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vs 퀄컴 vs AMD 회사 문화 비교하기 (한국 대기업 vs 미국 대기업)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다녔던 #삼성전자 #퀄컴 #AMD 회사 들의 비교를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개인적 경험에 기반한 이야기들이니 재미로만 봐주셔요.
    담석이가 되어 담낭이 영상 제작을 후원해주세요!
    / @담낭이

Комментарии • 53

  • @꾸미-f6w
    @꾸미-f6w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 @Young204Rtl
    @Young204Rtl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삼성 식당 그리운 거 인정합니다. 하나 더 꼽자면 회사 헬스장요. 그 회사에서 나오는 밥 지겹다고 안먹고 나가서 사먹었던 제가 미쳤었던거 같아요. 그리고 CA는 진짜... 아직도 그거 했던거 생각하면 지긋지긋 하네요.

  • @히히호호-j2t
    @히히호호-j2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CA: Change Agent
    EA: Education Agent
    SA: Security Agent

  • @serphi-dennis
    @serphi-denni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57

    S는 지원조직이 해야할 일들을 개발자에게 다 떠넘기고 결재 승인만 HR이 하는.. 결국 잡일은 일종의 폭탄 돌리기인 셈이죠. 더구나 지원부서와 개발자는 연봉차별도 없어서 😂

    • @담낭이
      @담낭이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의견 감사드립니다. 저도 하고픈 이야기는 많지만 여기까지..🥲

    • @jeeey-g5i
      @jeeey-g5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공감합니다… ㅎㅎ

  • @coooooooooooool
    @coooooooooooool 6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아 저도 팀내 보안담당인데.. ㅠ 너무 귀찮아요. 무슨 월마다 하는 보안교육 팀원들이 다 들었는지 체크해야하고, 클린데스크 점검해야되고 ㅋㅋ
    전사 담당하는 정보보안팀이 있는데도 말이죠.
    정보보안팀이 불시 점검으로 경고 먹이면 알아서들 잘 할텐데, 지금은 팀 보안담당한테 짬처리하면서 보안사고나면 담당한테 책임을 묻습니다 (권한도 안주면서)

  • @WonjunRoh
    @WonjunRoh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저랑 비슷해서 글 남겨요.삼성에서 올해 미국 반도체 회사로 이직해서 현재는 캐나다에서 근무 중입니다. 영상 하나하나가 완전 공감입니다. 너무 반갑습니다!

    • @담낭이
      @담낭이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반갑습니다 :)

  • @Eikan121
    @Eikan12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9

    미국회사는 핵심적인 역량 부분은 나름 잘되어있고 좋은데 관리는 그냥 허술하기도 하고 일부러라도 별로 신경 안쓰는거 같아요. 반대로 우리나라는 그런건 엄청 체계적으로 잘하는데(회사 교육, 지원 등등) 막상 알맹이가 부족한 경우도 있고… 사실 근데 국내건 외국이건 회사의 수준에 달린게 더 크지 않나 싶습니다.

  • @alexanderkim4933
    @alexanderkim4933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테슬라 오너여서 검색하다가 우연히 왔다가 여러 영상보고 재밌게 보다가 구독도 하고 댓글남기네요..^^
    미국생활 정착하시느라 고생많으셨습니다. 영어 회의도 힘들고, 미국가기에는 나이도 많고..
    저는 아직 담낭님 계셨던 곳에서 아직(?) 일하고 있는데, 제 주위 분들도 미국가서 생각보다 고생이 많으셨더라고요.
    생생한 정보 정말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

    • @담낭이
      @담낭이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 자주 영상올려볼게요!

  • @user-cv5dp
    @user-cv5d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역시 한국인은 밥에 진심이다 네이버도 밥 진짜 맛있었는데 막상 다닐때는 한 한주정도 좋았고 그 이후는 감사함을 모르다가 그만두니 그리운 네이버 식당...💚

  • @liveinsummer333
    @liveinsummer333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DSR에서 일하던 시절 생각나네요ㅎㅎ

  • @xpac80
    @xpac8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공감합니다

  • @avocado7o7o7
    @avocado7o7o7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담낭이
      @담낭이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LetItBe250
    @LetItBe25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오늘도 흥미롭게 재미있게 들었습니다~

    • @담낭이
      @담낭이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 @desertkim
    @desertki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CA 시절 떠오르네요. 그룹원들 협조도 안되고 행사 어찌어찌 만들어도 꼭 궁시렁궁시렁 대는 사람들 있고.. 짜잘하게 스트레스죠 ㅎㅎ

  • @flourish-p7b
    @flourish-p7b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얘기 재미있게 하시네요 구독하고 갈께요

    • @담낭이
      @담낭이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

  • @ljy-yj1oj
    @ljy-yj1oj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영상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 지금뉴질랜드에서 remote 로 미국 투자회사에서 미국인들과 일을 하고 있는데 진짜 공감되는 것은 답변을 꼭 해야만 하는 상황이 아니면 이메일을 보내도 답변이 없습니다 ㅠㅠㅠ 그래도 현지 뉴질랜드인들은 누군가 처음 일을 시작하면 Welcome on board 를 외치면서 환대하는 분위기이고 따뜻하고 친절하다는 느낌을 많았는데 그렇지 않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미국인들은 전반적으로 좀 차갑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또 그 반면에 Issue 가 없으면 전혀 연락이 없다는 장점도 있네요 ㅋㅋㅋ그나마 100% 로 remote 로 일을 해서 집안일과 육아를 같이 병행 하면서 하고 있는데 team spirit 없이 혼자서 일을 하니 외롭다는 생각이 들다가도 재택이 너무 익숙해져서 다시 출근할 수 있는 회사로 옮길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제 생각으로는 일 이외 스트레스 받을 일들이 없고 lay off 가 많이 일어 나지만 또 다시 나이와 성별에 제한 없이 직장을 구할 수 있는 flexibility가 영어권 국가에서 일을 하는데 큰 장점이라 생각 합니다. 소중한 경험들을 이렇게 오픈해서 공유하기가 쉽질 않는데 항상 영상 올려 주셔서 감사하고 이 영상을 보시는 시청자 분들도 영어 공부 열심히 하셔서 한국밖에서 기회를 찾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 합니다. 모두들 화이팅 하세요 !!!

    • @담낭이
      @담낭이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정성스런 경험공유 감사드립니다 :) 모두 화이팅입니다!

  • @Jay-tb9gp
    @Jay-tb9g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다른 미국 큰 테크 회사들도 뭐 입사한다고 특별히 환영하는 분위기는 없습니다 ㅎㅎㅎㅎ 거의 똑같습니다.
    걍 같이 일할사람들하고 1:1로 인사 다니고, 걍 일합니다.

  • @yyyy-qg4ep
    @yyyy-qg4e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삼성 반도체는 소프트웨어도 풀 5일 출근합니다! 보안 때문에 재택은 완전히 불가해요. 코로나 때에도 그래서 재택 대신 단체 격리 휴가를 줬었죠.
    라인 가끔이라도 들어가는 업무는 말할 것도 없구요...

  • @kwohyuno3877
    @kwohyuno3877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웃트로가 힙하고 좋네요 빠이루!

  • @rtfm8708
    @rtfm870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삼성시절 GWP 생각나네요ㅎㅎ

  • @Take-pm3py
    @Take-pm3py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외국계도 바쁜 부서는 워라벨이 더 안좋다는 말이 공감이 되네요.. 주말에 메일 보내고 팀즈 보내는게 당연하고 매니져부터 휴가가서 일하는데 아주 죽겠습니다

  • @eheotjd
    @eheotjd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보성이형 재밋어요

  • @sanghwa
    @sanghwa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CA 정말 하기 싫었던 기억이 나네요

  • @그로밋-o7j
    @그로밋-o7j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한국은 말만 들어도 힘들다...

  • @DONGHYEOKKIM-q1e
    @DONGHYEOKKIM-q1e 6 месяцев назад +6

    1빠 담낭추

  • @parmenideskim9739
    @parmenideskim9739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정년 문제는 어떤가요? 퀄컴이나 AMD도 정년이 있나요? 삼성에선 엔지니어들이 나이들어 회사를 나오면 어떻게 되나요?

    • @담낭이
      @담낭이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제가 모든 케이스를 아는건 아니지만 정년문제에 있어서 미국이 좀 더 자유로운 것 같습니다. 65세까지 일하시는 분도 보았어요.

    • @Bigger-than-Banana
      @Bigger-than-Banana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담낭이 대신 미국은 고용유연화된 사회죠~ 우리나라도 고용유연화하고 정년도 없애는게 맞습니다.

    • @Bigger-than-Banana
      @Bigger-than-Banana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리고 미국도 우리나라 처럼 엔지니어 보다 의사가 더 잘나가는 사회죠~ 저는 영어되고 영주권 있으면 무조건 미국 의사 도전합니다.

  • @tkk5933
    @tkk5933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텔 주식 대폭락 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 @aloha8095
    @aloha8095 6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삼성전자는 매우 좋은 기업입니다. 흥하길 바랍니다:)

  • @jjkim3249
    @jjkim3249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미국 반도체 회사들 Vs. 글로벌 에너지 회사: 제가 한국/미국 대학원때 공부한 분야가 반도체라 대부분 대학원 선후배들이 반도체 회사에서 일하고 있어요. 한국가면 연락드리는 선배중에는 삼전 사장/부사장도 계세요. (Fortunately/Unfortunately, 박사후 에너지 회사에서 경력을 쌓고 있네요) 제가 아직도 한가지 이해가 안 되는 (미국) 반도체 기업 문화는 Team work입니다. 저희는 현재 맡고 있는 보직이 보통 4-5년 되면 회사내 다른 보직으로 apply해서 career development 합니다. (물론 한 자리(그 보직이 계속 존재한다면)에서 오랫동안 근무하시고 은퇴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in-role promotion의 한계로 승진에 제약이 있어요) 그래서 주간/월간 팀미팅때 자기가 맡은 프로젝트 Progress를 서로 공유합니다. 언제든지 팀멤버가 다른 보직으로 갈 수 있기 때문이죠. 제가 들은 반도체 회사들은 같은 팀원들끼리 서로가 하는 프로젝트를 잘 모른다 그리고 서로 정보 공유를 꺼려하는 거에요 (혹시 자기가 프로젝트에서 빠질 수 있기때문에..) 새로운 팀 멤버에게 거의 설겆이 프로젝트를 준다는 이야기를 듣고 깜짝 놀랐어요. 저희는 새로운 팀원이 들어오면 팀에서 하는 여러 프로젝트를 한/두달 정도 대부분 참여해서 자기 skillset과 맞거나 자기가 개발하고 싶은 skillset 이 있는 프로젝트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TL/manager와 상의해서 정합니다. 언제든지 팀원들의 application window (현재 보직 4년이상) 열리면 다른 부서로 옮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승진하는 기회/manager track을 이때 찾습니다). 엊그제께 큰 뉴스를 장식했던 반도체 회사 직원들한테 들은 내용이 대부분입니다. 주말에 지나가다 몇자 적어요.

  • @Dohyeonnn
    @Dohyeonn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빠이루

  • @marketingkim751
    @marketingkim75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5

    한국 삼성말고 실리콘밸리 삼성 얘기해주세요~~^^

    • @Jay-tb9gp
      @Jay-tb9g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한국사람 (주재원, 현지채용 한국사람 인데 미국에서 태어난 사람 말고) 과 현채인과 차이가 있습니다.
      밥 : 좋습니다. DSA의 경우는 실리콘 밸리에 회사 밥 맛있는 회사 중 최상위권 입니다. Austin SARC는 별루 입니다. Austin 공장은 모르겠네요.
      업무문화 : 한국사람은 한국 삼성과 같습니다. 현채인은 미국 회사와 비슷하지만 회사 자체가 한국 회사다보니, 확실히 한국사람이 Major 인것에 따른 묘한 분위기가 매우 독특한 문화 입니다.
      WLB : 한국사람은 한국삼성보다 빡쎌수 있습니다. 한국사람이기 때문에 한국 삼성과 회의를 하게되는데, 한국 근무시간에 깨어있어야 하고, 낮에도 깨어있어서 일해야 해서 난리도 아닙니다. 현채라도 한국말 잘하고 한국문화 아는 한국사람도 거의 동일한 취급(?)을 받습니다. 현채 외국인은 그런 문제 없습니다. WLB 괜찮습니다.
      보안 : 기본적으로 한국 삼성반도체의 보안 규정을 따릅니다만, 한국 삼성 반도체 처럼 다소 위압적인 분위기는 아닙니다.

    • @담낭이
      @담낭이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제가 DSA는 안다녀봐서.... 나중에 다니시는 분 만나면 한번 준비해보겟습니다

  • @Shejndm-br5ww
    @Shejndm-br5ww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담낭님은 어떤 노트북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담낭이
      @담낭이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개인적으로는 삼성노트북쓰고 업무상은 DELL 노트북을 쓰고 있습니다

  • @ngjo6821
    @ngjo682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비자는 어떤걸 받아서 이직하신 건지 알 수 있을까요?

    • @담낭이
      @담낭이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O비자입니다. 다른 영상을 보시면 워킹 비자별로 자세히 설명해두었습니다!

  • @수학과학을좋아하는호
    @수학과학을좋아하는호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미국은 한국 같은 정은 없어요. 장점이자 단점.. 삼성이면 한국 최고 기업입니다.

  • @Bigger-than-Banana
    @Bigger-than-Banana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한국 기업의 특성일까요? 아니면 한국 사회의 특성일까요? 그나저나 동양인도 체격이나 몸 관리하고 AMD가서 좋은 연봉 받으면 예쁜 미국 백인 여자랑 결혼 가능한가요?

  • @Mmcieje
    @Mmcieje 6 месяцев наза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