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오픈AI가 차세대 AI(스트로베리)라는 기존 모델보다 100배 성능 향상된 모델 출시를 예고 했네요 인간처럼 추론이 가능한 reasoners 단계를 목표로 하는 모델이라던데.. 기술적 특이점을 경험하고 있는 시대라 상상이 현실이 되는데 생각보다 얼마 걸리지 않을 수 있겠다 싶은 요즘입니다
일단 LLM 동작 방식을 보면 말씀하신 게 맞을 확률이 높아 보이긴 함. chatgpt나 claude나 진짜 인간이나 생물학적 의미에서의 사고를 하는 게 아님. 그래서 결국 그 결과물을 보고 리뷰하고 관리 감독한 사람이 필요함. 물론 놓치는 걸 알려주기도 하고 더 많은 지식을 알려주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그게 도구라는 점을 벗어나진 않음. 근데 만약 나중에 정말 스스로 사고하고 몸이나 감각 기관 있어서 세계를 물리적으로 감각하고 이해하는 인공지능이 나온다 하더라도 마찬가지. 결국 도구로 두고 인간을 보조하는 용도로 써야지, 만약 다 맡기고 리뷰도 안하고 협업도 안 하고 감독도 안하면, 그 결과물이 올바른지 누가 어떻게 앎? 감독하는 AI를 둔다? 그 AI는 어떻게 믿고? 결국 주도권은 인간에게 있어야 하고 그런 의미에서 AI의 위치는 개념적으로 도구일 수밖에 없음. 그리고 현재 24년 8월 서비스하는 스펙 기준으로 하루 운영 비용만 9억원이고 단순 계산하면 한 달 운영비만 270억임. 그리고 검색해보니 새로운 모델 학습에만 30억 달러가 든다고 함. 그 외에 인프라나 이를 개발할 인재들도 계속 확보하고 유지해야 하는데, 지금은 언어 뭉치와 제어된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AI가 아닌, 진정한 의미의 고도화된 AI가 나오려면 어떻게 해야 하고 얼마가 더 들고 얼마나 더 많이 투자해야 할지 감도 안 잡히는 상태임. 진정한 의미의 AI가 나와도 비용 효율화 전까지는 일반인과 관련이 없는 이야기가 될 수도 있음. 아니면 국가 전략 자산이나 기술로 통제될 수도 있고. 그러면 일반적인 세계에서는 돌고 돌아 사람임. 저렴하거든. 뭐 핵융합이 가능해서 에너지 걱정이 없어지고 양자 컴퓨팅으로 현재 컴퓨팅 능력을 뛰어넘는다면 생각보다 이르게 가능할 수 있겠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도구라는 건 바뀌지 않을 듯. 인간이 AI에게 주도권을 넘겨줘서 AI가 알아서 발전하고 통치?하도록 할 거 아니면.
윗분이 말하신거랑 비슷하게 저는 현재의 llm을 매우 고도화된 자동완성기에 가깝다고 생각해요 아직 인간을 대체하기는 멀었죠 후에 동물처럼 혹은 다른 방식이더라도 온전히 사고할 수 있는 강인공지능이 나온다면 얘기는 달라지겠지만 그때는 비단 개발자들만의 문제가 아니게 될 것 같아요.. 만약 나오더라도 에너지와 비용적인 문제를 감당할 수 있냐는 문제도 있구요
개발자라는 직종이 굳이 필요한가? 요즘 개발은 엑셀 처럼 모든 직장인들의 기본 소양 아닌가? 구글, 챗gpt에 검색하면 바로 다 되고 초딩도 하는 걸 대단한것 마냥 고상한척. 필요하면 영업, 기획자, 사무직들이 개발하면 됨. 시스템 코어를 다루는 엔지니어가 아닌이상 앱만들고, 웹서비스 만드는 일에는 굳이 개발자 라는 직군을 둘 필요가 없다.
이건 뭐; 연필로 졸라맨 그린 다음에 화가가 왜 필요하냐, 아무나 그리면 된다 하는 수준 개발자가 ai한테 본인 코딩 학습시키면서 , 아키텍쳐 구성 같은 거 하나 하나 얘기 다 해줘야 ai가 짜줄 수 있는 수준임 그리고 이건 ai가 짰다기 보다는 그냥 개발자가 손으로 개발할 걸 ai 라는 도구를 빌려서 편하게 개발한 것일 뿐임.
엇 개발영상 찾아보다가 익숙한 얼굴이라 어디서봤지했는데 패캠에서 강의들었었는데 반가워요! 와우 유튜브도하셨구나! 구독하고 영상자주볼게요!
예.. 패캠 강의 들으셨던 분들이 많더라구요~ 개발자 분들을 위한 영상 만들고 있습니다. 유튜브도 많이 봐주세요
단기적으로는 도움이 안 되는 장기적인 정답이죠. 근데 이 또한 지나가리라 생각하면서 장기적으로 생각하고 공부할 수 밖에 없는 시기입니다.
ㄹㅇ 정답 ㅋㅋㅋ
교수님 의견을 들을 수 있어 기쁩니다. 날이 선 댓글들은 취업 시장이 안좋아서 일 것입니다. 너무 괘념치는 마세요. 응원합니다.
예... 다양한 의견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수님을 종종 초대해 말씀을 들어야겠어요 ㅎㅎㅎ
교수님 말씀이 확 와닿네요 앞으로 시장에 대해 공감합니다
역시 위트와 함께 핵심을 말씀해주시는 이민석 교수님이십니다. 그런데 요즘 IT분야는 취업 잘되는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나봅니다. IT도 취업 안되고 있다면 다른 분야는 더 어려운 상황일텐데 걱정이네요
예... 어려운 주제도 너무 쉽고 친절하고 재밌게 설명해주셔서 인터뷰하는 내내 이해가 쏙쏙되었습니다^^
안좋아진지 꽤 됐어요
AI는 도구에 불구하다. 저도 교수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 했을겁니다. claude sonnet 3.5로 개발하기 전까지는 ㅜㅜ
정말 얼마 안남았습니다.
유튜브로 강의 한편 들을 수 있는 세상에 감삼다..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김민석 교수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조금 위안이 되네요ㅜㅜ
다음영상에서는 새로운 시장에서 산업환경이 바뀐다고 하셨는데 이부분에서 교수님들의 인사이트를 얻고 싶네요 ~! 다음 영상이 기대됩니다 ❤
예... 교수님이 바쁘시지만, 다음에 또 모시고 좋은 말씀들을 기회 만들어보겠습니다^^ 영상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의 퀄리티가 점점더 좋아지시는것 같아요 응원합니다!
하하 감사합니다~ 응원에 힘이 나는군요^^
며칠 전 오픈AI가 차세대 AI(스트로베리)라는 기존 모델보다 100배 성능 향상된 모델 출시를 예고 했네요
인간처럼 추론이 가능한 reasoners 단계를 목표로 하는 모델이라던데..
기술적 특이점을 경험하고 있는 시대라 상상이 현실이 되는데 생각보다 얼마 걸리지 않을 수 있겠다 싶은 요즘입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실제로 기업 코딩테스트 chatGPT로 풀면 풀질 못합니다.
대부분 그런경우 풀일이 없는 알고리즘이나 문제라는 증명이고
그 코딩테스트가 쓰레기라는 말임
그러나 온디바이스 AI 는..
기계. 로봇. 에 적용되어서
팔 다리가 생겼습니다..
AI 이세상에 없는 함수 만드는거 보고 아 아직 멀었구나 느꼈음 ㅎ
보통 컴과 교수님들이 '컴퓨터가 사람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다.' ,' 너희들이 열심히 하면 할 것들 많다' 이런건 다 틀린 말입니다^^교수님들도 몰라요 몇년후에 어떻게 될지ㅋㅋ
현재 얘기일 뿐.. 10년 후에도 과연..
그냥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풀수 있는 찐개발자가 아닌 기본능력이 안되는 신입 개발자는 원래 도움이 안되었는데 전에는 개발자가 너무 많이 필요해서 그런 사람들도 뽑은거고 지금은 찐개발자만 딱 필요한거죠 어차피 기본능력이 안된 신입은 뭘해도 사실상 도움이 안됨
이제 국민대에 계시는군요!
역시 교수는 아무나하는게 아니란걸 다시금 느낍니다
20년 전에도 신입은 안 뽑으려 했음
좋은 의견 많이 말씀해 주셨는데 ai에 대한 의견은 동의가 안되네요. 영원히라고 단정하시는건 마치 예전 알파고 이전의 바둑 기사들의 관점같습니다.
에휴 멍청하긴. 저분이 저 말 하는건 다 이유가 있는거다. 인공지능 같은건 사실 존재하지 않아. 너 보면 코로나 때 세상 멸망한다고 선동당하던 사람들 보는거같다
만약 ai가 협업, 새로운 문제에대한 해결능력까지 갖추면 어차피 세상에 남아있을직업은 없으니 걱정하지마셈 그때되면 국민지원금이나 받고살아야지
일단 LLM 동작 방식을 보면 말씀하신 게 맞을 확률이 높아 보이긴 함. chatgpt나 claude나 진짜 인간이나 생물학적 의미에서의 사고를 하는 게 아님. 그래서 결국 그 결과물을 보고 리뷰하고 관리 감독한 사람이 필요함. 물론 놓치는 걸 알려주기도 하고 더 많은 지식을 알려주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그게 도구라는 점을 벗어나진 않음.
근데 만약 나중에 정말 스스로 사고하고 몸이나 감각 기관 있어서 세계를 물리적으로 감각하고 이해하는 인공지능이 나온다 하더라도 마찬가지. 결국 도구로 두고 인간을 보조하는 용도로 써야지, 만약 다 맡기고 리뷰도 안하고 협업도 안 하고 감독도 안하면, 그 결과물이 올바른지 누가 어떻게 앎? 감독하는 AI를 둔다? 그 AI는 어떻게 믿고? 결국 주도권은 인간에게 있어야 하고 그런 의미에서 AI의 위치는 개념적으로 도구일 수밖에 없음.
그리고 현재 24년 8월 서비스하는 스펙 기준으로 하루 운영 비용만 9억원이고 단순 계산하면 한 달 운영비만 270억임. 그리고 검색해보니 새로운 모델 학습에만 30억 달러가 든다고 함. 그 외에 인프라나 이를 개발할 인재들도 계속 확보하고 유지해야 하는데, 지금은 언어 뭉치와 제어된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AI가 아닌, 진정한 의미의 고도화된 AI가 나오려면 어떻게 해야 하고 얼마가 더 들고 얼마나 더 많이 투자해야 할지 감도 안 잡히는 상태임. 진정한 의미의 AI가 나와도 비용 효율화 전까지는 일반인과 관련이 없는 이야기가 될 수도 있음. 아니면 국가 전략 자산이나 기술로 통제될 수도 있고. 그러면 일반적인 세계에서는 돌고 돌아 사람임. 저렴하거든.
뭐 핵융합이 가능해서 에너지 걱정이 없어지고 양자 컴퓨팅으로 현재 컴퓨팅 능력을 뛰어넘는다면 생각보다 이르게 가능할 수 있겠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도구라는 건 바뀌지 않을 듯. 인간이 AI에게 주도권을 넘겨줘서 AI가 알아서 발전하고 통치?하도록 할 거 아니면.
윗분이 말하신거랑 비슷하게 저는 현재의 llm을 매우 고도화된 자동완성기에 가깝다고 생각해요
아직 인간을 대체하기는 멀었죠
후에 동물처럼 혹은 다른 방식이더라도 온전히 사고할 수 있는 강인공지능이 나온다면 얘기는 달라지겠지만 그때는 비단 개발자들만의 문제가 아니게 될 것 같아요..
만약 나오더라도 에너지와 비용적인 문제를 감당할 수 있냐는 문제도 있구요
오히려 알파고를 예시로 생각해보시면 교수님 말씀이 맞죠. 알파고가 바둑기사들보다 바둑을 잘 두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둑기사들을 대체하진 못했으니까요.
저같은경우는 생소한 언어를 공부할때 GPT를 씁니다. 그럴땐 도움이 많이 되더라구요. 본인 영역에서 GPT에게 밀린다? ㅋㅋㅋ 그렇다면 당신은 주니어입니다.
맞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 많은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죠~^^
지피티는 시니어도 코딩할때 씁니다
경력안따짐
@@kkomjang 못알아들었으면 님도 주니어임
포프견이 양지에 올라오는구나
언어 공부할때 GPT를 쓴다고? 그럼 넌 주니어
석열이가 경제를 떡락시켜서라고 말을 못해😂😂취업 포기자 백만😂 나랏돈 85조 펑크 그걸 또 돈빌려서 이자만 1200억
개발자라는 직종이 굳이 필요한가? 요즘 개발은 엑셀 처럼 모든 직장인들의 기본 소양 아닌가? 구글, 챗gpt에 검색하면 바로 다 되고 초딩도 하는 걸 대단한것 마냥 고상한척.
필요하면 영업, 기획자, 사무직들이 개발하면 됨. 시스템 코어를 다루는 엔지니어가 아닌이상 앱만들고, 웹서비스 만드는 일에는 굳이 개발자 라는 직군을 둘 필요가 없다.
딱 그정도 수준의 개발만 아셔서 그런 거 같네요. 실제 개발해보면, 중급 이상의 개발일은 gpt들이 제대로 못 합니다. 기업들이 멍청해서 개발자를 뽑는 게 아니여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건 뭐; 연필로 졸라맨 그린 다음에 화가가 왜 필요하냐, 아무나 그리면 된다 하는 수준
개발자가 ai한테 본인 코딩 학습시키면서 , 아키텍쳐 구성 같은 거 하나 하나 얘기 다 해줘야 ai가 짜줄 수 있는 수준임
그리고 이건 ai가 짰다기 보다는 그냥 개발자가 손으로 개발할 걸 ai 라는 도구를 빌려서 편하게 개발한 것일 뿐임.
ㅋㅋㅋ
혹시 챗gpt도 2022년까지의 지식만 학습되어있고 학습된 것도 기존 개발자들이 짜둔 코드 기반으로 학습됐다는 걸 알고계신가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