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재활:정상보행훈련 절대놓치지말아야 할점[뉴힐링라이프 안산점&안양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31

  • @pt181
    @pt181  3 года назад

    open.kakao.com/o/saxgD1ld
    궁금하신 사항은 여기로 연락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상희김-c3b
    @상희김-c3b 2 года назад +2

    선생님~~^^
    좋은 정보 정말 감사 합니다~~

  • @왓쵸우몽키와따쵸우
    @왓쵸우몽키와따쵸우 3 года назад +1

    정말정말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 @pt181
      @pt181  3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유라-r6h
    @유라-r6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 @양경식-w8e
    @양경식-w8e 3 года назад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pt181
      @pt181  3 года назад

      네~^^ 감사합니다~!!

  • @youbee0616
    @youbee0616 2 года назад

    선생님 만의 스킬이나 테크닉을 알려주실순 없겠지만 이런 짧은영상으로도 배울수있다는것에 감사합니다

    • @pt181
      @pt181  2 года назад

      ^^ 감사합니다~~

  • @백창호-o8p
    @백창호-o8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어떤영상을 보면 초기에는 움직이지도 못했는데 지금은 뛰기도하고 손도 정상에 가깝게됬던데 11년차라고해요 선생님 솔직히 저는 안믿기는데 약하게와서 되는것같은데 저희같은사람들은 물론 재활로 좋아지긴하죠 하지만
    움직이지도 뭇한분이
    뛰기까지 될려면 환자 자체에서 회복이 되야하는거 아닌가요 재활로는 불가능한것 같아서요

  • @하나유-k2p
    @하나유-k2p Год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저는 1년차 pt입니다!
    Q cane 잡고 gait 하시는 lt hemi 환자분과 치료시간에 슈마착용하에 느린 속도로 트레드밀을 타고 싶은데 위험성이 크게 있을까요? 또는 주의해야할께 있을까요 조언 부탁드려요 !조언 구할때가 여기밖에 없네요 ㅠㅠ

    • @pt181
      @pt181  Год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트레드밀 훈련은 뇌졸중에 좋은 보행 훈련입니다. 다만, 일반적일 뿐이지 예외도 당연히 있습니다. 환자분의 상태를 제가 확인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히 말씀 드리긴 어렵지만 일반적으로는 좋은 운동입니다. 가능하다면 슈마 착용하여 훈련하는 것이 좋은 운동 과정이 됩니다. 위험성 관련하여,,, 불안함, 낙상 등 위험성이 있는 경우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슈마 착용하는 것이겠지요. 이 부분은 담당하고 계신 선생님께서 직접 판단하실 문제 일 듯합니다^^ 응원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하나유-k2p
      @하나유-k2p Год назад

      @@pt181 감사합니다!

  • @백창호-o8p
    @백창호-o8p Год назад

    걷는것도 중요하지만 제가 저를 볼때 아직은 몸상태가 아직인것같은데 어쩔수없는 상황이라 일을하는데 하고나면 환측이 조금 힘을쓰는 일이라 끝나면 많이힘든데 계속하다보면 부족함이 채워질까요 역효과는 없을까요

  • @백창호-o8p
    @백창호-o8p Год назад +1

    운동후 환측 특히 옆구리쩍이 통증이아닌 힘이들다고할까요 괴도한힘이 들어가서일까요 아니면 근육이 빠져서 그럴까요

    • @pt181
      @pt181  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둘다 이유가 됩니다. 근육의 힘이 강할때는 적은 힘으로 동작이 가능하지만 근육이 빠져 힘이 없는 상태에서 운동하게 되면 더 과한(무리한) 힘을 사용하게 되어 통증(또는 뻐근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백창호-o8p
      @백창호-o8p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좋은답변

  • @백창호-o8p
    @백창호-o8p 2 года назад

    체중이동이 한번에 되는게 아니더라구요 그런데 체중이동이 되면서 환측에 체중이동만큼 근력이 있어야 될거같은데 맞나요 그리고 환측에 건측보다 한배정도 힘이 더들어가는것도 생기고요

    • @pt181
      @pt181  2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당연히 체중이동 되는 만큼 근력이 있어야 됩니다. 반대로 그 정도 근력이 있어야 또는 근력이 있는 만큼 체중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요. 힘이 한번에 생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꾸준히 해주셔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응원하겠습니다~!!^^

  • @이주하-u6k
    @이주하-u6k 3 года назад

    그럼 정상 보행속도를 먼저 하면 잘못된 패턴이 계속 되어 자칫 통증으로 이어지는거라 생각되어....
    정상 보행구분훈련을 많이 시키고 있는데요... 갑자기 혼란이 옵니다.

    • @지컬피-m8q
      @지컬피-m8q 3 года назад

      잘못된 패턴은 속도 나온후 집중해도 좋을거 같아요.. 계속 배내밀고 걸으세요! 이러면서 천천히 걸으면 그게 과연….. 그 환자들이 언제쯤 제대로 도움없이 혼자 걸을 수 있을까요!?
      보행모양이 이상해도 도움없이 혼자 걷는게 재활의 목적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저도 치료싷에서 천천히 동작 예쁘게 걷는거에 목적두는 치료가 답답하다고 느낀적이 한두번이 아니네요

    • @pt181
      @pt181  3 года назад +4

      안녕하세요~^^ 항상 관심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든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치료법이 아니라 치료적접근법(approach)이듯이 보다 더 효율적이고 좋은 방향으로 진행하시면 되는 것입니다.~
      전체적인 틀을 간단히 설명드리면,,,,
      1. 신경학적 접근법 vs 기능적접근법
      : 1950년대에 신경학적 접근법(neurological approach)이 나타났습니다. 이 접근법의 이론은 정상동작(normal movement)에 입각한 접근법입니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1980년 정도에 운동조절&학습(motor control & learning)에 근본을 둔 접근법이 기능적 접근법(functional approach) 입니다.
      -> 선생님께서 하시는 행위가 신경학적접근법에 기준을 둔것인지 기능적 접근법에 기준을 둔 것인지 생각해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2. 보행 훈련을 시키는 이유는,,, 보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입니다.
      : 보행 능력 이라는 부분을 확인해 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어떤 부분이 향상되면 보행 능력이 좋아진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까요? 즉 보행 평가를 객관적으로 할 수 있는 틀을 확인해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 그리고 정상보행동작을 연습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느 것이든,,,, 중요한 것은,,,, 그 운동을 진행하는데 타당한 이유를 가지고 있느냐 입니다.
      내가 하는 행위에 타당한 이유를 가지고 있다면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많은 내용을 짧게 글로 표현하려니 부족한듯 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이주하-u6k
      @이주하-u6k 3 года назад

      @@pt181 정말 감사드립니다~
      신경계 치료사로서 선생님 덕분에 많은 도움 받으며 더불어 자부심이 느껴집니다.

    • @pt181
      @pt181  3 года назад +1

      @@이주하-u6k ^^ 그렇게 말씀해 주시니 제가 더 감사드립니다.^^ 다음에 더 자세히 의견을 나눌수 있는 기회가 있기를 희망합니다. 더 많은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남현주-l7j
      @남현주-l7j 3 года назад

      선생님
      혼자 정상속도로 연습할 수 있나요?
      일정한 보폭도 그렇고...
      병원에선 치료사님이 봐주지만 집에서 할 수 있느방법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rldnjs4862
    @rldnjs4862 3 года назад +2

    혹시 근력이 trace나 zero인 상하지 편마비 환자 중재나 운동치료나 훈련하는방법 올려주시면 안될까요????

    • @지컬피-m8q
      @지컬피-m8q 3 года назад

      Trace zero는 간접적인 치료방법으로 접근해보세요. 팔쪽이 zero다치면 다리쪽 힘을 주게끔해 팔에 간접적으로 힘 들어가게 시도해보세요.

    • @pt181
      @pt181  3 года назад +3

      안녕하세요~ 관심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비부위에 이완성인지 강직성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이것을 제외하고 단순히 근력이 없는 부위에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은 strech 또는 좋은 부위를 이용한 간접적 방법(pnf의 irradiation) , 자세조절 등으로 근 긴장도를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근력이 많이 부족하신 분들의 중재에 대해 준비해보도록 하겠습니다(참고로 상지 elbow ext. 에 대한 간접적 접근방법이 이 전 영상에 올라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