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열이 논점이 아니라 마늘은 그만큼 향과 식재료의 특색이 강한 재료인지라 마늘을 많이 넣게 되면 외국인들 입장에선 향신료일 뿐인 마늘이 메인요리 자체의 맛을 가려버려서 마늘 많이 넣는걸 이해를 못함 외국애들은 마늘을 오직 메인요리의 맛을 돋구는 역할로 쓸뿐이고 그에반해 우리나라는 마늘을 소금,후추와 같은 향신료가 아니라 파,양파 등 비슷한 채소로 봐서 그 마늘 자체의 맛을 즐기는 타입임 마늘을 가열하면 단맛이 올라오고 향이 누그러드는건 맞으나 어디까지나 그 정도는 외국애들이 쓰는 그 양만큼이 딱 단맛이 올라오고 향이 누그러듬. 그 양을 우리나라 처럼 써서 가열해서 단맛이 올라오고, 향이 누그러드려면 가열시간이 너무나도 들텐데 그 시간에 메인요리는 이미 다 익어서 쿡오버가 됨
그리고 마늘은 향신료적 관점으로보면 당연히 메인요리의 맛을 한층 더 풍부하게 해주는 재료는 맞지만 우리나라처럼 쓰는건 그냥 메인요리보단 마늘이 주재료가 되는거임 소금도 똑같이 메인요리의 맛을 한층더 끌어올려주지만 소금도 너무 많이 넣으면 간이 강해져 메인요리의 맛을 없애고 오로지 짠맛만이 과시가 되는것과 같음 알리오올리오도 외국에선 그 기준엔 마늘이 정말 듬뿍들어간 음식임.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해외 대비 약 3~4배가 들어감. 애초에 알리오올리오의 특색은 마늘향과 올리브유의 어우러짐이 특색인데 우리나라는 사실상 그냥 마늘 파스타라고 인식을 해버림. 이건 기름은 그대로 먹는게 아니다 라는 사상이 어우러져서 만들어진 결과물이기도 함
다른곳에서도 댓글 달았지만 우리가 마늘을 많이 먹는 이유는 마늘을 안먹으면 다시 곰으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비슷한걸로는 술을 너무 많이 먹으면 다시 개로 돌아가는 사람도 있답니다 ++대댓글로 환웅,웅녀,호랑이 심지어 단군까지 환생해서 현세에 살고 계시네요 ㅋㅋ 센스쟁이들ㅋㅋ
유럽마늘과 아시아쪽 마늘의 맛과 향이 크게 다릅니다. 유럽쪽이 훨씬 더 향이 강하고 아려서 조금쓰는 향신료로 취급하는 것이고 맛은 우리가 고기를 먹을때 재수없게 걸리는 엄청 맵고 아린 마늘이 유럽의 일반 품종이라 생으로 먹지 않죠(드라큘라가 마늘을 싫어한다고 나오는 이유도 이때문입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 마늘은 생으로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안 매운 마늘이라 먹는 양이 다른겁니다.
물이 좋아서 그런겁니다.. 수질이 우리나라만큼 좋은 나라가 정말 없어요. 다른 나라들 거의 대부분 석회질이 많이 섞였고, 우리나라는 수돗물 정수작업에 약간.. 도른자들인가 싶게 약품 때려넣긴 하지만 어쨌든 석회질은 없는 물이죠. 석회질 없는 깨끗하고 보드라운 물로 일평생 마시고 씻고 해서 유난히 피부가 좋은겁니다. 마늘이 혈행 어쩌고가 아니구요.. 외국 3일만 나가보면 바로 체감합니다. 피부 퍼석해지고 머릿결 부스스..ㅠㅠ
심지어 향신료를 향신료인줄 모르고 먹는 경우도 많음. 마늘, 고추, 깻잎, 부추, 참깨, 파, 생강 다 향신료임...향신료(깻잎)에 향신료로 만든 페이스트(고추장or쌈장)를 넣고 향신료(참기름)에 찍은 고기와 향신료(고춧가루)에 버무린 향신료(부추, 파)와 향신료(마늘)를 넣어 먹고 심지어 각종 향신료로 버무린 채소잎(김치)이 없어서는 안되는 기본 중의 기본으로 생각하는 향신료에 미친 민족ㅋㅋㅋㅋㅋㅋㅋㅋ
전세계마늘 사용량보다 한국의 마늘량소비가 비슷하다는....라고 적었는데 제가 잘 못된 정보를 적어놔서 정정합니다 중국을 뺀 거의 모든 나라 마늘 소비량이 한국 하나의 나라와 비슷하고 중국은 한국의 마늘 소비량이 두배라고 합니다 그래도 개인 마늘 소비량은 한국이 압도적으로 전세계 탑이긴 합니다
외국인: 마늘을 저렇게 많이?
한국인: 버터를 저렇게 많이?
와, 이거 공감! + 설탕도 죽을 만큼 많이 넣는 거 보면 따라서 만들어 볼 생각이 안 남.
비유 정확하네
우리나라 앙버터 보면 외국인이 놀라던데? 뭐지? 뭐가 진실인가
@@it-k2h 앙버터는 나도 놀랐는데?버터를 이렇게나..?하면서 한입 뜯으면 맛있음.
마늘과 버터를 빵에 발라먹는다
마늘을 보는 시각
전세계 : 향신료
한국 : 채소
후추 빼고!
채소
@@ddingddongS2그렇죠. 야채도 표준어로 인정은 받았으나 마늘은 채소라는 단어가 정확하게 맞는 표현이죠.
마트 가보면 채소 코너에 마늘 팔더라
향나는감자
어제 알리올리오 만들어 먹는데, 편마늘 한주먹 넣었지만 부족한 기분이라 다진마늘도 한숟갈 넣음. 😊
당연한거죠😂한국인이라면
한국인👍
쩝쩝박사
헉 저도그래요 왠지 편마늘만 넣으면 마늘향이 별로 안도는것같고..
당연하쥐
마늘 먹고 사람이 된 조상을 둔 덕에
마늘을 사랑하지요
😂😂😂😂
또 쑥은 그렇게 안좋아함
사실 마늘을 먹은게 아니라 달래를 먹은게 더 정확한 썰입니다 그때당시 마늘은 한반도에 있지도 않았고 자라는곳도 다름 달래는 산에서 자라고 마늘은 산아래 평지에서 자랐죠
이런 곰탱이
@@고윤진-h1r 산마늘이였을거라는썰이 있지요 산마늘 다른말로 명이나물
이탈리아마늘이랑 한국마늘이랑 맛이 달라요. 이탈리아는 마늘맛강하고 향도강해서 국산마늘이랑 달라요
여행가서 아무생각없이 때려넣었더니
음식버렸어요 우리꺼랑 완전다름
ㅇㅇ 한국마늘 다섯개 욱여넣은 향이 나는게 유럽마늘임.... 또 한국마늘하곤 다르게 많이넣으면 진짜 마늘향에 모든게 묻혀버림.
@@Estelle4160한국사람들 마늘부심 부릴 필요가 없는게 이탈리아 마늘 한알이면 우리 마늘 한주먹 정도는 대체 가능할 정도던데
진짜 외국 나가서 알리오올리오 먹자 마자 차이를 느꼈어요. 마늘 맛의 깊이가 아예 달라요. 이런 사실도 모르고 맨날 마늘 많이 넣는다고 뿌듯하다 자랑스럽다 부심 부리는게 웃겼는데 다행히 잘 아시는 분도 계셔서 반갑네요 ㅋㅋ
다른 채소들도 그런듯. 사람들 인성빼고는 모든게 축복받은 나라져..
한국 생마늘 자주 먹는데 이탈리아 마늘이 맛과 향이 더 세다구요? 이탈리아 마늘이 상상이 안되네요
마늘은 그냥 먹으면 톡 쏘지만 가열하면 단맛이 나고 향도 많이 날아간다. 생이든 가열하든 맛과 풍미를 확 끌어올리고 좋게 바꿔주는 식재료임.
일단 몸에 너무 좋은 재료라..
맞말인데 뭐든 과하면 안좋죠. 과함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고요
가열이 논점이 아니라 마늘은 그만큼 향과 식재료의 특색이 강한 재료인지라 마늘을 많이 넣게 되면 외국인들 입장에선 향신료일 뿐인 마늘이 메인요리 자체의 맛을 가려버려서 마늘 많이 넣는걸 이해를 못함 외국애들은 마늘을 오직 메인요리의 맛을 돋구는 역할로 쓸뿐이고 그에반해 우리나라는 마늘을 소금,후추와 같은 향신료가 아니라 파,양파 등 비슷한 채소로 봐서 그 마늘 자체의 맛을 즐기는 타입임 마늘을 가열하면 단맛이 올라오고 향이 누그러드는건 맞으나 어디까지나 그 정도는 외국애들이 쓰는 그 양만큼이 딱 단맛이 올라오고 향이 누그러듬. 그 양을 우리나라 처럼 써서 가열해서 단맛이 올라오고, 향이 누그러드려면 가열시간이 너무나도 들텐데 그 시간에 메인요리는 이미 다 익어서 쿡오버가 됨
그리고 마늘은 향신료적 관점으로보면 당연히 메인요리의 맛을 한층 더 풍부하게 해주는 재료는 맞지만 우리나라처럼 쓰는건 그냥 메인요리보단 마늘이 주재료가 되는거임
소금도 똑같이 메인요리의 맛을 한층더 끌어올려주지만 소금도 너무 많이 넣으면 간이 강해져 메인요리의 맛을 없애고 오로지 짠맛만이 과시가 되는것과 같음
알리오올리오도 외국에선 그 기준엔 마늘이 정말 듬뿍들어간 음식임.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해외 대비 약 3~4배가 들어감.
애초에 알리오올리오의 특색은 마늘향과 올리브유의 어우러짐이 특색인데 우리나라는 사실상 그냥 마늘 파스타라고 인식을 해버림. 이건 기름은 그대로 먹는게 아니다 라는 사상이 어우러져서 만들어진 결과물이기도 함
@@sck1829 가열이 논점이라고 한 적 없는데. 네 의견은 대댓으로 적지 말고 따로 댓글로 적어라.
냉장고에 다진마늘 없으면 불안함. 무슨 국을 끓여도 맛이 안남. 떡볶이에도 다진마늘 넣어야 안심됨.
아.. 뭔가 좀 아쉬운데? 하면 마늘이 빠진거임
@@최세희-u7kㄹㅇ
마늘없으면 국을 끓일 생각도 하지마셍
ㄹㅇ ㅋㅋㅋ 적당한간에 다진마늘 다시다 미원 세가지면 보통의 식당 맛은 남
거의 모든음식에 파마늘이 기본임
다른곳에서도 댓글 달았지만
우리가 마늘을 많이 먹는 이유는 마늘을 안먹으면 다시 곰으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비슷한걸로는 술을 너무 많이 먹으면 다시 개로 돌아가는 사람도 있답니다
++대댓글로 환웅,웅녀,호랑이 심지어 단군까지 환생해서 현세에 살고 계시네요 ㅋㅋ 센스쟁이들ㅋㅋ
나 웅녀인데 개추 눌렀다
나 환웅인데, 이거 ㄹㅇ 사실임.
@@Ol재혁나 호랑인데 이거 웅녀 말투 맞다
@@쏘옥쏙쏙-p5s나 단군인데 이거 울 아빠 말투 맞다.
@@후아유-e3c 나라터는 왜 한반도로 잡으신겁니까?
어디 부동산 이용하셨나요? 암만봐도 사기 당하신듯한데…
마늘의 민족을 뭐로보고 건국신화도 마늘인데 대한민국은 마늘빼놓고 말할 수 없습니다.
단군은 실존인물입니다. 신화가아닌 실존인물입니다
독립선언문에도 기록이있죠
ㆍ대한민국 임시정부 제23주년 3.1선언문에 단군기록이있죠
쑥,마늘먹고 사람된것이아니고 쑥마늘로 몸의자아를찾는
수행방법이였죠 곰호랑이는 토템입니다
ㆍ일본이 곰,호랑이가 쑥마늘먹고 사람되게해달라
했다 라고 왜곡해논것이죠 꼭바로잡아야합니다
ruclips.net/video/wYzkOkD3BHY/видео.html
ㆍ세종실록원본에 단군기록이있고
ㆍ영조실록에 단군기록이있고
ㆍ삼국유사,삼국사기에 단군기록있고
ㆍ독일 실존주의 철학자 하이데거가 단군기록남겼고
ㆍ러시아 유엠부찐 고조선연구학자 단군기록남겼고
ㆍ중국9년홍수 사건때도 단군기록이있죠
이것말고도 단군의기록은 수도없이많은데
아직도 단군이신화고 쑥마늘먹고사람되었다는 사람들이 있으니 참,통탄스럽더라고요
물리학적으로 곰,호랑이는 쑥마늘먹는다고 사람안도는데말이죠.
그리고 봄이면 아주머니들 쑥 캐러 다니심. 진짜 신화에 나올만함. ㅋㅋ 근데 건국신화에 음식 나오는 나라 또 있나?
@@Lovewinsall0909없습니닼ㅋㅋㅋㅋㅋㅋ일본 마늘도 특별 계량으로 마늘 향 없애거임ㅋㅋㅋ그리고 쑥은 중국인 일본인들 싹다 싫어함ㅋㅋㅋ향 자체를 싫어함ㅋㅋㅋㅋ애초에 쑥이 독초인거 국뽕 영상 보고 알았음ㅋㅋㅋ
묘하게설득력 있네효. 마늘과양파는 저도 거부하진 않는데 향이너무 쎄서 전사람을 상대하는 직업이라 조금조심 스럽더라구훀ㅋㅋㅋ 마늘이 좋긴하됴 예전에 엄마가 흑마늘 만들어 주셨는 데저한텐 안맞아섴ㅋㅋㅋ
@@Lovewinsall0909 쑥좋됴 냉이된찌도좋아하는뎈ㅋ
너 마늘 사랑한다했잖아
너마늘 느끼며 달콤한
심지어 건강에도 좋아요
마늘바게트가 얼마나 맛있고 삼겹살에 생마늘이 얼마나 맛있는데. 건강에도 좋고 ㅋㅋ
김치에도 마늘
나물에도 마늘
볶음에도 마늘
찌개에도 마늘😂😂
고기먹을때도 마늘
치킨은 갈릭치킨
족발은 마늘족발
갈릭피자
갈릭딥핑소스
온 세상이 마늘이다ㅋㅋ
빵에도 마늘
@@空-l6oGalic über alles 😂
마늘이랑 청양고추가 들어가면 맛이 확 살아남 ㅎㅎ
마늘 좋아요.ㅎ
생강은?
+대파
생강은 진짜소량만 맛있어짐
@user-tg6ju3fu4r 인정
외국에서 10년넘게 요리사생활중인데 스페인+이탈리아마늘은 향이더 쎔 한국마늘은 순하고 맛있음 외국마늘 나 마늘이야!!마늘 이런느낌
마늘은 마늘수록 좋지요~
외국 마늘은 우리나라꺼보다 더 톡쏘고 매움ㅋㅋ
외국에서 울나라만큼 마늘 쳐넣으면 ㅈㄴ 마늘향 지독해짐
한국이 마늘 소비량이 높긴한데 외국 마늘 품종은 우리꺼보다 더 크고 매움
그래봐야 한두알이지 초압도적인 물량앞에는 답이없음
@@qr2wYpkRwMGA맞긴함 큰 차이는 없긴한데 우리가 많이 때려박는게 맞음
반찬별로 안하는데 며칠에 한번씩 냉면그릇에 수북하게 마늘을 깜
@@eel9778찐이시네요..ㅋㅋ
외국 마늘은 냄새가 훨씬 강해서 많이 넣을수 없음. 한국의 아삭아삭한 6쪽마늘이 그립네요. 한국 마늘은 생으로 먹어도 맛있죠.
돼지고기 한점당 구운마늘 및 생 마늘 하나씩 후식 마늘볶음밥 거기에 김치안에 들어간 마늘 캬
ㅋㅋㅋㅋ. 우리는 마늘의 민족 이다!!! ㅎㅎㅎㅎ
이탈리아 마늘이 한국 마늘보다 향이 더 쎔
스파게티 알리오올리오(마늘과 기름)이 마늘 명칭도 안들어간 한국 양념장보다 마늘양이 적다니 기막힐 노릇이군!!!
마늘미역국! 마늘된장국! 마늘김치찌개! 마늘해물탕! 마늘아귀찜! 마늘콩나물국! 마늘닭볶음탕! 마늘제육볶음!! 양념장에도 들어가는 마늘 한숟갈...마늘양념장!!!!! 이탈리안들처럼 음식이름 지으면 마늘 안들어간 음식이 없다.
그보다한식에 마늘 안들어간
음식이 있나효
하다못해 라면에도 간마늘 넣으면 풍미작살 나는뎈ㅋㅋ한국인은 밥심아닌거같음마심의민족마부심쩌는나랔ㅋㅋ
심지어 마늘 자체를 초절임으로 먹는 ㅋㅋㅋ
우리집 미역국 끓이면 이게 미역국인지 마늘국인지 헷갈릴만큼 마늘많이넣는데ㅋ진짜 마늘마늘한 나라야
@@user-eh1lx2ue5q 저희도 그래옼ㅋㅋ 마늘넣구 쀽아줘야 국물이 구수함 억시 웅녀 할머니는 사실 이었엌ㅋㅋㅋ 마늘의민족
흡혈귀 전설이 없는 이유. 한국인 피 빨다간 바로 즉시 성불함.
기발한 코멘트 🤣
한국인의 피에서는 마늘이 흐른다
오오~~~
댓글학원 장학생이심 👍👍🏻👍🏼👍🏽👍🏾👍🏿
대단하심~~♡ㅋㅋ
유럽마늘과 아시아쪽 마늘의 맛과 향이 크게 다릅니다.
유럽쪽이 훨씬 더 향이 강하고 아려서 조금쓰는 향신료로 취급하는 것이고 맛은 우리가 고기를 먹을때 재수없게 걸리는 엄청 맵고 아린 마늘이 유럽의 일반 품종이라 생으로 먹지 않죠(드라큘라가 마늘을 싫어한다고 나오는 이유도 이때문입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 마늘은 생으로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안 매운 마늘이라 먹는 양이 다른겁니다.
마늘이 정력에 효과좋은 음식 팍팍 넣어먹어야지..혈액순환촉진 혈관건강..
마늘보다는 양고기가 주식인 나라가 더 좋답니다
우리나라 피부빛이 유독 맑고 고운 이유 중 하나가 마늘이다 세상 어딜가도 우리나라 사람 피부가 평균적으로 좋음 해독작용 헐행이 잘되게함
물이 좋아서 그런겁니다.. 수질이 우리나라만큼 좋은 나라가 정말 없어요. 다른 나라들 거의 대부분 석회질이 많이 섞였고, 우리나라는 수돗물 정수작업에 약간.. 도른자들인가 싶게 약품 때려넣긴 하지만 어쨌든 석회질은 없는 물이죠. 석회질 없는 깨끗하고 보드라운 물로 일평생 마시고 씻고 해서 유난히 피부가 좋은겁니다. 마늘이 혈행 어쩌고가 아니구요.. 외국 3일만 나가보면 바로 체감합니다. 피부 퍼석해지고 머릿결 부스스..ㅠㅠ
진짜에요 ?
@@raindrop8271그런데 한국 혐오증 걸린애들은 우리나라 수질 더럽다고 말하고 다님 ㅋㅋㅋ 그거 보고 얼탱이가 없어서
@@bbosareeㄹㅇ.. 머리 벅벅 ㅋㅋㅋㅋ대신 공기는좋음
@@raindrop8271핀란드캐나다 뉴질랜드 영국 수질더좋은나라많음
어떤 영상에 아이유인가?
요리할때...
" 저는 마늘을 별로 안좋아해서
조금만 넣을께요 " 하면서
다진마늘 밥숟가락으로 듬뿍 퍼서 넣음
영상에 나와있는 유아..말하는듯
@@jimjim848ㄴㄴ 아님 아이유짤 실제로있음 저거말고
고든램지였나?
한국에서 마늘 조금은 마늘 한움큼 가득을 의미한다고 하신 외국 쉐프가 있죠...
저도 마늘하면 아이유님 영상이 떠올라요. 마늘조금이라고 해놓고 한숟갈 아주듬뿍ㅋㅋ
한식에서 마늘을 향신료가 아니고 채소임. 고기 들어가는 음식에 마늘은 필수임.
마늘 한봉지 나온거 외국에서는 한가족 요리에 들어가는양인데 우리나라에선 한사람의 한쌈깜밖에 안대서 유럽애덜이 좀 놀래요 .요리에 들가는걸 상추 한장에 큰거 작을거 두개엏어서 장 조금해서 한입에 먹어치우니..... 마니들 놀래는듯....
나도 마늘 파 양파를 많이 사용하는 편인데..어느날 이런 글들을 보고 내가 얼마만큼 마늘을 사용하는지 요리할때마다 신경써서 확인했는데 생각보다 많이 사용하긴 하더라구요. 외국에 사는 사람들이 보면 기겁할 정도의 양이긴 할거예요 ㅎㅎ
유아짤 ㅋㅋㅋㅋㅋㅋ 마늘양이 자기 머리만 해 ㅋㅋㅋㅋㅋ
마늘 두쪽을 포장해서 파네....ㅋㅋㅋㅋㅋ 일본😂😂😂😂😂😅
사실 한국 사람들은 마늘향을 잘몰라요.
마늘이 안들어간 향만 알죠.
정기적으로 섭취하지 않으면 다시 곰으로 돌아간단 말이에요😢😢
마늘이 향신료야?
향신료로 사용되는게 아니라
마늘 고추는 대표적인 향신료임
하지만 우리나라는 향신료가 아니라 채소로 쓰고있죠..
우리나라에서 향신료는 깻잎과 후추뿐
@@DD-iy3jn 에엥?! 깻잎도 향신료라고요?! 상추나 배추같은 쌈용 채소 아님?!
깻잎은 향채소 아닌가유?
음...깻잎은...들깨 잎이고 들깨기름을 얻는 주된 목적이니 그럼 깻잎은 그저 부산물급인데 그럼 향채소라고 하기도 뭐하고...음 애매하구나 바질처럼 허브에 속하는것도 아니고 애매하네
맞아! 마늘없는 한식은 없다
우리나라 마늘 향이 이탈리아보다 조금 떨어진다고 이야기하던데 안먹어봐서 모르겠네요
우린 마늘을 안먹으면 곰으로 변해..
우리나라음식이 세계적으로 흥하고있다니.. ㅋㅋ
심지어 향신료를 향신료인줄 모르고 먹는 경우도 많음. 마늘, 고추, 깻잎, 부추, 참깨, 파, 생강 다 향신료임...향신료(깻잎)에 향신료로 만든 페이스트(고추장or쌈장)를 넣고 향신료(참기름)에 찍은 고기와 향신료(고춧가루)에 버무린 향신료(부추, 파)와 향신료(마늘)를 넣어 먹고 심지어 각종 향신료로 버무린 채소잎(김치)이 없어서는 안되는 기본 중의 기본으로 생각하는 향신료에 미친 민족ㅋㅋㅋㅋㅋㅋㅋㅋ
한국 마늘은 이탈리아 마늘 반만큼도 안 매워요… ㅋㅋㅋ 댓들 요상한 부심 그만!!!
걍 그쪽 마늘은 엄청 맵고 깊고 "아 이건 향신료가 맞다." 라고 단박에 느낄만큼 쎔. 그래서 적은양을 사용해도 존재감이 상함..
토막상식 : 유럽과 한국의 마늘은 효과정도가 다름니다.
마치 오이고추와 청량고추 같이요.
유럽의 마늘이 향과 맛이 엄청쌤니다.
그래서 한국 마늘 넣는양 보고 기겁하는거지요.
우린 마늘을 꾸준히 먹지 않으면 곰으로 돌아가서 그렇대ㅋㅋ 센스쟁이누ㅋㅋㅋㅋ
요리하다가 뭔가 부족하다 싶으면
마늘을 넣어라
내가 가장 잘 알고있는 맛이 된다
괜찮아 이탈리아 사람들아...나도 가끔 놀랄때가있어
유아 마늘 한주먹 넣는 짤은 언제봐도 웃김
마늘 공주 유시아
한국인 마늘과 쑥으로 탄생한 사람들이여
마늘은 정말 신이 주신 야채 입니다.
단군신화에도 나오는 쑥과 [마늘]
나도 마늘을 안 먹어서 가끔 한국음식 요리 유튜브 보면 식겁 ㅋㅋㅋ 마늘먹으면 너무 배가 아픔
어느나라가 본인 나라 음식에 자부심이 없겠니!?
많이 배워야겠다 한국에 대해서!
생마늘은 고추장 양념과 함께 먹으면 기가 막힙니다!
알리올리오... 마늘과 올리브오일인데 마늘이 두쪽들어간다고 해요...
이제부터
아가리오올리오라고 부르는게 맞을것같아요
알리올리오(x) 알리오올리오 (o)
알리오올리오(x) 알리오 에 올리오(o)
한국음식은 오래 끓이는경우가 많아샤 마늘향이 잘안나는거 같음 수프에 마늘조금넣고 끓여도 마늘향이 너무 강한데 한국국요리는 마늘넣고 30분은더끓이기 때문에
그래서 전 조리 다 끝나갈때도 데코마냥 더 넣음
나물무침같은곳 외에 마늘 많이 들어갑니다 한식이 다양한 식재료 다양한 조리방법이라 끓이지 않는 그런 음식에도 마늘이 엄청 많이 들어갑니다
태국 놀러왔는데...
태국도 마늘을 엄청 넣네요...
점심에 먹은 음식에 마늘이 얼마나 많이 들어 있던지 ㅋㅋ
드라큘라가 나와도 안전한 나라
건강때문에 먹는다기 보다는
어릴때부터 먹어온거라
어느 유튜브에서 본거같은데... 우리나라 마늘이 다른나라보다 향이 적게난다고... ㅎㅎㅎㅎㅎ 마늘❤
ㅋㅋㅋㅋㅋㅋㅋ유아.. 귀여워😂
한국음식중에 마늘 빼고하는 음식은 상상할수조차없음 특히난 고기싸먹을땐 마늘을 조각안내고 한개를 다먹는데
이탈리아의 마늘과 한국의 마늘은 종 자체가 다릅니다 그래서 이탈리아는 한두개만 넣어도 괜찮지만 한국껀 때려부어야 이탈리아 마늘 1-2개 수준인거예요
유아 좀 풀어줘요 ㅠㅠ 영구박제 까지 할꺼냐구 ㅋㅋㅋ
통마늘 식용유나 올리브유랑 소금 뿌려서 에어프라이에 돌리면 졸맛!
전세계마늘 사용량보다 한국의 마늘량소비가 비슷하다는....라고 적었는데 제가 잘 못된 정보를 적어놔서 정정합니다 중국을 뺀 거의 모든 나라 마늘 소비량이 한국 하나의 나라와 비슷하고 중국은 한국의 마늘 소비량이 두배라고 합니다 그래도 개인 마늘 소비량은 한국이 압도적으로 전세계 탑이긴 합니다
아... 마늘 더 먹어야겠어요...
두세배는 되어야 마늘 좀 먹는구나..하는거 아닌가요..ㅎㅎ
전세계면 미쳤는데?ㄷㄷ
근데 중국 전체의양이 우리나라2배? 인구가 우리나라 몇배인데?
@@웃음-k2v 이유야 어찌됐든 마늘 소비량이 우리나라보다 두배가 조금 넘는다고 하더라구요
난 짜파게티 먹을 때도 다진마늘 한스푼 넣는데 존맛임
짜파게티 2봉 끓이면 먹다가 좀 느끼한데 다진마늘 넣으면 알싸한 매콤함으로 느끼함 사라지고 짜파게티로 좀 더 고급스러운 맛을 느낄 수 있음
파김치 있으면 마늘 안 넣어도 괜찮지만 없으면 다진마늘 꼭 넣음
강추함
우리도 향심료로 써
근데 한꼬집 넣으면 향이 안나는걸 어떡해
알리오 올리오나 감바스할때 간마늘로 기름에 마늘향을 넣고 통마늘로 가니쉬
생마늘은 솔직히 좀 매운데 익히면 그냥 달달함. 많이 넣어도 달고 맛있음
삼결살 쌈에 마늘 한개씩 넣어먹는거보면 ❤❤❤
해외 교민입니다. 도대체 어디서 요즘 한식이 세계적인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나요? 진심 궁금합니다.
한우 구워먹을때 상추에 통마늘 한개 넣으면
캬아~
유럽 출장 있을때 먹어봤는데 우리나라 마늘보다 향이 엄청 쌔더라구요 그래서 그런거 같아요
역시 우리는 단군의 후손 😊
마늘없으면 한국 요리 어떻게 만들어요?? I love garlic ❤❤❤
마늘은.주로.국요리나찌개요리에.특히.많이.들어간다.마늘요리는.좋다.
나는 구워먹는 마늘이랑 마늘후레이크 엄청 좋아하는데 ㅜㅡㅜ
해외살아서 눈치보는 중... 냄새는 확실히 인정하는 부분.....
유럽쪽 마늘이 한국 마늘보다도 맛이 더 강해서 그렇다던데 맞나요?
마늘은 향신료가 아니라 야채인데…
이탈리아:마늘은 향신료
한국:마늘은 채소
마늘 향도 좋고 건강에도 좋지만,
저는 간마늘 작은통으로 한통 사면 한달은 먹어요.
마늘 많이 넣으면 아리고 써서...
저 같은 한국인도 있기는 하더라고요.
나 자신도 마늘 대마왕 임.
유튭 요리나 음식 레시피 영상으로 다진마늘 조금이라 얘기하고 한숟가락 넣는 영상이 많음 아님 큰숟갈 2 이렇게 적혀 있는데 영상에선 다진마늘 조금 넣어주세요 이럼....
한국인은 개운한걸 조아함 .. 느끼한거 먹고 꼭 개운해야함 마늘 안넣은건 음식같지 않을정도
마늘이좋아서 마눌하고 결혼했다
근데 이테리쪽 마늘은 크기가 크고 향이 강한대신 단맛이 적고(말그대로 '향'을 추가하는 향신료) 한국은 작고 향이 서양에비해 적은대신 단맛이 많아 요리에 대량 추가해야 향이 나고 맛이 좋아져서 그냥도 먹는 야채로 먹는다 들은
팩트는 외국 간 한국 스포츠 선수들이 마늘냄새 땜에 인종차별 겪는.. ㅋㅋ
@@pjhpjhpjh0183 쟤들은 향강하다고 개미 똥꼬만큼 먹잖아요. 우리는 야채라고 여기저기 넣어먹고
감바스 만들때 편마늘로만 만들었다가 알마늘 넣고 약불로 천천히 튀겨서 만들면 미친듯이 맛있음..빵에 딱 뭉개서 먹으면 이제 앞으로 감바스에 알마늘만 찾게됨 갈색빛 돌때까지 천천히 튀기면됨
나도 요즘 세계사 배우는데 이탈리아가 나치랑 같이 손잡고 전쟁한게 놀라웠음
마늘을 낱개로 파는걸보니 세상오래 살아야겠당~ㅋㅋ
이탈리아 부심 대단하길래 로마여행 기대했는데 우리나라파스타가 훨 맛있었다 마르게리따피자~? 역시 토핑 가득가득 들어간 한국피자가 훨맛있었어 !
여러분, 기름장에 다진마늘 넣어보세요. 고기가 더욱 맛있어집니다.
빵에 생마늘 발라서 올리브오일 소금후추만 뿌려서 먹는게 부르스케따인데 흐흐흐 근데 우리가 넣는 양을 보고는 좀 먾이 놀라는듯요.. 맛을 알아서 놀라는건가 흐흐
대한민국 남자들 중 집에 마늘없는 집보다 마눌없는 집이 훨씬 더 많음...가수 설운도가 가장 사랑하는 음식이기도 하죠..."너 만을(마늘) 사랑했다...그것은 운명이었다!~~~"
음식에 마늘을 안 넣으면 뭔가 빠진 음식을 만드는 것 같음😅
단군의 자손이라, 곰이 마늘 먹고 사람 되서 그래요, 한국 달력이 단기을 쓰는데 5000년 쯤 됐을 텐데, 그때도 마늘을 먹었나봐요
무 3개로 깍두기 담으며 마늘 3주먹넣어 담으니 맛있음 마늘없음 뭘로맛내지?
마늘은 근본이다 근본
마늘먹고 사람 됐다이
한국인이 파.양파.마늘을 왜 먹는지 알아야할텐데 우리도 마늘먹기가 쉽지않다 그러나 건강에 좋기에 참고먹는데 마늘 파.양파등 매운성분인 알리신이 항암.고지혈 고혈압에 좋아먹는다 면력력증가에도 좋고 특히육식에 단백질섭취에 좋지만 고기의 지방은 피를 응고시키기 때문에 야채와같히 우리는 알고먹는데 서양인들도 먹기힘들지만 알고먹으면 좋을텐데.
주물럭 먹을때 고추장에 마늘 넣은거
쌈싸서 먹으면 기절초풍 소주1병각~♡
쌈에도 생마늘 추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