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근데 궁금한 점이 있어 댓글 남깁니다 n=2m+1일 경우(13분 즈음) 보간법을 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최소자승법에서 데이터를 필수적으로 지나지 않을텐데 보간법이 어떻게 성립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n이 등간격으로 sin과 cos 합의 값이 0이기만 하면 행렬의 행과 열이 많아지기에 n의 갯수와 무관하게 m개의 미지수를 다 구할 수 있지 않나요?
매틀랩을 처음 접해서 1강부터 쭉 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는데 설계행렬 구성 시 첫번째 행렬부분에 ones(size(t)) 이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이전 동영상에서도 예시 보여주신 걸로 알고 있는데 완벽하게 이해 못한 상태로 여기까지 왔네요 도와주실수있나요? 감사합니다.
다음 동영상 5:30 부분을 보세요. ruclips.net/video/dQLEDLZt1WU/видео.html Matlab에서 백슬래시 연산자를 이용하여 계수를 구하는 방법으로 제시된 것인데, 첫번째 열에 해당하는 ones(size(t))는 상수계수항에 해당하는 함수를 의미합니다. 함수자체가 1이고 이를 행렬의 크기에 맞게 넣어야 하니까 size 함수를 이용합니다.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근데 궁금한 점이 있어 댓글 남깁니다 n=2m+1일 경우(13분 즈음) 보간법을 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최소자승법에서 데이터를 필수적으로 지나지 않을텐데 보간법이 어떻게 성립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n이 등간격으로 sin과 cos 합의 값이 0이기만 하면 행렬의 행과 열이 많아지기에 n의 갯수와 무관하게 m개의 미지수를 다 구할 수 있지 않나요?
미지수의 개수와 점 데이터 개수가 같으면 모든 점을 지나가는 식을 얻게 되므로 결국 보간법으로 구한 결과와 같은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점 개수가 3개일 때 2차방정식을 접합시키면 (미지수 개수 = 3) 그것이 바로 보간식이 되는 것입니다.
매틀랩을 처음 접해서 1강부터 쭉 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는데 설계행렬 구성 시 첫번째 행렬부분에 ones(size(t)) 이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이전 동영상에서도 예시 보여주신 걸로 알고 있는데 완벽하게 이해 못한 상태로 여기까지 왔네요 도와주실수있나요? 감사합니다.
다음 동영상 5:30 부분을 보세요. ruclips.net/video/dQLEDLZt1WU/видео.html
Matlab에서 백슬래시 연산자를 이용하여 계수를 구하는 방법으로 제시된 것인데, 첫번째 열에 해당하는 ones(size(t))는 상수계수항에 해당하는 함수를 의미합니다. 함수자체가 1이고 이를 행렬의 크기에 맞게 넣어야 하니까 size 함수를 이용합니다.
마지막에 매틀랩으로 실행 시킬때 n 갯수는 10이고 계수는 총 3갠데 n이 2m+1 보다 많다는거니까 회귀분석법처럼 그래프가 경향만 나와야되는거아닌가요 왜 보간법으로 나온건가요??
좋은 질문입니다. 그 이유는 싸인 또는 코사인 곡선에서 추출된 점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을 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접합곡선이 주어진 데이터세트 점과 거의 정확히 일치하고 있습니다.
@@wiuofmech5678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