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식스쿨입니다. 금일 영상 순위에 대해 오해를 불러온 것 같아 안내드립니다. 금일 영상은 21세기에 국기를 변경한 국가 중 주목할 만한 국가를 선정했고 그 국가들을 최근 변경한 순서로 순위를 매긴 것이었습니다. 그렇지만 그냥 최근 변경한 순서로만 순위를 매긴 것으로 오해를 불러온 것 같네요. 늘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즐거운 명절 보내세요.
이외에도 세인트루시아(2002년 색상 변경), 산마리노(2011년 색상과 국장 모양 변경), 벨리즈(2019년 그라데이션 삭제), 시리아 (최근), 온두라스(2022년 색상 밝은색으로 변경), 말라위(2010~2012년까지 흰 태양 그려진 걸로 쓰다가 2012년 3분기에 롤백됨), 키르기스스탄(2023년 태양 디자인 약간 달라짐), 모리타니(2017년 위아래에 빨간줄무늬 추가 및 초녹 배경 농도 조정)등 있습니다
태극이란 용어가 중국에서 유래했지만 (한자로 쓰여졌으니 용어야 당근 중국유래) 음양에 입각한 조화라는 태극사상이나 문양은 우리나라 선사시대부터 쓰던 문양이고 한국, 중국은 물론 몽골 티벳 등등 동북아에 이미 널리 퍼진 사상임. 그렇게 치면 삼색기 쓰는 나라들은 유럽 전통이나 따르는 바보들이겠네. 글고 고단한 국운이라는 건 당신 생각일 뿐.
안녕하세요. 지식스쿨입니다. 금일 영상 순위에 대해 오해를 불러온 것 같아 안내드립니다.
금일 영상은 21세기에 국기를 변경한 국가 중 주목할 만한 국가를 선정했고
그 국가들을 최근 변경한 순서로 순위를 매긴 것이었습니다.
그렇지만 그냥 최근 변경한 순서로만 순위를 매긴 것으로 오해를 불러온 것 같네요.
늘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즐거운 명절 보내세요.
저는 어렸을때 옛날 책을 봐서 그런지 레소토, 이라크, 버마, 리비아, 아프간, 시리아 국기는 지금 국기가 아닌 옛날 국기가 많이 생각나더군요...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
항상 시청해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즐거운 명절 되세요~
언제나 지식스쿨은 감동입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감사 😊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위키백과에선 1984년과 2011년에 색이 변경됐다고 나오는데 태극기 관련 법 조항이 만들어졌을 뿐 공식적으로 색깔울 어떻게 바꿨다고 하는 정보는 못 들어본거 같습니다.
색이 더 찐해졌습니다
주로 색상의 변경이 이뤄졌습니다. 감사합니다.
@@top10contents 1997년에 표준 색도 지정을 한 것만 알고 있습니다.
@@신중용정부가 계속적으로 색상을 변경 중입니다 모르면 찾아보세요^^~
뉴질랜드가 대체로 조상들이 영국계라서 유니언잭에 대해서 거부감이 적은가봐요? 진짜 호주국기랑구분이 잘 안가네요😮
이외에도 세인트루시아(2002년 색상 변경), 산마리노(2011년 색상과 국장 모양 변경), 벨리즈(2019년 그라데이션 삭제), 시리아 (최근), 온두라스(2022년 색상 밝은색으로 변경), 말라위(2010~2012년까지 흰 태양 그려진 걸로 쓰다가 2012년 3분기에 롤백됨), 키르기스스탄(2023년 태양 디자인 약간 달라짐), 모리타니(2017년 위아래에 빨간줄무늬 추가 및 초녹 배경 농도 조정)등 있습니다
세인트루시아는 채도 바뀐 게 더 이쁨
의견 감사합니다~
오늘도 잘보고 갑니다😊
명절 잘보내세요~~^^
(전 계속 출근ㅜㅜ)
늘 고생이 많으시네요. 일하시더라도 건강 잘 챙기세요. 고맙습니다.
시리아는 국기뿐 아니라 나라 자체가 바뀌었죠
네 그렇습니다. 감사합니다.
@@top10contents그래서 시리아는 순위에 들어가지 않은건가요?
결국 독립 초기의 국기로 돌아가버린 시리아
루마니아랑 차드는 국기가 너무 비슷한데다 절대 변경할 생각도 없다고 하네요.
🇷🇴 🇹🇩
네 말씀처럼 두 국가가 상당히 비슷하기로 유명하죠~
근본없는 아프리카 국가
더 진한 색이 차드입니당
국기는 곧 국가의 얼굴 즉 국기는 국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네 맞습니다~ 국가의 이미지나 다름없지요
그런데 정작 르완다의 이웃나라이자 벨기에의 식민지에서 독립 이후에 르완다랑 똑같이 후투 VS 투치족끼리 내전을 치뤘던
부룬디는 내전이라는 끔찍한 참상을 겪었음에도 르완다처럼 국기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 국기를 그대로 쓰고 있지요.
말씀 잘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즐거운 설날명절 보내세요😊😊😊
늘 좋은 말씀해주셔서 영광입니다. 행복한 명절 보내세요~~
좋아요.잘 보고 있습니다.
새로운 정보를 알려 주심에 감사를 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최근엔 시리아의 깃발도 바뀌어 보입니다. 2024년 12월 8일부터 빨강, 흰색, 검정색인 가로 삼색기 형태에 중간엔 빨간색 별 3개가 놓여진 깃발로 공식 제정한걸로 보이던데 시리아가 사춘기가 올라 그런가 나라 자체를 바꾼거 같네요
재미있습니다
말씀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자주 놀러와주세요~
한국 태극기는 워낙 역사적으로 유구하고 독보적이라고 안 바꾸고 그냥 그대로 쓰기 좋을 것 같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9:33 해당 문구는 파슈토어가 아닌 아랍어 샤하다입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확인해보겠습니다~
@@top10contents 사우디 국기에 있는거랑 같은 글자에요
포르투갈 기대하고 있었는데 안나와서 봄 아쉽네요
의견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즁국도 자유체제의 5호 16국으로 바뀌길 바랍니다.
볼 수록 머리아픈 국가들도 있네요
혁명, 반란, 불만 등이 쌓여서 변경되는 건 어이없으면서도 납득가네요
바뀌고 나면 세계에 알리는 건 둘째치고 자국민들이 혼란 올텐데 한편으론 대단하다는 생각도 합니다
설날 잘 보내시고 잘 보고 갑니다 지식스쿨님
가장 최근에 바뀐건 시리아 아닌가요? 공식적으로 대사관에서도 쓰이던데
안녕하세요. 최근에 바뀐 국가로는 시리아가 맞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고정 댓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3:54 모투부 → 모부투 오타 있습니다
의견 고맙습니다 ㅠㅜ
남수단 국기도 파란색 부분이 하늘색으로 바뀌었죠
의견 감사합니다.
사실 원래의 남수단 국기는 하늘색 버전이 정식으로 채택된 버전이고 파란색은 비공식 버전인데 이걸 최근에 바로잡은거 같더라구요
굿!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난 태극기가 한국의 국기인거 자체는 좋아함.일제강점기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독립운동할때 태극기를 흔들었고 현재진행형인 한국전쟁에서도 국군이 태극기를 흔들지.오늘은 이수현 사망 24주년임
네 시간이 참 빠르네요.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op10contents 새해 복 많이 받고 2025년 대박나시길 빌어요
우리나라도 첨엔 임시정부당시 국기는 아니었지 ㅡ 물론 일강기여서 그렇지만
살아남고자 살고자 되살리고자 한 독립운동가분들의 의지와 희생으로
지금 태극기가 바뀐거지요
영토도 상해에 건물 하나였고..... 영토라기도 초라한 방하나..
키르기스스탄이랑 시리아 ㅇㄷ
영상의 고정 댓글 참고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가장 최근인 시리아와 키르기스스탄이 없네요
영상의 고정 댓글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모리타니도 있었는데 안넣으셨네요 ㅠㅠ
11위인가보죠
아프가니스탄 국기는 현재 나라에 따라 다르게 쓰고있습니다. 그리고 1위는 시리아 아닌가요?!
의견 감사합니다. 관련한 내용은 고정댓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저기 프랑스도 21세기에 국기를 바꿨습니다
안바꿨는데요
의견 감사합니다.
@@마크재밌는-j6j 정부 기관에 한해서 기존 삼색기의 톤을 원래의 톤으로 변경해서 살짝 톤이 어두워졌습니다.
아프간 바뀐국기는 볼때마다 뭔가 섬뜩함
0:25 고사리 먹고 싶다
오 ㄷㄷ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태극기는 정말 멋있는 국기임.
자부심이 별로 없던 예전에는 우리나라 국기가 뭔 이 모양이야 하는 소리가 많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보니 그게 아니었음.
세계인 대상으로 국기 인기투표에서도 항상 최상권을 유지하는 태극기.
아 진짜요? 외국인들은 태극기를 어떻게 생각하나 궁금했는데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IAM_BART 어디서 조사하든 캐나다 국기와 더불어 아름다운 국기로 태극기가 빠지지 않습니다. ㅎㅎ
탈레반 무섭다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리비아 초승달이 아니라 그믐달 아닙니까??
억먼장자 1500억원이라도 1 -10위 10개국 갈필요 없도다. 1500 - 1.4999조원 사이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6:24 중화민국 같아요
미국 별 두 개 늘어나는 거 아닌가 모르겄네...
51번째주에 대해서 최근 말이 많긴 하네요. 감사합니다.
다음은 이름으로 해주세요
국호변경은 과거 저희 채널에서 영상으로 제작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모리타니 2018년
아프가니스탄 2021년
온두라스 2022년
시리아 2024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정 댓글 참고 부탁드립니다.
국기가 저리 바뀌면 국민은 국기를 그릴수 있나 대다수가???
국기에 큰 별이 그려진 나라는 정치적으로 불안하거나 호전적 또는 공산권 국가들이 다수임.
북한이 대표적이고,
중공, 베트남, 미얀마 등으로서
뭔가 거부감이 생김.
캐나다 병합하면 또 미국 국기 바뀌겠네
태극기 중국문양.. ㅠㅠ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태극문양은 중국에서 유래된 게 맞지만 우리민족이 태극 무늬를 쓴 건 적게잡아도 7세기 삼국시대 부터입니다. 그리고 태극무늬는 몽골 국기에도 있습니다
여행금지국가가 일부 포함되있네요.
의견 고맙습니다^^
한국의 전통은 3태극인데...
시리아 국기가 바뀌는데요
네 맞습니다. 고정 댓글 참고 부탁드려요~
태극과 주역의 괘를 국기에 넣은 미신의 상징.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애국가나 좀 바꿨으면
혹시나 바뀐다면 신문희의 '아름다운 나라'로 바뀐다면 좋겠네요 ㅎㅎ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바꾸면 광복군이 불렀던 군가인 압록강 행진곡으로 바꿨으면
솔직히 리비아는 바꿀만 했다 ㅋㅋㅋㅋ
1778년에 미국 없었어 대한민국 언제 생겼냐
1778년엔 영국 식민지로 미국이 있었고, 그로부터 5년 뒤에 독립 했습니다.
대한민국은 1948년에 생겼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도 국기랑 국가를 바꾸자~ 국기는 삼태극으로...!
오우 프사가 자그마치 고구려 삼족오네요 ㅎㅎ
삼족오가 국기가 되면 어떻게 돼지🧐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시리아..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고정 댓글 참고부탁드립니다.
태극기도 바꿀 필요가 잇다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애초에 태극이라는것 자체가 우리 고유의 것도 아니고 중국에서 넘어온 것인데, 굳이 그것을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펜슬-e5x 그게 조선을 망하게 했던 소중화 사상입니다.
우리도 국기를 바꿔야 합니다. 흰색바탕을 제외하고 중앙의 태극문양은 음양사상을 주변의 4괘는 제갈양도 즐겨했다는 8괘점괘중 4개를 가져온 것이라서 중국국기라고 해도 이상할게 없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우리 태극기도 바꿔야. . .
태극은 중국사상이고
국기의 생김이 너무나 숙명적이고 고단한 국운을 상징한다.
100%동의. 게다가 친일파가 만든 거임. 국기좀 바꿈셈.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일본에서는 또한 이런 이야기를 하죠
건 곤 감 이 라는 것이
러시아 중국 미국 일본을 뜻하고
태극마크는 남과북을 뜻하고
이런 이야기를 어디선가 귀동냥으로 들은적이 있습니다.
태극이란 용어가 중국에서 유래했지만 (한자로 쓰여졌으니 용어야 당근 중국유래)
음양에 입각한 조화라는 태극사상이나 문양은 우리나라 선사시대부터 쓰던 문양이고 한국, 중국은 물론 몽골 티벳 등등 동북아에 이미 널리 퍼진 사상임.
그렇게 치면 삼색기 쓰는 나라들은 유럽 전통이나 따르는 바보들이겠네. 글고 고단한 국운이라는 건 당신 생각일 뿐.
@@charliekim416 갑신정변을 일으킨 '박영효'죠.
시리아는 왜 없나요??
시리아 내전 이잔에 만든 영상이라..
5시간전인데요??
고정 댓글 참고 부탁드려요.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레드화이트블랙 ㅡ 이라크는 무슨
꼭 찌질한 국가들이 바꾸네요 미국만 예외로 번성하면서 바꾸었네요
미국은 주 가입이 결정되면 독립기념일인 7월 4일에 별의 개수가 추가된 성조기가 모습을 드러내죠.
변기를
변경한국가로 봤네
책좀 읽든가 해야지
말하는게 왜 어눌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