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지어 박물관 등 전시 시설에도 오류를 범하는 사례 곳곳에서 봤습니다. 상당히 오래전 사실이지만, 지역 교육박물관에 '해금' 이라고 표시한 곳에 엉뚱하게 중국의 '얼후' 를 갖다놓지 않나, 대중음악 박물관엔 김세레나의 국악가요 음반과 함께 가야금 대신 일본의 '코토' 가 버젓이 놓여있고, 세종대왕 전시관에는 아악의 업적 소개와 함께 '산조가야금 (역사가 200년 남짓 된 근대의 악기)' 이 전시돼 있었죠. 안내 데스크에 수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는데, 바로 잡았는지 아직 확인 못했네요.
3번 이용!
모르는 친구들도 있음..
아쟁총각 떠올리면...비슷한 느낌 으로 알게됨..
ㅎㅎ 찾아 봤습니다.
이미지...
이번에
확실하게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해금❤❤❤❤
😮😮😮😮아쟁? 해금?
해금인것 같은데 😅😅😅😅😅
이건 해금이지
듣기만 하면 해금이랑 아쟁이 쫌 헷깔리는데....보면 바로 알죠.......해금 배우고 싶었더래서.....ㅎㅎ
희한하게도 해금과 아쟁 혼동하는경우 매우 많습니다. (영상의 악기는 해금)
나 어릴때 바요링과 키타를 혼동하듯이.
ㅎㅎㅎ그렇네요
나이먹은 사람들이 해금이랑 아쟁 많이들 잘못 알고 있음. 이유가 교과서 사진에 해금을 아쟁이라고 했기때문에..당시 교과서 저자가 서양음악 하시던 분이었는데 그분도 국악악기를 잘 몰라서 잘못 표기했다고 함
심지어 박물관 등 전시 시설에도 오류를 범하는 사례 곳곳에서 봤습니다.
상당히 오래전 사실이지만,
지역 교육박물관에 '해금' 이라고 표시한 곳에 엉뚱하게 중국의 '얼후' 를 갖다놓지 않나,
대중음악 박물관엔 김세레나의 국악가요 음반과 함께 가야금 대신 일본의 '코토' 가 버젓이 놓여있고,
세종대왕 전시관에는 아악의 업적 소개와 함께 '산조가야금 (역사가 200년 남짓 된 근대의 악기)' 이 전시돼 있었죠.
안내 데스크에 수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는데, 바로 잡았는지 아직 확인 못했네요.
해금...이지않나?
해금
해금이에요ㅜㅜ 소리도 들어보면 아쟁이 훨씬 낮습니다ㅜ 구별 플리즈,,,
해금입니다 아리랑연주를 하고있내요
해금!
3번해금
해금
해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