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들 때야 많았지만 근본적으로는 일이 적성에 맞는다고 느꼈던 것 같아요. 저는 수련을 정말 힘들게 간절히 원해서 들어갔거든요. 수련하면서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 수련 못 들어가서 힘들어 하던 때를 생각해보면 수련하면서 힘든 지금이 낫다는 생각도 했던 것 같아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격증 바라보며 버텼습니다.
@@maebin__19 교수님께서 외상 후 성장을 주제로 연구하고 계신가봅니다! 논문 읽어보는 건 분과에 관계 없이 심리학과 학생으로서 참 바람직한 공부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1~2학년 때는 통계, 연구방법론 등 기초를 많이 배우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논문 읽을 일이 많아질 거예요. 임상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논문 리딩, 추천도서 다회독 너무 좋죠! 다만 너무 어려운 책부터 시작하면 흥미를 잃을 수 있으니 학부용 책부터 시작해보세요(사실 학부용 책도 3~4학년 수준이긴 합니다).
제가 이런 좋은 영상을 놓쳤었군요! 다 봤다고 생각했는데 새로 또 보석 발견한 기분이에요☺감사합니다!!!
혹시 영상 속에서 잠깐 언급하신 DSM-5 휴대폰 어플을 어떤것을 사용하시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안녕하세요! 답이 늦어 죄송합니다. 휴대폰 바뀐 후로는 사용하지 않아 뒤늦게 찾아봤는데 어플이 더이상 안 보이네요🥲 비슷한 기타 유료 어플들은 많은 것 같아요.
매번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고 있어요ㅎㅎ 👍🏻🤍
도움이 되었다니 기쁘네요! 힘나게 하는 댓글 감사합니다🤗
책 추천 시리즈 넘 유용해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등학생이 읽기에는 아무래도 어렵겠죠? 임상심리쪽이 진로라심리 관련 책을 읽고싶은데 어떤 책들은 너무 위로하는 내용만 있고 어떤 책들은 너무 전문적이라 읽기가 힘들더라고요… 혹시 고등학생이 읽기에도 괜찮은 책 추천해줄 수 있을까요?
즐거운 독서하세요 ☺️
읽어두면 좋은 심리입문도서! 두 손 모아(?)🤲 추천하는 심리학 책🧐
ruclips.net/video/HOBzkadeYrs/видео.html
와.. 정신병리, 심리평가, 연구방법, 심리치료 각 주제별로 필요한 책들 섬세하게 추천해주셔서 넘나 감사드려요~!! 잘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더 좋은 책 많이 들고 올게요🧚🏻♀️
저런 둔기 같은 책들은 왜 ebook으로 잘 안나올까요 ㅜㅜ 저런 둔기들이(?) 제일 먼저 이북으로 나와야할거같아요 😭😭 책 추천 너무 감사합니다 :) 종강하면 학부생이 읽을 수 있다고 말씀해주신 책들 읽어봐야겠어요!!
저도 실물 책 다 팔아버리고 이북으로 갖고 싶은데 전공서는 꼭 이북이 안나오더라구요😥 학창시절 참고서처럼 다 뿌셔서 들고 다닐 수도 없구..
뜻 맞는 분들과 함께 스터디 형식으로 책 읽어도 좋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도서 추천 너무 좋아요 🥺🙏🏿
심리실언니들의 심리도서 추천은 앞으로도 계속 됩니다~😎
영상이 매번 정말 재밌어서 아웃트로 노래가 들릴 때마다 아쉬워요. 다음 영상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아웃트로 노래가 나올 때까지 시청해주신다니 감동이에요!😊 우리 편집자가 예고편까지 영혼을 갈아 넣던데.. 댓글 보면 기뻐할 거예요! 정말 감사합니다🥰
0:00 시작
0:24 정신병리
3:49 심리평가
5:57 연구방법론
7:17 심리치료
8:30 다음 예고
행동신경과학: 생물심리학 입문 이 책은 어때요~?
잘 모르는 책이지만, 제목을 보니 임상심리학 교과서는 아닌 것 같네요.
@@심리실언니들 댓글 감사합니다 선배님.
선배님은 이 쪽 업무나 수련을 받으시면서 이 진로에 대한 확신이 흔들릴때가 있었나요?
그때 어떻게 멘탈을 붙잡으셨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힘들 때야 많았지만 근본적으로는 일이 적성에 맞는다고 느꼈던 것 같아요. 저는 수련을 정말 힘들게 간절히 원해서 들어갔거든요. 수련하면서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 수련 못 들어가서 힘들어 하던 때를 생각해보면 수련하면서 힘든 지금이 낫다는 생각도 했던 것 같아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격증 바라보며 버텼습니다.
@@심리실언니들 봄언니은언니 고마워영 ㅎㅎㅎ 저도 쌤들처럼 유능한 임상전문가가 되고싶어여!!
통계나 연구방법론은 타과생(유사학과이긴합니다)으로서는 배우기가 어려운 부분이군요.... 심리학과에 갔더라면 학부를 거치며 자연스럽게 터득했을 내용을 전혀 얻지 못한 상태로 임상심리 대학원 입시를 하자니 너무 어려움이 많네요.. ㅜㅜ
스터디를 통해 임상심리대학원 진학 준비를 하는 분들도 계시더라고요. 요즘에는 유튜브에도 심리통계 컨텐츠가 있고, 교과서들도 워낙 잘 나와서 심리통계 공부를 할 수 있는 방법도 다양해지는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임상심리 전공을 하고 싶은 ... 아직은 1학년인데요! 논문이나 추천해주신 책들을 방학에 아주 짧게 짧게라도 읽어도 도움이 될까요...?
이번에 개론 수업에서 임상심리 파트에서 교수님께서 PTSD를 겪고 난 후에 자기 발전 ...? 이었나 그런 부분에 대해 연구하고 계신다고 잠깐 말씀을 해주셨는데 저도 약간 흥미가 생겨서 방학도 길고 하니까 어떨까 싶어서 여쭤봅니당 ㅠ
@@maebin__19 교수님께서 외상 후 성장을 주제로 연구하고 계신가봅니다! 논문 읽어보는 건 분과에 관계 없이 심리학과 학생으로서 참 바람직한 공부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1~2학년 때는 통계, 연구방법론 등 기초를 많이 배우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논문 읽을 일이 많아질 거예요. 임상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논문 리딩, 추천도서 다회독 너무 좋죠! 다만 너무 어려운 책부터 시작하면 흥미를 잃을 수 있으니 학부용 책부터 시작해보세요(사실 학부용 책도 3~4학년 수준이긴 합니다).
저는 책 보면 더 공부하고 싶어지는 것 같아요(?)
저는 책을 가진 것 만으로도 공부한 것 같은 기분이 들어요😎
우와!
역시 심리학은 돈이군요 ㅠ
돈뿐일까요? 피.. 땀.. 그리고 눈물도 있습니다😎
난독증 있는 저로서는 지옥같은 컨텐츠 ㅠㅜ
읽을 게 너~무 많죠😂
..영어.ㅜㅜ
지끈지끈 잉글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