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의 전기는 실화를 기반한 사실이지만, 제갈량의 얘기는 문학적인 창작이 대부분입니다. 다만, 그가 저술한 '출사표'가 출중하여 오히려 충성스런 문학자로서는 존경받아 마땅하나 엄밀히 정사의 업적과 연의(창작물, 사극)의 픽션을 비교한다면 가히 그 위대함은 비할 바가 전혀 아니죠!
I always thought it was a terrible shame that so many Korean nobles were against 이순신 during his life. I was very happy to see the statue in Seoul and know he is now honored. May South Koreans remember and not fight each other.
이 영화를 보고 느낀점: 아무리 단 한번의 패배가 없었어도 일본군을 상대하면서 고민을 많이 하고 힘들어 했던 이순신을 보았음. 일본군을 쉬운 적으로 보지 않았고 또한 얕보지 않은 모습도 보았음. 또한 만일 칠천량 해전이 영화로 나온다면 우리는 그 영화를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할까...?
그반대였죠 학인진은 이미 널리 알려진 전술중에 하나인데 이순신은 뜬금없이 바다에서 깨질게 당연한 학인진을 피고 있으니 일본의 수군들도 그냥 바보로 알고 더 얕잡아보며 들어왔죠.일본군이 신개념 전술을 봐서 놀란게 아니라 쓸데없는 상황에 불리한 전술이나 다름없는 학인진을 바다에서 피고 있으니 놀란것입니다. 물론 결과는 판옥선의 이점과 거북선의 배치로 막아낸것이 진짜 전략이였죠.
This movie is so good, normally I don’t like watching historical war film but I cry, yelled and holler in happiness when Admiral Yi won. It was such an emotional roller coaster and I cry so hard seeing the first film too. This is so good, Admiral Yi is truly a great historical hero that transcends beyond what is brave and loyalty and love for a country is about. Love love this movie!
formidable film, je l'ai déjà vu trois fois, j'attends avec impatience le troisième volet de l'histoire de ce formidable amiral et de ce peuple si digne, on peut souligner aussi que Joséon aura fabriqué le premier cuirasser et non nous, la France 훌륭한 영화, 벌써 세 번 봤어요, 이 위대한 장군과 이 가치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의 세 번째 부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가 아닌 조선이 최초의 전함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프랑스
목재의 강도는 조선쪽이 더 강했던게 사실임. 실제로 실록에도 왜적들이 전라도에서 목재를 구해서 배를 만든다는 기록이 있음. 다만 영화처럼 들이받아서 부수는 전술은 없었음. 한반도 전통 목선은 용골이 없어서 충격에 강한 구조가 아니었고, 애초에 목선으로 적선을 부수려고 들이받으면 들이받는 쪽도 같이 부서져버림. 현대 철선도 체급 비슷한 배랑 충돌하면 대형사고가 터짐. 이순신이 당파라는 용어를 기록하긴 했는데 뒤에 대포로 적의 배를 깨부쉈다는 설명이 있음. 영화마냥 들이받는건 완전한 허구 ㅇㅇ.
도도 다카도라는 이순신의 첫 출전이었던 옥포해전 때를 시작으로 일본 수군 장수들 중에서도 제일 많이, 자주 뚜드려 맞은 장수였습니다. 영화 속 시점에서 신중론을 펼쳤다기보단 걍 자포자기인 거죠. '에휴, 망했네 망했어.....' 이런 느낌으로. 웃긴 건 정작 실제 역사에선 명량대첩 당시엔 제일 많이 당했던 도도 본인도 방심했으며 오히려 와키자카 딱 한 사람만이 신중론을 펼쳤다고 합니다
As historical accounts has shown...Korean technology and innovations are always on par with stronger and larger militaries anywhere in the world. I hope the Philippines will always patron and join hands in friendship and cooperation with Korea.
Очень интересно смотреть такие фильмы в которых физика сделана на манер Индийского кино)) Такие тяжёлые корабли шли по воде со скоростью не более 5 миль в час - это 10-11 км, немногим быстрее пешехода. А показывают так словно они летят по воде и врезаются с такой скоростью и силой, что другие корабли просто в щепки! А ведь это не парусники, а обычные весельные
Actually, this naval battle was a small-scale battle, and there was no major damage to both sides, so it was not a big event to make a movie. Certainly, Kurushima Michifusa, one of the KIA of the Japanese navy, is the only daimyo who was killed in the Imjin War, so it must be amazing...
Why do you think this battle was small-scale? In the real history of battle of Hansando, 55 Joseon warships incapacitated 59 out of 73 Japanese warships. What do you think is the standard for large-scale naval battle?
People are amazed by the technology of "turtle ships" until they realize that they were a product of the 1600s+. During this same period elsewhere in the globe there were already "ships of the line" that had unique hull designs that were practically impervious to the caliber of canon used by Koreans (mating thick and dissimilar woods to make them shatterproof), were capable of traversing blue waters safely (turtle ships were for calm waters near land only), and were firing three decks of guns, the lower of which were massively greater range and poundage (up to 48 pounders) than the turtle ships, and would have been able to sink them from great range. In fact, their naval technology was so much more advanced that when these ships reached Asia, only a handful were able to both open Japan to trade (the black ship) and cause the fall of a Chinese dynasty and create the "century of humiliation". When it comes to ships, Europeans are where its at, everyone else was practically in canoes. If you wanted to see a decisive victory, they should show the Spanish Armada show up on the horizon...
after all, the Chinese dynasty had a massive loss against Europe because their ship had no development from the past. Also, many soldiers and civilians were already addicted to the poppy drug (if I'm right). After all, countries in Asia didn't have much of a modernization in navy or other armies since 1700 or 1800. But one thing sure is that Lee Sun Sin was@@BoopSnoot a brilliant general.
@@hoonkil3060 China was actually ahead of the Japanese in technology overall too, which is why the turtle ship was so successful. Japan's ships were really just square sail shallow draft slow transport barges with buildings built on the deck, where they would hook onto and board enemy vessels and fight hand to hand, much like the Roman military from antiquity did to compensate for their worse ships than all the other naval powers. In fact, speaking of ancient ships, I wouldn't be surprised if an ancient Greek trireme formation wouldn't sink a Japanese fleet as they were far more maneuverable and with three times the rowers and their super slender shape could run circles around the Japanese ships. The turtle ship likewise was made to counter the Japanese bombard and board tactic by being designed solid and sealed (spikes I think were more for show) so you couldn't just jump on board to fight or reign down arrows, so not much strategy was involved you just went full speed and rammed the Japanese ships, and then fired smaller caliber canons at practically point blank range. I always wondered why an island nation like Japan never invested more into naval technology. My best guess is that there was just always too much infighting ON the island to worry about threats from outside the island.
@@BoopSnoot Chinese ships were not as advanced as they seemed, after the Ming dynasty's 1400 era ship travel, stopped and the Ming dynasty didn't find the importance of ship development since they would be fine on their own land. So that is the reason they built canals around the territory and after that, Ming's ship was abandoned and nearly broken. Also, the Japanese mainland, was united by Toyotomi Hideyoshi, and the mainland wasn't in very bad shape. That is the reason Japan tried to invade Korea since they looked so weak to them, however, Korea's king escaped from the capital and even though Japanese troops arrived at the capital, they couldn't surrender from the King. Overall, the Korean army was basically dead and in the Korean Peninsula, it was more of a fight between Japan and the Ming Dynasty. Also with ancient Greek trireme formation? They would be dead by guns and cannons even before they'd reach close enough. Although the ancient Greek trireme was highly manual and fast, you can't compare a gun with a sword in this era.
백병전을 유도하기 어렵고 목질이 단단하여 적진을 헤집고 다니기는 유리했을 것으로 생각되나 충파를 적극적으로 이용했다고 보기는 어려울것 같습니다. 거북선은 동양의 전통적인 8자 노를 사용했습니다. 파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꾸준히 추진력을 받을 수 있으나 한번에 큰 추진력을 받긴 어려운 방식이며 이는 충파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마 적진에 들어가 총통을 쏘며 전열을 헤집는게 거북선의 역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또한 바다 위의 성이라는 표현은 조선 수군의 판옥선이 왜군의 함선보다 높은 구조인 경우가 많았기 때문일 겻으로 생각됩니다. 임진왜란 당시 왜 수군의 전략은 가까이 붙어 갈고리를 걸고 배에 올라타 백병전을 유도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경우 상대의 배가 더 높은 위치에 있다면 공성전과 비슷한 양상을 띄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바다 위의 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한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첫장면 철갑선이 두려웠는데, 숨막히게 등장하는 거북선!
진짜 가슴이 터질것 같습니다!
음악 대박입니다~☆
노량 개봉 앞두고 다시 한번 보고 감~
뭉클하네요!
개인적으로 이순신은 전쟁의 신이다........ 제갈량 10명하고도 바꾸고 싶지 않다..... 인품.전략.부하에 대한 신뢰.충성심.백성을 최고로 아는 미덕....
제갈량은 촉나라와 주군의 의리에 보답하고, 이순신은 나라의 근본인 백성들을 위해 싸웠지요. 불패전신.
제갈량 이순신 둘다 존경스런 인물들입니다. 저는 한국인이기에 우리나라에도 뽐낼만한 위인이 있고 그러한 인물이 우리의 조상이었다는것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이순신의 전기는 실화를 기반한 사실이지만, 제갈량의 얘기는 문학적인 창작이 대부분입니다.
다만, 그가 저술한 '출사표'가 출중하여 오히려 충성스런 문학자로서는 존경받아 마땅하나 엄밀히 정사의 업적과 연의(창작물, 사극)의 픽션을 비교한다면 가히 그 위대함은 비할 바가 전혀 아니죠!
역사적 제갈량은 구라가 대부분 입니다.
다만, 첩보전에 능했다는 평가는 팩트로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소설 삼국지의
이야기는 허구라고 생각하시면 맞습니다.
공교롭게도 이순신과 제갈량 둘 다 시호가 충무죠 이순신은 누구나 다 아는 충무공, 제갈량은 충무후
I always thought it was a terrible shame that so many Korean nobles were against 이순신 during his life.
I was very happy to see the statue in Seoul and know he is now honored.
May South Koreans remember and not fight each other.
How do you know all this? Wow
North Korean also greatly revers and respects him as well, which is one of the few things both nations agree on
Unfortunately, not yet.
Korea still has so many conflicts, and it is continuing.
@@Lightingwarrior항일.반일은 사회주의도 하는 거니 그리 중요한 일 아니다.
@@세점박 그렇다면 우리는 정치에 관해 이야기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히 당신의 요점이 무엇입니까?
2:18 사천해전에서 이순신 팔 부상당했었는데 이 장면에서 자기 사람을 구하기 위해 앞서 나와서 활 들었을때 국뽕 차오름 ost도 깔맞춤이고
말그대로 전설이다 감사합니다 장군님
그렇게 목숨바치신 나라
망조를들게하구있습니다
죄송합니다
3:00 이게 바다위의 성이란 것이다
5:16
이순신이 말하는 '압도적인 승리' 가 한산도 대첩만을 말하는 줄 알았더니, 그 뒤에 대승을 거둔 여러 해전까지 포함하는 말이였구나
지금에 와서 생각 해보니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수명이 참 길었던거
같소이다.
그렇게 화포 세례를 받았는데도 살아남아서 무인도에서 미역 먹고
버티더니만 명량해전 까지 나오구
결국엔 본국으로 귀환 해서
전쟁경험을 책으로 냈을정도 이니...
그렇게 질기게 살아남고 정유재란 후에도 와키자카 가문은 오사카전쟁때 히데요시가문을 모두 배반하는데도 배반하지않고 끝까지 싸웠음에도 반대측의 존경과 인정으로 살아남고 그후에도 온갖 수라장을 끝까지 살아남아 지금도 명문가문으로써 명맥을 유지중입니다
진심 살아남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를 실현한 가문
몇번을 봐도 정말 대단한 명장면 전쟁의 신 이순신 장군 감사드립니다
우리에겐 압도적 승리가 필요하다 이말에 가슴이 차올랐습니다 장군님
이 영화를 보고 느낀점: 아무리 단 한번의 패배가 없었어도 일본군을 상대하면서 고민을 많이 하고 힘들어 했던 이순신을 보았음. 일본군을 쉬운 적으로 보지 않았고 또한 얕보지 않은 모습도 보았음.
또한 만일 칠천량 해전이 영화로 나온다면 우리는 그 영화를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할까...?
뭔생각을해요 원균 욕하겠죠. 이순신이 길러놓은 최정예병력과 함선을 전부 갈아먹은 놈 ㅋㅋ
좋은글 고맙습니다.
장군께서도 늘 기억하셨을 것입니다.
경적필패..를!
첫 해전의 군령인
물령망동 정중여산!
이는 당신께서 돌아가시는 날까지 내리신 첫 군령이자 마지막 군령일 수도 있지요!
3:26 와 진짜 와키자카 표정이 전부 말하네 저 당시에 일본놈들이 "바다 위의 성" 학익진은 상상도 못했을듯
그반대였죠 학인진은 이미 널리 알려진 전술중에 하나인데 이순신은 뜬금없이 바다에서 깨질게 당연한 학인진을 피고 있으니 일본의 수군들도 그냥 바보로 알고 더 얕잡아보며 들어왔죠.일본군이 신개념 전술을 봐서 놀란게 아니라 쓸데없는 상황에 불리한 전술이나 다름없는 학인진을 바다에서 피고 있으니 놀란것입니다.
물론 결과는 판옥선의 이점과 거북선의 배치로 막아낸것이 진짜 전략이였죠.
학익진 전술이 본래 육지에서 쓰리던 전술이었죠... 하지만 바다 위에서 학익진을 펼친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일일 것입니다.
노량이 기대되네요~
이순신 장군님 사랑해요❤❤❤
저 한산 봤을때 학익진 화포쏠때 거북선 에 맏는거 보고. 울었고 그리고 아타케부네가 다가오자 이젠 끝이구나 라고 생각했는데 거북선이. 다시나타나자 우리가족 다소리 지름
놀라운건 실제는 영화처럼 쫄리는 상황 없었고 치트키마냥 개 발랐다는거임.........
영화가 과장이었긴해 ㅋㅋ 저렇게 코앞까지 기다렸다가 이순신 말한마디에 온 함선에서 발포하는게 말이안됌 ㅋㅋ 이순신이 온힘을 다해서 브아ㅏㅏㅏ아알프오오어어하르아ㅏㅏㅏㅏ 해도 맨 뒷줄은 고사하고 옆옆전선만 해도 옆에서 뭐라 한거같은디 뭐라한거시여 이럴듯 걍 어느정도 거리되면 알아서 발포하라고 해놧겟지 ㅋㅋ
@@노네이 발포 명령을 명하는 깃발, 발포 중지를 명하는 깃발 등이 있지 않았을까요?
@@새달이-u6k 깃발이나 연처럼 시각적 요인을 써서 지휘햇을거라 생각하긴하는데 그래도 저런 칼타이밍은 안나오지 ㅋㅋㅋ
@@새달이-u6k깃발을 써도 저렇게 가까운데 불가능할걸요 거리가 어느정도 있을때면 몰라도
함선에는 1차로 깃발로 표시를 하고,
보조신호로 징과 호각, 불꽃신호를 사용하였습니다
지휘함의 함교위로 깃발을 올리면 거의 전 함대가 볼수있었을겁니다^^
3:09
이때 와키자카 공포, 분노를 넘어서 아예 이순신에게 존경심까지 느꼈을 듯
와키자카가 훗날 이순신에 대한 평가를 보면 님이 썻던 말이 다 들어가있네요 ㅎㅎ
인근 무인도에서 미역먹방으로 간신히 생존했기에, 그 후손들이 오늘날까지 한산대첩일에 미역을 먹죠.
이순신 장군님이 우리나라 출신이라는 게 너무나도 자랑스럽다
선조:"으~응 아니야~ 왕은 나야~"
This movie is so good, normally I don’t like watching historical war film but I cry, yelled and holler in happiness when Admiral Yi won. It was such an emotional roller coaster and I cry so hard seeing the first film too. This is so good, Admiral Yi is truly a great historical hero that transcends beyond what is brave and loyalty and love for a country is about. Love love this movie!
Thank you very much to white down🤗
formidable film, je l'ai déjà vu trois fois, j'attends avec impatience le troisième volet de l'histoire de ce formidable amiral et de ce peuple si digne, on peut souligner aussi que Joséon aura fabriqué le premier cuirasser et non nous, la France
훌륭한 영화, 벌써 세 번 봤어요, 이 위대한 장군과 이 가치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의 세 번째 부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가 아닌 조선이 최초의 전함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프랑스
와키자카 연기가 좋았지.
이순신 장군님이 주인공이 아니고...거북선이 주인공이였어!! 등장씬 역대급~
0:35 부장 ? 뭐라고 하는거지 ?
포를 더 가져와라
바닷물 먹은 소나무가 쇠처럼 무게와 단단한대 속도에 의한 선박 크기부터 그 중량으로 박아 버리면..;; 왜 선 삼나무가 견뎌지나 ..짜게지고 갈라지고 .;; ;;보여주기 격파술에도 삼나무 판으로 하는 이유가 ..;; ㅎㅎ
소나무나 삼나무나 거기서 거기지만 삼나무가 조금 더 강도가 높아요
@@별나무-c8e 참나~ 삼나무가 소나무보다 강도가 높다는 말은 처음 들어보네 .ㅋㅋ 이렇게 까지 날조라도 해야 ..정신 승리인가 ...ㅋㅋㅋ일반 목재 가구에서도 편백보다 약하고 잘 짜게지는 습성이 삼나무인대 ..;;....이렇게라도 ..날조 하고 싶은지 ..???
아니 꼭 이렇게 ㅂㅅ같은 댓글 쓰는 인간들 있다니까.. 저게 삼나무인지 소나무인지 어떻게 구분함?? 스크린으로 영상을 보는데 뭔 개 아는척이노??
해송은 삼나무하고 비교를 하시면 안되요 삼나무는 바닷물이 닿으면 썩지만 해송은 바닷물을 머금을수록 불어나죠
목재의 강도는 조선쪽이 더 강했던게 사실임. 실제로 실록에도 왜적들이 전라도에서 목재를 구해서 배를 만든다는 기록이 있음. 다만 영화처럼 들이받아서 부수는 전술은 없었음. 한반도 전통 목선은 용골이 없어서 충격에 강한 구조가 아니었고, 애초에 목선으로 적선을 부수려고 들이받으면 들이받는 쪽도 같이 부서져버림. 현대 철선도 체급 비슷한 배랑 충돌하면 대형사고가 터짐. 이순신이 당파라는 용어를 기록하긴 했는데 뒤에 대포로 적의 배를 깨부쉈다는 설명이 있음. 영화마냥 들이받는건 완전한 허구 ㅇㅇ.
5:41 이거 보니까 이때부터 도도 다카도라가 이순신이 만만치 않은 장수라고 생각해서 명량에서 신중하게 했었던건가
도도 다카도라는 이순신의 첫 출전이었던 옥포해전 때를 시작으로 일본 수군 장수들 중에서도 제일 많이, 자주 뚜드려 맞은 장수였습니다. 영화 속 시점에서 신중론을 펼쳤다기보단 걍 자포자기인 거죠. '에휴, 망했네 망했어.....' 이런 느낌으로. 웃긴 건 정작 실제 역사에선 명량대첩 당시엔 제일 많이 당했던 도도 본인도 방심했으며 오히려 와키자카 딱 한 사람만이 신중론을 펼쳤다고 합니다
존나많이처맞음ㅋㅋㅋㅋㅋ 옥포에서 처맞고 부산포 포격당하고 명량에서 까지 깨졌으니 자포자기 이순신이 귀신으로 보였겠죠 가토도 마찬가지임
@@그리버스 옥포,부산포,명량,절이도등등 개작살났죠ㅋㅋ
Looks Amazing! What is the English name of this movie??
Hansan : Rising Dragon
한산 입니다 명량. 한산. 노량 3편의 영화가 있습니다 ㅎㅎ
As historical accounts has shown...Korean technology and innovations are always on par with stronger and larger militaries anywhere in the world. I hope the Philippines will always patron and join hands in friendship and cooperation with Korea.
네 한국 사람들은 필리핀 사람들을 좋아합니다
아시아 국가중 필리핀을 가장 사랑합니다
이순신장군님은대한민국인이라면,존경해야할사람이맞죠^^,이순신장군님을모욕하거나,우리조상님들을비난하거나폄훼한다면그것은한국인이아닌매국노입니다.이순신장군 님존경합니다.^^
의와 불의의 싸움이지
명량 보다 뭐 있겠어 했는데,,, 확실히 거북선들은 고증에 나오는 종류 별로 있는 거 같아서 좋았음,,
2:53 개소름
지렸다
대장선 지키느라 용 머리 넣을 시간도 없어서 머리가 박히든 말든 그냥 충파하는거 멋지더라
북카이센~
0:36 윤진영병장님..!
사명대사 배경으로도 영화 나왔으면 좋겠다. 이순신 못지 않은 영웅임
제정신으로 하는 소리임? 사명대사나 곽제우 대단한 분들인건 맞지만 이순신 장군과 비교될 레벨은 절대 아님
이순신은 세종하고 비비는 대한민국 역사상 최고 영웅인데 사명대사를 못지 않다고 하면..
Turtle ships in combat. Amazing.
거북선? 니가 뭘 조아할지 몰라서 다 넣어봤어~
거북선 ㄷㄷ
거북선타고 같이 싸우다가 한놈은 형사가 되고 한놈은 구찌들고 다니는 오락실 주인이 되고...
전직 최종병기 활 vs 전직 삼한제일검...
가슴이 웅장해지는 조합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815광복절날 일본을 협력자 동반자로 선포하는 윤석렬을 지켜보는게 너무나 큰 고통이다.
4:42 전투까지 시켜놓고... 수고했단 말 한마디면 단가... 여보쇼.. 여보쇼..아이 감이 아이 좋나 여보쇼..
Cómo se llama esta película ??
Hansan rising dragon
모두가한마음으로바라나니적들을남김없이무찌르게해주소서 이 원수를갚을수만있다면여한이없을것입니다
칠천량때 죽은 옥포만호이운룡 녹도만호정운
Movie name ?
Hansan rising dragon
압도적인 힘으로! 압도적인 승리를!
Judul film?
Movie name pls 🙏🙏
Hansan
Сараи, плавающие со скоростью торпедных катеров - это шикарная сказка под вечер. Только от смеха потом не уснуть.
장수 충무공 이순신 장군!!자랑스럽다.
이기남 거북선 함장 좌돌격장...존경합니다 할아버지..
노량에서 거북선이 장렬히 싸우다가 시마즈 함대에 의해 침몰하는 장면에서 왠지 모르게 눈물 살짝 났음....근데 노량해전 때는 거북선이 없었다는 거😂
한산에서 영혼까지 털린 와키자카..ㅋ
자그마치
히데요시
칠본창이
용인전투의
자만심으로
이순신만
만나면
싹
다깨지는게
일이네
가요요시아키도
칠본창인데
잘보고 갑니다...
대한민국 미역 홍보대사 와키자카
Epic. Totaly epic.
Movie name plss
Hansan rising dragon
내 아입니다 어찌 내라고 생각하심까
글로 나무배에서 횟불 들고 있는 조선 수군은 뭐지? 나뭇배는 화기 엄금이다. 불날까봐... 나뭇배는 방수목적으로 기름 바른 곳이 많다.
불이 없으면 심지에 불은 뭘로 붙이죠 니 머리로?
불을 조심하는거지, 안쓰는건 아니죠. @@이건희-c5q
아직도 기억님는게 황박의병장이 전사햇을때가 기억에남습니다 준사에게 거하게 술한잔내기로햇것만그약속못지켜니어떡하니 의를위한싸움 한마음아니겟니가 기억에남습니다
Очень интересно смотреть такие фильмы в которых физика сделана на манер Индийского кино))
Такие тяжёлые корабли шли по воде со скоростью не более 5 миль в час - это 10-11 км, немногим быстрее пешехода. А показывают так словно они летят по воде и врезаются с такой скоростью и силой, что другие корабли просто в щепки! А ведь это не парусники, а обычные весельные
영화적 허용이라 생각하는게 좋겠습니다.
Magnificent ❤
これが本当ならすごいのにねぇ
日朝戦争は本当に起こりました結果は見てわかる通り日本軍の連勝続きで朝鮮軍は廃線続きですね!
이것은 사실이다.
놀랍지만 이전쟁은 사실입니다
정상적인 일본인들은 가만히 있는데 꼭 프로필이 애니 캐릭터인 애들이 한국 관련해서는 물어뜯기 바쁘더라@@_kuro811
@@jyp907 이것은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아닙니다. 가부라고 하는 것은 음악적 동위 원소의 캐릭터입니다 이것은 그 캐릭터를 더 귀엽게 만든 것입니다
평론가들이 급발진 하는 것도 이해는 가ㅋㅋ.
실제로는 속전속결로 이기고 끝남.
긴장감 조성하려고 억지로 늘린 게 아쉽긴 하지.
장군님이 너무 너프당했잖아
귀선(거북선)이
와키자카 야스하루 대장선을 아주 개박살냈네 ㅋㅋㅋ
와키자카꺼 아니에요 가토 장군이 가지고 왔는데 와키자카가 싸워서 이겨서 철걉선을 가지고 왔죠
박해일배우 임진왜란 전문 배우 인가. 활 박해일. 남한 산성. 박해일. 한산 박해일. 모든영화 나온다. 어쩌면 이순신 장군의 젊은 배역은 다른배역 들 있는데. 그다음 명량. 최민식. 다음 노량도 최민식 연타 배역.. 들어 와야 되긴 하는데...
이순신장군 거북선~존경스럽네요~
还好旗子用的不是英语。
Yi장군:👍👍👍👍👍👍👍
한산은 불멸의 이순신이 진짜지
압도적인 승리
이날 바다에 물괴기가 죄다 떼죽음 당했다 ㅠㅠ
사실 조선 수군이 강한 수군임.판옥선과 거북선만 해도 일본,명나라 함선들보다 더 좋았음.물론 조선함대가 천하무적이였던것도 이순신 덕분이지만 칠천향에 원균 말고 이수사가 대장이였다면 달랐을거임
참고로 이수사는 이억기 장군
They should have diversity. Even though it’s not historically accurate, because that’s the rule these days
Chosumnida! Majao. Chosun Kunin.
1304년 04월 (한산도대첩)
충무공 이순신 ~ 송희립 (장군)
이기남 ~ 권준 ~ 홍세득 ~ 권희립
김완 ~ 권희립 ~ 권덕룡 ~ 권희룡
이순신 (입부) ~ 송희립
원균 ~ 이영남 ~ 우치적 ~ 이운용
한백록 ~ 권흥립 ~ 기효근 ~ 권가님
1304년이요? 그땐 조선이 없었는데?
저시대의 포탄은 무슨 포탄일까요?
Young 💓 camat
장이수가 나오네 ㅋ
거북선에 거북 귀자를 썼는데 무슨 고증이 순할 순을 기로 쓰냐
この武将 脇坂安治か!?
脇坂康晴
そうです, 賤ヶ岳の七本槍 脇坂 安治です 脇坂 安治。龍仁の戦いの勝利と李舜臣とも戦ってみたため、韓国でも名前が知られています。
외키자칸 저런 상황에서
어찌 살아 나왔는지
상상이 안되요
죽어야 정상인데
내아입니다
고증+상상
바다 위에 성이라고? 뭐가?
학익진이. 누가 그러데? 김한민이가.
바다 위에성이라고? 뭐가?
일본 안택선이. 누가 그러데? 그당시 일본군사들이.
그럼 김한민이가 바다위에 성이라는 문구를 왜함선 안택선으로부터 차용해 학익진 판옥선에?
그럴 수도..
그렇다면 웃기는구먼...
근데 이거보고 거북선이 충파가 불가능했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는 한산 보는게 뭔가 좀 껄끄러워진달까
걍 재밌으면 된건가?
역사에선 돌파는 생각도 못하고 포위당한채 일방적으로 두둘겨 맞고 다 죽음 ㅋㅋ
Actually, this naval battle was a small-scale battle, and there was no major damage to both sides, so it was not a big event to make a movie. Certainly, Kurushima Michifusa, one of the KIA of the Japanese navy, is the only daimyo who was killed in the Imjin War, so it must be amazing...
Why do you think this battle was small-scale? In the real history of battle of Hansando, 55 Joseon warships incapacitated 59 out of 73 Japanese warships. What do you think is the standard for large-scale naval battle?
People are amazed by the technology of "turtle ships" until they realize that they were a product of the 1600s+. During this same period elsewhere in the globe there were already "ships of the line" that had unique hull designs that were practically impervious to the caliber of canon used by Koreans (mating thick and dissimilar woods to make them shatterproof), were capable of traversing blue waters safely (turtle ships were for calm waters near land only), and were firing three decks of guns, the lower of which were massively greater range and poundage (up to 48 pounders) than the turtle ships, and would have been able to sink them from great range. In fact, their naval technology was so much more advanced that when these ships reached Asia, only a handful were able to both open Japan to trade (the black ship) and cause the fall of a Chinese dynasty and create the "century of humiliation". When it comes to ships, Europeans are where its at, everyone else was practically in canoes. If you wanted to see a decisive victory, they should show the Spanish Armada show up on the horizon...
after all, the Chinese dynasty had a massive loss against Europe because their ship had no development from the past. Also, many soldiers and civilians were already addicted to the poppy drug (if I'm right). After all, countries in Asia didn't have much of a modernization in navy or other armies since 1700 or 1800. But one thing sure is that Lee Sun Sin was@@BoopSnoot a brilliant general.
@@hoonkil3060 China was actually ahead of the Japanese in technology overall too, which is why the turtle ship was so successful. Japan's ships were really just square sail shallow draft slow transport barges with buildings built on the deck, where they would hook onto and board enemy vessels and fight hand to hand, much like the Roman military from antiquity did to compensate for their worse ships than all the other naval powers. In fact, speaking of ancient ships, I wouldn't be surprised if an ancient Greek trireme formation wouldn't sink a Japanese fleet as they were far more maneuverable and with three times the rowers and their super slender shape could run circles around the Japanese ships. The turtle ship likewise was made to counter the Japanese bombard and board tactic by being designed solid and sealed (spikes I think were more for show) so you couldn't just jump on board to fight or reign down arrows, so not much strategy was involved you just went full speed and rammed the Japanese ships, and then fired smaller caliber canons at practically point blank range. I always wondered why an island nation like Japan never invested more into naval technology. My best guess is that there was just always too much infighting ON the island to worry about threats from outside the island.
@@BoopSnoot Chinese ships were not as advanced as they seemed, after the Ming dynasty's 1400 era ship travel, stopped and the Ming dynasty didn't find the importance of ship development since they would be fine on their own land. So that is the reason they built canals around the territory and after that, Ming's ship was abandoned and nearly broken.
Also, the Japanese mainland, was united by Toyotomi Hideyoshi, and the mainland wasn't in very bad shape. That is the reason Japan tried to invade Korea since they looked so weak to them, however, Korea's king escaped from the capital and even though Japanese troops arrived at the capital, they couldn't surrender from the King.
Overall, the Korean army was basically dead and in the Korean Peninsula, it was more of a fight between Japan and the Ming Dynasty.
Also with ancient Greek trireme formation?
They would be dead by guns and cannons even before they'd reach close enough. Although the ancient Greek trireme was highly manual and fast, you can't compare a gun with a sword in this era.
Шукинони,"куйиглар"курайлик"руски"верйсийасини"куйиглар"курайлик"иложи"болса
A8a⁸a⁹aaaaqaqqqq😊â😊op
2:11 나대용 입 모양 립싱크 : 야이 개쇠끼들아 이리 오라~!
Bắt cá đi
🐶🍞♂️‼
원균 후손들 목을 따야하는 이유~~
다 좋은데. "바다 위에 성"이란 말이 난중일기나 이순신 어록에 있는거야?? 또 거북선이 충파선으로 나섰다는 근거는 있는가??
그냥 "판옥선 5척으로 적을 한산도로 유인한 후 이순신이 학익진을 펼처 왜적을 괴멸시켰다" 이거 한줄로 쓴거임
거북선은 충파선도 아님 아직 쓰임새를 모름
백병전을 유도하기 어렵고 목질이 단단하여 적진을 헤집고 다니기는 유리했을 것으로 생각되나 충파를 적극적으로 이용했다고 보기는 어려울것 같습니다. 거북선은 동양의 전통적인 8자 노를 사용했습니다. 파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꾸준히 추진력을 받을 수 있으나 한번에 큰 추진력을 받긴 어려운 방식이며 이는 충파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마 적진에 들어가 총통을 쏘며 전열을 헤집는게 거북선의 역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또한 바다 위의 성이라는 표현은 조선 수군의 판옥선이 왜군의 함선보다 높은 구조인 경우가 많았기 때문일 겻으로 생각됩니다. 임진왜란 당시 왜 수군의 전략은 가까이 붙어 갈고리를 걸고 배에 올라타 백병전을 유도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경우 상대의 배가 더 높은 위치에 있다면 공성전과 비슷한 양상을 띄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바다 위의 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한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불멸의 이순신도 보고싶네요
鬼島津
또 못살게 구네
미스터리 인물
투구꼭대기의 포크는 뭐냐? 저걸로 스테이크 짚어먹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