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흑인 노예 가족이 살던 집. Slaves Quarter Louisiana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5

  • @kevinyu2326
    @kevinyu232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귀한 영상을 보여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건강 하세요

  • @제이영-q7e
    @제이영-q7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자랑스런 한극인 (주일 선생님) 응원하고 존경합니다☆☆☆

  • @mooyoungjeong
    @mooyoungjeon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공부많이 하고있읍니다 건강조심하시길.

  • @김배현-t8n
    @김배현-t8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선생님 , 감사 합니다

  • @Leecy6311
    @Leecy631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주변경치가 너무 예뻐요 집앞에 나무 한그루씩 집 연륜을 말해주는것 같네요 그나무들이 그곳 경치를 한껏 아름답게 하네요 수채화 풍경 같아요 집디자인이 멋져요 옛날 오염안된 나무라 지금도 집들이 건재 한가봐요 우리 어릴때 우물펌프 옛상각나네요

    • @Juhong2013
      @Juhong201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대단한 사람들이고 역사를 계속해서 공정하게 평가하며 올리겠습니다.

  • @nanajong1
    @nanajong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언제 또하나 열으셨네요.
    구독하고 갑니다.

  • @justkwiin
    @justkwii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경치가 너무 아름다워서 그런지 왠지 마음 조금 더 아프기도 하고 여러가지 감정이 교차하면서 싱숭생숭 하기도 하네요. 아직도 잔재가
    남아있구나 하면서도 역사교육적으로 꼭 필요한 증거들이기도 하네요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Juhong2013
      @Juhong201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계속해서 남부의 역사를 찾아서 현장에서 올릴 것입니다.

  • @ywkim53
    @ywkim5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습지라서 집을 띄워 지었나요? 덕분에 많은 것을 알게 됩니다.

    • @Juhong2013
      @Juhong201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습지에 비가 많이 옵니다.

    • @ywkim53
      @ywkim5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렇군요. 감사합니다.@@Juhong2013

    • @cory-gd3nc
      @cory-gd3nc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국의 주택문화도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던것과 다릅니다
      일반적인 한옥은 극소수의 귀족,양반층만 살았고
      초가집 조차도 조선초기에나 지나서 활성화된거지
      그전에 서민들은
      조선 초기만해도 구석기시대 사람들처럼 땅을파고 움집,,반움집(반지하개념),
      강물이 자주 범람한 낙동강 하류쪽은 가야지역은 고상주택 이라고, 동남아 국가들집처럼 바닥을 높게 띄운 집이많앗어요
      한민족이라고 자랑스러워 하는사람들 많은데
      솔직히 한민족들 그렇게 유능하거나, 똑똑하거나, 부지런하거나 하지않앗습니다
      중국인+일본인의 굶주림과 한국인의 굶주림 개념은 좀 달라요
      한국인의 굶주림은 식량을 너무많이먹어서 빨리떨어졋고 +술을 너무좋아해서 그런게 대표적입니다
      한국인이 먹는 한끼는 > 중국인의 하루식량이고 > 일본인의 3일식량엿어요
      보릿고개때도 술을 만들어서 먹엇습니다
      병자호란때 남한 산성에서 인조가 50일가량 버텻죠?
      그게 중국인였으면 150일,, 일본인였으면 15개월을 버텻을겁니다
      조선시대 밥상 검색하면 밥그릇,국그릇이 냉명그릇 2배크기입니다
      부지런 하지않앗다는 이유는
      =인구 40%가 노비였슴,, 열심히 일할 필요가 없는거죠
      두레 품앗이,참 문화
      =여럿이 모여서 농악연주에, 민요부르며 춤추며 작업햇죠
      =그러다가 오전참 먹고, 오후참 먹고요
      =국뽕 한국인들은 힘든일을 춤과 노래로 잊어버린 슬기로운 문화라고 칭찬함 ㅋㅋ
      두레+품앗이 문화는 ㅄ같은 문화에요
      =악기연주하는사람, 춤추고일하는사람
      =예를들면 감자캐로 갓는데 반은 춤추고 놀면서 응원하고, 반은 춤추고 놀면서 작업하면
      감자를 캐겟어요?
      품앗이도 그래요
      = 일거리가 많으면 돈주고 사람을 썻어야죠,,
      =공짜로 쓰려니까,,일해주로 간사람은 돈도 못받는데 뭐하로 열심히함?
      그래서 일제가 가장 먼저 없애버린게
      밥그릇 크기를 줄임 = 너무많이 먹던게 좀 줄어듬
      두레를 없애버림 = 일할때는 일만하게됨
      품앗이를 없애버림 = 남의일 할때는 돈받게함
      부정적시각
      = 일제가 자랑스러운 한민족 전통을 말살 시켯다~~
      긍정적시각
      =너무많이 먹어서 항상 굶주렷던것에서 조금이나마 식비를 아꼇다
      = 농땡이 안피우니까 농사를 더많이 지어 생산량이 늘어낫다,
      = 내집일을 빨리 끝내고, 남의집 일가서는 돈받고 일하니까, 수입이 늘어낫다~
      = 식비를 아꼇고, 생산량이 늘엇고, 수입이 늘어나서,,자녀들을 학교에보냄
      글을 읽을 줄 아는사람이 대한제국2%,,일제해방이후 24%로 12배 늘어남
      일제시대에 글을 배운사람은 조금더 여유로운 삶을살고,상류층으로 올라가기 시작함
      해방 이후에는 일본인이있던 전문 관리직 자리로 더빨리 올라감
      =양반만 시키던 자녀교육을 > 모든 국민들이 할 수있게됨
      요즘도 근무환경은 한국 일본이 다름
      일본
      =근무시간에 사적통화금지, 사적통화는 쉬는시간,점심시간에만
      =라디오청취,음악청취,메신져사용금지,화장실은 쉬는시간에만,
      =근무중에 잡담금지, 오로지업무에 관련된 일만 함

  • @동해바다-v4c
    @동해바다-v4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만물가게 인거네요~~~

    • @Juhong2013
      @Juhong201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맞습니다.
      그게 생각이 떠오르지 않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