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 좋은 스카이도 떨어지는 삼성 서류 ㄷㄷㄷ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1 фев 2025
  • 브로들 안녕 데드형이야
    오늘은 변하고 있는 트렌드와 '석사'에 대해 이야기를 해봤어.

Комментарии • 368

  • @것그브그지
    @것그브그지 4 года назад +443

    여기서 절대속지마라
    데드형 지금 교수들한테 의뢰받고온
    노예 사냥꾼이다

    • @요차-l9p
      @요차-l9p 4 года назад +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쉿!

    • @꽃개-n6c
      @꽃개-n6c 4 года назад +155

      ???:학생... 글 내려^^...

    • @까탈스
      @까탈스 4 года назад +1

      ᄀ싡ᄌᄉᆞ잇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oli-ithing
      @doli-ithing 4 года назад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빵 터졌네 ㅋㅋㅋㅋㅋㅋㅋ

    • @데드형
      @데드형  4 года назад +111

      ㅋㅋㅋ 나도 터졌네

  • @geemin214
    @geemin214 4 года назад +81

    연구가 운 따르는거 맞는데 박사가 졸업때까지 논문 하나 없으면 보여줄거 없는거 맞지..

  • @까까머리-i2x
    @까까머리-i2x 4 года назад +281

    교수님들 제자들 모을 생각이 싱글벙글하며 저 이상한가면쓴 사람영상 뿌렸을 상상하니 귀여워서 살살녹네 ㅎㅎ

    • @Cresent999
      @Cresent999 4 года назад +2

      ㅋㅋㅋㅋㅋ

    • @user-zr3vg3ci2q
      @user-zr3vg3ci2q 4 года назад +3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ㅠㅠㅠ 왜 자꾸 녹누 대학원 다니는 내 멘탈이 더 잘 녹는다
      노예질에 한번.. 동기들 차 뽑는거 보고 한번...

    • @데드형
      @데드형  4 года назад +31

      개인적으로 이런 경우가 제일 힘든듯....외부적 요소 멘탈관리

    • @user-zr3vg3ci2q
      @user-zr3vg3ci2q 4 года назад

      @@데드형 헐~데드형 💕 영상 잘보고 있어~

    • @까까머리-i2x
      @까까머리-i2x 4 года назад +2

      @@데드형 형 하트받고싶어

  • @쿵꿍띠짜바라
    @쿵꿍띠짜바라 4 года назад +159

    박사 졸업하고 sci 논문 못낸거 ㅋㅋㅋ '서울대'라서 못낸게 아니고 연구실이 쓰레기라서 못낸게 아니고 그냥 그사람이 물박사인거임

    • @호호잇-u4q
      @호호잇-u4q 4 года назад +1

      혹은 돈이 없었거나....?? 저널에 논문 실어내는데 기름칠도 해야되고 돈도 갖다바쳐야하고 뭐 그렇죠...

    • @집에가자-v3q
      @집에가자-v3q 4 года назад

      @@호호잇-u4q 그걸 학생이 신경쓰는 학교가 있음?? 학부인턴1년포함 지금 석사 3학기까지 논문 3편 낼동안 리비젼말곤 저널하고 주고받은거 하나도 없었는데

    • @호호잇-u4q
      @호호잇-u4q 4 года назад

      @@집에가자-v3q 나도 학부생이라서 잘은 몰랑...해외저널은 암암리에 있다곤 들음 그리고 인기랩은 줄서는지라 인맥관리에 돈 많이 들어가는건 트루임

    • @sbseo6281
      @sbseo6281 4 года назад +1

      @@집에가자-v3q 해외 저널마다 다르지만 최고수준 저널은 100 ~ 200 만원정도 연구비로 냅니다 논문 표지로 내려면 추가로 돈 더내야하고...

    • @sbseo6281
      @sbseo6281 4 года назад +4

      그치만 논문 낼 돈이 없는 연구실은 없다고 봅니다 연구 결과가 없는거지 ㅎㅎ

  • @inj4935
    @inj4935 4 года назад +15

    저 옛날에 수학과외 해주시던 과외쌤 서울대 기계공학 인데 대학교때 조금 노시고 학사만하고 끝내셔서 대기업 못가고 계속 떨어지셔서 계속 과외만 하면서 먹고 사시고있네요.... 다들 석사정도는 하실수 있으면 하시는게 좋을꺼같긴해요...물론 박사 할수있으면 더욱더 좋구요

  • @infested_pigeon
    @infested_pigeon 4 года назад +20

    이제는 좋은 대학의 좋은과가 아니라 일찍이 자신의 적성이 맞고 흥미를 가진 직업을 찾는길이 최고의
    길이 되는 시대가 온거지, 더 이상 간판이 밥먹여주지 않는다.

  • @zinod7988
    @zinod7988 4 года назад +37

    제가 있는 분야인 AI가 아직 R&D이고 그래서 '학사로 대기업 R&D(AI)를 할 수 없냐'고 수도없이 질문받았어요
    결론은 '적어도 제 분야에선' 학사도 대기업 R&D를 할 순 있는데 학위를 대체할 수 있는 엄청난 퍼포먼스가 있지 않는 이상, 현실적으로는 많이 어렵습니다.
    사실 연구원을 뽑을땐 지도 교수님을 보고 일단 1차 검증을 하기때문에 경쟁자들의 지도 교수님들의 평판을 뛰어넘을정도의 결과가 있어야하고, 그리고나서도 경쟁자들의 연구 및 프로젝트 실적도 뛰어넘어야하죠.
    삼성, SK, 네이버, 카카오등 대기업 임원분들과 함께 하는 자리가 있었는데 'R&D는 석박을 꼭 해야하냐'라는 질문이 나오자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반대로 생각해보면 석박사를 하면 되는 건데 왜 안하시는거죠. 그냥 대학원가시는 게 더 편합니다.'
    연구소는 박사급의 문제 정의와 석사급의 구현능력이 필요한 곳입니다. 그리고 보통은 대학원에서 그 능력을 기르고요.
    물론 언제나 예외는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분들은 소수에 해당되기에 이야기로 회자되는거죠.

    • @sergio-xs1wq
      @sergio-xs1wq 4 года назад +1

      삼성은 국내탑이 아닌 세계탑..ㅠㅠ 오히려 한국인이라서 더 나을수도

  • @차걔
    @차걔 4 года назад +194

    교수님들ㅋㅋㅋㅋㅋㅋㅋ 이때다싶어 노예 모집하시는건가

  • @헬로미오
    @헬로미오 4 года назад +21

    0:12 와우 데드형은 이제 대학교 교수님한테까지 영향을 주는 유튜버네 ㅋㅋㅋㅋㅋ

  • @nanimjjang
    @nanimjjang 4 года назад +7

    신기하네... 6년전부터 우리회사 인턴들한테 어디든 회사에 입사하려면 필요한 마음가짐 얘기를 해줄때 같은 얘기를 해줬습니다 소름 돋네 한편으로는 아직도 모르는 취준생들이 엄청 많죠

  • @윤상용-c7d
    @윤상용-c7d 4 года назад +58

    석사를 학사보다 요구하는 것이 아니고 석사급전문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석사학위자 중에서는 학점이 아닌 논문의 질을 더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저는 기계과 학사 출신으로 삼성그룹에 1988년 28기 공채입사 후 몇년 다닌 경험이 있습니다, 그 때는 학사와 석사를 구분하지 않고 대졸신입사원 공채헝식으로...그 때도 학점은 가중치가 높지 않았는데 당시 저의 학점이 별로여서...
    석사는 학사보다 24학점 6과목 정도만 더 배우지만 보다 요구되는 전문성의 깊이는 다르며 적성이 맞지 않고 노력을 하지 않으면 졸업을 하더라도 학사와 차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학사보다 석사를 선호하는 이유는 필요한 전공지식을 활묭할 수 있는 식견을 더 갖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통찰력이 더 있는 사람을 구하는 것인데...불확실하고 난이도가 높은 산업현장에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직원이라면 통찰력이 있어야...
    이런 능력은 개고생을 했거나 공부를 제대로 한 사람이 적임자죠. 아니면 천재가 필요한데 30년 넘는 직장생활 줌 공부도 잘하고 일도 잘하는 천재급 인재가 몇 사람 있었는데 입사후 5년이내에 일반인과 구분이 없거나 쳐지는 경향이 두드러 져서...이유는 천재들이 기억력이 좋은데 30살 넘으면 그 능력이 퇴보하는 것.
    통찰력 외에는 체력과 근성이 있어야 수 많은 시행착오를 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과정에 인성이 좋치 않으면 일을 그르치기 쉽습니다. 공부를 잘했던 학생들 중에는 적성이 떨어지고 열정과 체력도 모자라고 인성이 않 좋은 사람이 많습니다. 즉 공부만 잘한 사람은 쓸데가 없습니다. 인터넷에 있는 내용을 잘 외워서 학점만 높은 학생을 쓸 곳은 삼성처럼 전세계와 무한경쟁을 하는 직장에서는 없다고 보시는게 ...
    그리고 중요한 것 하나는 학사와 고졸 줄신이라도 통찰럭을 갖출 수 있습니다. 대신 적성이 잘 맞는 사람이 열정과 체력을 모두갖고 박사학위 취득때카지의 시간만큼 실력을 쌓았다면 전공분야에 정통하게 되어 높은 경지에 이를 숫 있습니다. 사실 학위보다 중요한 자격은 적성과 열정 그리고 인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상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jaehyeonchoi3949
      @jaehyeonchoi3949 4 года назад +5

      와 88년 공채입사시면 한창 발전할 시대의 산업역군이셨네요

    • @윤상용-c7d
      @윤상용-c7d 4 года назад

      @@jaehyeonchoi3949 저가 아는 최박사님이신가요? 반갑습니다^^

  • @lifementorjaka
    @lifementorjaka 4 года назад +50

    학업을 충실하게 자기주도적으로 주제 의식을 가지고 한 사람이 결국 유리하다는 말이겠네요

    • @오제호-q1h
      @오제호-q1h 4 года назад +3

      공감합니다. 이제 부모세대처럼 남이 하는것만, 뭔가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자기만의 능력 있는 사람만 살아남는 시대가 오는듯합니다

  • @문정우-v1t
    @문정우-v1t 4 года назад +18

    간단히 한줄로 요약하자면
    학부생이건 학원생이건 실력이 있어야지 기업에서 뽑아준다는거네

  • @yesnoh5995
    @yesnoh5995 4 года назад +32

    지나가던 현석사과정학생입니다 데드형 요새 SCI랑 SCIE 경계없어지고 이제 다 SCIE로 통합해서 쓰고있어요 논문장학금도 이렇게 주고있는 상황이라 저는 이렇게 알고있는데 지나가던 석박사형님들 틀리면 말하주세요~

    • @오골계-i6s
      @오골계-i6s 4 года назад +3

      맞아요 scie로 합쳐졌습니다~

    • @사조사-b4z
      @사조사-b4z 4 года назад +1

      전직장동료가 대학교수한테 연락해 뒷조사하고 평판조회하는데 고소가능한가요?

    • @꼬냑-g7m
      @꼬냑-g7m 4 года назад

      @@사조사-b4z 법적으로는 모르겠으나, 일반적으로 reference call이라고 하여, 지원자에 대해 물어보는 것이 일반적으로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sang-yeolshin6406
      @sang-yeolshin6406 4 года назад

      2019년부터 공식적으로 그 구분 없어졌어요. 심지어 네이쳐도 검색하면 scie로 나옵니다.

  • @백웅-c6i
    @백웅-c6i 4 года назад +68

    데드형 이번 사태에 진짜 충격받았나보네 며칠사이에 벌써 관련영상만 3개 ㅋㅋㅋㅋ

    • @내귀에도청장치-c2x
      @내귀에도청장치-c2x 4 года назад +46

      백웅 내 생각에는 조회수 잘나와서 뽕 뽑을려는듯

    • @ba6411
      @ba6411 4 года назад +2

      @@내귀에도청장치-c2xㅋㅋㅋㅋㅋ 조회수는 인정이지 ㅋㅋㅋㅋ

    • @데드형
      @데드형  4 года назад +14

      기가막히게 잘 아네.... 킁;;; 민망하네 민망해ㅋㅋ

  • @hololo1452
    @hololo1452 4 года назад +156

    근데 점점 허울뿐인 정의 혹은 갬성이 앞서가는 사회가 되어가는것 같음

    • @haqww5777
      @haqww5777 4 года назад +5

      뭔소리야 그반대지 ㅋㅋㅋㅋ

    • @ddd-zi8cd
      @ddd-zi8cd 4 года назад +5

      sns로 사회 좀 보지마라... 문재인 싫으면 종이신문 조선일보로 사회를 봐...

    • @HIDEONBUSH45
      @HIDEONBUSH45 4 года назад +4

      @배광춘 그 반대 맞는데? ㅋㅋㅋㅋ

    • @yhp8085
      @yhp8085 4 года назад

      ㄹㅇ

    • @오골계-i6s
      @오골계-i6s 4 года назад +23

      허울뿐인 정의와 갬성보단 실속이 필요한거죠

  • @phyllis2403
    @phyllis2403 4 года назад +16

    이 테마인 영상 시리즈들 개인적으로 매우 좋아합니다. 듣다보니까 수시 학종과 거의 패러다임이 유사하게 느껴지네요... 이러다가 입사컨설팅도 나오는거 아닌가도 싶어집니다🙃 아 근데 서울대 이공계는 졸업 기준이 SCI급 논문인 곳이 많아서 요즘은 데드형님이 언급하신 급의 사람은 박사졸 중에선 거의 없을거예요 오히려 SCI 논문 하나 내도 졸업 안된 사례도 있더라고요...😓 여튼 이 영상 전체적인 메시지에 전 매우 공감하고 앞으로도 이런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마이너한 분야 연구로 진출을 꿈꾸고 있는 이공계 대학생인데 동기부여하기 너무 좋은거 같아요

    • @sudo7806
      @sudo7806 4 года назад

      서울대 박사 졸업기준이 SCI 2개 아닌가요?

    • @phyllis2403
      @phyllis2403 4 года назад +1

      @@sudo7806 과바과에요~ 1개인 곳도 있습니다

  • @uho5709
    @uho5709 4 года назад +98

    나 석사인데 교수가 형을 너무 좋아함

    • @데드형
      @데드형  4 года назад +37

      ㅋㅋㅋㅋ

    • @익명-q6x
      @익명-q6x 4 года назад

      @@데드형 우리나라 채용시스템을 교육 시스템이 못따라가는것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어렸을때부터 관심있는걸 계속 생각하게 해줘야 그게 자기일인줄알고 잡을텐데요

    • @SayNoToChauvinism
      @SayNoToChauvinism 4 года назад +1

      @@익명-q6x 교육 시스템이랑 본인이 흥미있는거를 공부하는거랑은 전혀 상관이 없음. 교육 시스템은 정부가 국가 발전을 위해 필요한 인력을 만들기 위해 지식을 투입하는거지 본인이 흥미있는걸 찾는건 전혀 별개의 일임.
      근데 사회라는 정글에서 본인이 흥미있는 것만으로 생존할수 있을까? 혼자라면 몰라도 나이 들고 부양가족이 생기면 전혀 이야기가 달라짐.

    • @익명-q6x
      @익명-q6x 4 года назад +1

      @@SayNoToChauvinism 저는 교육의 본질은 국가발전이 아니라 자아실현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육을 통해서 원하는걸 이루고 배워가는거죠. 현실적인 사람이시네요

  • @항암제냠냠
    @항암제냠냠 4 года назад +6

    이영상을 보고 뭐든간에 내가 직접 찾고 고민해보는 습관을 기르는게 중요하다는걸 깨달은거 같아요.

  • @ykyk1988
    @ykyk1988 4 года назад +52

    이 형은 올바른 인생관 가지는데 그리고 동기부여에 도움 많이 됨

  • @melonscout
    @melonscout 4 года назад +2

    데드형 말이 진짜 맞는 말. 박사과정중에 논문이 한편도 안 나왔다는건 진짜 와.. 내 5년 레쥬메가 빈칸이라는 말임. 지금 통합과정 2년차인데 논문 한편 제대로 안나와서 똥줄타는데 ㄷㄷ 저 말에 극공감하고 감.

  • @kochvochumkwarli2574
    @kochvochumkwarli2574 4 года назад +78

    학사든 석사든 졸업했을 때 " 이걸로 밥 벌어먹고는 살겠구나" 하는게 있어야 되는데 학교에서 배우는거 보면 좀 ㅋㅋㅋㅋ
    너무 수동적으로 바뀐듯 시험때만 바짝하고 아닐때는 다 까먹고... 근데 그게 남탓도 있겠지만 내 탓도 많다는걸 알아야 할듯

    • @mean3389
      @mean3389 4 года назад

      근데 수동적일 수 밖에 없는 게 솔직히 20대때 돈도 없는데 주도적으로 뭔가를 시도하려는 용기도 안생겨요.. 일단 경제적으로 안정이되야 뭘 하든 말든 하지

    • @infested_pigeon
      @infested_pigeon 4 года назад +11

      아무것도 모르는 햇병아리가 뭘 알아서
      능동적으로 할까요 ㅋㅋ

  • @로얄-q5y
    @로얄-q5y 4 года назад +130

    교수들 이때다 싶어 노비들 모집

    • @mj-xs5yz
      @mj-xs5yz 4 года назад +2

      이게 맞다

    • @카이-z9q
      @카이-z9q 4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

    • @허상규-j9h
      @허상규-j9h 4 года назад

      물들어올때 노 젓는다는 마인드 ㅋㅋㅋ

    • @metaler4274
      @metaler4274 4 года назад

      물들어올때 노비건지기

  • @jaykim4313
    @jaykim4313 4 года назад +4

    얼마전 에이트를 읽었는데 거기서 보니 막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이제까지의 한국의 교육이 쓸모 없어질수도 있다던데 다들 이부분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데드형 형생각이 궁금해)

  • @aS-qi3cz
    @aS-qi3cz 4 года назад +46

    R&D 연구소 분야로 가는 게 아니면 학사도 괜찮지 않나

    • @한겨울-u1o
      @한겨울-u1o 4 года назад

      근데 이분 현차같은데 왜 삼성에 대한 조언을 해주는거..?

  • @력사티쳐
    @력사티쳐 4 года назад +3

    형님 여러 복면쓴 유튜버 중에서 유일하게 구독하고 있는 채널입니다. 처음 볼때는 다른 복면이나 얼굴가린 유튜버와 그냥 다른 채널이구나라고 생각했다가, 딱 이번 영상을 계기로 형 채널을 구독하기를 잘했다는 생각을 해.
    형은 단순히 내러티브를 구성해서 감성에 호소하거나, 나무위키 등 신뢰성이 없는걸 통해 말하는게 아닌 철저히 자기 체험에 기반하고, 주변에 훌륭한 지인들의 취재 등을 통해서 최대한 객관화해 말하려는 것이 좋아.
    그리고 형이 놀았던 물들, 굴지의 대기업 연구소에서 만난 사람들과 지금 사업하면서 만나는 분들을 통해 전해주는 양질의 이야기들 정말 유용해.
    그리고 형은 항상 영상을 보면서 느끼는건 안주하려는걱 아니라 끊임 없이 자기 발전을 추구하고, 부족한걸 인정하려는 모습도 배울점이야.
    이번영상을 통해 말마고자 하는 '결과가 있어야한다' 이거 너무 너무 와닿아. 아무리 과정이 훌륭해서 학점 만점을 받아도, 자기가 목표로하는 기업이나 고시 등과 관련한 결과가 없다면 무의미하다는 사실 일리 있다고 봐.
    그럐서 대학생 4년 동안 정확한 목표의식과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어떤 결과물들로 채워가야할지 고민하는게 매우 중요하다고 봐. 대학 수업은 단지 수단에 불과하고 실질적으로 수업 외에 다른 것들로 자신을 채워가야한다고 봐.
    마지막으로 형이 저번에도 이번에도 말한 '인생은 자신이 맞다고 증명해야한다.' 이 표현은 캡쳐해서 저장해두고 있어ㅋㅋㅋ 인생에 정답은 없고, 정답이라고 믿게 만들어가는게 중요하다고 나도 생각해ㅎㅎㅎ

  • @이홍균-o5b
    @이홍균-o5b 4 года назад +8

    삼성들어 가는거 보다 버티는게 더 힘들다

  • @wooramkang4820
    @wooramkang4820 4 года назад +5

    통상 한국의 경우 논문의 정량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긴합니다 해외에서는 박사하면서 물론 논문을 한편도 안쓰는 분은 거의 없겠지만 유럽같은 경우는 논문을 안쓰는 석사가 많고 미국같은 경우도 석사단계는 더 공부하는 단계정도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럽권에서는 박사를 마치면서 한두건 쓰는 케이스도 왕왕보이므로 논문편수로 박사를 평가하는 것은 다소 편견이라고 생각합니다

    • @wooramkang4820
      @wooramkang4820 4 года назад +1

      아무래도 대학원진학도 소수고 그중 박사까지 하는 경우는 더 소수라 정보에서 다소 대중에 알려진것과 다른게 있지 않나 싶습니다. 추가적으로 물론 다다익선이지만 당연히 편수보다도 작은 편수라도 퀄리티가 더 중요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 @User-GeunChan
    @User-GeunChan 4 года назад +2

    진짜 데드형영상은 뻔한것도 없고 내용도 알차서 짱좋아

  • @direc3607
    @direc3607 4 года назад +33

    전문성을 보고 회사가 뽑는게 진짜 당연한건데 이렇게 준비안하는 사람이 태반이라는게 놀랍다. 한국교육의 현실

    • @sub-eh4zi
      @sub-eh4zi 4 года назад +6

      ㅋㅋㅋ안그래도 됐었으니까 어찌보면 당연한거지 논건 아니잖아 나름 학점 잘따고 그런건데

    • @joychopass
      @joychopass 3 года назад

      중공업시대에서는 그렇게 해도 발전했으니까
      하지만 4차산업혁명시대부터는 씨알도 안 먹힐거니까

  • @원도연-y4l
    @원도연-y4l 4 года назад +1

    내가 알던 사람중에 석사를 꿈꾸던 사람이 있었는데 마침 학교에서 학부연구원으로 제안이 들어와서 랩실에 들어감
    처음에는 도와주면 4저자라도 써주겠다
    해서 갔으나 알고보니 이미 있던거 짜깁기에 말은 저널에 투고한다고 하지만 절대로 통과될수 없음이 밝혀져서 랩실폭발 사람들 다나가고
    지인은 1년 날려서 멘탈터짐 지금은 학부생으로서 공기업준비중
    그래도 나름 서울권에 있는 학교였는데...
    즉 석사라도 교수님을 잘보고 선택해야한다는 사실을 알아야한다는 사실을 다시한번 깨달음

  • @박종송-v8k
    @박종송-v8k 4 года назад

    현재 시점에서 책임감있고 프로페셔널한 인재 필요하죠, 저도 중간직책에 책임자되면서 느껴요
    전 연구원 아니라 현장엔지니어여서 일본분 같은 매뉴얼(산업안전보건, 정석적인 방법)대로가 아니라 정확하고 시간단축해서 할수있는 방법 요새는 퇴근해도 많은 생각하게되요

  • @gaszerg
    @gaszerg 4 года назад +6

    예전 영상에는 공감안가는 이야기도 많았는데 오늘 영상 100프로 공감!
    하지만! 생각없이 석사갈꺼면 안가는게 낫다가 내생각임 , 능력없는 학사 >>>>> 능력없는 석사임 능력없는 학사는 그래도 갈 수 있는 스펙트럼이 넓은데 능력없는 석사는 갈곳도 없음
    요즘 시대는 "실력" 중심으로 채용함 , 껍데기가 중요한게 아니라 본질로 회사에서 성과를 낼 수 있는가.. 중고신입이든 석사가 중요한게 아니라 학사가 석사만큼 성과 낼 수 있으면 뽑아감
    특히, 능력 임계점이 과거에 비해 높아진 건 사실임
    + 박사가 SCI급 논문 하나 못내면 그건 제대로 된 박사가아니라 석사 6년차라고 생각함.. 박사의 무게감은 엄청난거지... 정확히 말하면, 그정도 실력없는 박사는 요즘 시대에선 취급을 안해주는거임

  • @jacobko5110
    @jacobko5110 4 года назад +61

    데드형.. 가면에 콧구멍 1개 밖에 없는데 공기 수급은 좀 괜차나..? 난 영상 내용보다 그게 더 신경쓰여..ㅎ

  • @eternalyg
    @eternalyg 4 года назад +3

    서울대 공대의 경우 박사 졸업 조건 중에 SCI 급 논편을 무조건 1편이상 써야 합니다.

  • @jsb0309
    @jsb0309 4 года назад

    항상 현실적인 내용들 재미있고 쉽게 알려주서서 감사합니다

  • @짱구는못말려-j1z
    @짱구는못말려-j1z 4 года назад +32

    대학원에서 박사과정하면서, 정말 연구적인 실력이 출중해도 교수가 붕딱같아가지고 논문 없어서 졸업 못하거나 한편 겨우 써서 졸업하는 사람 수두룩하게 봄. 데드형 말이 진짜 냉정하고 너무 냉혹하게 들릴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데드형 말 틀린 거 없음. 사회에 나오면, 결과가 없다면 과정이 어떻게 됐든 냉정한 최후를 맞이하는 듯.

    • @22ssddd
      @22ssddd 4 года назад +1

      현실이 어쩔수 없는듯 모든 직업이 높은보수에는 걸맞는 전문성을 요구하다보니

    • @nanacon1662
      @nanacon1662 4 года назад

      자기의 연구적인 실력을 알 기회도 없이 밤낮 주말없이 일만 하다가 겨우겨우 졸업논문 하나 쓰는 석사들 꽤 된다는것에 동감합니다. 이공계 연구를 하려면 실험재료비가 있어야 되는데 교수가 그런쪽 사업을 안하고 컴퓨터 뚜들기는 물사업만 하면 연구를 할래야 할수가 없죠. 무슨 위인전급 인물이라면 혹시 몰라도...

    • @sbseo6281
      @sbseo6281 4 года назад

      @@nanacon1662 우선 어느 전공인지는 모르겠지만 최근 연구환경은 협업 및 공동 연구가 주를 이루다 보니 석사과정 학생이 학위 논문 이외의 논문을 쓰는건 쉬운일은 아닙니다.(1저자 기준)

  • @백뿌-g2d
    @백뿌-g2d 4 года назад +1

    공대생으로서 내 사업을 하고 싶은게 꿈이였는데 현장에서는 한양대도 막 그렇게 매리트가없다니...
    편입 준비하고 있는데 정말 열심히해야겠네요.

    • @HJChoi-qk9nh
      @HJChoi-qk9nh 4 года назад

      서울대도 실력없으면 메리트 없어요
      아니 애초에 대학 메리트는 일주일 가나??

  • @조수석엔오천만원
    @조수석엔오천만원 4 года назад +1

    현차 경력이 있다고 하시길래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U2디젤(유로6, SCR미적용) P014고장코드는 왜 이리 자주 발생할까요?

  • @보승서
    @보승서 4 года назад +1

    형 혹시 해외대학 대학원 석사 취업은 어때? 국내 대학원보다 메리트가 있을까? 지금 일본대학교에서 석사 진학 예정인데 괜찮을까 하고. 그리고 산업계에서 일본 위상이 많이 떨어진것도 알고 있는데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 공학에서 일본어의 효용성도 궁금하고. 영상 항상 고마워!

    • @야꿍-c4r
      @야꿍-c4r 4 года назад

      보승서 미국 탑20내 아니면 국내에서 안쳐주더라구요 ucla나와서 국내기업 지원했는데 인서울 상위권 정도로 쳐주는거 같아요

  • @mcs4239
    @mcs4239 4 года назад +75

    결론: 석사해야 대기업 가는거 아니다 /뽑더라도 아무 석사나 안뽑는다 / 학,석,박사들 사정이 이 어떻든 결과가 중요/ 좋은 결과를 도출하면 학사든 석사든 대기업간다
    + 석사 지원 많아지면 교수들은 밥줄 튼튼 and 노비 많아짐 = 교수 졸라 좋다,

    • @띠룩
      @띠룩 4 года назад

      막 줄이 핵심이네요

  • @zone9633
    @zone9633 4 года назад

    혹시 SCI 쓰셨다는게 어디를 쓰신건가요??SCI라도 같은 급이 아닐텐데... 그리고 김박사넷은.. 교수가 요청하면 댓글 삭제 가능 한걸로 알고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형님이 생각하는 sci쓰고나와야하는것에대해선.. 박사는 당연히 써야겠지만.. 나머지는 글쎄요... 뭐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있는분야에서 석사가 sci를 쓰면 엄청 대우받거든요

  • @제로코-w1q
    @제로코-w1q 4 года назад +3

    학부생이 대기업에 입사하면 비중이 적고 엑셀만 두드린다고 들었습니다. 현업에 계신분들 만약 학사따고 대기업 갈 수 있다고 하더라도 정말 비중이 적고 엑셀만 만지작거리는게 현실인가요? 석사 정도는 해야 회사에서 영향력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queenstower9874
      @queenstower9874 4 года назад

      분야에 따라 다르지만 과연 전공맞춰 회사에 입사한 공대생 비율 50%(기름집 입사한 전자공학도), 전공에 맞는 업무하는 비율 그중 30%(삼성전자에서 마케팅 대리점관리하는 화생공학도) 이게 ㄹㅇ 현실임

  • @숩재
    @숩재 4 года назад +116

    지나가던 문돌이 입니다. 그냥 지나가겠습니다.

    • @Hifi-g1l
      @Hifi-g1l 4 года назад +10

      계속 지나가시면 됩니다~

    • @kawaiionnadesu
      @kawaiionnadesu 4 года назад +6

      나바보됏다우...

    • @rick13299
      @rick13299 4 года назад +6

      제 밑으로 지나가주세요~

    • @현재-f5y
      @현재-f5y 4 года назад +32

      좀만 더가면 한강입니다 행님 살펴가십쇼

    • @숩재
      @숩재 4 года назад +33

      @@현재-f5y 즉당히 좀

  • @taptap4734
    @taptap4734 4 года назад +12

    석박해보면 학사랑 정말 다른게 느껴짐
    전문성이 급이 다르니까
    기업이 좋아할수밖에
    연구직은 당연히 학사를 안 뽑을 수밖에없지 학사뽑으면 가르치고 알려주고 하는데 몇년걸리고 시간썼는데도 실력 안될수도있음
    + 박사라면..특히나 서울대라면 sci급 하나 없으면 아마 수료고 졸업은 아닐거같네요

    • @주인-v5k
      @주인-v5k 4 года назад

      석사는 솔직히 학사랑 별반 다를바 없는데 ㅋㅋ..
      요새는 취업 못해서 가는 애들이 태반이라 ㅋㅋ
      능력 좋은 애들은 학사로도 잘감

  • @thereisnojusticeremember
    @thereisnojusticeremember 4 года назад

    형님 정말 좋은 얘기 감사합니다.
    모든 분야에서의 성공은 치밀하게 준비된 계획과 실행하는자만이 가질수있죠.
    상황과 환경탓으로 실패한 자신을 위로하고 합리화하는 순간 자신은 빠져나오기 힘든 미로에 빠진다.
    제가 형님 말씀듣고 느낀바입니다.

  • @gunsum-pray
    @gunsum-pray 4 года назад

    영상 잘 보고갑니다. 치열하게 살고있다고 생각했는데 조금 더 치열하게 공부해야겠다는 다짐을 해봅니다.

  • @mean3389
    @mean3389 4 года назад +7

    한양대 출신인 형도 서울대들 한테 쭈그러지네.. 엘리트의 세계란 진짜 가혹하네 참.. 나같은 설잡대생은 어떻게 살아야하나

  • @jeremypark77
    @jeremypark77 4 года назад

    이번 학기 부터 공대 복전하면서 어떻게 학교생활을 할지 고민이 많았는데, 영상보고 어느정도 정리가 되는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 @sebin526
    @sebin526 4 года назад +1

    결국 학사를 하던 석박사까지 하던 중요한건 그냥 묵묵히 열심히하는게아니라 자기 전공분야에 자기주도적으로 깨어있어야되고 그게 결과물로 나와야된다는 거네 진짜 어렵다

  • @비매너처리반
    @비매너처리반 3 года назад

    형 현차 삼전 대졸 전형으로 갈때 고교 생기부 ,내신 중요해?

  • @박준성-u3s
    @박준성-u3s 4 года назад

    한국,중국,일본은 대학원에서 SCI급 논문을 중요시하지만 MIT, 프린스턴, 하버드등 다른 모든 유수의 대학은 박사 졸업할때까지 논문한편 안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지 그들이 어떤 연구를 했고, 어떤 Lab에 있었는지를 중요시한다고 하네요. 한, 중, 일은 연구중심대학이라 그런 특성이 있는거 같습니다.

  • @isabellakim207
    @isabellakim207 4 года назад

    글쓴분도 공대이시고 대부분 이공계쪽 얘기하시는데, 문과쪽은 어떤가요. 교육기획 운영쪽은요, 물론 여기도 석사의 학사화가 되었지만, 실질적으로 인문쪽도 대기업,공기업 채용에 큰 도움이 될런지요. 전 현재 회사다니며 교육대학원 야간으로 가려는데 주변에선 그냥 '학위'를 따라는 주위예요 실질적으로 현업에 접목되는부분이 거의 없나봐요..
    이럴경우 꼭 석사가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이공계와 어떤 차이로 필요한지, 꼭 스카이여만 하는지 아니면'학위' 로 어떤대학원도 괜찮은지, 좋은학점이나 논문을위해 노예로서 지내야하는지 알고싶습니다.

  • @55087
    @55087 4 года назад +11

    사실 이 말이 맞음 세상이 어려워지면 그거 맞춰서 자신도 노력해야 하는데 모든 사람들이 노력대비 '쉽게'가는 방법만 얻을려고 함. 세상은 복잡해지는데 성공하는 법은 단순화시키고자 하는 욕망에서 서울대 박사 퍼스트 라든지 이런 게 생겨나는 거임.
    근데 난 이걸 알면서 싸강도 안 듣고 이러고 있네...

  • @devart6443
    @devart6443 4 года назад

    형님 3주전에 중앙대 안성캠에대한 이야기 다뤄주신다고 하셨는데 꼭 한번 부탁드립니다. 재학생의 입장으로서 객관적인 문제를 알고싶네요

  • @sbs7360
    @sbs7360 4 года назад +3

    이공계가 삼전가기 수월한편. 문과는 TO가 적어 삼전 뚫기 힘듬.

  • @김춘배-m9w
    @김춘배-m9w 4 года назад

    형 follow the party 에 대해서 다뤄줬으면 좋겠어 직접 찾아보기에는
    자료 만드는 사람들의 성향이 다 보수인지라 ㅋㅋ 객관적이고 중립적이면서도 믿을 수 있는 사람의 설명과 의견을 들어보고싶어

  • @오골계-c5n
    @오골계-c5n 4 года назад +1

    석사 박사 과정 .. 꿈이있어도 금전적인문제 .. 그런거 다 포함해서 하고싶어도 못하는 사람 많습니다.
    가슴이 찌져지네요. 돈벌기를위해 장래를위해 하는사람 많습니다. 그래도 자신의 기술을 스펙을 꿈을 위해 달리는많습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 @이시연-q3g
    @이시연-q3g 4 года назад

    식품공학과의 전망은 괜찮을까요? 생명학과는 취업쪽으로 전망이 밝지 않다고 많이 들어서요

  • @jackchris8265
    @jackchris8265 4 года назад +1

    연구소 가려면 석사 이상 하는게 좋아요.
    석사 이상이면 선행기술개발 팀에 배치될 수 있어서 멋진 일을 할 수 있으니 좋고요.
    공부 많이 할 수록 더 좋은 회사 더 좋은 팀에 갈수 있으니 당연히 더 좋죠.이건 20년 전에도 그랬고 상식입니다

  • @귀염티모-k5f
    @귀염티모-k5f 4 года назад +2

    대학원생은 노비라도 쓰는데..문과는..어디에..쓰면되요?...

  • @rainj9697
    @rainj9697 4 года назад +34

    진짜 쓰레기교수만나서 다른데도 못가고 졸업도 못하는 박사형들 있어요;;;;제 동기/지인/아는분중에 교수 안쓰레기라고 했던 사람없고 대부분 증상이 중, 중상, 상급이었습니다

    • @Tae_bboong
      @Tae_bboong 4 года назад

      박사를 시작하기 전에 그 랩실 어떤지, 교수는 어떤지 안알아본게 잘못,행여 시작했더라도 1~2년쯤 지났을 때 튈 수 있음에도 븅신처럼 갇힌게 잘못.

  • @이재오-l1y
    @이재오-l1y 4 года назад +1

    살아보니깐 대학원생 진짜 추천드립니다. 뭐
    되려 교수 노예라는 말도 있고 그러시던데
    막상 줘교들이랑도 가깝게 지냈고 교수도
    잘해줘요... 취업할때도 유리하고 생각보다 즐겁게 지냈어요~

  • @디앤더더
    @디앤더더 4 года назад

    오늘 영상 형 채널 취지랑 잘 맞는것같넹ㅎㅎ

  • @ssoon9793
    @ssoon9793 4 года назад +31

    저도 지금 데드형이랑 같은 학교에서 박사과정 중입니다. 석사시절부터 해서 진짜 개처럼 구르고 있습니다.
    교수 욕도 오지게 하지만 그래도 내 실력이 쌓이는걸 느낍니다. 대학원 다니면서 드는 생각은 "와 진짜 지금도 전공에 대해 잘모르겠는데 학부만 졸업했으면 큰일날뻔 했다"라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
    진짜 전공분야에서 한가닥 하고싶은 생각이 있다면 대학원으로 오세요. 본인의 실력을 키울 수 있는 마지막 장소입니다. 취업 안된다고 대학원 오시는 건 비추에요. 정말입니다.

    • @kkkkk8039
      @kkkkk8039 4 года назад

      데드 한양대 인증 함??

    • @이름-r3y6l
      @이름-r3y6l 4 года назад +4

      @애기인직곤규 ㅋㅋㅋㅋㅋㅋ 미친놈이네 그걸 인증해야아냐?

    • @김동희-g3m
      @김동희-g3m 4 года назад +1

      @@kkkkk8039 인증하긴함 한양대 의대나온친구 영상보면 동기였다고 말함

    • @metaler4274
      @metaler4274 4 года назад

      인증안해도 말하는 내공이 한양대 그 이상이지

  • @DaeYeonKim-n1m
    @DaeYeonKim-n1m 4 года назад

    알앤디 말고 생산(생기,생관,품질등)은 석사를 안해도 괜찮지 않나요..??

  • @Might-Boy
    @Might-Boy 4 года назад +8

    근데 서류에서 탈락한거면... 그냥 나가리 아닙니까 형님..? 그런 어필은 우선 면접쯤가서 해야하지 안겠소..?

  • @innnsTV
    @innnsTV 3 года назад +1

    공대+석사2년+박사5~7년 하느니
    차라리 수의대가서 병원 차리는게 편함
    ㅋㅋㅋ

  • @gmvisck
    @gmvisck 3 года назад

    학점으로 취직할 생각말고 기업이 원하는 사람이 되야제..

  • @ZeroPepsi443
    @ZeroPepsi443 4 года назад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자차유-h1o
    @자차유-h1o 4 года назад +1

    대학원 나와서 연구할줄 알았는데, 막상 교직으로 가니까 내가 왜 대학원엘 갔지? 싶었음. 그런데 학교가면 대학원에서 배웠다는 것들이 도움이 되긴 함. 특히 학종시대에 학생들 각각의 스토리를 만드는데, 이과 학생들의 자기소개서나 동아리 독서 활동들 방향잡을 때, 전공 적합성? 이거 맞추는게 참 좋음. 역시 대학원 노비짓을 해봐야 교수들이 좋아하는 학생의 냄새를 풍길수 있으니까 말이지. 해본 놈이 알긴 함. 데드형 영상보면서 이걸 애들한테 보여줘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이긴 해.

    • @데드형
      @데드형  4 года назад

      교수들이 좋아하는 포인트 아는건 진짜 중요한덕목인듯ㅋㅋ

  • @성이름-w4e2i
    @성이름-w4e2i 4 года назад +3

    대한민국의 현실임 ㅇㅇ 자기가 좋아해서 가는게 아니라 취업보고 가니깐 좋아하지도 않고 아무런 준비도 안된상태에서 그런 전문지식을 배우는데 당연히 머릿속에 다 안들어가지...그래서 삼성도 최소한은 알고 있어야 쓸만하다고 생각하니깐 석사를 뽑으려고 하는거겠지....당연한건데 당연하지 않게 만드는 대한민국 교육의 현실 ㅋㅋㅋ

  • @이현우-n8t
    @이현우-n8t 4 года назад +10

    석사에대해 너무 좋게만 얘기하네요. 단순히 취업만을 위한 진학은 오히려 취업을 힘들게 만들수있습니다. 어중간한 전문성, 좁아진 취업 분야 등..

  • @borntobeseop
    @borntobeseop 4 года назад

    몇가지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윤열-h5x
    @윤열-h5x 4 года назад +1

    교수님 여기서 이러시면 안됩니다.

  • @KennethWebb8822
    @KennethWebb8822 4 года назад

    작년까지 학사도 가능했습니다. 면접은 블라인드였거등요. 팬대믹 때문에 이제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학사로 들어간다 한들 파트타임 석사할려고 할겁니다. 석사한테 밀리거등요

  • @chhbang
    @chhbang 4 года назад +1

    실제로 저는 대학 도서관에서 스티브잡스를 쓰레기 사기꾼으로 묘사한 책을 본 적이 있어요. ㅋㅋ (25년전?)

  • @Berserker195
    @Berserker195 4 года назад

    요번에 석사이상 과정들 대거 붙여준 거 같던데, 지금 일본도 이공계 진학하는 학생들은 석사는 당연히 가야되는 걸로 인식하고 있고, 실제로도 이공계는 6년 과정이라는 말을 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그런지라, 한국도 이공계로 진학하는 학생들은 석사까지 가는게 기본이 되는 시기가 오리라 생각이 드는 군요

  • @곰도리-q3j
    @곰도리-q3j 4 года назад +21

    취직은 안되고 할것은 없고 그냥 석사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겠지
    데드형 말처럼 본인이 주도적으로 무언가를 할거 아니면 석사 이상 하지 마라
    석사 이상 하면서 논문 하나 제대로 못내면 그게 이공계 석사니?

    • @jackchris8265
      @jackchris8265 4 года назад

      스카이 서성한 공대에서는 기업에서 학부 4년 산학장학금 이미 다 받고 석박사 까지 하는 사람 흔해.어디 시골에서 올라 오셨어요?

    • @안이-r9x
      @안이-r9x 4 года назад +1

      jack chris 문맥 파악이 10년동안 산골에서 혼자 사셨나요?

    • @jackchris8265
      @jackchris8265 4 года назад

      @@안이-r9x 스카이서성한에서도 취직이 안되서 석사 시작하겠음?

    • @오골계-i6s
      @오골계-i6s 4 года назад

      @@jackchris8265 이번에 학사 박살난거 아닌가요

    • @periodic4556
      @periodic4556 4 года назад +2

      @@jackchris8265 이번에 설포카연고 서성한 학사 석사 다 개박살 났는데 무슨소리.. 그리고 .... 계약학과가 아닌이상 어느 기업이 미쳤다고 학부4년을 산학지원금을 줘요,,,,? 심지어 석박사까지? 계약 설립분야말고?
      저는 진짜 듣도보도 못했습니다. 나랑 내 동기들 선후배들을 왜 못받앗찌 ?

  • @ilil3259
    @ilil3259 4 года назад +1

    데드형 재외국민 전형에 다뤄줄수 있어?

  • @jiresma5880
    @jiresma5880 4 года назад

    학부생 마인드를 버리지 못하겠으면 사기업보다는 전문직이나 공기업, 공무원이 낫단 얘기죠?

  • @aa-us2ui
    @aa-us2ui 4 года назад

    사업할때 한양대 vs 연고대 vs 서울대의 차이가 큰가요?? 그런어투로 말씀하셔서... 수능으로치면 1~2문제 차이인데..

    • @seoulkanis
      @seoulkanis 4 года назад +1

      글쎄여 저희아버지 중소기업 매출 500억대나오는 제조업회사 사장이신데
      한양대 공대나오셨거든요 근데 저희아버지 업계쪽은 한양대출신이 많아서 그렇게 학벌로 손해보고 이득보고 그런거없다시네요 물론 저희아버지는 80학번이라 그시절 한양대위상과 지금 한양대위상은 다르긴합니다만... 애초에 사업할때 계약하거나 그럴때 학교물어보는사람 아무도없고 관심도 안가진다고합니다.
      그냥 대화하다가 저 거기나왔는데 하는정도지
      물어보는사람 아무도없데요..그렇다고 막 플러스되는것도아니구요
      물론 업계마다 다르긴합니다
      그냥 남들보다 "약간"의기회가 생긴다뿐이지 그게 절대적인건아니에요
      스카이나온다고 성공하는것도아니고 지방대 고졸이라고 실패하는것도아닙니다.

  • @s.aguero7431
    @s.aguero7431 4 года назад +2

    이게 참 존나 웃긴 게 대한민국식 교육이 먼저 바뀌고
    기업이 준비된 많은 사람들한테 그런 요구를 해야하는데
    그냥 좆까라 운 좋게 코스 밟아온 놈들만 뽑는다 이러는 게 문제임.
    아무리 듣기 좋은 입발린 소리만 하면 뭐하냐 이거임.
    근본적인 건 고치려고도 안하니 문제가 사방팔방 터지지.

  • @스트레일리-h7o
    @스트레일리-h7o 4 года назад +15

    전문직이 국룰!

    • @kawaiionnadesu
      @kawaiionnadesu 4 года назад +5

      ㄹㅇ 직업에 귀천은 없지만 굳이 무슨 직업 가질거냐 묻는다면 당연지사 전문직...

    • @attorney_k4269
      @attorney_k4269 4 года назад

      화이팅..

    • @야꿍-c4r
      @야꿍-c4r 4 года назад +1

      전문직을 못해서 대기업가지 할수있는데 누가 대기업가나요 ㅎㅎ...

  • @YGYGkkk
    @YGYGkkk 4 года назад +1

    데드형 코로나 조심해야해여... 마스크 쓰세요

  • @geneeu6098
    @geneeu6098 3 года назад

    진짜 현실적이네

  • @김삿갓-y4i
    @김삿갓-y4i 4 года назад +1

    ㅋㅋ 이제서야 회사들이 좀 정신차리나보네요. 진작에 이런걸 물어봤어야했는데... 옛날엔 무슨 싸구려 감성, 열정,패기 그걸 보여줄수있는 오디션 면접이니 ㅋㅋㅋ

  • @gerrypark5519
    @gerrypark5519 4 года назад +1

    데드형이 많은걸 알려주네 실제로 미국에 좋은 대학들이 가장 중요시하는게 글쓰기거든 글쓰기 많이 트레이닝받음 한국에서 어문계열 빼고 그런 강의가 있나? 의학드라마도 한국은 천재적인 의술이라면 외과 수술 실력을 바탕으로 하는데 미국은 그냥 크레프트 맨이라고 기술좋은 사람이라고 하고 미국엔 그렇게 기술좋은 사람도 없음 기본적으로 손이 커서 동양인에 비해 수술이 힘들것임. 얘들 드라마 보면 병을 연구하거나 찾아내는 의사들에 관해서 많이 다루지. 그래서 미국의대 랭킹도 연구과 임상으로 나눠어서 되어있어 하버드 존홉 같은 곳은 연구 랭킹 1,2위 임상은 주로 주립대들이 상위권에 있어...학부때 글쓰기 연습 많이 하길 영어로 논문쓸일이 있을수도 있으니 구글링해서 책 찾아보고 글쓰기 연습 많이 해서 학위 잘따길...

  • @GoodGuy374
    @GoodGuy374 4 года назад +1

    실력만 있으면 학벌 구려도 다 데리고 간다. 특히 IT쪽은 핵커랭커나 각종 코드 테스트 사이트에서 고레벨 유지하면 여러 회사에서 알아서 모셔갈려고 한다. 음.. 근대 다른 분야는 솔직히 모르겠다. 내가 봤을땐 IT쪽 제외한 다른 분야는 사자 돌림 아니면 미래가 없다고 본다. 특히 인사, 마켓팅, 영업, 회계 이런 부서들은 대체가 너무 쉽게되서 의미가 없다본다. 솔까 그 부서들은 고졸 데려다놓고 교육만 시켜도 사원, 대리때 하는 잡일은 모두 커버 가능함.

  • @느느-w4e
    @느느-w4e 4 года назад +1

    저하고는 상관없는데 너무 재밌네요 ㅎㅎ 재밌게 잘봤습니다

  • @niceyoungmo
    @niceyoungmo 3 года назад +1

    학사고 석박사고간에 형식적으로 커리큘럼이나 수료하는 정도로는 산업계 요구치에는 한참 못미친다는 얘기임

  • @ji-hunchang8350
    @ji-hunchang8350 4 года назад +1

    이젠 업무전문성이 없으면 안되여, 학벌이 문제가 아니고 전문성을 키워야해요,

  • @kenji7795
    @kenji7795 3 года назад

    79년도에 미국에서 보이져2호 쏘아올린것처럼 삼성도 그런인공위성 만들어가지고 우주로쏘아올려서 태양계행성 탐사하면서
    8개 행성사진찍고 행성근처에서 8개 행성각각특유의 소리도녹음시켜서 사진이랑 녹음파일을 지구로 전송시켜보시죠.요즘첨단기기 성능도좋은데 삼성직원 인재분들의 천재적인 실력이나 기술력이면 불가능한일도아니지싶은데요 잘난척그만하시고....

  • @피해자A씨
    @피해자A씨 4 года назад +1

    형 다음번에는 주식영상 한 번 찍어줘!

  • @ejh09021
    @ejh09021 4 года назад

    형 카메라 바꿨네 최고야!

  • @빠빠-w7y
    @빠빠-w7y 4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저 20살인데 지방대 소프트웨어학과갔는데 네임이 좀 딸려서 반수할까요 학교 컬큠이나 그런건 좋은데 네임이 떨어져서..어케할ㅋ가요

  • @조범근-p3i
    @조범근-p3i 4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02학번이신데 형이랑 비슷한 말 하신거 같음 상담할 때

  • @enjolee2838
    @enjolee2838 4 года назад +2

    나 학사인데.. R&D에서 열심히 반도체 연구 하고 있음. 주변에 학사들 많습니다.

    • @kawaiionnadesu
      @kawaiionnadesu 4 года назад

      회사 으디?? 글고 가장 중요한, 님이 회사 언제 드갓는지도..

    • @백뿌-g2d
      @백뿌-g2d 4 года назад

      @@kawaiionnadesu SK하이닉스 로 예상해봅니다!

  • @새벽양-w7j
    @새벽양-w7j 4 года назад

    자동차는 미생채널만봤는데 여기도 재밌네여 공학적으로

  • @lostliferoad
    @lostliferoad 4 года назад

    데드형 나이가 몇이야?!... 나이 많아봤자 한 스물 둘 셋 애인줄 알았는데 ㄷㄷㄷㄷㄷ

    • @데드형
      @데드형  4 года назад

      이제 곧 40인데 스물둘셋이라니ㅋㅋ

    • @lostliferoad
      @lostliferoad 4 года назад

      @@데드형 와 ㅋㅋㅋㅋ 동안(?!)분위기인가 첨에 볼때는 뭔 애가 나와서 저러나 싶었는데 ㅋㅋㅋㅋㅋㅋ 행님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