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역학의 진화 양자장론_과학_10_석군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37

  • @석군seokkun
    @석군seokkun  4 года назад +19

    채널 멤버쉽을 열었습니다!
    멤버쉽에 가입하여 주시어 조금이나마 영상제작에 보탬이 되어주신다면 저에겐 정말 큰 힘이 될 것입니다.
    혼자 채널을 운영하는 만큼 등급별 혜택에 대한 차등은 두지 못하였습니다.
    적은 금액이든 큰 금액이든 여러분의 소중한 관심과 지원은 저와 석군 채널을 애청하여 주시는 모든 분들에게 정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가입 버튼은 구독버튼 옆에 있으며,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도 참여 가능하십니다.
    아이폰에서는 가입 버튼이 안보일 수도 있습니다.
    PC를 이용하시면 참여 가능하십니다.
    저의 채널을 좋아해주시고 꾸준히 찾아주시는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멤버쉽 가입하기:
    ruclips.net/channel/UCsOmBJ5jPTufS7sHea1HiTwjoin
    석군 후원하기!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투네이션을 통해 손쉽게 후원이 가능하십니다.
    toon.at/donate/seokuntv
    계좌이체를 통한 후원 : 우리은행 1002-149-139184(석**)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은 더 빠른 영상 업로드에 굉장히 많은 도움이 됩니다.

  • @DOLEKIM
    @DOLEKIM 5 лет назад +41

    영상 퀄리티 하나는 유튜브 에서 탑급인듯

  • @ScienceDream
    @ScienceDream 5 лет назад +81

    우와!! 석군님 금방 돌아오셨군요!! 심지어 양자로 컴백하셨어!!👍👍 이런 양질의 물리학 영상은 여기서밖에 못봄 ㅠ 정말 감사해요!!!🤗

  • @daso-science223
    @daso-science223 5 лет назад +35

    오늘 영상도 진짜 너무 좋아요!! 양자장론도 그렇고 다른 부분도 그렇지만, '장(field)'이라는 개념은 정말 편리하고 신비로운 것 같아요!!ㅎㅎ

  • @구축-h2h
    @구축-h2h 5 лет назад +23

    기다렸습니다. 역시나는 역시나 고퀄영상 감사합니다. 디랙도 대단하다 느꼈는데 파인만 .. 기다려집니다.

  • @이석제-v3v
    @이석제-v3v 5 лет назад +3

    아... 이런 훌륭한 이론이 일반적으로 안 알려졌다는게 놀라울 따름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훌륭한 동영상이 조회수 5만 정도 밖에 안된게 너무 안타깝습니다!!

  • @kks554
    @kks554 5 лет назад +2

    너무 훌륭한 영상입니다. 장의 양자화가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몰랐었는데 이 영상으로 이해가 많이 되었네요.이런 자료 많이 만들어서 제 2의 파이만이 되길 바랍니다.

  • @sungyi
    @sungyi 5 лет назад +9

    이렇게 과학 이론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서 참 좋습니다!!

  • @texver8887
    @texver8887 5 лет назад +1

    감사드립니다^^
    양자장!!! 멋집니다^^
    좋은 밤 편안한 밤 되시기 바랍니다^^ 석군님^^

  • @관조-w5r
    @관조-w5r 5 лет назад +8

    정성스럽게 만드신 소중한 영상 잘 보았습니다!

  • @몽실이-b6e
    @몽실이-b6e 5 лет назад +4

    내용이 놀라울 따름이네요. 감사합니다.

  • @김장열-i2r
    @김장열-i2r 5 лет назад +12

    기다렸습니다
    내용도 고퀄이고
    설명 아주 좋습니다
    늘 영상을 볼때마다
    대학시절 화공 공부를 좀 더 할껄..
    이런 영상을 15년전에 접했더라면
    나의 미래가 달라졌?을까요ㅋㅋ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 @Chris-tu7ov
    @Chris-tu7ov 5 лет назад +1

    영상 속에, 시간과 노력이 진하게 녹아있습니다. 엄청 감사하고요~!

  • @히해-f3f
    @히해-f3f 5 лет назад +3

    굿입니다
    제가 생각하던 공간의 장에대한
    이해에 참고가 됩니다.

  • @김재훈-c4y
    @김재훈-c4y 5 лет назад +1

    이해가 쉽게 잘 정리된 동영상 감사합니다. 물리학자는 수학보다 상상력이 더 필요하다는 말이 이해가 됩니다.

  • @아수라발발타-j9w
    @아수라발발타-j9w 5 лет назад +15

    물리학 관심은 많지만 접근하기 어려웠는데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배호야-y1e
    @배호야-y1e 3 года назад

    .대단한 물리학 강좌입니다. 물리학 강의를 편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

  • @TON7756
    @TON7756 5 лет назад +1

    영상하나하나가 이해하기 쉽고 알찬내용들이여서 좋다.

  • @masshunter
    @masshunter 4 месяца назад

    오 양자장론의 들뜸이란 아이디어는 매우 신박한 아이디어네요.

  • @math_brilliant
    @math_brilliant 5 лет назад +1

    너무나 훌륭한 설명입니다. 다음편도 너무나 기대가 되네요 ^_^ 감사합니다.

  • @maxh668
    @maxh668 5 лет назад +5

    선리플 후감상합니다 ㅠㅠ
    기다렸어요!!!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 @swallowtail2013
    @swallowtail2013 5 лет назад +1

    디렉의 바다 필요없는 이론 인정, 다음 편 기대되네요,

  • @audi0615
    @audi0615 5 лет назад

    양자장론을 보니 그동안 의문을 가졌던 것이 풀리는 느낌이네요. 왠지 세상은 저런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을 것 같아요.

  • @편입해커
    @편입해커 5 лет назад +3

    좋은 강의 잘들었습니다~ 제가 미쳐 몰랐던것도 설명을 잘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당

  • @oO-l0_0l-Oo
    @oO-l0_0l-Oo 5 лет назад +2

    몇편전에 예상했었던 양자장론이 드디어 나왔네요!

  • @minnnngNo_9
    @minnnngNo_9 5 лет назад +1

    이번에는 조금 더 빨리 오신 것 같아 넘 기쁩니다ㅎㅎ

  • @telfaxcokr664
    @telfaxcokr664 4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김진-i8s3x
    @김진-i8s3x 5 лет назад +2

    선좋아요 후감상

  • @user-7jf78kc2b5ilo
    @user-7jf78kc2b5ilo 2 месяца назад

    6:40 폴 디렉 양자화 8:10 8:55 1차원->3차원 점 9:52 입자수 진동수만 추적 서로 구분할수 없을 정도로 똑같은 이유 들뜸 10:30 광자는 전자기장 전자는 전자장 들뜸 11:50 양자장론 (전자기장 전자장) 전자기력 양자전기역학

  • @정우-m7w
    @정우-m7w 5 лет назад +1

    와 영상하나하나 정성이가득하네요...떡상가즈아~!

  • @of199411
    @of199411 5 лет назад +1

    잘보고있습니다

  • @jomingeon
    @jomingeon 5 лет назад +2

    영상 참좋아요^^ 한컷한컷 맨트하나하나 장인의 정신으로 만든것이 느껴집니다!

  • @해동-b4g
    @해동-b4g 5 лет назад +1

    우와! 대단하다 우리석군 화이팅...

  • @김동환-v7o
    @김동환-v7o 4 года назад +1

    한권으로 이해하는 양자물리의 세계 라는 책을 읽고있다가 이해가안가는 부분이 생기는데 마침 석군님의 영상 chapter랑 순서가 다 똑같아서 너무 잘보고있어요 책이랑 같이보니 더이해가 잘되고, 보충설명 수준이 아니라 머리에다가 적어주는 수준으로 퀄리티가 좋네욥.. 꼭 잘되길 바랄게요 구독과 알람설정 하였습니다!! 화이팅!

  • @Jsjnakdkekak23
    @Jsjnakdkekak23 4 года наза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안죽었다
    @안죽었다 5 лет назад +1

    믿고보는 석군

  • @molcule1938
    @molcule1938 5 лет назад +2

    오늘도 어려운 내용을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 재밌게 보고있었는데 절단신공이 너무합니다!!!!!!!!!어흑흑
    다음편이 빨리나왔으면...

  • @김-o1h5n
    @김-o1h5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양자세계에서는 시간이 0 이기 때문에
    즉, 시간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속도라는 개념이 없으므로 당연히 시간이 흐른다고 여기는 우리의 거시세계관으로는 양자얽힘이 빛보다 빠르다고 착각?하는 거 같습니다만...
    특수상대성이론은 빛보다 빠른건 있을 수 없다라고 하는데 양자미시세계에 시간이 없다면 속도는 의미가 없겠죠(속도 분수식에 시간을 0으로 대입하면...)
    시간이 없다면 속도, 위치가 있겠습니까? 즉, 특정할 수 없겠죠 그러니 시간이 없는 양자미시세계에서는 파동으로서 모든 곳에 동시에 중첩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겠죠...
    상호작용으로 파동으로서의 양자세계가 깨져 입자화되어 시간(엔트로피)이 있는 거시세계로 구체화되며 속도, 위치 등이 특정되는 거 아닐까...
    우리 거시세계는 모두 상호작용으로 이뤄지고 작동되는 것 같습니다... 시간이라는 개념이 없으면 엔트로피가 있는 우리 거시세계를 설명할 수 없을 거 같구요... 그러니 시간이 없는 양자미시세계를 이해하기 어렵겠죠...
    상호작용으로 시간이 생성되는게 아닐런지... 즉 상호작용이 곧 시간이 될 수 있겠네요!
    빛과 관련해 보면 빛이 상호작용의 요인인지 결과인지는 모르겠으나... 우리 거시세계에 빛보다 빠른건 없다는데 빛과 상호작용하여 우주가 생성되는거라면... 우주는 시공간이니 그걸 만드는 우주 생성 요인보다 더 빠른건 거시세계에 있을 수가 없겠죠!
    시간(=엔트로피 =상호작용)이 거시세계의 근본 같네요...
    변화, 소멸, 죽음 등이 다 엔트로피 아니겠습니까?
    거시세계의 특정존재가 소멸하면 파동화되어 시간이 없는 모든 가능성을 지닌 절대적인 미시세계(우리 인간의 관점에서 이 미시세계가 영혼의 정신세계가 아닐런지...)로 가고 또 어떤 계기로 상호작용해 시간이 있는 상대적인 거시세계로 입자화되어 나타나는듯...
    마치 윤회처럼...
    "상호작용(관측, 관계)이 시간이다" 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동영상 참고!!!
    논문

  • @꽁꽁치-c9t
    @꽁꽁치-c9t 5 лет назад

    잘 정리가 된 글 감사합니다.
    이 곳에 댓글을 달았는지 기억은 잘 나지 않지만...
    운동이란....입자의 소멸과 생성의 반복을 통한 위치 이동.....다시 말해 꺼짐과 켜짐....이라는 댓글을 달았던 적 이 있는데....
    반물질이 존재해야만 가능하겠죠....

  • @heeksseo3390
    @heeksseo3390 5 лет назад +1

    확실히 줄글로만 봤던걸 그림으로 보니 조금 더 와닿네요 감사합니다 머리가 개운해졌어요

  • @sangjunechoi4369
    @sangjunechoi4369 5 лет назад +4

    이론 물리학(응집물질이론)으로 박사학위 따고 해외 연구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 이론물리학자입니다. 양자장론 영상이라길래, 큰 기대 없이 댓글 구경하러 왔는데요.
    일단 좋은 점은 오해라는 것도 많은 관심이 있어야 생기는 것이고, 그 오해도 일부분은 이해를 담고 있다는 점입니다. 보통 인터넷에 댓글을 달아 얻는 효용이 거의 없기에 댓글을 왠만해서는 달지 않지만, 모든 비유는 일부분의 이해만 담고 있다는 것만은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아 답글을 답니다. 비유는 한정된 주제에 대해 일정 부분의 이해를 얻는 가장 빠르고 좋은 방법이지만, 그것들을 기초로 다른 것의 이해도 시도하시려 하신다면 그러한 시도들은 멀리가지 못합니다. 오해가 시작되는 지점이지요.
    꼭 저격할 의도는 아니나, 밑에 계신 석사과정생님의 놀랍도록 용감한 전사의 영혼을 칭송하면서, 좀 더 공부를 많이 하시고 인터넷에 댓글을 다시길 권장합니다. 양자장론을 '이론'에서 끝난다고 말씀하시다니, 많은 시간이 지났을 때 겸손을 배우는 중요한 밑거름이 되길 기원합니다.

    • @JooeunUwU
      @JooeunUwU 3 года назад +1

      제 생각엔 저 댓글 쓴애는 중고딩으로 예상됩니다.

  • @이태형-y3n
    @이태형-y3n 5 лет назад

    프리미엄 양자학을 들려주셔 감사합니다.

  • @불똥-n2v
    @불똥-n2v 5 лет назад

    쫄깃한 영상이다 과학 유튜버는 수없이 많이봤지만 제일 잘만듬

  • @황방산육도선인
    @황방산육도선인 5 лет назад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최고에요 정말

  • @jisuhi
    @jisuhi 5 лет назад +1

    영상 퀄리티가 정말 대단하십니다!

  • @BHBima
    @BHBima 5 лет назад

    영상 정말 퀄리티있네요
    다음영상도 기대하고 있어요!

  • @장애-l1i
    @장애-l1i 5 лет назад +1

    대단하십니다

  • @shinegongbang4307
    @shinegongbang4307 5 лет назад

    어제 처음 접하여 오늘까지 정주행하고 구독신청했습니다.
    석군님의 설명이 상세하면서도 쉬워서 문외한이라도 양자역학을 생각해 보게끔 하네요.
    감사드립니다.
    그냥 끄적여 보는 문외한의 생각입니다.
    양자역학에서 "불확정성의 원리"는 어쩌면 과학이라는 학문이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보다 그에 한없이 가까운 "근사치"를 구하는 학문이기에
    현재로서 얻어진 그 "근사치"와 "실제 결과"의 격차가 있어 생기는 문제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일반적으로 과학은 어떠한 상황 또는 환경을 "기준"하거나 "가정"하여 실험을 진행했을때 "관측되어지는 결과값"을 가지고 일반화 하여 그것을 "답" 또는 "해"라고 여기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갖는 결과값은 실험의 결과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결과에 가까운 "근사치"를 구하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실제로도 그렇다고 믿고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어떠한 실험을 "진공(아무것도 없는 빈공간)"에서 진행하여 그 결과값을 도출 하려한다면
    이는 이미 실험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실험의 과정과 결과를 관측할 수 없는 문제에 봉착한다고 생각합니다.
    (관측이라는 것이 가능하려면 최소한 "빛"이 있어야 가능한데 "진공"이라면 그 빛조차도 없어야 하기에 말입니다.)
    다만 눈에 보이는(거시적) 물체의 실험의 경우 "빛"이 실험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기에 그 결과값이 "실제 결과"와 "한없이 가까운 근사치"여서 "답"으로 확정하는데 무리가 없었던 것이라는거죠.
    그런데 지금 우리가 접하는 양자역학의 경우 눈에 보이지도 않을(미시적) 정도로 작고 "빛"조차도 극명한 영향을 미치는 영역을 다뤄야 하므로
    "실제적 관측"은 불가능하며 "실험을 통한 결과값"으로 그 실제를 "유추"해 내는데 그치는 이론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석군님이 #1에서 다룬 "차원"의 관점에서 다시금 생각한 #4에서 양자얽힘을 설명하려했던 "데이비드 봄"의 이론과 오늘 보여주신 "양자장론"을 함께 통합하여 생각하여 본다면 아마도 더욱 가까운 근사치를 찾지 않을 까 생각합니다.
    이상 문외한의 끄적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RANG
    @reRANG 5 лет назад +18

    나중에 모아서 과학다큐나 책으로 출간해도 좋을 것 같아요,,ㅎ

  • @gourn862
    @gourn862 5 лет назад

    수고하셨습니다~

  • @엘린-b5o
    @엘린-b5o 5 лет назад +4

    최고의 영상... 후원 못해드리는게 죄송할 따름입니다...

  • @shk9340
    @shk9340 5 лет назад +1

    좋네요 학부에서 가르칠때도 참고해도 좋을만큼 잘 요약하셨습니다.

  • @지범-u6x
    @지범-u6x 5 лет назад +20

    석군님은 물리쪽을 전공하셨나요?
    어려운 이론을 굉장히 쉽게 설명해 주시네요! 그럼에도 많이 어렵지만요..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littlepiano1
    @littlepiano1 5 лет назад

    잘보고 갑니다 정말 좋네요

  • @FAKOR_
    @FAKOR_ 5 лет назад +3

    와 엄청 빨리 돌아오셨다.. 오늘도 광고 노스킵 갑니다. 선리플 후감상

  • @고종현-k5u
    @고종현-k5u 4 года назад

    이 영상을 이해하기위해 물리학을 공부했습니다.

  • @타태스
    @타태스 5 лет назад +2

    오 영상 잘 봤습니다^^

  • @취미반롤토체스
    @취미반롤토체스 5 лет назад +4

    석군때문에 양자역학이니 상대선이론이니,재밋게 다가옴 많이 찾아보게됨 ㅎㅎ

  • @김창희-o2c
    @김창희-o2c 5 лет назад +2

    선추천 후시청

  • @파란돌
    @파란돌 5 лет назад

    와 다음영상 정말 기대되네요ㄷ

  • @OriginalEye2072
    @OriginalEye2072 2 года назад

    진짜 좋다.

  • @sim8826
    @sim8826 5 лет назад +1

    퀄리티 ㅎㄷㄷ

  • @WorldPeaceKing
    @WorldPeaceKing 5 лет назад +1

    앞서 올린 댓글은 영상 보기 전에 쓴 것이고
    영상 다 보고 다시 댓글 씁니다.
    리처드 파인만에 대한 영상을 찾아봤는데
    그의 업적에 대한 내용이 거의 없네요.
    죄다 그의 생전 대중강연 정도였어요.
    빨리 다음 영상 제작해주세요.
    끊는 타이밍이 아주 아침드라마예고편 수준이었네요.
    도대체 리처드 파인만이 무슨 짓을 한겁니까?
    궁금궁금 ㅠㅠㅠㅠ

  • @김태영-u5o
    @김태영-u5o 5 лет назад

    저는 폴디랙과 파인만보다 석군 당신이 더 천재인 것 같아 존경스럽군요 이렇게 잘 이해하고 이해한 걸 이렇게 잘 설명해 주실 수 있는지 후원할 수 있는 방법을 몰라 그러는데 후원방법도 좀 잘 가르쳐 주세요

  • @Seeker_ys
    @Seeker_ys 3 года назад

    설명이 필요한 부분을 당연하다..라고 넘어가는거 같네요

  • @sungyi
    @sungyi 5 лет назад

    빨리 다음 영상 보고싶어요!!!!

  • @moonchold
    @moonchold 5 лет назад +4

    흐.. 정말 어렵네요 하지만 어려운게 정상이겠죠 ㅋㅋ

  • @WorldPeaceKing
    @WorldPeaceKing 5 лет назад +2

    영상 이렇게 자주 올려주세요 ㅠㅠㅠㅠ

  • @gjsndnapsjqjb9528
    @gjsndnapsjqjb9528 5 лет назад +1

    이분 ㄹㅇ 개잘 가르치심

  • @디아볼로33
    @디아볼로3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학교 65명중 항상 꼴등 이었는데요? 저를 이해 주셨음 감사 하겠읍니다^^ 너무 어려워서요~ 66번 리시버 둘려도 전혀 이해 못했어요♡

  • @박제현-u7k
    @박제현-u7k 5 лет назад +2

    11:51 두 정상파의 운동량이 다른데 어떻게 에너지가 보존이 되면서 운동량이 합쳐질수 있는거죠?

  • @User0083rrt5vxssoervzjkboz
    @User0083rrt5vxssoervzjkboz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4년전 영상이라니....양자장이란걸 저땐 알지도못했는데 세상은....

  • @lee-qc4li
    @lee-qc4li 4 года назад

    너무재밌어요 >

  • @davidyoon7846
    @davidyoon7846 5 лет назад +2

    바쁘시겠지만 리만가설에 대해서도 한번 다뤄 주세요!!!

  • @sh-kr
    @sh-kr 5 лет назад +1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이번건 유난히 어렵네요..

  • @생명나무-r7v
    @생명나무-r7v 3 года назад

    진공이아니라 에너지 전달이겠죠 문지르면 열나는것처럼 쏘아진방향으로 에너지전달을 하고 지나가는 것을 출렁이는것으로 보이겠죠

  • @maldini1838
    @maldini1838 5 лет назад +1

    오우 반갑습니다.!

  • @tysonpurple2051
    @tysonpurple2051 5 лет назад +6

    아나 진짜 너무 잼나넹 ㅋㅋ

  • @IIllIll
    @IIllIll 5 лет назад +1

    뉴턴 - 아인슈타인 - 리처드 파인만
    이렇게 현대 과학은 발전해 왔군!
    리처드 파인만은 이미 1988년에 돌아가셨구나?!
    아.... 반중력까지 현실에 실현시켰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 @JooeunUwU
      @JooeunUwU 3 года назад

      중력장-중력자가 있다면 반중력자도 있겠죠.

  • @HRK-299
    @HRK-299 2 месяца назад

    여기저기 영재, 천재가 출몰하는 세상에 살지만
    폴 디렉 정도는 되어야 진짜 천재라고 할 수 있다고 봅니다 ㅎ

  • @간때문
    @간때문 4 года назад

    굿

  • @m.sourcej5593
    @m.sourcej5593 5 лет назад

    학력이어떻게되시나요 과학유튜버중 제일 설명을잘함

  • @Historia_LP
    @Historia_LP 4 года назад

    저에게 있어서 개념 자체가 너무 어려워서 이해가 잘 안되는거 같습니다 ㅠㅠ 영상 퀄리티에 반했어요! 공부좀 더 하고 여러번 봐야겠습니다!

  • @kibaiknam4852
    @kibaiknam4852 5 лет назад +2

    디렉의 아이디어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 아이디어가 비슷한 거 같은데 혹시 관련된 이야기가 있나요?

  • @잡친구-x9o
    @잡친구-x9o 5 лет назад

    와우~~~

  • @fl6358
    @fl6358 5 лет назад +4

    석군님때문에 양자역학 관심생겨서 책만 몇권을샀는지...ㅎㅎ

  • @user-by8ep1zj7o
    @user-by8ep1zj7o 5 лет назад

    담에 기회가 된다면 호킹 복사도 한번 다뤄주세요

  • @jinseobkim473
    @jinseobkim473 5 лет назад

    전자기장 전자장등이 4차원시공간속에 함께있다고 한부분이 이해가 안가는데요 지구를 예로들면 주위에 자기장과 중력장이 있는데 장도 하나의 물리적 실체라는데 같은공간에 두가지 물질이 동시에 있을수는 없는데 어떻게 이해를 해야할까요

  • @um7673
    @um7673 5 лет назад

    와 개꿀잼

  • @이정혁-m8w
    @이정혁-m8w 4 года назад

    저 질문이 있는데요
    양자장론 이후에는 디렉의 바다 이론은 폐기 된건가요? 더 이상 가정이 필요없기 때문에?

  • @한새사람-t8j
    @한새사람-t8j 5 лет назад

    진짜 보다보면 소름 돋는다...

  • @구뤼움
    @구뤼움 3 года назад

    오매 전자가 실제 존재하는 입자가 아니라, 전자장의 들뜸 그러니까 물의 출렁임이라고 해석한건가요?

  • @yeeelno
    @yeeelno 5 лет назад +1

    아 대박이다 혹 마이너스 들뜸이 반물질인가 생각했는데 뒤에 설명하시는거 보고 대박 소리 질렀습니다. 양자준위? 이동이 정말 신기 했는데 저것으로 설명이 되는군요. 이제까지 이런 영상은 없었다. ㅎㅎ

  • @밥줘-d5h
    @밥줘-d5h 5 лет назад

    오늘 영상은 정말 어렵네요.. 그래도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HoonP
    @HoonP 4 года назад

    제발 하나만 알려주실 지식인 구합니다.
    이중슬릿 실험에서 관측행위를 하지 않는다면 1개의 광자가 중첩상태 에서 두개의 슬릿 모두를 통과해 간섭무늬를 만드는 것 까지는 이해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중슬릿 실험에서 어떤식이든 관측행위가 있다면 광자의 위치가 확정되며 1개의 입자가 하나의 슬릿만을 통과하게 되는것도 이해 되었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관측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중슬릿 실험을 한 후 간섭무늬가 생기는 것을 어떻게 확인하는지 입니다. 관측을 하지 않았으니 간섭무늬가 생길것인데 결과를 확인한다는 것 자체가 관측하는 행위니 결과 확인을 하려고하면 다시 광자의 위치가 확정되어 간섭무늬가 사라지게되고, 우리는 간섭무늬를 보지못할 것 같은데 말이죠. 관측하지 않았더니 간섭무늬가 생기더라는 결과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었는지가 미치도록 궁금합니다.

    • @아무개-x5f
      @아무개-x5f 3 года назад

      쏘는지점과 벽에 부딪치는 구간사이에 관측을 안했을때의 이야기죠

    • @아무개-x5f
      @아무개-x5f 3 года назад

      벽에 부딪치는것은 결국에 최종적으로 관측이 된거고 그게 간섭무늬로 보인거고, 벽에 부딪치기 전에 관측 한것은 결국 입자의 위치를 확정 지음으로써 벽에 부딪칠때 1줄만 보이고

  • @이용권-f6s
    @이용권-f6s 5 лет назад

    목소리 톤이 떨어진 것 같은데, 감기이신지ㅠㅠ 띠용 비지엠 왤케 좋은지ㅋㅋㅋㅋㅋ 고생하셨습니다!

  • @turbotuf
    @turbotuf 5 лет назад

    쉽게전달하려고 얼마나 많이 고민하셨겠어요...하지만 저 모르겠습니다. 흑

  • @오레오-g7u
    @오레오-g7u 5 лет назад

    너모 재미땅

  • @2teakwon
    @2teakwon 5 лет назад

    뭐빠지게 기다렸습니다 >_

  • @도도-r7s
    @도도-r7s 5 лет назад +1

    문장을 읽으실 때 자연스럽게 끊어지는 부분이 아닌 임의로 끊어서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개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