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신년토론] 2019년 한국 어디로 가나 ② 양극화와 일자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601

  • @kieri84
    @kieri84 6 лет назад +79

    저도 그렇지만 최근 이런 매체를 통해 토론을 보고 평하는 일반시민도 수준이 매우 높아짐을 느낍니다 아닌것도 있지만 매우 긍정적인 현상으로 봅니다 방청객 질문도 인상적이구요 더 이상 일반시민이 무감각하게 선동되지 않는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해간다고 느낍니다 대한민국 시민들 화이팅 입니다

    • @dlsrh97
      @dlsrh97 6 лет назад

      아직 바람직한 수준의 계몽은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우리는 계몽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으니까요. 이 토론도 겉핥기식이라 볼 수 있지만, 국민들이 관심을 좀 더 가지고 봤으면 하네요^^ 심지어 최저임금은 서민의 생활비와 직결되는 문제인지라..

    • @kieri84
      @kieri84 6 лет назад

      @@dlsrh97 네 만족스럽진 않아도 희망은 보입니다 정말 퇴보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대한민국 ㅎㅎ

    • @coann833
      @coann833 6 лет назад +1

      좋은 말씀입니다. 한사람이 열발 나가는 것 보다 열사람이 한발 나가는 것이 발전이지요.

  • @shan2246
    @shan2246 6 лет назад +62

    와 30년 최저임금이랑 최저임금 영향권이 500만명이라는게 충격이다 사회구조가 뭐 이런가..
    근로자 절반이상이 소득액이 면세 수준이라는 걸 처음 알았을 때 만큼 충격이여

    • @paulinekim6455
      @paulinekim6455 6 лет назад +8

      실제 소득제 납세비율이 절반도 안되는데 그나마도 OECD 국가 비교시 규모가 굉장히 적습니다...적은 세수로 복지 지출 늘리면서, 경기 부양 시켜야 하고, 경제 민주화 이뤄야 하고...참 어려운 게 많습니다...현 정권 들어선 지.1년 7개월이고 그나마도 기존 예산과 예산안으로 운영해 왔는데, 아직 현 정권 정책 기조 효과가 나오려면 몇 년은 걸릴 건데 ..거시 경제 지표가 1년 안에 당장 바뀌겠습니까? 당장 결과 안 내냐고 비판 위한 비판을 좀 자제하고 온 국민이 마음을 모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우리나라는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정착시키는 것에는 너무 소홀하고 는 눈 앞에 당장 단기적 이익과 효과 안 나오면 금방 궤도 수정시키고..도무지 내실과 건전성은 안중에도 없고 속도만이 중요한 이 나라에는 진정한 선진국은 요원합니다. 철학의 부재가 가장 심각한 문제.같습니다.

    • @오민호-b6f
      @오민호-b6f 6 лет назад

      @@paulinekim6455 공감100%

    • @서리꽃-j8o
      @서리꽃-j8o 6 лет назад +1

      누가외노자를 그리많이 수입했는지 일력시장은 자국노친과 외노자와의 노동경쟁 눈물이난다 왜 ?누가 에라 자연인이다라고 산으로가야겠다. 신교수 목소리크다ㅋ 잘한것이 멌무엇다고 박공주잘모셨나보우 잘말아드시고오셨나

  • @정현-r6i
    @정현-r6i 6 лет назад +117

    갓상조!!수고하셨어요👏👏👏

  • @정풍원-r4c
    @정풍원-r4c 6 лет назад +110

    유작가님의 논리와! 김상조위원장님의 우리정부의 경제개념원칙! 역시 소득주도성장 가즈아~~~~💙💙💙💙

  • @seohyun612
    @seohyun612 6 лет назад +51

    김상조 유시민 말 정말 잘하시네요. 응원합니다. 더 나은 새해가 됐으면 좋겠어요.

    • @victor25mg57
      @victor25mg57 6 лет назад +2

      말이가아닌..논리.홱트죠..화이팅입니다

  • @zz-dp8pt
    @zz-dp8pt 6 лет назад +119

    갓시민 소득성장 해야함

    • @tenechains7229
      @tenechains7229 5 лет назад +1

      @Nare Ye 니가 유시민보다 유식하다 보냐?

    • @TheKwonHM
      @TheKwonHM 5 лет назад

      소득성장가튼..소리하네

  • @lwawqasd5972
    @lwawqasd5972 6 лет назад +102

    49:38 ㅋㅋㅋㅋㅋ갓시민

    • @moti8268
      @moti8268 6 лет назад +4

      지린다 ㅋㅋㅋㅋㅋㅋㅋ

    • @더냉-y1d
      @더냉-y1d 6 лет назад +2

      ㅋㅋ

    • @postar1852
      @postar1852 6 лет назад +1

      찢었다

    • @zenj-g2z
      @zenj-g2z 6 лет назад +3

      원투펀치 뼈 때림💀 🦴 🥊

    • @aneniw9137
      @aneniw9137 6 лет назад +2

      킹시민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민주부산
    @민주부산 6 лет назад +108

    핵심은 임대료가 너무 비싸..놀고먹는 부자들이 부를 독식하는거지..인건비가 문제가 아니야...자영업 25년차가 가장 크게 느낀점이야...

    • @zenj-g2z
      @zenj-g2z 6 лет назад +11

      정답입니다. 임대차보호법은 자영업자를 보호해주지 않아요

    • @소설책-p6q
      @소설책-p6q 6 лет назад +2

      핵심은 그 놀고 먹는 부자들은 그렇게 되기까지 얼마나 쉬지도 못하고 일했을까지.. 그런건 생각못하고 그저 하늘에서 부가 떨어졌다라고만 생각 하는것, 이렇게 말하면 금수저,상속재산 드립이 나오겠지만 통계적으로 보면 소수에 불과하다는것

    • @배고픈자-d4p
      @배고픈자-d4p 6 лет назад +5

      제말이... 그동안 살인적으로 오르는 임대료는 당연하게 생각해온게 큰문제인데, 이전과 달리 많은사람들이 이젠 임대관계의 부당함에대해 많이 인식하고 문제제기를 하는게 그나마 다행임.

    • @방랑보더
      @방랑보더 6 лет назад +6

      지인 상사가 노력해서 건물 주가 됐는 데 자기 건물 PC방이 매출이 잘나오는 걸 알고 다음 계약때 연장 안하고 권리금 주고 자기가 하려고 한다고 하더군요 pc 방주인은 노력을 안해서 건물주한테 잘되는 PC방 빼았겠나?

    • @firey4112
      @firey4112 6 лет назад +3

      @@소설책-p6q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았는데 우리나라는 왜 몇년째 개천에서 용이 나오지 않는거죠 ㅋ

  • @zz-dp8pt
    @zz-dp8pt 6 лет назад +63

    저임금 근로자가 우리나라 너무많아 기업 보유액이 1000조가 넘어갔다고 하던데

    • @97park32
      @97park32 6 лет назад +7

      @이구리 그걸 쌓아만 놓고 일자리창출을 안하니까 문제잖아.오늘날까지 대기업이 그리 했니? 시급 꼴랑 820원 올렸다고 무슨 나라 망한것처럼 사주가 소유한 언론사를 마이크삼아 떠들어 선동하는게 현실인데..

    • @じゅの
      @じゅの 6 лет назад +2

      이구리 결국에 신교수님 말따르면 서비스업 제조업 기업에 지원해서 침체됫던 서비스업 제조업 을 활성화시켜서 일자리를 창출 하자 이건데
      그러니 결국엔 몇십년간 지속되왓던 정책 낙수효과를 기대하자 라는 거잖아요
      서비스업 제조업이 부진하니까
      그래서 몇십년간 빈부격차 갈등 심화된거 보면 알듯이 결국엔 기업위주 로 가자는 거잖아요 새로운 정책은 돈 투자대비 효과가 미미하니까 결국엔 해오던거 그냥 해오자인데
      그래서 무슨 발전을 도모하고 무슨 빈부격차의 해소를 바라나요
      자영업자도 기업인도 다같은 국민 맞습니다
      토론 내영 보셧다시피 너무 한쪽으로만 치우친 정책보다는 자영업자 기업인에게도 투자를 하고 다같이 살아보자 식의 19년 보안 정책을 내놓앗잖습니까 자영업자 기업인 죽어라 식의 정책이 아니잖아요?
      근데 무조건 반대하는 이유를 알수가없네요
      다같이 성장하는건 가능하지만 평등 한건 이루어 질수없다 라는 말처럼 다같이 성장하자는 식의 정책을 하자는겁니다
      다만 지금 까지의 고소득층 위주의 경제성장이 아니라 저속득층도 한걸음 더 나아갈수잇더록 밀어주자 라는 정책입니다
      어딜봐서 저소득층이랑 고소득층을 같은곳에 서게하자는 정책입니까 저게
      아무리 봐도 격차를 줄이는 정책의 시행으로 보입니다만

    • @zz-dp8pt
      @zz-dp8pt 6 лет назад +2

      @이구리 어디 아파요 이명박근혜정책 다시하자구요

    • @じゅの
      @じゅの 6 лет назад +1

      이구리 답글 잘읽엇습니다.
      저도 이구리님의 어느정도는 동감하고 잇는 내용인데요.
      다시 반박의 글을 해보자면
      어느정도 입장의 차이라고 볼수 잇겟네요
      지금까지의 정권에서는 이구리님이 인정하시듯 너무 기업위주의 정책들 뿐이였잖습니까
      우리나라의 경제정책이 기업위주의 경제구조였는데 제가 보는 바로는 기업의 돈을 뺏자! 그돈으로 노동자를 살리자! 이게 정책의 목적이아닌 , 소득수준 빈부격차 지금까지의 우리나라의 경제구조 를 보면 알듯이 너무나도 한쪽으로 치우친 경제구조를 이루고 잇기때문에
      치우친건 어느정도 맞춰주자라는 느낌이 컷습니다.
      기업이 잘되야 일자리 늘고 일자리가 늘어야 노동자가 살고 라고 하신것처럼 다같은 공생관계에 잇다는 것에서 보는 시점이나 입장에 따라서 많은 차이가 잇고
      이번정부에 가장 좋게 보앗던점이 19년도 경제정책보시면 아시겟듯이 어느정도의 타협이 들어오지 않앗습니까?
      한쪽에만 치우친 정책이아닌 경제정책 보안으로 같이 성장해가자 라는 취지인걸로 보이네요 한마디로 무대포식은 아니라는 겁니다.

    • @user_yoji
      @user_yoji 6 лет назад +2

      이구리 님의 바람대로 상생은 모두가 동의할겁니다. 단, 과거 반세기만 기준을 두더라도 친기업 정책이 월등히 많았고, 그에 따라 매우 거대해진 기업들 많았죠. 물론 그 기업들의 노력으로 성장한 측면이 있지만 경제정책이 가장 큰 동력이었을 겁니다. 유시민의 후반부 말처럼 기업이 임금에 대해서 조금 품어줘야 한다는 것은 상생을 위해서죠. 그동안 대기업 기준으로 매우 편향되어서 쌓아왔으니 그걸 현재의 경제에 보탬이 되어달라 이겁니다. 심지어 유시민이 말한 이익의 분배 할당량을 보더라도 아직까지도! 지금도! 기업이 크게 가져가고 있다는 것은 통계에 근거한 팩트입니다. 막말로 50년간 근로자들을 싸게 부려먹은 사장보고 50년간 빨아잡수셨으니 2019년부터는 좀 원래대로 뱉어내서 근로자들 챙겨주라고 하는 겁니다. 그러나 님의 상생 주장은 과거 다 묻어두고 제로베이스로 2019년부터 50년간 빨아잡수신거 잊고 앞으로 서로 윈윈하자 드립을 치는 것과 같다는 것입니다. 비유가 과합니다만 이해를 돕기 위함이므로 양해를 구합니다. 상생 무조건 좋습니다. 그러므로 어려울 때 과거에 배부르게 쌓았던거 좀 나누는 것이 상생 아니겠습니까? 기업들한테 돈을 뺐는다는 생각을 전환해서 어려운 경제에 서민을 위해 보탬이 되어줘야 한다고 생각해야 건강한 것이라 봅니다. 어차피 경제정책이 효과를 보면 또 언제든 서로 보완하고 테이블 형성해서 머리를 맞댈건데 무슨 앞으로 기업을 한 10년 빨아재낄 것처럼 억울해하면 국민은 콧방귀 뀌겠죠.

  • @박승구-c2u
    @박승구-c2u 6 лет назад +51

    갓상조님. 말씀. 시원 시원 합니다

  • @hyunjik5067
    @hyunjik5067 6 лет назад +158

    이토론 마지막이 핵심아닌가? 국가와 국민이 걱정되서? 아니.. 한경총 부회장인간의 마지막 최저임금이 최고임금이라는 발언 자체가 저사람들이 왜 분배를 그렇게 반대하는지 알 수 있는 저들의 마인드다 정신차리자
    신자유주의가 탄생한 배경과 이유가 결코 나쁜 목적에 의해서 나온것이 결코 아니라고 생각하고 경제역사적으로 나온다. 그렇지만 겉으로는 신자유주의라고 하면서 경제가 경제로만이 아닌 정치경제학적으로 움직이는 현실에 의해서 자신들의 사리사욕과 욕망이 들어가면서 저리 왜곡되는 것이 한심하면서도 그것을 진리라고만 떠받치는 인간들이 여전히 있다는게 젤 한심하고 그걸 언론을 통해 경제 망하라고 고사지내는 인간들은 준범법자라고 생각한다.
    전에 했던 정부들 처럼 부동산으로 돌려막는거랑 다를바없다? 건설과 부동산에 돈때려박으며 GDP 끌어 올리지도 않았고, 큰 꿈은 맞지만 이건아니라 하면서 정책기조를 어찌바꿀지는 하나도 제대로 답을 못내놓고 그 전정부처럼 돌려막은 사람 중 한명이 신교수 교수님입니다 네?.. 그거랑 지금 정부가 하는 방향이 어찌 같나? 투자면이라는 한정적 부분에서? 그것도 전혀아닌데?... 자기들이 해놓고 이제와서 남일처럼 말하는 건 아니라고 본다.

    • @dongukkan7155
      @dongukkan7155 6 лет назад +4

      암튼 결론은 부의 재분배를 어떻게 하냐는 건데, 유튜브에서 댓글로 토론의 장이 되었으면 싶다.
      내가 생각하는 현실적인 방법은 먼저, 각 기업의 순이익 중에서 기업 유보금 n%, 급여n% 를 정해서 무한정으로 유보금으로 쌓을 수 없게, 또 더 줄수 있는데도 무조건 최저임금만 줄 수 없게 기업별 순익을 가지고 급여와 유보금을 몇%로 할지 가이드라인을 정부에서 형평성있게 제시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최저임금만 주는 역기능이 사라지고 노동자와 사장이 같이 클 수 있는 판이 될 것이다. 또한 소상공인도 자기가 버는 수익에 따라 직원의 급여를 주게 되니 지금처럼 부담감이 없을 것이다.
      두번째로는 그동안 실컷해먹은 기업 유보금이 많은데 이걸 가지고 뺏어서 대국민n빵 할수도 없고 하니, 기업의 직접고용을 늘리는 것이다. 더이상 하청이나 아웃소싱으로 하는 파견업체로 계약직, 비정규직 하지말고 정규직 직접고용 하자.(단 전문성을 위한 기업끼리 아웃소싱 협약은 제외)
      세번째로는 은퇴하고 나이많은데 취직할곳 없어서 차린 소상공인들 까지도 일 할 수 있는 자리도 만들어 주었으면 한다. 기업 유보금으로.
      이상 나의 허접한 의견을 마치고 다른 좋은 분들의 혁신적인 의견을 기대하겠습니다

    • @underyoon
      @underyoon 6 лет назад +5

      최저임금 떠드는 그분이야기 보면...다 대기업다니는 사람들 이야기이지 실제 150-250받는 중소기업 다니는분들한테 물어보시라고 해야할듯..주휴수당....야간수당?? 회사에서 어렵다 어렵다 하면서 다 무시하고 안주는곳이 80퍼센트가 넘는다는걸 아는지..

    • @moonphase86
      @moonphase86 6 лет назад +1

      @@dongukkan7155 기업 유보금 자체를 건드리는거는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있을 수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지금 최저 임금으로 간접적으로 이런 부분에 대한 해소를 하려 함입니다. 자영업자가 당장은 힘들 수 있습니다만 장기적으로 보았을 땐 사회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노동 계층이 여윳돈이 생긴다면 이에 대한 소비가 이루어질 것이고 이 소비가 결과적으로는 소상공인의 소득 증가로 이루어 질 것으로 봅니다.

  • @히노아지전주효자점
    @히노아지전주효자점 6 лет назад +36

    전혀 들으려하지않는 태도에 놀랍네요
    김상조,유시민님 잘해주시네요

  • @하루한글-t9q
    @하루한글-t9q 6 лет назад +3

    이런 토론을 주최해주신 jtbc에 감사드립니다.

  • @Laurentdsk
    @Laurentdsk 6 лет назад +69

    30년간 한직원에게 최저 임금을 주다가 최저임금이 상승하니 짤랐다.. ...
    30년을 일한 직원을 최저임금 수준으로 대하는 X를 기업가라고 부르고
    그들을 걱정하는 것 자체가 모순인 듯..
    그런 기업은 폐업시켜야 할 것 같은데

  • @쥴리야깜빵가자
    @쥴리야깜빵가자 6 лет назад +42

    30년동안 같이 있던 직원을 최저임금 올랐다고 퇴사시켰다는 말에 나도 슬펐네요. 그동안 30년동안 최저심금만 받고 일하신 그분의 안타까움에 눈물이 납니다.

    • @푸른바다-j4q
      @푸른바다-j4q 6 лет назад

      그 임금받고 30년 다닌 데는 다 이유가 있지...최저임금이 연봉으로는 3천이 휠씬 넘는단다...

    • @쥴리야깜빵가자
      @쥴리야깜빵가자 6 лет назад +5

      @@푸른바다-j4q 30년을 다녔으면 최소 부장까지 갔겠네. 넌 최저임금으로 부장월급 주니?

    • @쥴리야깜빵가자
      @쥴리야깜빵가자 6 лет назад +3

      @@푸른바다-j4q 아니다. 너 10시간씩 했지? 빨간날도 다 출근하고

    • @쥴리야깜빵가자
      @쥴리야깜빵가자 6 лет назад +3

      에라이 평생. 편의점 알바나 해라.

    • @victor25mg57
      @victor25mg57 6 лет назад +1

      @@쥴리야깜빵가자 홧팅

  • @marion6162
    @marion6162 6 лет назад +50

    유시민의 통찰에 그저 놀랍다!진짜 천재다

    • @푸른바다-j4q
      @푸른바다-j4q 6 лет назад +2

      니가 지력이 부족해서 그런거야...

  • @jayann.
    @jayann. 6 лет назад +19

    유시민 작가의 말 중에 이게 제일 기억에 남음.
    총 처분 가능 소득 (자유롭게 소비할 수 있는 돈) 분배의 변화
    1992년 민간가계 69% 정부 19% 기업 12%
    2016년 민간가계 56% 정부 23.8% 기업 20.2%

    • @jasinzzang
      @jasinzzang 6 лет назад

      Jay Ann 하필 예시를 imf 전으로 갔네요. 그걸 계기로 살아남은 기업들이 망하지 않기 위해 비축을 더 할수도 있겠다는 생각 드는데요.

    • @MNNIRW
      @MNNIRW 5 лет назад +1

      기업이 사내유보금을 쌓는 이유가 어떠하든간에, 중요한 사실은 부의 분배가 가계에서 기업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한 마디 덧붙이자면 IMF는 2년 전 사건이 아니고 무려 20여년 이상 지난 사건이고요. IMF는 기업 사내유보금이 매년 수백조씩 쌓여가는 이유를 설명하기엔 충분하지 않다고 봅니다.

  • @kyungsupark9488
    @kyungsupark9488 6 лет назад +55

    노통과 유시민최고 든든하다 화이팅!!!!!!!

  • @리오곽
    @리오곽 6 лет назад +74

    역시.알릴레오 엄청 기대대요.
    30년동안 왜?최저임금만 줘요~~에서 빵터짐.ㅋㅋ
    유시민 최고다

    • @김민지-n6v1e
      @김민지-n6v1e 6 лет назад

      아마도 최저임금으로 경영어려워 30년간 데리고 있던 직원 정리한것 아닐까요. 그 직원은 급여가 많아 부담이 되어서..1

    • @hyunjik5067
      @hyunjik5067 6 лет назад +4

      30년 숙련직을 자르는거보다 신입자르는게 낫죠 저기 동아일보에서 말하는 직종이라면..... 최저임금때문에 어려워 직원중에 일부를 자른겁니다... 급여많아 부담되어 문닫은거도 아니고요.. 기사 말대로면 30년간 최저임금 받고 살았다고 증명하는 거라고 밖에 안보입니다 그런사람이 최저임금만 받고 30년 일해야되는건 아니라고 보이죠

    • @푸른바다-j4q
      @푸른바다-j4q 6 лет назад +1

      30년 최저임금 받고 다닌 근로자는 뭐냐? 염전노예가 아닌 이상 30년 다녔으면 다 이유가 있겠지...

    • @owlahn3260
      @owlahn3260 6 лет назад +1

      30년 동안 최저임금을 받은 건 아니겠지만, 월급 산정에서 이런 저런 수당으로 막 가져다 붙이고, 실제 본봉은 최저시급 수준의 금액으로 산정해서 지급했었겠죠. 그러다 최저임금 수준이 올라가니... 이런저런 수당을 이제와서 깍기는 힘들고... 그렇다고 본봉을 올리자니 다른 연계 수당 중에 올라가는 부분이 있었을 것이고... 그래서 급여 관련 수당 쳐내기 시도하다 안되니까 내 보내지 않았을까 싶어요. 올해 들어 계약직으로 전환하거나, 보너스 또는 수당등을 정례 월급으로 산정하면서 최저임금은 올랐지만, 급여는 동결 또는 이하 수준으로 낮춘 곳들도 꽤 될 겁니다. 그런 상황에서 버티기 한 사람들 보낸 거구요. 눈물을 흘렸을까요? 절대 그건 아닐거라 생각하구요. 한 곳에서 10년 20년 이상 한 사람들... 다른 곳으로 이직하기도 쉽지 않고 나이들어 다른 일자리 찾기 어려운 점을 공격해 급여 조정한 곳들 꽤 될 겁니다. 그 마저도 순응하지 못하면 보내는 방법으로 보냈을 거구요. 현재 최저임금을 올리면서 병행 되어야 할 건, 복잡한 임금 체계를 간결화하는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그런 의미에서 주휴수당 없애고, 그만큼 시급을 올리는 것이 가장 눈에 먼저 보이는데요. 이렇게 된다면, 기업은 또 죽는다고 아우성 낼 겁니다. 시급을 확 올려 버리니까요.
      경총 부회장이란 분의 인식을 보니... 최저임금=지나치게 많이 올라간 임금. 이런건데요....경영자들이 이런 인식이 없어질리도 없을 것이고... 그런 면에서 현재 정부의 정책 기조는 흔들림 없이 가야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경제 주체 당사자들이라고 떠드는 사람들의 인식 변화나 태도 변화를 기대할 수 없을 겁니다.안타까운 건, 유시민 작가님의 의견처럼... 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것이고... 그런 시간 소요의 텀을 가지고 지속적이고 집요적인 공격이 끊이지 않을 거라는 겁니다.

    • @hyunjik5067
      @hyunjik5067 6 лет назад

      네 의견을 존중하고 충분히 공감합니다. 최저임금의 명목적 금액에 우리는 집착을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6,70년대 산업화시대에 정해졌던 임금의 복잡한체계의 개선이 병행해야만 더 높은곳을 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 그 기사의 사례가 어떤지는 정확히 나오지 않아 어떤 상황인지 모르지만 기사가 전달하고자는 바는 보고 싶은 곳만을 보여 호소하고자 하는 악의적인 의도가 있기 때문에 작가님은 그것을 비판하고자 인용하였다고 느꼈습니다. 최저임금 = 지나치게 많이 올린다라는 거보단 무의식적으로 최고임금이라는 말을 할때, 저는 그것보다는 더 부정적인 인식이 경총 부회장의 머리에 있다고 본것이구요. 개인적으로 답답한것은 그것을 통해 대타협과 토론의 과정을 수행해야하는 정부가 과정히 깔끔하든 안하든 노력하는게 보입니다만, 현실은 두 진영으로 나눠 단지 올려야 한다 말아야한다에서 그치고 싸우기만 한다고 다분히 보여지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 @righteousness8172
    @righteousness8172 6 лет назад +78

    유시민의 품격은 누구도 따라갈수없다!!
    우리나라에 유시민이 있음이 나라의복이다!!!
    대통령해서 나라의 발전에 이바지 할수 있었음좋겠다!!

  • @HappyHwangz
    @HappyHwangz 6 лет назад +17

    유시민 진짜 대단하네.. 저런 통찰을 가진 사람이 있어서 대한민국이 아직 살만하다고 느낀다.

    • @LouisSon3387
      @LouisSon3387 2 года назад

      ? 소득주도성장으로 개박살는 미래에서왓습니다

  • @초명-o2l
    @초명-o2l 6 лет назад +72

    유시민 일침ㅋㅋㅋ"30년을 함께 일했는데 어떻게 30년동안 최저임금을 줄수가 있어요?"

    • @푸른바다-j4q
      @푸른바다-j4q 6 лет назад +1

      30년 최저임금 받고 다닌 근로자는? 다 다닐만한 이유가 있지 않겠니?

    • @whatsup8935
      @whatsup8935 6 лет назад +12

      왕자레오 무슨 이유로 30년을 일하면서 최저임금만 받고 살아갑니까??? 저기요 최저임금으로 월급 따져도 200만원도 안돼요.. 30년일했으면 기업의
      임원급인데... 이유를 대실수 잇어요? 억지로 만들어도?? 저 대목을 들었을때 최저임금을 어떻게든 까려는 일부 언론의 포악함을 생각해야지 그걸 줄수밖에 없는 사정이 있지 않았겟냐 그말이 어찌나옵니까

    • @yunakim1709
      @yunakim1709 6 лет назад +1

      3년간이면 최대임금이네. 최저가 아니라.

    • @chill_spot_2025
      @chill_spot_2025 6 лет назад +5

      @@푸른바다-j4q 와... 그치... 30년간 최저임금만 받고 다닐만한 이유가 있었겠죠... 그 이유가 무엇이건간에 어떻게 그걸 이유가 있겠지라며 정당화 할 수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특히나 우리나라처럼 최저임금 졸라게 안오르는 나라에서 30년을 최저임금을 받고 일했다고 하면 뭔가 비정상이라고 생각이 들어야 하는데 그걸 "뭔가 이유가 있지 않겠니?"라고 할 수가 있는지 발상 자체가 놀라울뿐이다.

    • @손장호-x2j
      @손장호-x2j 6 лет назад

      나는 안그럴꺼같죠? 우리의 문제는 그겁니다 나라면 안그럴것같지만 실제로 그 자리에가면 그렇지 않다는거죠.. 진짜 문제는 그 노동자가 맞죠 내가 좀 더 월급을 더 받고싶으면 능력을 키워서 더 높은 자리 다 높은 대우를 받기위해 노력했어야죠

  • @정대선-e2f
    @정대선-e2f 6 лет назад +17

    종합해보면 부의 양극화가 가장 큰 문제입니다..

  • @leedjok
    @leedjok 6 лет назад +18

    유시민님 대단하다. 이해하기 쉽게 혹세무민 안하고 정말 잘한다

  • @지하수-w6u
    @지하수-w6u 6 лет назад +53

    선진국에는 정규직과 인턴직 대우는 별차이 없다든데 우리나라 근로자는 선진국 대우 받으면 안되나 고용주도 근로자도 선진국이면 선진국 답게 살아보자

    • @cometkim8268
      @cometkim8268 6 лет назад +3

      웃기는게 지하수님처럼 그렇게 말하면 정규직은 거기 들어가기 위해서 시험잘보고 노력했으니 당연히 인턴 비정규직등과 대우가 달라야 되는거 아니야 이런 주장을 하는 인간들이 많고 거기에 동조하는 사람들이 엄청난데 (정규직이 아닌 인간들까지 거기에 동조 자기들이 정규직 될줄 아는가? 딱 참여정부 종부세 논란때 종부세 내지도 않는 서민들이 거기에 반대한 것과 비슷)아니 정규직은 정규직이라는거 자체가 이미 보상받고 있는 고용이 안정된거 이거면 최고의보상이지 거기서 무슨 이익을 더 보려고 인턴 비정규직 노동자들보다 임금까지 높게 받아야 되는건지.... 지금 보면 같은 일을 하는데 정규직 비정규직 차이있다고 임금 다르게 주고 이걸 넘어 위험한 일은 죄다 비정규직한테 시키면서 참...

    • @지하수-w6u
      @지하수-w6u 6 лет назад

      @@cometkim8268 허허 외국 선진국 사례 들어서면 그기에 합당한 댓글을 다셔야지요 자네는 한국에 태어나길 잘하셨소 미국은 사무직보다 배관공이 임금이 훨씬 높다고 어린시절에 알았는데 미국에 태어났다면 열받아 위로 가셨겠슈

    • @지하수-w6u
      @지하수-w6u 6 лет назад

      @@cometkim8268 아 그리고 외국에는 우리나라처럼 정규직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답니다 언제든지 대우가 좋은 회사로 갈 수 있는 근로자의 자유

    • @sj1832
      @sj1832 6 лет назад

      해외에서 일하는 입장에서,
      해외에서는 정규직 인턴직 대우가 차이가 없다는 말이 어디서 나왔는지 궁금하네요.
      정규직이라는 개념도 해외에서는 옅어지는 것 같고,
      제 개인적인 경험에서는 해외의 인턴이라는 제도 자체가 한국의 것과는 다르다고 느낀 정도였거든요.

    • @지하수-w6u
      @지하수-w6u 6 лет назад

      @@sj1832 우리나라처럼 정규직 비정규직 차별이 확실하게 구분된 물음에 해외에서 몇년 근무한 사람의 답입니다 yj님 댓글에도 우리처럼 차별이 심하지 않으신 것 같은데 우리도 근로자의 환경이 선진국처럼 변해 가야 되지 않겠어요

  • @TheSara2793
    @TheSara2793 6 лет назад +98

    역시 유시민~~!!!!!!

  • @qtundra9189
    @qtundra9189 6 лет назад +40

    토론 보고 느낀점: 숙대 학생들 힘내시고 잘 청산해주세요

  • @밧데리고모
    @밧데리고모 6 лет назад +11

    저도자영업자입니다 최저임금은 올려야된다고생각합니다.정말힘든업자도있지만 어떤사업자는 인권비때문에 힘든게아니고요..더벌어야되는데 덜벌으니 약오른다는거지요 ..

    • @우리모두-q9e
      @우리모두-q9e 6 лет назад

      이른 좋은글들은 언론에서 절대 얘기하지 않아요...!!
      편파적이고 악의적인 언론부터 인지하고 우리의 의식을 바꿔야 합니다...~

  • @쥴리야깜빵가자
    @쥴리야깜빵가자 6 лет назад +81

    여기서도 김상조, 유시민 승이네.

    • @fattal7560
      @fattal7560 6 лет назад

      여기 말고도 다른곳에서 토론을 한적이 있나요?

    • @conatus1521
      @conatus1521 6 лет назад

      @@fattal7560 토론 1부 얘기하는듯. 이건 2부

  • @주현-w8g
    @주현-w8g 6 лет назад +18

    쓰레기는 오염 안된다. 오염 시키지.
    나는 오염 안됐거든요.. 이 말은 나는 쓰레기예요 이 말이다.

  • @박승구-c2u
    @박승구-c2u 6 лет назад +28

    유작가님 경제부총리 하세요

    • @풍류남
      @풍류남 6 лет назад

      시켜주시는겁니까??ㅋㅋ

  • @fact704
    @fact704 6 лет назад +136

    신세돈 교수는 진짜 교수 맞는거요? 부전공으로 경제학을 이수했지만..여자가 아니라 숙대 안간게 다행이다라는 생각은 나만드는건가? 경제를 거시.미시 구분없이 통괄 해석한다는것도 믿기지 않지만, 교수가 일반인도 요즘은 잘안하는 성급한 일반화의오류만 있네..자기고집에 자기목소리에 도취해 있는 전형적인 꼰대네..그리고 왠자격 지심은 저리심해서 자기는 절대 안그렇다고 강조하냐 ㅋㅋ 교수들도 5년에 한번씩 시험봐서 자격 검증해야한다는 주장을 이번기회에 하고싶다..너무 무식하다..너무

    • @baboking
      @baboking 6 лет назад +9

      목소리 자체가 발암 그 자체.....

    • @심은경-c7o
      @심은경-c7o 6 лет назад +13

      저도 신교수 얘기할때 두가지 문제가 생각났어요. 1) 꼰대같다.2)자신은 객관적이다 라고 말하는 오만이 뼈속까지 있으니 문제의 본질을 못본다...
      참...기득권 무섭다란 생각듭니다

    • @skbae8747
      @skbae8747 6 лет назад +5

      신씨 숙대서 니 월급주는거 마니 아까워 하겠다ㅋ

    • @paulinekim6455
      @paulinekim6455 6 лет назад +6

      비슷한 생각을 했어요. 10개 후반 20대 초반 학부생 때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대한 성숙하고 균형된 시각이 없을 때 저런 꼰대스랍고 논리가 부족한 교수라는 사람한테 세뇌당하면 문제가 심각하겠다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 @동네엉가
      @동네엉가 6 лет назад +7

      저런 교수 밑에서 배운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합니다. 그게 더 끔찍합니다.

  • @김로시-p5s
    @김로시-p5s 6 лет назад +49

    첫번째 토론 다 듣고 두번째 토론 듣는데 절반만 듣고 더 안들어봐도 노답이어서 댓글을 안 달수가 없음ㅋㅋㅋㅋㅋ 신교수 맞다는 댓글 뭐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내연남-g1u
    @내연남-g1u 6 лет назад +37

    보수 경제지의 이데올로기 카르텔을 정확히 짚어주셨네요 지금 당장은 양극화가 심하지만 결국은 우리가 나아가야할길이 분명합니다

    • @whatisthis4771
      @whatisthis4771 6 лет назад

      베네수엘라가 정확히 그 길을 갔지

    • @victor25mg57
      @victor25mg57 6 лет назад +3

      @@whatisthis4771 님같은 등신덩다리때문이지..아마도

    • @zenj-g2z
      @zenj-g2z 6 лет назад +4

      경제지는 걸러야 함. 그쪽 기자들은 대기업 홍보팀이 사주는 밥먹고 다니는 사람들임..

  • @박인수-y5z
    @박인수-y5z 6 лет назад +18

    아래로 흐르는 돈이 너무적으니 내수가
    어려운것... 상식이지.

  • @kingscross7771
    @kingscross7771 6 лет назад +40

    30년동안 최저임금만 줬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occasion0
    @occasion0 6 лет назад +8

    돈은 벌고 있는데 그 돈이 가계가 아닌 기업으로 솔리고 있다는 유시민 작가의 말이 가장 정답에 가까운 것 같네요

  • @zeusgreen8664
    @zeusgreen8664 6 лет назад +18

    역시 유시민.. 쉽고 시원하게 설명해주네요.

  • @kthprg
    @kthprg 6 лет назад +88

    안타깝다 숙대 ....
    숙대로 애들 안보내야 되겟다...참...

    • @우재이-w6t
      @우재이-w6t 6 лет назад +8

      특히 경제학부요~~

    • @조용우-m7r
      @조용우-m7r 6 лет назад +5

      개인적인 느낌 이지만 저 교수님 한테 학점을 따려면 개인적인 생각이나 교수님과 다른 방향성의 답안을 쓰지 말고 수업 내용에 대한 암기만 잘해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 @정덕균-l6h
      @정덕균-l6h 6 лет назад +1

      괜히 논객으로 나와서 욕보시내
      꼰대가 정답

    • @intothemagic6993
      @intothemagic6993 6 лет назад +1

      숙대 경제학과 기억해둬야 겠네요.

    • @happydorian5557
      @happydorian5557 6 лет назад

      ㅋㅋ 저도 그 생각 ㅋㅋ

  • @산세베리아-o4d
    @산세베리아-o4d 6 лет назад +61

    김위원장 : 이걸 왜 필사하셨습니까? 홈피에 있는데
    신교수: .. 난 이미 알고있는데 왜 보여줌?
    김위원장: ?? 님이 아니라 국민한테 보여드린건데?
    필사한거 궁디팡팡해드려야 겄네

    • @koreainchiangmai
      @koreainchiangmai 6 лет назад +2

      저도 그 부분 배꼽잡았네요 ㅋㅋㅋ

  • @chunjoo02
    @chunjoo02 6 лет назад +52

    이 나라는 유시민이가 답이다...아자^^

  • @오흥상-z2c
    @오흥상-z2c 6 лет назад +107

    신교수 저사람은 무슨 소리를 하는지 알수가 없네

    • @kutman44
      @kutman44 6 лет назад +4

      안모 철수씨 생각나지 않으세요? ㅎㅎ

    • @SUPERCOOLMYSTERION
      @SUPERCOOLMYSTERION 6 лет назад +3

      bc a R u fuckhead?

    • @ahun730
      @ahun730 6 лет назад +1

      bc a 엥? 어디요? 몇분몇초에요?

    • @jamespark5621
      @jamespark5621 6 лет назад +1

      ㅎㅎㅎ 이렇게 이해력이 딸리는데 무슨 설명을 어떻게 해달라는지 평소에 책이라도 읽지

    • @오흥상-z2c
      @오흥상-z2c 6 лет назад

      @@jamespark5621 ^^이해가 가쇼? 뭘 이해했는데?^^

  • @천마신군-j6l
    @천마신군-j6l 6 лет назад +67

    유시민이 정답이다 30년동안 최저임금주고 있었다는게 신노비정책으로 살았다는거잔아

    • @푸른바다-j4q
      @푸른바다-j4q 6 лет назад +1

      바보구나...제조업 최저임금이면, 연봉으로 4천만원이상이란다...유촉새의 야바위 농간에 속아 넘어가네...

    • @김태현-n8m4q
      @김태현-n8m4q 6 лет назад +1

      2교대로 12시간씩 일하면서 최저임금으로 연봉4천받으면 머합니까....제 또래 20대 친구들 돈만 보고 들어갔다가 대부분 힘들어서 포기합니다...또한 나이들면 일찍 짤릴거란 불안감과..

    • @토끼리-q8k
      @토끼리-q8k 6 лет назад +1

      농간이라뇨,,, 공장에서 일해보셔야됩니다... 일한만큼 받아가는게 공장입니다 연봉으로 4000이면 그만큼 일하신겁니다.. 한달에 하루쉬면서요.

    • @블레스탓
      @블레스탓 6 лет назад

      유시민 너무 나갔다.정의현혹성 최고지.믿지마라.

  • @김종수-m8b
    @김종수-m8b 6 лет назад +36

    49:20 30년을 함께 일한 직원을 눈물을 머금고 보냈다는 기사...30년을 일해도 최저임금만 주는 회사

    • @jamespark5621
      @jamespark5621 6 лет назад

      그걸 왜 회사라고 생각하냐? 작은식당에서 아줌마 2명과 같이 일하다가 손님줄고 매출이 줄어버려서 도저히 감당안되면 줄여야지 방법있냐?

    • @김종수-m8b
      @김종수-m8b 6 лет назад

      @@jamespark5621 기사도 안보고 이 토론만 보고 얘기 하겠어요?

    • @jamespark5621
      @jamespark5621 6 лет назад

      @@김종수-m8b 기사에 업종이라든지 아무것도 안나왔으니 하는말이지

    • @김종수-m8b
      @김종수-m8b 6 лет назад

      @@jamespark5621 검색은 해보셨어요?

    • @jamespark5621
      @jamespark5621 6 лет назад

      그러니까 검색해서 읽어보니 너도 30년을 일해도 최저임금주는 개같은사장이디? 개대가리가튼것들 아니 개만도 못한 대가릴 모하러 달고다니냐

  • @이둘림-p6c
    @이둘림-p6c 6 лет назад +55

    역시 유시민

  • @injaejeon1805
    @injaejeon1805 6 лет назад

    토론을 다 듣고, 적절한 시점에서 이루어진 유익한 토론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신세돈 교수님은 경제학자로서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현황에 대해서 적절히 지적해주셨습니다. 김용근 부회장님은(그분의 말이 유려하진 않았을지라도) 기업을 대변하여 기업이 느끼는 고충을 잘 설명해주셨습니다. 김상조 위원장님은 정부의 입장에서 정책의 일관성을 가지되 부족했던 부분을 충분히 보완하여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셨습니다. 유시민 작가님은 기득권층이 중심이된 프레임 안에서 맹목적인 정보수용의 위험성을 알려주셨고, 현 정부 정책방향성의 근거를 잘 보완해주셨습니다. 또한 패널 두 분의 질문을 통해서는 각 토론자 분들이 대변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실제로는 다른 상황에 놓여있을 수 있음이 잘 보여졌습니다. 이 토론을 통해 정부 정책은 보여주신 의지와 같이 보완하여 더 효과적으로 추진되고, 이를 바라보는 국민들은 정부 정책방향성의 배경을 조금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되면 좋겠습니다.

  • @남유선환
    @남유선환 5 лет назад

    손석희교수님 고생하셨습니다

  • @dongback0815
    @dongback0815 6 лет назад +42

    와 유시민 소름 입을 열때마다 홈런이네

  • @pkt1115
    @pkt1115 6 лет назад +8

    신교수님은 기본적으로 마음속에 분노가 있는듯.
    학자라는 분이 왜 저리 징징대는지~~

  • @zenj-g2z
    @zenj-g2z 6 лет назад +23

    1. 대기업 위주 규제 완화로 낙수효과를 기대해 보자
    2. 최저임금을 올려서 개개인의 주머니를 채운 뒤에 돈이 시장에 돌도록 하자.
    1번은 10년간 했는데 성공했나?
    2번은 아직 2년 밖에 안됐는데 성급한것 아닌가?

    • @ck-air
      @ck-air 6 лет назад +6

      2번은 2019년부터 예산 적용된다고도 하네요. 아직 제대로 시작도 안된거...

    • @paulinekim6455
      @paulinekim6455 6 лет назад +2

      1번은 IMF 이후 본격화되어 실제 20년 이상 지속되어 왔고 빈부 격차는 더 심화되고 그 효과가 너무 공고해져서 그 격차를 조금이라도 줄이는데 이렇게 강력한 기득권층의 반발이 있는 겁니다.

    • @savekorea
      @savekore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결국 밥그릇싸움이야 지금 의새들이 환자 목숨가지고 협박하는거

  • @park-lm7fj
    @park-lm7fj 6 лет назад +120

    숙명대 교수놈 그렇게 경제활성 방안 많았으면 왜 박근혜때 안시켰냐? 잣냐?

    • @hyunjik5067
      @hyunjik5067 6 лет назад +6

      그러면서 끝까지 방식은 다르지만 분배를 정책기조로 할지 토목건설식 마구잡이 대기업중심 수출성장으로 계속 할지 입장을 안밝힙니다 ㅋㅋㅋ

    • @victor25mg57
      @victor25mg57 6 лет назад +3

      어효..정답

    • @kingscross7771
      @kingscross7771 6 лет назад +11

      가명쓸거다 유작가님이 말한그대로죠 경제전문가랍시고 내내 정부정책잘못됬다고 ㅇㅂ떨고 해결책은 하나도 제시못하는 ㅡㅡ

    • @You_face1
      @You_face1 6 лет назад +4

      이건 아니야!! 해놓고 방안을 얘기 하라하면 되지도 않는 소리함...까놓고 말해서 말처럼 쉬웠음 전세계가 잘 살았겠죠 경제라는게 그만큼 어려운 건데 말이죠 ㅋㅋㅋ

    • @Rura4605
      @Rura4605 6 лет назад +3

      잤겠지. 잘 수도 있지 너무 그러지마라. 교수님도 35년 쯤 한 자리에 머물러 있으면 잠올 수도 있지.

  • @스위트홈-h4f
    @스위트홈-h4f 6 лет назад +39

    김용근 저 사람을 최저임금으로 30년 살게 하고 싶다. 500만 명의 고통을 너도 겪어라.

  • @sjhj7172
    @sjhj7172 6 лет назад +44

    신세돈
    전 삼성경제 연구소 실장!!!
    이것이 팩트!!!

    • @whatisthis4771
      @whatisthis4771 6 лет назад

      능력있는 분이네요

    • @victor25mg57
      @victor25mg57 6 лет назад +4

      @@whatisthis4771 눈이..비정상

    • @97park32
      @97park32 6 лет назад +3

      @@victor25mg57 ㅋㅋㅋㅋㅋㅋ

    • @서리꽃-j8o
      @서리꽃-j8o 6 лет назад +1

      먼가 이상허다해내 삼성가족이라니 잘먹고잘살겠내

    • @돈코를레오네
      @돈코를레오네 6 лет назад

      오염되지않았다고 초반에 그렇게 말하더니 삼성가족이었네 나참ㅋ 한시간넘게 보고 있는와중에 알게되고도 어의가없는데 이미 알고있었을 김상조교수와 유시민작가는 자기가 오염되지않았다고 몇번이나 얘기하는 신세돈교수를 보고 속으로 웃었을듯하다

  • @김주원-x6g
    @김주원-x6g 6 лет назад +11

    현대차 최저임금이 올라서 대기업 월급자임에도 그 최저임금기준에 들어서 힘들다는데 기본급 올리고 상여금 내리면되는문제 아닌가?

  • @global987
    @global987 6 лет назад +5

    토론을 위한 논리 전개나 자기의 의견을 모두가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은 확실히 유시민 작가나 김상조 위원장이 잘하는군요. 죄송한 말인지만 숙대 교수님은 다음부터는 토론회에는 참석 안하시는 게 학교의 명성을 위해서 나을 듯 합니다.

  • @Zero-cs4vt
    @Zero-cs4vt 6 лет назад +58

    저 교수 뭐하냐.... 지 말만 다 믿고 꼰대의 정석이네 ㅋㅋㅋㅋ왜 저기서 화를 내고 앉았냐 ㅋㅋㅋㅋㅋㅋ

  • @lidiayun773
    @lidiayun773 6 лет назад +15

    저도 조그만 회사의 관리자로 있지만 회사의 이익창출이 그 공동체인들의 모두의 수고가 노력이 있기에 있는 결실이지 누구하나가 잘 해서 있는 건 아니라 봅니다. 근로자인 동시에 경영참여자로 두 곳에서 보는 시선 이해는 가지만 잘 되는 회사는 경영자측이든 노동자측이든 서로 자기 이익 만 챙기는 것이 아니라 서로서로 이해하고 상생하려고 하는 곳이 잘됩니다. 결국 소득 재분배가 문제인데 이 정부가 하려는 정책이 맞는데 계속 딴지거는 기득권 적폐세력 이제는 놀부심뽀 그만 부렸음 하네요..

  • @MyHanai
    @MyHanai 6 лет назад

    너무 잘 듣고 가요. 유시민작가님도 좋고 정부대변인으로 나오신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님 얘기도 충분히 납득히 되고 신세돈 교수님 나중에 동조하시는 모습도 보기 좋았습니다. 사실 주변에서 경기 어렵다해서 많이 불안했는데 좀 안심이 되는 부분도 있네요. 희망적으로 생각할랍니다. 앞으로도 제이티비씨 좋은 방송 많이 해주세요. 손석희 사장님의 위트가 대박이었습니다.ㅋㅋ 유시민 작가님 위트도요 ㅋ

  • @앙-n6x
    @앙-n6x 6 лет назад +17

    최저임금=최고임금.. 그리고 대기업이 최저임금법에 걸리는건 기본급을 최저임금수준으로 낮추고 이상한 수당을 지급해서 문제가 발생한거지...

  • @younghojung2735
    @younghojung2735 6 лет назад +7

    신교수님이 답답하면 직접 보고서를 만드셔서 제안하세요. 어차피 중요한 사안은 재벌가족이 지배하는 대기업중심의 수출주도의 구조를 국민이 지배하는 대기업중심의 수출과 수입의 평준화로 변해야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인 수출이 잘 될 수록 벌어지는 빈부격차와 낙수효과가 없는 우리나라 경제구조에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이런 구조적인 문제의 첫 단계는 쓸데없는 논쟁을 할 것이 아니라 법적으로 재벌을 해체하고 대기업을 국민들에게 돌려줘야 합니다. 그러면 노조때문에, 자동화를 추진하려고, 진보정당이 정권을 잡아서 절대로 투자할 생각이 없는 소수의 반민주적이며 부패한 일부보수를 지지하는 재벌가족을 경영 일선에 물러나게 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 경제구조는 선순환으로 갈 수 없습니다. 이젠 정말 최저임금을 포함하여 모든 문제의 근본이 시중에 투자를 하지 않고 조단위로 유보금을 쌓으라고 하는 재벌과 보수세력 때문입니다. 정권을 잡는 것이 국민의 행복보다 위라고 생각하는 세력은 과연 을사오적과 뭐가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2019년은 우리나라 건국 100년입니다. 이제 우리 모두가 각성하여 촛불의 정신을 다시 생각해 봐야 할 때입니다.

  • @이영동-n7p
    @이영동-n7p 6 лет назад +13

    최저임금을 받는 노동자의 입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는데 저건 무슨 동문서답 궤변이냐?

  • @시골버스-w9v
    @시골버스-w9v 6 лет назад +6

    김상조위원장, 유시민이사장 모두 대단한 분들입니다! 이런 분들 덕에 문재인정권은 분명히 성공하리라 확신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 @고라파덕-f1b
    @고라파덕-f1b 5 лет назад +2

    토론중에 제일 예의 없는게 자기 할말만하고
    상대가 하는말을 귀담아 안듣는게 제일 예의없는거라고 생각한다 신세돈 교수는 토론 예의가 없는거같음

  • @김파란-c5v
    @김파란-c5v 6 лет назад +15

    역쉬 토론쇼는 손석희사장
    제티비시에서 연초에만 하지말고
    자주 토론회 만들어 방솧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forekook3762
    @forekook3762 6 лет назад

    신년대특집이 아닌 매주 1회정도 제대로 된 토론 계속 보고싶네요

  • @asdfasdf-sx7ik
    @asdfasdf-sx7ik 6 лет назад +1

    그렇게 자영업자 걱정이되면 상가 임대차 보호법과 카드수수료체계 개선 가맹점 계약조항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주시죠 경총 회장님

  • @ynk122970
    @ynk122970 6 лет назад +4

    숙명여대 교수라는분은 토론의 질서조차 잘모르시는것 같아 시청하면서 불편했네요. 상대분에게 다그치는듯한 언변이 기존 기성세대의 갑질을 보는듯했습니다. 반면 김상조, 유시민님의 논리정연한 토론이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2019년 올해는 다 잘될거라고 생각하고 노력하는 정부도 응원하겠습니다~!!

  • @marion6162
    @marion6162 6 лет назад +55

    많이 올라봐야 170이다 이걸로 뭘하고.살수있냐?진짜 기본생활만 가능하다 ㅜㅜ기업들 돈 쌓아놓고 최저임금때문에 힝들다.진짜 있댠소리는 하지마라! 미국이 최강국인겐 최고부자 워렌버핏 빌게이츠가 나같은.부자에게 세금 더냬게 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다,이렇게 부익부.빈익빈이 심해지면.결국은.폭동.혁명이 필연적으르 일어남을 잊지말자!

    • @EIonMusk36
      @EIonMusk36 6 лет назад

      어떻게 하나만 생각하냐.?? 최저임금 올라서 너가170받으면 니 친구들 다 해고되고 물가도 오를텐데..ㅎ 결국 너같은 알바생이나 고용주 모두가 힘들어지는거야 ~~ 글구 몸캠좀 고만 보궁

    • @dongukkan7155
      @dongukkan7155 6 лет назад +1

      성홍승 대기업 한해 유보금이 10-100조단위인데 뭘 다짤려. 생각하는 전두엽 부분이 짤렷나

    • @EIonMusk36
      @EIonMusk36 6 лет назад

      donguk Kan 지금 최저임금 이야기 하고있는데 대기업이야기는 왜 나오노 너가 하고있는 편의점말이다 ㅋㅋ... 생각하는 전두엽부분이 짤렸나

    • @세러데이-j8e
      @세러데이-j8e 6 лет назад +2

      성홍승 오르기전에도 편의점 너무 많아서 경쟁때문에 문닫는건 입다물고 최저임금씨부리는거 실화냐?

    • @서리꽃-j8o
      @서리꽃-j8o 6 лет назад

      @@세러데이-j8e 올으신말씀 편의점날입은 상감이와도못막는다

  • @송스시
    @송스시 6 лет назад +1

    신교수님 감사합니다. 감동했습니다.

  • @권택성-y3f
    @권택성-y3f 6 лет назад +8

    경총 부회장 은 배부른 기득권은 아직도 이해하지못하고 상대방을 이해시키지못함.

  • @eunseo9122
    @eunseo9122 6 лет назад +20

    교수라는 작자가 대화하는 품위 좀 보소! 한유총 ! 참 서글픈 현실이다

  • @postar1852
    @postar1852 6 лет назад +27

    한경총이 뭐가 그리 부담부담 거리냐...

  • @문국수
    @문국수 6 лет назад +17

    저 신교수 대체 뭔소릴 하는지 알수가 없어요 아니 논리정확하게 ㅅㄹ명을 하셔야지 왜그러세요 ㅜㅜ

  • @쓴레몬-f9c
    @쓴레몬-f9c 6 лет назад +91

    숙명여대 학생들이 불쌍하다...

    • @postar1852
      @postar1852 6 лет назад +7

      숙명여대 노답이네

  • @user-if9kd5wb3t
    @user-if9kd5wb3t 6 лет назад +2

    최저임금에 영향을 받는 근로자가 오백만 명이라는 게 더 충격적이다 ㅋㅋㅋㅋ 노동력이 더 존중받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pffpffhaha8305
    @pffpffhaha8305 6 лет назад

    짧은 영상들을 보고 댓글들을 보았을 땐 저도 누군가의 편을 들고 지지하고 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혹시나 하는 마음에 1시긴 50분 하는 풀영상을 보니 틀린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생각듭니다. 심지어는 토론이 종료되기 직전에 유시민님의 30년 발언과 그에 반박하는 부회장님 발언까지 모두 틀린말은 아니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처음에는 자기얘기러 착각하고 발끈하는 것 같았던 교수님도 끝까지 보고나니 좋은 대안책을 제시히여주시진 않았지만 촌철살인같은 말씀을 하신다는 생각을 들게 하는 순간도 있었습니다. 끝까지 보고나니 진형이 나누어져 있어 보였지만 오히려 같은 말을 하지만 그들의 관점의 차이 때문에 다른 말이 되어버린 것 처럼 보여지는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어떻게든 고여버린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어딘가를 기점으로 변화를 주어야 하는데 현 정부는 그것을 최저임금으로 잡른 것일 뿐, 어떤것으로 잡았건간에 누가 했건간에 겪을 통증이고 나왔을 말들이라 생각합니다. 그러기에 계속해서 보완하고 조정하며 완성해 나갈것이라 믿고 응원하고 싶어지네요. 이렇게 지루한 영상 평소에는 왜 보나 싶었는데 한번 보니 왜 보는 지 알겠네요. 앞으로 이런 토론으로 (이번 토론에서 큰 결론이 난 것 같아 보이지는 않지만), 토론을 더 발전 시켜서 좋은 결론을 도출 할 수 있는 jtbc가 되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런 토론에서 편가르기식의 편집이라던가 시청자들의 그러한 시선들은 지양되어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별로 생산적인 것 같지 않거든요.

  • @Mr990912
    @Mr990912 6 лет назад +12

    갓시민 갓상조 에 대항하는 토론자를 저런 꼰대를 세우다니

  • @박인수-y5z
    @박인수-y5z 6 лет назад +21

    숙대교수님 귀가 잘 안들려서
    소리를 지르시는건가?

    • @zenj-g2z
      @zenj-g2z 6 лет назад +3

      ㄴㄴㄴ 자격지심 쩌는 자존감 낮은 빈수레라서...

    • @조용우-m7r
      @조용우-m7r 6 лет назад +1

      진지하게 그럴수도 있겠네요.

    • @우리모두-q9e
      @우리모두-q9e 6 лет назад

      숙대에 입대하려면 귀가 잘 들리면 않되는 모양이지요...ㅎㅎㅎ

  • @작업반-y6k
    @작업반-y6k 6 лет назад +20

    유시민이 아니라 유대통령이 되어야 겠네요.....

    • @오지훈-j8h
      @오지훈-j8h 6 лет назад

      지금은 쉬고 싶으시답니다

  • @kyungsupark9488
    @kyungsupark9488 6 лет назад +15

    유시민!! 시민으로 있지말고 차기 대통령으로~^^

  • @seankang427
    @seankang427 6 лет назад +3

    느낀점... 아니라고 부정을 해도 역시 그들은 자기들의 기득권이 침범을 당할까봐 감정적으로 대응하며 역시 대기업을 위한 지식인들이란 느낌이..

  • @100호-o3j
    @100호-o3j 6 лет назад +5

    진짜 정부에서 일하는것도 엄청 힘들꺼 같다.......

  • @김명기-f1e
    @김명기-f1e 6 лет назад +9

    외부문제 사드 미국보호무역 저유가
    땜에 일시적 쇼크 소득주도갱제가
    방향이 맞는거여

  • @우재이-w6t
    @우재이-w6t 6 лет назад +55

    신가야 너 귀 쳐먹었냐?
    소리만 지르면 다냐?

  • @manyeobchang6511
    @manyeobchang6511 6 лет назад

    진정으로 양심을 가진 이라면
    인정할것은 인정하고 토론을 해줬으면 좋았을것을,~~~

  • @rollsroyce4287
    @rollsroyce4287 6 лет назад

    토론이란게 서로 의견을 주고받고 최선의 결과를 만들기위한것인데 사회자부터 너무 치우친다.
    이것이 지금 대한민국의 현실인거 같아 안타깝습니다.
    잘사는사람도 못사는사람도 모두 국민입니다.

  • @박미정-s1o
    @박미정-s1o 6 лет назад

    무조건 옳다 본인의 주장을 상대논객에게 아이들 혼내듯 소리질러놓고 자랑스러워하며 웃는 신교수님 모습이 회사에서 늘 마주치는 말 안통하는 전형적인 꼰대상사와 너무 닮으셨습니다. 난 곱게 늙어야지..

  • @fact_cheking_y0ung_bl00d
    @fact_cheking_y0ung_bl00d 6 лет назад

    미국처럼 대한민국 경제에서는 재벌 문화부터 개혁을 해야 합니다. 권력은 순간이지만 재벌은 영원하다라는 말처럼 이들은 권력자들과 결탁하여 국민을 위한 정책마저도 흔들어 버립니다.

  • @justinkang132
    @justinkang132 6 лет назад +18

    대한민국은 나뿐 언론사와 이에 놀아나는 일부 몰상식한 인간들때문에 노무현대통령과 같은 불행한 일도 생겨났고, 경제 역시 국민들이 단결하여 고도성장을 이룬거였고 다시금 정신들 차려서 국가정책에 적극 협력하고 또한 기업과 노동조합역시 나라의 위기를 빌미로 자기들의 이익을 취하려하지말고 기업과 협력하여 일한다면 대한민국 경제는 다시 좋아질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candle-light
      @candle-light 6 лет назад

      사내유보 배불린 노동자최저임금
      최저임금 오르니 덩달아물가상승
      대한민국 꼬라지 만세만세만만세
      보수진보 골통들 민초잡아배불려
      자손대대 골통들 좌파우파재생산

  • @이범중-z1b
    @이범중-z1b 6 лет назад +4

    왜 대부분의 보수 측 패널에는 사실과 논리를 가지고 토론에 능숙한 사람들은 없을까? 교수도,국회의원도...왜 그럴까...없는게 아니라 네거티브 전략에는 무논리에 목소리만 큰 게 유리해서 일지..

  • @naraoil2751
    @naraoil2751 6 лет назад +3

    명불허전이네 역쉬 유시민이 정확히 진단하고 정확히 지적하는구만 어떻게 30년을 같이 일한 직원을 최저임금을 주느냐 ~~ 이게 정확한 요점이구만 ㅎㅎ

  • @hanjinkwon9578
    @hanjinkwon9578 6 лет назад +15

    신교수라는 분, 토론의 기본예절부터 배워야할 듯.

  • @johnpx4541
    @johnpx4541 6 лет назад +32

    깔께없으니,, 말꼬투리 잡아서 까네 에휴,, 자유당아 정신차리라..

  • @강완석-m1f
    @강완석-m1f 6 лет назад

    김상조님 말잘하는지 첨알았네요 ㅋㅋ 자주 토론 논객으로 나오시면 좋겠습니다.

  • @dongukkan7155
    @dongukkan7155 6 лет назад

    신세돈 교수님 토론 할때 말투랑 질문 의도를 좀 헷갈리셔서 댓글에 비판이 많은것 같은데 통계에 의거한 논리 전개나 스마트 팩토리 정부 기획안에 대한 지적은 맞는 말 같습니다

  • @샤리링-y3e
    @샤리링-y3e 6 лет назад +3

    와놔~~신교수님목소리음소거하고자막처리해주세요!!
    귀청 떨어져요.
    다른분들 하고음량조절 하기힘들어요.

  • @초심-m8v
    @초심-m8v 6 лет назад

    유시민 . 김상조.
    내년에 어떤 모습으로 방송에 나올지
    벌써 기대되네

  • @iresistreligion
    @iresistreligion 6 лет назад +1

    신교수님 왜 화를 내세요. 말씀을 차분히 하셔도 됩니다. 뭐가 그리 억울하세요? 필사까지 하시고. ㅎㅎ

  • @신범철-n3t
    @신범철-n3t 6 лет назад +2

    에휴..다봤다.. 나의 마인드가 좋아진건지 손석희.김상조.유시민작가의 마인드가 좋아진건지 나의 여우로움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