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신 종려]상춘곡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원신 종려 음성으로 낭송한 상춘곡 입니다
    ♤재업로드입니다
    #원신 #종려 #고전시가 #시낭송 #힐링 #표영재채널
    ====
    사운드디자인:땡큐
    캘리그라피:이주

Комментарии • 24

  • @뚜렁이-c7i
    @뚜렁이-c7i Год назад +24

    속세에 묻혀 사는 사람들아, 이 나의 생활이 어떠한가?
    옛사람의 풍류를 따를까 못 따를까.
    천지간 남자로 태어난 몸이 나와 같은 사람이 많건만은
    살림에 묻혀 사는 지극한 즐거움을 모르는 것인가.
    초가 삼가를 푸른 시내 앞에 지어놓고
    소나무 대나무가 울창한 속에 풍월 주인이 되어 있도다.
    엊그제 겨울 지나 새봄이 돌아오니
    복사꽃, 살구 꽃이 석양 속에 피어있고
    푸른 버들, 아름다운 푸른 가랑비 속에 푸르도다.
    칼로 재단해 내었는가, 붓으로 그려내었는가.
    조물주의 신기한 재주가 사물마다 야단스럽다.
    숲속에 우는 새는 봄기운을 끝내 이기지 못하여
    소리마다 아양을 떠는 모습이로다.
    자연과 내과 하나가 되었으니 흥이야 다르겠는가.
    사립문 주변을 걸어보기도 하고 정자에도 앉아보니
    이리저리 거닐며 나지막이 시를 읊조려 산속의 하루가 적적한데,
    한가로움 속에 참다운 즐거움을 아는 이 없이 나 혼자로구나.
    여보게, 이웃들아, 산수 구경 가자꾸나.
    산책은 오늘 하고 냇가에서 목욕하는 일은 내일 하세.
    아침에 산나물 캐고 저녁에는 낚시하세.
    갓 발효하여 익은 술은 두건으로 걸러놓고
    꽃나무 가지 꺾어 잔수를 세면서 술을 먹으리라.
    화창한 봄바람이 문득 불어 푸른 물을 건너오니
    맑은 향기는 술잔에 떨어지고 붉은 꽃잎은 옷에 떨어진다.
    술독이 비었으니 나에게 알려라.
    아이에게 술집에 술이 있는지 물어
    어른은 지팡이 짚고 아이는 술동이 메고
    나직하게 읊으며 천천히 걸어 시냇가에 혼자 앉아
    고운 모래 깨끗한 물에 잔 씻어 부어들고
    맑은 시냇물을 굽어보니 떠오르는 것이 복사꽃이로구나.
    무릉도원이 가까이 있구나. 저 들이 그곳인가.
    소나무 숲 사이에 좁은 길에 진달래꽃을 붙들고
    산봉우리에 급히 올라 구름 속에 앉아보니
    수많은 촌락이 여기저기 벌여있네.
    안개와 노을과 빛나는 햇살은 수놓은 비단은 펼친 듯
    엊그제 거뭇거뭇하던 들에 봄빛이 넘치는구나.
    공명도 날 꺼리고 부귀도 날 꺼리니
    아름다운 자연 외에 어떤 것이 있으랴.
    누추한 곳에서 가난한 생활을 하여도 잡스러운 생각은 아니 하네.
    아무튼 한 평생 즐거움을 누림이 이만하면 족하지 아니한가.

    • @표영재채널
      @표영재채널  Год назад +9

      고마워요 뚜렁이님~!!

    • @뚜렁이-c7i
      @뚜렁이-c7i Год назад +1

      :D

    • @최인우-b5e
      @최인우-b5e Месяц назад

      ​@@표영재채널저의 엄마가 표영재씨 아니 종려씨를 엄청 좋아하셔서 한번 만나보고 싶어해요, 언제가 뵐수 있으면 저의 엄마한테 큰 사인 부탁드려요 ㅎㅎ 그리고 종려씨 목소리 로 시 해줘서 너무 고맙다고 전해달래요ㅎㅎ 😊😊 보시면 댓글 달아주세요ㅎㅎ 그리고 다음 2025년도 을사년(청사년) 때 새복많이받으시고 건강하시고 종려씨 담당 쭉 부탁한데요 ㅎㅎ

  • @chartreuse4
    @chartreuse4 Год назад +9

    그러니까 종려 옆에 있던 선인들은 이 목소리를 천년 넘게 들었다는거네 부럽다

  • @hah-ahng
    @hah-ahn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상춘곡
    서사: 자연속에 묻여사는 즐거움&봄의경치를 즐기는 강호가도와 안빈낙도
    갈래: 가사
    #서정적#묘사적#예찬적
    저재:4조 4음보 연속체
    주제: 봄날의 아름다운 경치 감상과 *안빈낙도
    성격: 묘사적,예환적,서정적,주정적
    특징:
    -직유법, 대구법, 설의법,의인법등 다양한 기법사용
    -공간의 이동에따라 시상전개
    -주객전도 기법사용
    시상전개
    본사1) 봄의 아름다운 경치
    본사2)봄의 흥취
    본사3)산수 구경 권유
    본사4)술과풍유
    본사5)산봉우리에서 바라본 봄의 경치
    결사: 안빈낙도에 대한 만족
    수간모옥 ->들판->시냇가->산봉우리
    (점점 넓은곳으로 확장,속세로부터 점차 탈속의 세계로 나아감)
    흥진(속세) :관직에 나아가 정치에 참여하며 부귀와 공명을 누리는공간
    산림(자연): 학문을 닦고 수양하며,풍류를 즐기는공간(자연친화적)

    • @hah-ahng
      @hah-ahn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최초의 가사
      즐길 상
      봄 춘
      노래 곡
      민요적 율격
      *상춘곡은 정극인이 벼슬살이에서 물러나온후 인생의 황혼기에 쓴시
      *공명도 날 꺼리고, 부귀도 날 꺼리니
      ->주객전도 ->나는 공명이랑 부귀가 싫다.
      *속세미련x 비판x 원망x 교훈x 경건함x 진리x
      (감정적,영탄적,감정폭발때문에)
      *대화구조x -->말을 건내지만 청자가 대답하지않았기 때문에

  • @Dawn._
    @Dawn._ Год назад +8

    진짜 신기해요... 가만히 듣고 있어도 마음이 편안하고 가벼워져요. 멋진 자연물을 절로 상상하게 되고... 정말 선비가 유유자적 풍류를 즐기며 시를 읊는 것 같아요.

  • @승환조-r3i
    @승환조-r3i Год назад +1

    마음 편해지네요

  • @뚜렁이-c7i
    @뚜렁이-c7i Год назад +1

    최고예요!!!!!!!!

  • @SamSeu0616
    @SamSeu0616 Год назад +1

    넘 좋아여...

  • @Boothilli
    @Boothilli Год назад +1

    잘 듣고가여

  • @일구니
    @일구니 Год назад +5

    난 이제 소의 기분을 이해할수있어

  • @choitang_ja
    @choitang_ja Год назад +1

    ♡♡♡♡♡♡ 사랑합니다

  • @문세빈-e3v
    @문세빈-e3v Год назад +1

    오늘도 들으러 왔어요!! 엄청 잘들었어요

  • @user-ctiyofmist
    @user-ctiyofmist Год назад +5

    진짜 최고예요 (❁ᴗ͈ˬᴗ͈)⁾⁾⁾

  • @necksholicegirin
    @necksholicegirin Год назад +1

    예전에 올린 시들이 다시 올라오는 거였군요 감사합니다!!🙇

  • @Lavi_NvFv
    @Lavi_NvFv Год назад

    조금 악몽을 꿨는데... 표영재 성우님의 목소리를 들으면 힐링 될 것 같아 바로 와서 찾아 들었어요. 감사합니다. ❤

  • @사계-s9s
    @사계-s9s Год назад

    고등학교때, 재수할때 열심히 공부했던 작품인데
    종려가 읊어주니까 감회가 새롭습니다.
    아직도 기억나네요 홍진에 묻힌 분들 내 생이 어떠한가 ㅋㅋ

  • @Yeran2
    @Yeran2 Год назад +2

    .....아니 저런 목소리가 어떻게 사람 몸에서 나와?

  • @shin-2719
    @shin-2719 Год назад +11

    시험에 나오는데 개이득

  • @영재박-g8d
    @영재박-g8d Год назад +3

    가끔씩 일 좃같을때는 진짜 산속에 들어가서 살고 싶기도 하다

  • @홍숙이-q6p
    @홍숙이-q6p Год назад +2

    표영재 성우님
    휼륭한시를
    자주 올려주셔
    감사합니다
    부더러운 목소리
    최고최고요
    영재님 멎져요
    건강과 행복을
    빕니다 ❤❤❤❤❤

  • @GRUN090
    @GRUN090 Год назад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