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적분으로 정의된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2

  • @asdf_2357
    @asdf_2357 2 года назад +7

    이거 덕분에 이번 고3 4모 13번에서 부분적분 사용해서 풀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소무
    @이소무 3 года назад +4

    상처때 목소리 먹먹함이 참 슬픈.... 불로소득을 위한 길(?)일거에요 화이팅

  • @rlarbals
    @rlarbals 3 года назад +3

    선생님 반갑습니다.
    선생님 강의를 일찍 봤더라면 제가 공부하는 방향이 많이 달라졌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수학공부가 수능을 위한것이 아니라고 생각하시고 계실진 모르겠지만,
    당장 제 앞에 놓인 가장 큰 문제이자 시험중 하나인 수능을 위해서, 그리고 논술을 위해서 질문을 하나 드리고 싶습니다.
    제 수학실력은 이번년도 모의고사를 기준으로 공통은 1~13, 16~20 번은 거의 다 맞추고, 14, 15, 21, 22 에서 많이 헤멥니다. 미적분 또한 23~27 까지는 거의 맞추고, 28~30 에서 가끔 29번을 맞추고 나머지는 틀리는 편입니다. 단순히 해당 문제에 대한 공포심이 있었던 적도 있지만, 마음잡고 한 문제를 고민했을때도 한 두 문제를 제외하고는 거의 풀기가 어려웠습니다.
    이제 3등급의 벽을 부수고 싶고, 정시가 아니더라도 논술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수학 실력을 향상시키고 싶습니다.
    제 생각에는 중학교 기초가 부족하고 직관이 부족한 것 같은데 80일 이라는 짧은 시간을 남겨두고 저의 수학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아니면 이때까지 저의 공부방식이 잘못되었던걸까요?
    답변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ㅠ

    • @hansungeun
      @hansungeun  3 года назад

      함부로 대답하기 쉽지 않네요. 일반론으로 대답하자면, 조바심 내지 마시고, 지금까지 잘 해왔다고 느껴지면 하던대로 하세요. '공부법' 고민하는 것 자체가 의미 없는 경우가 많아서요. 그냥 한문제 한문제 정성껏 고민하는 것 밖에 없죠 뭐 ㅜㅜ

  • @박민서-q2x
    @박민서-q2x 3 года назад +4

    저거 상당히 익숙한 함수인데 평가원 기출에 하나도 없었다는 게 좀 의아하고 역설적이네요

    • @hansungeun
      @hansungeun  3 года назад +1

      다변수 어쩌고라 교과과정에 부합하는 지가 헷갈리긴 해요. 6월 20번 같은 것 보면 출제한 것이나 다름 없지만.

  • @improvedshield
    @improvedshield 3 года назад +4

    쌤 제목을 정정정정함으로 하면 어그로가 잘끌리지 않을까요

    • @hansungeun
      @hansungeun  3 года назад

      이것도 나름 노력한건데

  • @성이름-c4h1v
    @성이름-c4h1v 3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 고민좀 들어주세요.
    저는 올해 수능을 취미삼아 한번 더볼라는 작년 수능 나형 88점 문돌이입니다.
    고1때랑 중학교때 수학 공부를 제대로 안해서 그런지 원의 방정식이나 도형 문제 같이 제가 제대로 공부안한 파트가 문제에 연계되어 나오면 못풀거나 계속해서 막혀요. 그래서 고민인게 중학교나 고1 수학 전범위를 최대한 빠르게 한번 돌리고 이후 수학 공부를 할까요 아니면 모르는 부분이 나올때마다 정리하는식으로 공부할까요?
    항상 선생님 드립에 피식하면서 재밌게 동영상 보고 있어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ㅎㅎ

    • @hansungeun
      @hansungeun  3 года назад +2

      들었습니다. 그냥 수능범위 하면서 모르는 것 나올 때 찾아보면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 @feyerabend77
    @feyerabend77 3 года назад +2

    convolution

    • @hansungeun
      @hansungeun  3 года назад +2

      이것도 콘볼루션이라고 부르는군요. 감사합니다.

  • @ehekfl04
    @ehekfl04 3 года назад +1

    킹성은

  • @김태훈-x5f
    @김태훈-x5f 3 года назад +3

    논술 실전편 점화식이랑 이항계수를 한수업에 넣으시는건 너무 가혹한거 아닙니까... 오늘 머리 터지는줄 알았습니다 ..ㅋㅋ

    • @hansungeun
      @hansungeun  3 года назад +1

      저도 수업하면서 좀 후회했어요..

  • @온율수학팀
    @온율수학팀 3 года назад +3

    18년 마플시너지에 이 유형의 다수의 문제가 오류 나와서 신고했던 기억이 나요 ㅋㅋㅋ

    • @hansungeun
      @hansungeun  3 года назад +3

      몇 군데 있을 듯 ㅎㅎ

  • @CoolMath-z1d
    @CoolMath-z1d 3 года назад +3

    이름 : 할아버지 함수

  • @2GmaK
    @2GmaK 3 года назад +1

    쌤 뜬금포긴 한데 mbti 궁금해요

    • @hansungeun
      @hansungeun  3 года назад +1

      ENTP/INTP 왔다갔다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