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한자 1800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5

  • @dy95play
    @dy95play 3 года назад +2

    오늘도 열공~..
    매번 너무 유익한 강의들 이네요..감사합니다~.. ^^

  • @dbds_tv
    @dbds_tv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

  • @이영식-u3c
    @이영식-u3c 2 года назад +1

    복잡했던 모양이 부수자와 함께하니 알기 쉽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 @한자마당
      @한자마당  2 года назад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김경응-y9v
    @김경응-y9v 2 года назад

    예쁠봉의 나라방,풍년풍.
    만날봉의 봉우리봉,만날봉,벌봉
    엿볼역(엿봄,차례차례)의 못택,가릴택,번역할역,역역.
    나여(펑평하다)의 천천할서,덜제,비낄사,베풀서,길도,칠할도,남을여.
    잘 알겠습니다.
    자원 설명 듣고 생각하며 외워야 오래 기억합니다.
    감사합니다~~^^

  • @mikecho7848
    @mikecho7848 3 года назад

    정말 오랫만에 한강 더 들었습니다. 들을수록 좋은 강의 . 감사드립니다.

    • @한자마당
      @한자마당  3 года назад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tazakitsukuru5879
    @tazakitsukuru5879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좋은 강의로 즐겁게 공부했습니다.

    • @한자마당
      @한자마당  Год назад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강은순-g2s
    @강은순-g2s 3 года назад

    선생님 자세한 설명 정말감사합니다 구독좋아요

  • @jungsukkang7558
    @jungsukkang7558 2 года назад

    덕분에 한자공부에 많은도움이 되고 있어서 감사드립니다
    이번회차를 배우다 보니 엿볼역자 한가운데에 돼지해머리 획이 더 들어가 있는것 같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 @한자마당
      @한자마당  2 года назад +1

      네, 睪이 맞습니다. 인터넷 사전에 가끔 폰트가 잘못 되어 돼지해머리 획이 더 들어간 글자가 나오는데 제가 확인이 좀 부족했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중요한 점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카투사kts
    @카투사kts Год назад +1

    늦게 왔습니다 ^^ 열공^^

  • @강은순-g2s
    @강은순-g2s 3 года назад

    풀초란 뜻을몰라 는데 선생님 강의 듣고보니 이해가갑니다 선생님 구독 좋아요.

  • @언제나맑음-f9w
    @언제나맑음-f9w 2 года назад

    교재 177쪽에 할애(割愛)라는 단어의 낱말풀이에 대한 질문인데요.
    국어 사전을 찾아보니
    '시간, 돈, 공간 따위를 아깝게 여기지 않고 선뜻 내어 줌.'
    이라고 되어 있더군요.
    근데 선생님께서 풀이하신 것을 보니
    '아깝게 여기는 것을 선뜻 내어놓거나 버리는 것'이라고 풀이를 하셨네요.
    아깝게 여기지 않는다는 것과 아깝게 여기는 것은 서로 상반되는 의미이니
    뜻이 서로 배치(背馳)가 되는 셈인데요.
    어떤 뉘앙스가 더 적절한 설명인지 혼란스럽습니다.

    • @한자마당
      @한자마당  2 года назад

      네, 국어사전에서 시간, 돈, 공간 따위를 아깝게 여기지 않고 선뜻 내어 준다는 말은 '시간, 돈, 공간...'이 이미 아깝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표현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 같습니다. 아깝지 않은 것을 '아깝게 여기지 않고 내어준다'는 표현은 의미가 없습니다. '할애'라는 한자어 자체가 '사랑하는 것을 베어 낸다'는 기본 뜻을 지닌 낱말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세심하게 비교하여 주셨네요. 감사합니다!!!

  • @samayulhyultv
    @samayulhyultv 2 года назад

    유익한 강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__)

    • @한자마당
      @한자마당  2 года назад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jinwoo_16
    @jinwoo_16 2 года назад

    "한자공부에 대하여 2"라는 영상에서 육서에 대해 설명해주실 때 한자 대부분의 글자는 형성자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1800자 강의에서 다루는 글자들 중 다수도 아마 형성자이겠지요? 그런데 선생님께서는 거의 모든 글자에 대해 각 글자를 구성하는 요소들 전부에 의미를 부여해서 이야기를 만들어주십니다. 다시 말해 선생님께서는 형성자의 소리를 담당하는 부분까지도 의미를 부여해서 마치 회의자를 다루듯 글자를 풀이해주시는 것 같습니다.
    저는 형성자에서 음을 담당하는 부분은 별다른 뜻은 가지지 않는다고 이해를 했었는데 그 생각이 틀린 건가요? 강의를 쭉 듣다 갑자기 이런 의문이 생겨서 질문을 올려봅니다.

    • @한자마당
      @한자마당  2 года назад

      네, 댓글 감사드립니다.
      우선 말씀 드릴 것은 len0님의 말씀은 100% 옳습니다.
      말씀하신대로 한자의 대부분은 형성자이며, 기본적으로 형성자에서 음을 담당하는 부분은 말 그대로 '음'을 담당할 뿐입니다. 그러나 제가 형성자의 음을 담당한 부분도 가능한 한 의미를 부여하는 데는 나름대로 까닭이 있습니다.
      우선, 한자를 일상적으로 쓰지 않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한자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목적 때문입니다. 형성자에서 의미 부분은 대체로 부수자가 담당을 합니다. 日, 月, 火, 水, 木, 金, 土 같은 글자가 포함된 수많은 글자들의 뜻은 대게 이들 부수자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리고 소리를 담당하는 다른 글자들이 붙게 됩니다.
      이때, 형성자를 설명하려면, 소리는 이러 이러하고 뜻은 해와 관련되어 있다, 달과 관련되어 있다, 불, 물, 나무 등과 관련되어 있다고 끝날 수 밖에 없습니다. 수많은 물, 나무, 쇠 등의 어느 것을 가리키는 지는 '소리 값'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사람들이 글자를 이해하는 데는 굉장히 곤란하다는 것이지요. 중국 사람의 경우 소리 값으로도 상당히 구별되는 것 같고(특히 성조를 고려하면 사성과 거의 관련 없는 우리말 소리 값으로는 거의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 특히 한자에서 중국어 소리 값이 우리말(동국정운 등)로 표기될 경우 소리 값이 변하는 '변음'이 상당히 많습니다.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가 (전혀)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星, 性의 소리 값은 '성'인데, 우리가 알고 있는 生은 '생'이지요. 이 때, 형성자로 설명을 하면, 生의 발음이 '생'에서 '성'으로 변했다고 설명합니다. 이런 글자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이런 공부 방법은 중국 사람들에게는 좋을 지 몰라도 한국 사람들에게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지요.
      그리고 중국 사람들이 형성자를 만들 때, 소리를 담당하는 부분의 글자를 아무 것이나 선택하지 않았다는 것이지요. 같은 소리 값을 가진 많은 글자 중에서 그나마 유사한 뜻이 담긴 글자를 선택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었다는 것이지요. 물론 모든 글자가 그렇지는 않으나, 할 수 있다면 유사한 뜻의 글자를 택하여 소리 부분을 담당시킨 것이지요.
      그래서 저는 한자를 가능한 한 쉽게 외우기 위해서 형성자도 회의자처럼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소리 값을 담당하는 글자가 어느 정도 뜻과 관련이 되는 글자라면, 글자를 바르게 이해하는 데에도 일정 부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점 충분히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jinwoo_16
      @jinwoo_16 2 года назад

      @@한자마당 중국 대륙에서 기원한 한자를 현재 한글을 사용하는 우리나라에서 가르치기에 적절한 방법을 고안해내셨다는 뜻 같군요. 이렇게 고민을 많이 하셔서 그런지 그동안 강의가 귀에 쏙쏙 들어왔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성의껏 답변해주셔서 감사하고 좋은 강의를 만들어주신 것 또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