꼭 확인하세요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마늘이 자꾸 죽는다고할때 물어봤어야했는데
다음에는 약을 꼭 사다가 드려야겠어요.
비료는 요소말고 칼슘제로 바꿔드려야겠어요.
#마늘병충해 #마늘흑색썩음균핵병 #약치는방법 #마늘농약 #살림꾼
010-9577-9676
저온숙성 생강청,오미자청,황매실청
lee0508@naver.com
♥️상품 구매사이트♥️
소풍온 생강청 구매하기
smartstore.nav...
구매 톡문의 pf.kakao.com/_e...
효녀이시네요. 소풍온~♡♡
ㅋㅋㅋ 고자리 파리 구더기가 파 먹었네 땅속 깊이 파 봐요 구더기 득시글 해요
미늘 재배해 보니까 싹 즉 대가 무성하거나 굵거나 하면 마늘이 통이 굵은 줄아는데 그것이 아니고 대는 가늘어도 통이 실속있게 크게 키우는 중요 하더라구요.작년에 저는 마늘대는 가늘고 총이 올라오지도 않았어도 통이 크더라구요.
우린 냉해 맞고 곯아서 고자리가온통내렷어요
에고 어떡해요
생긴건 다 뽑아내고 약 해야겠는걸요
심각하네요
제 농장도 잎마름병이 왔는데요
엄마밭 마늘은 올해 끝난거같아요
춘부병 혹은 무름병이지요
또 잘못산듯 하고요.
산림꾼이나 카디스. 옥솔린산 ㅡ이두가지 치는데
만루포와 살충제는 너무 많이 뿌렸고요.
ㅡㅡ처방이 잘못되었어요.
흑색병은 일부분 몰살돼어요.
더구나 처음 심은 자리는 잘 오지 않고요.
말라 죽은것은 지난가을이나 초봄 일찍 병이 온 것입니다.
해당 약제를 처방 하지 않아서
차차 죽은것이죠
어떻게됐나 다시 한번올려주세요
하우스는 노지와 온도차가 있으니 마늘좋아하는 파리가 일찍이 생기겠네요 조금더 공부하여 온도차에 의한 충균 예방하세요
그정도면 농사 잘지은거유
거름 많이주면 전체적으로 보이는데 양호한편
흑색썩음균핵병이아니고 무름병입니다
석회부족이나 질소비료과다시비시 잘발생합니다
현미경으로보니 뿌리응애가 있다고 하더라고요 그러면서 흑색썩음균핵병이라고 하셨어요.
@@sopung 현미경으로 직접 보셔야지 농약사 사기치는 경우 많아요. 눈 좋은 젊은 사람은 눈으로도 보여요 꿈틀되는거.
@@sopung 응애는 마늘뿌리가 죽어가면서 썪을때 나는 냄새에 몰려듭니다. 응애가 붙어서 흑색썪음균핵병이 생긴게 아니라, 얕게 심어진 종자가 동해피해로 죽어가면서 무름병으로 발전했고, 이후 응애가 붙은거로 보이네요. 그런데
어머님이 마늘약 구분을 못하신듯 합니다. 녹색병은 살충제, 핑크뚜껑은 살균제입니다. 그런데 영상의 3종이 모두 살충제이지만 마늘주요 충해관련 약은 없네요. 마늘에 나방약은 왜 쓰셨을까요...
밭의 상황을 보니 저 같으면 살균제로 '살림꾼(사1)'보다 예방과 치료 동시약제인 '삼진왕(사1+카)'을 살충제로 뿌리응애약인 '돌격대'를 사용할것 같네요. 예방을 하려 했다면 유황제품만 주기적으로 주었어도 어지간한 병은 잘 안옵니다. 유황제품은 충,균피해 예방 뿐만아니라 마늘의 주요성문인 '알리신'합성에 주요원소이기도 합니다.
제가 보기에도 요소나 황산칼리 많이 줘서 무름병 뿌리가 녹은거 같아요.
뿌리응애입니다.고자리파리 뿌리응애
그리고 뽑아서 검은균포자가 보이면 흑색썩음균병입니다.
병이 들던가 기본적으로 옆면시비를 하실때 뿌리까지 먹을 수 있도록 평당1리터는 기본적으로 주셔야합니다.잎마름병 녹병등은 처방하기가 비교적 수월한데 뿌리관련병은 정말 많이 흠뻑히 주셔야 합니다.
흠뻑 주라고 하더라고요
무름병과 흑색썩음균핵병 너무 어려워요
감사합니다
@@sopung 무름병은 예방차원에서 약치실때마다 동면끝나고부터 연하게 자주주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흑색병은 고온이고 물속에서 생존이 힘들어하는 균입니다.그래서 마늘과 벼농사를 같이하는겁니다.담수를 해서 사멸시키는거죠.
균병이 온다하면 물을 자주 주세요 .흠뻑
방금 논산 텃밭 갔다 왔는데 마을 사람들이 왜케 마늘 양파가 잘 되었냐고 다들 그러시네요. 주변 밭들 다 누렇고 웃자라고만 했는데.
저희집만 진 녹색에 너무 커서 바람에 뉘어버린것도 있네요. 허벅지까지 13잎 나왔네요.
살균약 하면 안좋아요. 약치면 미생물 다죽고 퇴비 분해할 미생물이 없어서 비 많이 오면 퇴비 독성이 작물에 피해가요.
병이 없으면 아에 약 안하는게 좋고 정확한 순서로 해야죠
퇴비뿌리고 거게에 요소 뿌리고 또 복비 뿌리고 하면 안되는데 욕심에 이것저것 다 하더라구요.
장사속에 팔아먹으려고 그냥 막 내주죠.
복비 조금만 주면 되는데.. 사람도 밥상 차렸는데 한상 크게 차려 다 먹으라고 억지로 밀어 넣으면 탈 나잖아요.
모자른듯 먹을만큼만 줘야할것 같아요.
영상 속 증상보니 혹시 황산칼리 또는 유황 주었냐고 물어보세요.
과다투여했을때 녹는 증상인것도 같아요.
외국에선 붕소도 금지되어있는데 농업 후진국이라 그런가 붕소도 엄청치죠.
예전에 없던병들이 새록새록 생겨나네요 저희도 안자라는거 뽑아보니 썩은냄새가 나면서 뿌리껍질이 까맣게되있어요.
전부 뽑아내고 영상처럼 흠뻑줘야 한대요
더이상 번지지 않음좋겠어요
저게 다 농약사에서 사기쳐서 그런거임. 노인들이 말도 안되는 농법 알려주고 그걸 또 일부 유튜버들이 올려서 망치게 하고 ㅎㅎㅎ
잘자고 잇고만,,,,,5월달 양파 고자리파리 생겨서 몇개 속아주면 될듯 ,,할머님이 시장에 얼마큼 파시고 ,,김장 하시고 자식들한테 보낼실거 라면 약많이안해도 될듯함
감사합니다
안타깝습니다.
제가 볼때 저건 가을에 심고나서 물을 너무
많이줘서 그런듯한데유!~이미 끝났쥬...
늦가을서~2월초에 오는듯하던데..저도잘 모르지만 저건 늦가을이나 2월에 약처야되는..아닌가
마늘많이는 안하고5000평정도 심었는디..
근데 한군데 저병 심한게 온곳이 있었는데
그논이 수확 젤많이 나더라구요!200평 20kg짜리 75 포대?근데 실농하면30포대도 안나와요..안번지고 죽으면 옆에께 커지나봐요 ㅎ하우스에 양배추심고 고추심으시지 ..마늘을 ..마늘 진짜 힘든농사예요..소 ,나락,고추,양파,마늘 이렇게 농사짓는데 마늘은 답을 모르것고 어렵더라구요
영상 다시보니 하우스네요.
두둑도 얕아서 물빠지이 않좋아서 일수도 있고
염류집적이 많이 된 상태에서 요소 비료 많이 준게 원인아닐까 생각도 되네요.
흑색썩음병 생기는 원인이 무엇일까요 저희 마늘증상이랑 같네요
퇴비가 많은 상태에서 과비에
실수로 봄에 살충제만 해야하는데 사기 먹고 살균제 뿌려서요.
살균제는 땅준비할때나 뿌리는거지
작물 자라는중에 뿌리면 작물 더 아작 남니다.
살아도 생육부진.
분무기의 끝의 세구멍을 빼고 분무기대에서 농약이 나오게 살포하면 조루로 주는것보다 쉬워요
더 좋은 방법은 제초제 할때 쓰는 바가지를 빼고 남은 부속을 농약대에 끼우고 구멍을 최대한 열면 한구멍으로 농약이 많이 나옵니다
퇴비밋 비료 때문에
그렇게 된겁니다
병이 아니므로 약주어도
소용없음 농약사에 속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