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D직투할까 한국형SCHD에 투자할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49

  • @환상감자
    @환상감자  Год назад +23

    ✅+팁 : 직장인이고 소득이 가능하다면, 가장 효율적인것은 인당 900만원을 연금에 나눠 넣는것을 추천. 이후는 일반계좌로 넣는게 보편적인 추천루트긴 합니다.
    📌SCHD가 추종하는 기초자산
    다우존스 미국 배당 100 지수(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를 추종합니다.
    이 지수는 10년 이상 연속 배당을 실시한 기업 중 유동시가총액이 5억 달러(약 6500억 원) 이상이고, 3개월 일평균 거래대금이 200만 달러(약 26억 원) 이상이며, 현금흐름부채비율·자기자본이익률·연배당수익률·5년배당성장률 등 4가지 펀더멘털에 선정 기준 동일 가중 방식으로 계산한 종합순위 상위 100개 종목을 편입하고 있습니다.

    • @이이-c3b7l
      @이이-c3b7l Год назад

      이게 맞죠
      과세이연, 절세효과, 독립과세 효과까지 누릴 수 있는 상품이 있음에도 해외직투부터 하는 건 일부 샀팔을 해야 되는 분들 빼고 장기투자자들에게는 이 방법이 정답입니다.
      사실 schd자체가 장투라 모든 경우의수를 따져도 말씀하신 방법이 낫습니다.

  • @Klangbarista
    @Klangbarista День назад +1

    형! 직투가 답이었어 😢

  • @alexiav350
    @alexiav35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여러분 직투에 올인! 절세계좌에 올인!이 아니라 결국에는 최종적으로 자산을 늘리기 위함이잖아요 영상에서 말했다시피 생애주기 기준으로 주식을 투자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사회초년생일때는 사건들이 많기 때문에 묶여있는 절세계좌보단 현금 유동성을 위한 직투!
    절세계좌는 현금 흐름이 고정적이고 직장도 자리가 잡힌 상태라면 그때가서 절세계좌를 통한 투자를 해도 늦지 않는다 생각합니다
    영상에서 중요한 점을 집어주셨네요!

  • @user-ds9lu7rw6u
    @user-ds9lu7rw6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말씀하시는거보면 부유한사람만 가진마인드같음.. 월급이 평균소득에 해당하는사람은 최대한 절세하는게 어떻게든좋음..

  • @gaeulnamza
    @gaeulnamza Год назад +93

    1. 한국형 슈드가 완벽하게 오리지널 슈드를 추종하는가?
    → NO.
    슈드랑 동일 품목 동일 비중으로 추종하는 것도 아니고 이미 차이가 소폭이나마 나고 있음.
    물론 현 시점 98~99%는 동일하게 추종하고 있긴하지만 추적오차율을 더 낮추리라는 기대를 하기 어려움.
    2. 향후 리밸런싱 때도 한국형 슈드 3종이 똑같이 오리지널 슈드를 추종할만한 근거가 있는가?
    → NO.
    한국형 슈드 3종이 제각기 나름의 근거를 들면서 슈드와 다른 길로 빠지거나 비율을 달리하더라도 이를 제재할 수 없음.
    3. 한국형 슈드 3종이 오리지널 슈드보다 수수료가 낮은가?
    → 총보수는 0.01%로 3종이 매우 낮게 경쟁하고 있으나, 기타비용, 판매수수료(현재는 0%), 매매중개수수료들을 합하면 실질적으로 부담하는 총비용은 0.3%에 달함.
    반면 오리지널 슈드는 0.06%를 유지하고 있음.
    4. 향후 한국형 슈드 3종이 수수료(각종 비용)로 장난질 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있는가?
    → 당연히 NO.
    지금은 제대로 경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언제든 담합에 가담할 수 있음. 그리고 3번의 총비용에서도 언급했듯이,
    3종 자산운용사 모두 0.01%의 총보수만 전면으로 내세우면서 기타비용과 매매중개수수료를 합하면 총보수의 30배인 0.3%에 육박한다는 사실을 이야기 하지 않음.
    이미 장난질 할 각을 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5. 대한민국은 기업들의 담합이 불가능한 국가인가?
    → NO.
    담합이 걸릴 가능성도 낮고, 담합하고 자수하면 과징금을 대폭 삭감해주는 제도가 존재하며, 과징금 총액 또한 담합으로 얻은 추정 이득보다 지나치게 낮아서 의미가 없는 수준임.
    6. 그렇다면 한국형 슈드 3종이 향후 수수료 담합을 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있는가?
    → NO.
    총보수는 그대로 0.01%로 내세우면서 매매중개수수료를 담합해서 올리며 돈 빨아먹고 나중에 어디 한 곳이 총대매고 자수해서 소액 과징금 내고 끝내는 미래가 뻔히 보임.
    7. 한국형 슈드의 배당성장률이 오리지널 슈드의 그것을 계속해서 따라갈 수 있을것인가? (= 계속해서 낮은 추적오차율을 유지할 수 있을것인가?)
    → NO.
    오리지널 슈드의 배당성장은 해당 자산운용사에 대한 신뢰, 리밸런싱에 대한 신뢰, 미국의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로 인해 크게 장난질 치지 못할 것이라는 신뢰를 업고
    주가가 상승하기 때문에 배당성장이 이루어지는 것인데 반해, 한국형 슈드는 신뢰가 부족함.
    지금까지는 주가 상승분 또한 오리지널 슈드를 그대로 따라가는 양상을 보였지만, 향후에도 동일할지는 미지수.
    이미 한국형 슈드 3종 사이에서도 추적오차율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음.
    8. 위와 같은 점을 종합하여 고려할 때, 한국형 슈드의 비과세 적용이라는 장점이 오리지널 슈드보다 앞설 것인가?
    → NO.
    금감원의 느슨한 감시, 금융관련 법률의 엉성함, 담합시의 로우리스크 하이리턴,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의 부재 등,
    대한민국은 얼마든지 자산운용으로 장난질을 칠 수 있는 환경임.
    딱 하나,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만 한국에 존재했다면, 그래서 물적분할 후 자회사 상장하는 식으로 주주 엿 먹이는 행동을 했을 때,
    그룹 전체가 날아가버리는 강력한 리스크만 존재했다면 국장에도 주식 투자하고, 한국형 XXX 모두 안심하고 투자했을 것임.
    그러나 이 나라는 그렇지 않음.
    주주 엿 먹여도, "여기선 그래도 되니까." 가 통하는 환경임.
    미국 기업이 한국에 들어와도 똑같이 주주 엿 먹이고 소비자 등신 만들 것임. 왜? 여기서는 그래도 되니까.
    같은 이유로, 한국형 슈드 라는 개념 자체는 지금까지도, 앞으로도 영원히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것이고, 비과세건 뭐건 그냥 미국 직투만 계속할 것임.

    • @LemonGrab-o7p
      @LemonGrab-o7p Год назад +5

      선생님 혜안이 대단하신거 같아요 방금 K-SCHD 10만원 어치 샀는데 바로 직투로 갈아타렵니다

    • @이이-c3b7l
      @이이-c3b7l Год назад +3

      Tiger 미국배당 총비용 봐보셈요.

    • @달인-b7s
      @달인-b7s Год назад +1

      @@이이-c3b7l 타미당 실부담비용 모두 합치면 수수료 0.08%

    • @redvitriolic1708
      @redvitriolic1708 Год назад +1

      솔직히 절세 입장에서는 매우 매력적이지만
      지난 1년간 지켜본결과 초창기임에도 미세하게 변화가 들쭉 날쭉함
      그래서 좀더 관망하기로 했습니다.

    • @yjlee967
      @yjlee967 Год назад +6

      님 세상을 너무 부정적으로 보시는듯… 이미 타미당 0.8%로 낮추었고 운용자산이 커지면 예를 들어 100억일때와 1000배가 늘은 10조일때 똑같이 수수료율 가져갈 수 있다고 보여지지 않습니다. 님의 말을 적용하면 100억 0.3%면 3천만원인데 10조 0.3%는 300억이거든요… 이런데 수수료율 똑같이 유지할 수 있으리라 보시나요?
      물론 10조가 과장이 좀 있으나 현재 상장 7개월 만에 타미당 4160억 규모입니다. 내 투자금이 늘어날수록 점점 눈덩이처럼 커질거고 수수료 인하는 수순이라 생각합니다. 지금 4160억에 0.3% 유지한다면 수수료만 12억4천8백만원입니다. 그리고 관리비가 결국 schd에 로얄티로 나가는거 말고따라가는거라 관리 인력이 많이도 필요 없는 단순 업무이구요… 펀드매니저가 관리하는 펀드가 아니에요.
      수수료 걱정보다 먼저 내 원금을 얼마나 빨리 불릴 수 있냐가 우선이 되어야죠. 미국판 shcd는 1억 원금에 세금 연 525,000원, 보수 600,000원으로 합쳐서 연1,125,000원이에요 목표금액을 어느 정도 책정하셨나 모르겠으나 제 기준 2억을 잡았을때 연 250만원이 비용입니다. 타미당의 경우는 160정도 되겠네요. 님이 말한대로 담합으로 수수료 장난질 쳐도 250보다는 낮을거라 저는 생각하는데 어찌 생각하시나요?

  • @doosanback6232
    @doosanback6232 Год назад +3

    좋아요. 눌러 드렸습니다.
    전 TIGER 배당다우존스 조금씩 모으고 있습니다.

  • @로앤직
    @로앤직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직투는 양도소득세 계산시 증권사에 따라 선입선출 방식으로 진행되어 까다롭더라구요,,

    • @이실장-o7j
      @이실장-o7j 3 месяца назад

      선입선출 말고 평균금액으로 계산하는 증권사로 갈아타세요 예시 토스

  • @xiaolongzhu6176
    @xiaolongzhu6176 Год назад +2

    양의 복리라...생각 못 한 부분이네요~,감사합니다

  • @오기린-z7f
    @오기린-z7f Год назад +22

    과세이연+소득공제+매도시 연금소득세 고려하면 엄청난 이득인데…
    세금 쉽게 생각 하시는분 많네..
    그리고 어차피 장기투자 할꺼 안빼도 상관없는 돈으로 준비하는거면 절세계좌가 이득이죠..
    개인들은 5년 -10년 후에 배당 늘어서 배당소듯세 + 건강보험료 폭탄 받아야 절세계좌 들여다 보실듯하네요…

    • @Mukorita
      @Mukorita Год назад

      냉정하게 그정도 세금 걱정할 사람이면 진지하게 고민해봅니다. 대부분 몇백정도 찔끔 넣어놓으니까 그러는거지

    • @bmwsocial
      @bmwsocial Год назад

      매도할때 세금 낼거 생각하면 당장 연저펀에 묵혀두는게 답이라 연저펀 2년정도 넣고 있네요. 노후 준비 이걸로 끝^^

    • @해헤-u9e
      @해헤-u9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니까 사소한수수료따위로 세금무서운줄모름

  • @j4471
    @j447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영상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저는 사업하는 30대 초반입니다. 작년에 매출 5억 5천 정도를 냈습니다. 그리고 schd를 직투로 모아가려고 하는데, 비교적 제가 소비가 많이 없는 편이라 순수익 월 3-4천 정도를 직투를 할까 하는데요.. 찾아보니 건보료 폭탄이 어마어마할 거 같더군요..감자님의 영상 초반에 보면 소개가 저랑 비슷한 느낌인데..혹시 저도 법인을 통해 금융소득과세자가 되는 걸 방어하는게 좋을까요..!? 하나 다른 건..전 솔로입니다..ㅎㅎ

    • @환상감자
      @환상감자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자가있고, 인생이벤트준비가 끝났다면 그렇게 하셔도 좋을듯합니다. 법인은 개인으로 넘어올때 세금을 한번더 고려해보셔야 하지만, 그정도 버시는거면 세금보단 법인으로 그 다음 스텝을 준비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 @user-vk9cv2ql7d
    @user-vk9cv2ql7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수수료 깡으로 그대로 내느냐랑 소득공제+감세+과세이연이 되냐 차이는 너무나도 크죠.. 금액이 쌓이면 쌓일수록 더더욱

  • @robertkwon4213
    @robertkwon4213 Год назад +2

    연금저축, 일반계좌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현재 계획은 1800만원을 연금저축계좌에 투입한 후 한국형 SCHD 에 투자하려고합니다. 이런 경우 600만원만 세제혜택을 보고 나머지 1200만원은 세제혜택을 받아보지 않아 세금없이 인출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2년차부터 궁금한것이 2년차에 동일하게 1800만원을 투입하고 1년차 한국형 SCHD 에서 배당금을 50만원을 받았다고 가정했을때 배당금에 해당하는 50만원을 출금하면 세금이 붙는건가요? 예) 3년간 1800만원씩 5400만원 납입, 3년간 배당금 150만원 수령, 150만원 출금 시 세금 공제없이 출금 가능한가요?

    • @김글짱
      @김글짱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Irp에 300 더 넣을 수 있음

    • @K.U-p6w
      @K.U-p6w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연금저축으로 배당금 받은금액은 55세이후 연금수령신청후 맨마지막으로 출금 가능합니다 세금은 나이에따라 5.5%~3.3% 입니다
      연금수령 신청하면 운영하고있는 주식형 etf 전부매도후 현금화 해야합니다 그리고 추가 납입도 않됩니다
      출금순서
      첫번째 세액공제 받지않는 금액 (55세 이전에도 출금가능 세금없음)
      두번째 세액공제 받은금액 (세금5.5%~3.3%)
      세번째 운영수익금(시세차익/배당금 5.5%~3.3%)

  • @jakeahn4921
    @jakeahn492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연금저축+과세이연+세액공제 가 사기인데 대신 쉽게 뺄일 없는 사람들 한정이긴함
    과세이연되니까 수익율 관점에서 더 좋을것같은데 안그런가요? 리스크는 환율의 불확실성이 최대 리스크임

    • @환상감자
      @환상감자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말씀하신게 맞습니다

    • @meyoumeyou0
      @meyoumeyou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ㅇㅈ요
      연펀, isa가 ㄹㅇ 사기인데
      그거부터 채우고
      해외직투하던가 하는게 맞는듯
      해외직투에 미쳐있는 사람들보면
      뭐 내일 당장이라도 전쟁날거처럼 투자하는데 나중에 세금때고 보면 현타 씨게올듯

    • @chawoochawoo
      @chawoochawoo 15 часов назад +1

      사기라 너프먹었다 ..

  • @달인-b7s
    @달인-b7s Год назад +9

    저는 그냥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만 매수하기로 했습니다. 수수료도 실부담비용 전부 합해도 0.08%로 k schd중 가장 저렴하고 무엇보다 월배당에 환전까지 할필요가 없으니 너무 편하고 좋습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해외의 유명 자산운용사를 여럿 인수하기도했고 지난 13년간 tiger 미국 나스닥100도 문제없이 잘 운용되어 왔으니 운용능력은 검증됬다고 생각합니다. 반박시 님말이 맞습니다.

    • @김글짱
      @김글짱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무꾼-x5i주식말고 etf로 검색해요 주린님

    • @LUNA0409-w9k
      @LUNA0409-w9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ACE는 운영료 0.01%.

    • @김글짱
      @김글짱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LUNA0409-w9k 운영료는 작은데 수익 챙겨주려고 제살 깎아서 주고있는게 ACE임...차포 다때고 보면 ACE가 젤 구림...그리고 규모가 클수록 비용이 내려가는데 ACE가 규모도 제일 작음

    • @supremehot
      @supremeho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신한SOL이 아닌 타미당을 선택하신 이유를 여쭤봐도될까요?

    • @김글짱
      @김글짱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supremehot 유튭검색하면 나오지만 수수료 저렴, schd랑 괴리적고, 여러가지 더하기 빼기 해보면 셋중 제일 이득임...ace는 수수료 젤저렴한데 통장에 있는 원금으로 배당지불하는 느낌...

  • @joon3ng
    @joon3ng Год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__)

  • @minsoochoi2668
    @minsoochoi2668 Год назад +5

    잘봤습니다. 한국형 ETF 의 실질보수도 다뤘으면 더 좋았겠네요. 월배당의 이점도 있지만 보수가 비싸면 복리로 마이너스를 당하기때문에 장기적으로 더 불리할수도 있고. 그걸 계산하기는 상당히 번거롭죠.

    • @환상감자
      @환상감자  Год назад +7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야기하신 실질보수는 한국형 ETF는 3종모두 총보수가 0.01%로 내려와서 의미가 없더라고요. 오히려 SCHD(0.06%)가 더 높아요.
      이미 많은 유튜버분들이 다뤄져서 따로 다루진 않았습니다!

    • @minsoochoi2668
      @minsoochoi2668 Год назад +3

      @@환상감자 그렇군요 많이 싸군요. 0.01%가 자기네들이 광고하는 보수라면 운용보고서를 자세히 살펴보면 실질보수가 있습니다. 광고하는건 보통 표면보수라고 하더군요. 어떤 상품은 실질보수가 2배 가량 비싼것도 봤습니다.

    • @hohoppa
      @hohoppa Год назад +2

      Ter를 말씀하시는 거라면 대략 0.3% 중반대 정도 됩니다. 참고하세요

    • @후우꾸꾸우후오오-w2z
      @후우꾸꾸우후오오-w2z Год назад +1

      @@minsoochoi2668햇지나 tr붙은 상품은 보수가 좀더 나가더라구요…

    • @관악산-j4b
      @관악산-j4b Год назад +3

      정말 0.01이 끝일까
      잘 확인 하시길빕니다

  • @김아빠-o4f
    @김아빠-o4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둘 다 하면 되겠네요. ㅎ isa 는 안 하시나요? 금융수익이 커서 세금 관리 차원에서라도 필요하실텐데

  • @스카이워커제주
    @스카이워커제주 Год назад

    한국상장ETF : IRP 아니면 그냥 직투가 낫죠

  • @wylim161
    @wylim161 Год назад +1

    schd에 관심이 생긴 초보자인데요 직투라는건 말 그대로 예를 들면 키움증권에서 해외계자에서 직접 구매하는 방법인것 같은데 연금 절세계좌라는건 isa계좌를 말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환상감자
      @환상감자  Год назад

      연금계좌는 보통 ISA, 연금저축펀드를 뜻하고 더 넓은 의미로는 IRP(퇴직연금)까지도 포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TV-db9bx
    @TV-db9bx Год назад +7

    schd의 주가가 1%오르면 한국형 schd의 주가도 똑같이 1%오르는건가요?
    아니면 미국과 한국은 별개인건가요?
    10년 투자했을시
    미국schd가 200%올랐는데 한국SCHD는 100%정도만 오를까 걱정되는데
    어떻게되는건가요

    • @후우꾸꾸우후오오-w2z
      @후우꾸꾸우후오오-w2z Год назад +1

      환차익이 발생함… 환율도 오르락 내리락하니…

    • @TV-db9bx
      @TV-db9bx Год назад

      @@후우꾸꾸우후오오-w2z 환차익은 논외로 하고 주가만 이야기 하는겁니다

    • @환상감자
      @환상감자  Год назад

      제 의견은 이 부분은 조금더 지켜봐야 한다는 쪽입니다.
      주가는 기초자산 지수추종을 하니까 같이 올라갈것 같은데, 그밖의 배당율과 배당성장율, 비용등을 주의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어요.

    • @감사-s6h
      @감사-s6h Год назад

      지금까지로는 어떤가요?
      저도 똑같이 오르는건지 궁금했거든요
      다른유투버들도 연금저축계좌를 이용하라고 하는데 주가가 오르는것도 똑같이 적용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투자하는것도 달라지지 않을까합니다

    • @후우꾸꾸우후오오-w2z
      @후우꾸꾸우후오오-w2z Год назад

      @@TV-db9bx 똑같은데 schd내려갔는데 이번에 달러 올라가서 환차익때문에 올라갔다구요 환헷지 상품은 내려가고요

  • @김반짝이-w2w
    @김반짝이-w2w Год назад +1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60세 은퇴예정자인 저도 열심히 공부하며 따라가고 있습니다.
    고민해결입니다.
    좋은영상과 해박한 지식에 늘 감탄하며 보고 있습니다!!

  • @zzaney
    @zzane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차피 15년뒤 연금 빼는 55세라 매년 1800만원씩은 연금저축에 넣으면서 1억 채우고 나머지4억은 거치로 직투하는건 어떨까요?

  • @워렌존버핏-b8x
    @워렌존버핏-b8x Год назад +1

    여러분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비용입니다

  • @아극-u7i
    @아극-u7i Год назад +1

    연금계좌는 논외로 치고 ISA계좌에서 한국판shcd 사모으다 3년(만기)마다 직투계좌에서 원조schd 한번에 재구매하는 전략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환상감자
      @환상감자  Год назад

      세제혜택으로 괜찮아보이긴 하는데 콕집어서 괜찮은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S&P500 TR, 혹은 나스닥 TR사서 매수하다 만기시 직투계좌에서 한번에 사는것 등의 방식과 비교해보셔도 좋겠네요.

    • @아극-u7i
      @아극-u7i Год назад

      @@환상감자답변 감사합니다! 궁금한점이 또 있는데요; ㅎㅎ ISA에선 s&p500 or 나스닥 사서 매수하다 직투계좌에선 'schd' 를 한번에 사는 방식을 말씀하시는걸까요 ? TR을 말씀주신 이유는 3년간 두 ETF의 분배금 규모가 작을테니 예수금이 애매하게 남는걸 방지하기 위함이구요 ?

    • @환상감자
      @환상감자  Год назад +1

      1. 네 맞습니다.
      2. 네 맞습니다. 그리고 귀찮기도하고요 ㅋㅋㅋㅋ 제가 그래서 바꿨습니다.

    • @아극-u7i
      @아극-u7i Год назад

      답변 감사합니다~ 성투하세요!

    • @스카이워커제주
      @스카이워커제주 Год назад

      SCHD TR은 왜 없나요?

  • @Dean_Wc
    @Dean_Wc Год назад +1

    저는 31살 개인사업자입니다.
    지금은 벌이가 괜찮긴 한데 개인사업이라는게 언제 망할지 모르는거라... 항상 지금 잘 벌더라도 불안감이 있고 (물론 직장인분들도 어느정도 불안감이 있겠지만)
    수입이 줄어들면 그동안 모아뒀던 목돈이 필요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항상 돈 묶이는 것을 좀 꺼려하는 편입니다.
    지금 제일 많이 묶인게 얼마전에 산 채권 5천만원어치...
    이런 개인사업자의 경우라면 연금계좌를 쓰는 것보단 확실히 직투가 낫겠죠?

    • @환상감자
      @환상감자  Год назад

      저도 그 불안감때문에 시작했습니다. 잘 시작하셨어요. 채권도 좋은 선택이고요. 조금씩 영상보시면서 배당주와 경제공부를 하시면 더 잘하실것 같습니다. 🙌

    • @j4471
      @j447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는 사업하는 30대 초반입니다. 작년에 매출 5억 5천 정도를 냈습니다. 그리고 schd를 직투로 모아가려고 하는데, 비교적 제가 소비가 많이 없는 편이라 순수익 월 3-4천 정도를 직투를 할까 하는데요.. 찾아보니 건보료 폭탄이 어마어마할 거 같더군요.. WC님은 어떤 생각잇니지도 궁금합니다.

    • @호두-g3q
      @호두-g3q 2 месяца назад

      @@j4471 건보료 내도 어차피 -는 아니니 긍정적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ㅋㅋ 많이좀 내보고싶네요

  • @jyh8517
    @jyh8517 Год назад

    Isa쓸꺼면 국장, 배당받아 직접쓰려면 직투

  • @관악산-j4b
    @관악산-j4b Год назад +7

    무조건 직투 5년 후에 보면 아 내가 왜 직투를 안했을까 후회함 내 말을 들어야한다

  • @KINGAREU
    @KINGAREU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거지

  • @user-gs8tj3mw77
    @user-gs8tj3mw77 Год назад +2

    직투는 어떻게 하는건지? 그냥 주식처럼 사는건지. 몆년후에 배당금은 어떻게 받는건지 잘좀 설명 부탁 드립니다 ♡♡♡♡

    • @환상감자
      @환상감자  Год назад

      직투는 직접투자의 줄인말로 그냥 주식사는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etf나 배당주를 사면 자동으로 해당 계좌에 들어옵니다.(세금떼고요)

  • @50억벌자목표
    @50억벌자목표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내가 생각하는 루이비통보다 더좋은 명품주식은 schd

  • @바나나2개
    @바나나2개 Год назад +7

    schd 기타비용 포함한 토탈 수수료 0.06%
    sol 기준 기타비용 포함한 토탈 수수료 약 0.78%
    10년 가지고 있으면 7%가 수수료로 나감
    한국증권사에 표기되어 있는 운용보수 믿으면 안됩니다
    sol도 0.01로 표기하고 schd 직접투자보다 싸다고 홍보하는데 실제로는 직투보다 13배가 더 나감

    • @환상감자
      @환상감자  Год назад

      요거 저도 봐야겠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Mukorita
      @Mukorita Год назад +2

      3사 모두 0.3% 초반대로 공시되어 있는데, 0.78%는 어디서 찾은 정보일까요?

    • @바나나2개
      @바나나2개 Год назад +1

      @@Mukorita sol 증권사 사이트 들어가셔서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투자설명서pdf 다운 받으시면 총보수비용 상세하게 적혀 있습니다.

  • @다금바리님
    @다금바리님 Год назад +1

    정말궁금한게 있습니다. 영상중에 슈드에서 받는 배당금중의 일부는 내투자원금을 받는것이다라고 하셨는데 그게무슨말인가요? 배당금의 일부가 내투자 원금이다?
    무슨말인지 좀다시 알려주세요 ㅠㅠ

    • @풀뿌리민주주의-q1e
      @풀뿌리민주주의-q1e Год назад

      배당금의 일부는 다시 재투자 할 것이기 때문에 그런거 아닐까요?

  • @DNH-hh9qx
    @DNH-hh9qx Год назад +1

    한국슈드17년 한국에센피30년치만 넣고 나머지는 직투가야죠

  • @바우바우-g8u
    @바우바우-g8u Год назад +4

    개인 연금은 미국s&p500 풀로 투자중이며 직투로 슈드 투자중입니다

    • @YUNJINSOO4308
      @YUNJINSOO4308 Год назад +1

      저와 같으시네요
      국내상장 S&P500은 어느 운용사를 모으시나요??

    • @zo7944
      @zo7944 Год назад

      @@YUNJINSOO4308 저는 연금저축은 신경쓰기 귀찮아서 kodex snp500 tr 만 600만원 사고 딱 끝냅니다

    • @바우바우-g8u
      @바우바우-g8u Год назад

      @@YUNJINSOO4308
      미래에셋 투자중입니다

    • @브덜
      @브덜 Год назад

      ​@@YUNJINSOO4308타이거 미국s&p500이 좋아요~ 수수료도 0.07퍼고 시총도 높고

  • @시인나라
    @시인나라 Год назад +57

    직투가 답입니다 고민할 가치도 없습니다

    • @RANDYORTON-mc4yn
      @RANDYORTON-mc4yn Год назад +13

      그래도 연금저축계좌 세금혜택 생각하면....

    • @시인나라
      @시인나라 Год назад +4

      @@RANDYORTON-mc4yn 아직 SCHD는 950주 정도 밖에 안되서 세금부분까지 생각을 안하네요

    • @캐로로소장
      @캐로로소장 Год назад +3

      돈이 많으면 직투
      그저 그러면 직투와 연금 세금공제
      그마저도 없다면 연금 ㅎ

    • @ourinvestory
      @ourinvestory Год назад +3

      연저펀 최고 세액공제금액 선택가능 세액공제 제외금액 언제든지 인출가능

    • @S.winter-s1c
      @S.winter-s1c Год назад +13

      배당소득세 내는데 ? 그리고 etf 가격 상승하면 매도시 양도소득세도 내야하고 ㅋ 한국형이 답이지 ~~~!!!! 그러고 남는돈 직투하는게 맞다

  • @JS-질렁이
    @JS-질렁이 Год назад +2

    국장은 거르는게 답

  • @gaeulnamza
    @gaeulnamza Год назад +14

    한국 기업을 믿을 수 있는 사람 → 한국형 슈드에 투자하면 됨.
    한국 기업을 믿을 수 없는 사람 → 슈드에 직투하면 됨.
    전 한국 기업을 믿지 못해서 국장에 손도 안 대는 사람인지라 슈드 직투 중입니다. 매월 200씩 넣는 중.

    • @오기린-z7f
      @오기린-z7f Год назад +8

      똑같은 미국 주식이고..자산운용사 망하면 한국 예탁결제원에서 관리합니다….

    • @gaeulnamza
      @gaeulnamza Год назад

      @@오기린-z7f 누가 똑같은 주식인거 모르나요.
      완전히 슈드랑 동일 품목 동일 비중으로 추종하는 것도 아니고 이미 차이가 소폭이나마 나고 있는데,
      향후 리밸런싱 때도 한국형 슈드 3종이 똑같이 오리지널 슈드를 추종할만한 근거가 있는가? -> NO
      총보수 0.01%라고 하지만 TER은 0.3%을 넘는데, 이것만 해도 이미 비쌈. 향후에 3개 운용사가 총보수를 담합하지 않을 것이라고 책임질 수 있으신가요?
      대한민국은 기업들끼리 개나소나 담합하는 담합공화국으로, 공정한 경쟁 자체가 불가능한 곳인데, 지금 총보수 경쟁하는 상황에서도 TER이 비싼 판국에,
      총보수를 담합해서 0.5% 이딴식으로 올리지 않을거라 누가 보장하죠?
      한국 기업들이 왜 물적분할해서 자회사 상장 시키는 양아치 짓을 할까요?
      정답은, 여기서는 그래도 되니까 입니다.
      미국 기업도 당연히 그렇고 하고 싶은데 법적으로 할 수 없게 되어 있거나, 했다가 걸리면 징벌적 손해배상 처맞고 번 돈 다 토하는 정도가 아니라 회사가 사라져버리게 되니까 못하는겁니다.
      담합하다가 당연히 걸리겠지만, 3사 중 한 곳이 총대매고 자수하면 과징금 엄청 깎아줍니다.
      담합해서 꿀 좀 빨다가 한 곳에서 총대매고 과징금 좀 맞고 손해 본 만큼은 다른 두 곳에서 조금 메워주면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원상복귀되죠.
      그동안의 손해는? ETF 구매자만 보고 끝. 이게 대한민국의 소액 주주가 지금까지 겪어왔던 일인데, 미래가 달라질만한 근거가 있나요?
      대한민국에 새롭게 징벌적 손해배상류의 제도가 도입되지 않는 이상 미래는 과거와 똑같이 흘러갈 수 밖에 없을건데요.
      슈드의 배당성장은 사실상 이러한 공정성과 각 항목들을 효율적으로 밸런싱한다는 신뢰 덕에 오르는 주가가 배당성장을 뒷받침해줍니다.
      한국형 슈드 3종은 현재까지는 좋습니다.
      그런데 주가 상승은 신뢰를 양분으로 삼아 자라는 법인데, 한국의 자산운용사가 고객들에게 계속해서 변치않는 신뢰를 줄 수 있느냐는겁니다.
      총보수만 해도 오르락내리락 정신이 없는 상황에서요 ㅋㅋㅋㅋ
      그래도 믿겠다?
      그러면 한국형 슈드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위에 써놓았죠? 한국 기업을 믿을 수 있는 사람은 한국형 슈드에 투자하면 된다고.
      저는 한국의 금융법 체계가 미국보다 너무 빈틈이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한국 기업을 못 믿습니다. 자산운용사가 장난질 칠 확률 100%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한국형 슈드를 사지 않는겁니다.

    • @이훈호-q4n
      @이훈호-q4n Год назад

      ​@@오기린-z7f그 말이 아닌듯합니다.
      국장이 장난도 많이치고 지금 수수료가지고 홍보하는데
      최근수수료를 낮췄는데 그 말은 즉슨 3개운용사가
      담합해서 올릴가능성도 배제할수없어서..

    • @meyoumeyou0
      @meyoumeyou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진짜 소름돋을정도로 무식한 사람이네

  • @brucekim2977
    @brucekim2977 Год назад +7

    그냥 직투하고 세금 좀 더내면 될듯. 어느채널서 보니 세금 그리 많이 안느는데 또다른 채널들은 세금폭탄이란 단어들 써가며 방송함.
    세금폭탄이라 할 정도의 세금나오면 배당으로만도 어마어마한 수익이 나야하고, 실질적으로 그정도 배당수익나는 분들은 세금 그리 신경 안씀.
    그리고 문제는 한국형 슈드가 미국슈드의 수익률 배당성장률을 비슷하게라도 따라가냐 인것이 핵심. 이 핵심을 말해주는 채널 찾는중인데 잘 안보임.

    • @환상감자
      @환상감자  Год назад +7

      정확합니다.
      세금은 실제로 기간을 몇년 잡아서 복리를 보여주는지에 따라 체감차이가 엄청나죠.
      한국형슈드들이 찐슈드의 배당율을 그대로 답습할건지는 2-3개월내로 평가될것 같습니다. 아직 애기etf들이라 평가를 하기엔 아직 걸음마도 안한상태같거든요. 그리고 총보수0.01%가 제대로 지켜질것인지도 관찰대상중 하나라 봅니다🙌🙌

    • @감사-s6h
      @감사-s6h Год назад

      저두요 ㅠㅠ 이부분 확실하게 말해주는 분이 없네요
      정확히 모르는건지 아니면 못따라가고 차이가있는건지,,,
      너무 궁금해요🥲

    • @하루또하루-m4s
      @하루또하루-m4s Год назад +2

      총비용 비교하면서 직투 배당소득세 공제하고 입금되는 건 왜 외면할까? 연말정산 환급받는거 생각하면 직투는 비교대상도 안되는데.. ㅎㅎ

    • @skim2433
      @skim2433 Год назад +1

      @@하루또하루-m4s 안파는걸 가정하면 공제항목 무시못합니다
      근데 연금저축이나 IRP 혜택이 왜 좋은지를 고민해보시면 답나와요 대한민국 서민중 연금저축 20대부터 은퇴까지 끌고갈 사람 몇프로나될까요?
      대부분 주택구매시기 다가오면 가지고있던돈 다 털어서 사고 다시 주식 시작하는게 대부분입니다 그러면 여태 공제받은 공제액 + 매도세액까지 나가는데 뭐가 정답일까요?
      배당세액 15.4프로 내면서 매년 시세차익 250만원 이내로 정리 후 재매수하는게 이득일까요
      연금저축 세액공제 받으면서 향후 해지하고 세금 다 때려맞고 해지하는게 이득일까요 정답은 없지만
      어느정도 기반 마련하고 연금에 올인하는게 나을수도있어요

    • @환상감자
      @환상감자  Год назад

      제가 하고 싶은말이었습니다. 우리는 주식공부하면 주식에만 시야가 좁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조금 더 넓게 볼필요가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