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азмер ви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ать панель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
Автоповтор
역행렬이 안 나오는 이상 옛날 2점짜리 행렬 문제밖에 못 내지 싶어요
높은 확률로 수능에서 행렬은 현 복소수처럼 사장될거라 생각합니다. 예시문제 나와봐야 확실히 알겠네요
그렇게 될 수도 있겠어요…ㅠㅠ 평가원에서 어떻게 출제하는지 두고봐야겠어요
ㄹㅇ 행렬 합답형이 대표적으로 반례 있는지 없는지 따져야 하는 NP 문제 아닌가?
NP 문제가 뭐죠?!ㅠ
정해진 횟수의 연산으로 답을 구할 수 없고, 조건에 맞는 답이 나올 때까지 경우의 수를 다 뒤져봐야 하는 문제라고 알고있습니다
@@수치남-l3zp=np
np hard
반례암기보다는 일차변환 개념 알고있으면 쉽게 반례가 보이는 문제들이 많이 나온 편입니다.
수능 직접 범위가 아니라서 수능이 아니라 고1 학력평가에 나올 수 있겠네요. 그런데 2022 개정에서는 역행렬은 나오지 않으니 역행렬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문제는 나오지 않을 겁니다.
역행렬도 없으면 뭐가 있는거지 사칙연산 겨우 하겠네
@@manro6962ㄹㅇㅋㅋ
이젠 이렇게 냈다간 아주 학부모, 자녀들한테 다 죽음임 ㅎㅎㅎ
행렬 쉬운데 굳이 반대 목소리 안낼 것 같은데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행렬은 이전과 다르게 수능 간접출제 범위 아닌가요? 교육과정상으로만 봐도 수능 문제는 저렇게 나올 수 없지 않나요? 물론 내신이라면 대비해야겠지만...
사실 요즘 수능에 허수도 안나오는데 행렬이라고 낼까 싶네요. 행렬이란게 대충보니 수1 수2와 접목시키기 힘들것 같은데
와 추억이네 ㄷㄷㄷ 나형에 행렬있었던거도 까먹음
2022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고려시 유의사항에선 행렬의 연산에 관한 대수적 구조의 성질을 다루지 않는 측면에서 다룰거라, 행렬의 덧셈, 뺄셈, 곱셈, 실수배 외에는 안배운다고 하네요
행렬 들어온 내용 거의 없어서 그냥 문제 조건 제시할 때 꾸역꾸역 넣기 말고는 못 넣음 걱정하지 마셈
ㄱ은 뭔가 전치 행렬에서 다루는 대칭행렬과 반대칭행렬 같아보이네요.
ㄱ의 반례에서 두 행렬의 곱의 (1,2) 성분의 부호가 반대인 것 같네요.반례는 심플하고 좋은 것 같아요!
앗 그렇네요 ㅠㅠ 감사해요
04:19 1행2열 -a가 아니라 a 아닌가요?
앗, 그렇네요~ 감사해요 ㅠㅠ
ㄷ 에서 A 역행렬이 없을때는 어떻게 되나요
"AB=-E" ↔ "A의 역행렬은 -B"동치
@@bk4995 와 그걸 못봤네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A(A+E)=E라A의 역행렬은 A+E도 성립하죠
행렬은 백터지
역행렬이 안 나오는 이상 옛날 2점짜리 행렬 문제밖에 못 내지 싶어요
높은 확률로 수능에서 행렬은 현 복소수처럼 사장될거라 생각합니다. 예시문제 나와봐야 확실히 알겠네요
그렇게 될 수도 있겠어요…ㅠㅠ 평가원에서 어떻게 출제하는지 두고봐야겠어요
ㄹㅇ 행렬 합답형이 대표적으로 반례 있는지 없는지 따져야 하는 NP 문제 아닌가?
NP 문제가 뭐죠?!ㅠ
정해진 횟수의 연산으로 답을 구할 수 없고, 조건에 맞는 답이 나올 때까지 경우의 수를 다 뒤져봐야 하는 문제라고 알고있습니다
@@수치남-l3zp=np
np hard
반례암기보다는 일차변환 개념 알고있으면 쉽게 반례가 보이는 문제들이 많이 나온 편입니다.
수능 직접 범위가 아니라서 수능이 아니라 고1 학력평가에 나올 수 있겠네요. 그런데 2022 개정에서는 역행렬은 나오지 않으니 역행렬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문제는 나오지 않을 겁니다.
역행렬도 없으면 뭐가 있는거지 사칙연산 겨우 하겠네
@@manro6962ㄹㅇㅋㅋ
이젠 이렇게 냈다간 아주 학부모, 자녀들한테 다 죽음임 ㅎㅎㅎ
행렬 쉬운데 굳이 반대 목소리 안낼 것 같은데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행렬은 이전과 다르게 수능 간접출제 범위 아닌가요? 교육과정상으로만 봐도 수능 문제는 저렇게 나올 수 없지 않나요? 물론 내신이라면 대비해야겠지만...
사실 요즘 수능에 허수도 안나오는데 행렬이라고 낼까 싶네요. 행렬이란게 대충보니 수1 수2와 접목시키기 힘들것 같은데
와 추억이네 ㄷㄷㄷ 나형에 행렬있었던거도 까먹음
2022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고려시 유의사항에선 행렬의 연산에 관한 대수적 구조의 성질을 다루지 않는 측면에서 다룰거라, 행렬의 덧셈, 뺄셈, 곱셈, 실수배 외에는 안배운다고 하네요
행렬 들어온 내용 거의 없어서 그냥 문제 조건 제시할 때 꾸역꾸역 넣기 말고는 못 넣음 걱정하지 마셈
ㄱ은 뭔가 전치 행렬에서 다루는 대칭행렬과 반대칭행렬 같아보이네요.
ㄱ의 반례에서 두 행렬의 곱의 (1,2) 성분의 부호가 반대인 것 같네요.
반례는 심플하고 좋은 것 같아요!
앗 그렇네요 ㅠㅠ 감사해요
04:19 1행2열 -a가 아니라 a 아닌가요?
앗, 그렇네요~ 감사해요 ㅠㅠ
ㄷ 에서 A 역행렬이 없을때는 어떻게 되나요
"AB=-E" ↔ "A의 역행렬은 -B"
동치
@@bk4995 와 그걸 못봤네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A(A+E)=E라
A의 역행렬은 A+E도 성립하죠
행렬은 백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