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의 여지가 많은 주제인 것 같습니다만 다양한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비교를 해 보았다는 것 자체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으로는 미국에서 정신과는 점점 약물 및 생리학적 치료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임상심리는 DSM을 기초로 심리, 인지 및 행동치료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상담심리 쪽은 휴머니스트적 관점으로 내담자 중심에 기초한 접근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학교심리 쪽은 아이들의 교육과 관련된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종교는 말씀하신 대로 매우 조심스러운 부분이긴하나 신학대학에서도 임상/상담분야를 따로 두고 그 해당분야에 집중하도록 장려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누구를 치료의 대상으로 할 것인가는 정신과나 학교심리를 비교하는데 더욱 알맞은 분류법이라 할 수 있고, 어떤 접근법을 기초로 치료하는가는 임상심리와 상담심리의 분류에 더욱 유용할 것입니다.
다루기 어려운 주제들을 정리하는 것 만으로도 쉽지 않은 일인데 잘 전달하기 위해 애써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동기부여받고 힘낼 수 있는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응원과 지지를 보냅니다~!^^
자체 판단할 수 있을 기본적인 생각거리를 제공하려 노력하는 편이에요 :)
좋은 컨텐츠 감사해요~~ 나(직업)를 타인과 구분하는 방법은, 얼마나 다르냐인데. 한 우물만파다보니 구분력도 떨어지고 남에게 관심도 없으면서 내 밥그릇 뺏어간다는 생각만 들었네요. 넓게 보는 시야와 이런 콘텐츠가 늘어나길 바랍니다~!
와, 호의적인 댓글 너무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기대됩니다
여기 나온 주제 하나하나를 다룰 예정이에요~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혹시 영상에서 사용하신 그래프를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을까요?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너무 좋은 자료 같아서요.
마음껏 쓰셔요~
논란의 여지가 많은 주제인 것 같습니다만 다양한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비교를 해 보았다는 것 자체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으로는 미국에서 정신과는 점점 약물 및 생리학적 치료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임상심리는 DSM을 기초로 심리, 인지 및 행동치료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상담심리 쪽은 휴머니스트적 관점으로 내담자 중심에 기초한 접근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학교심리 쪽은 아이들의 교육과 관련된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종교는 말씀하신 대로 매우 조심스러운 부분이긴하나 신학대학에서도 임상/상담분야를 따로 두고 그 해당분야에 집중하도록 장려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누구를 치료의 대상으로 할 것인가는 정신과나 학교심리를 비교하는데 더욱 알맞은 분류법이라 할 수 있고, 어떤 접근법을 기초로 치료하는가는 임상심리와 상담심리의 분류에 더욱 유용할 것입니다.
구구절절 옳은 말씀입니다. 각자가 충분히 협업하며 공생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갈등하지 않고 품는다면
너무 비슷한 느낌이라...
샘 아니죠???
ruclips.net/video/BlAvNOmBLKY/видео.html
와, 이거 대학교 때 봤던 영상인데 정말 오랜만에 보네요.
대학교에서도 동기, 후배들이 이거 오빠 아니냐고 보여줬었어요.
저는 아닌데... 제가 패러디 영상을 만들기는 했었어요. 그 영상 어딨더라... 찾으면 유튜브에 올려볼게요.
@@bandipsy 아!! 진짜요? 😆😆😆😆 어머... 혹시 실례가 되는게 아닐까 무지 걱정했지만 너무 순수하고 맑아보여서 꼭 물어보고 싶었어요. 패러디 영상 찾아봐야겠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