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씨아키]08-2_중소기업 공무가 하는 일 과 급여수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부제 : [루씨아키]08-2_(건설업)중소기업(하청업체) 공무가 하는 일과 급여수준
    내용 : 공무 보통의 급여수준, 하루일과, 하는 일 등
    촬영 : 2018.10.31.
    장비: 아이패드 프로 1세대, 애플펜슬 1세대, 아이폰x로 녹음
    건설업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제가 드릴 수 있는 것'에 대해 생각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것들 있으면 언제든 댓글로 문의 주세요.
    아직 초반이라 영상이 더럽게 재미없네요.
    다른사람들과 같이 생활하는 현장 숙소에 있어서, 녹음할 때 큰목소리 내기가 좀 불편한 부분이 있는데 개선해야 겠다. 생각이 드네요^^
    영상은 매주 1회씩 올라갑니다.
    아래의 블로그에 보다 체계적으로 건설업 관련 이야기를 정리해 놓았으니 참고하세요.
    loosee.tistory....

Комментарии • 26

  • @nimbus2.0
    @nimbus2.0 Год назад

    진짜 너무 그대론데요 ㅋㅋㅋ…
    공감하고 갑니다

  • @권상원-q8h
    @권상원-q8h 6 лет назад +4

    영상이 유익하네요^^ 저는 지금 4년제 건축공학과 졸업을 앞둔 학생입니다. 건축 기사 취득 후 건축직종의 직업정보를 얻고싶은데
    건축 시공, 감리 ,안전진단 등등 더 많은 직업을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 @TaehyungKWON21
      @TaehyungKWON21 6 лет назад

      권상원 댓글 고맙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조금 정리해봐야 겠어요~^^

  • @병장미도리
    @병장미도리 4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전기 공사 공무쪽을 준비하는데 실무에서 구체적으로 뭘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작업일보, 시공관리, 공전관리, 작업자 관리를 한다고 하시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저런 것들을 관리한다고 하면 엑셀로 어떻게 관리하는건가요?
    엑셀로 달력 만들어서 어떤 일을 했는지 기록해서 보고하고
    어떤 작업을 할지 엑셀 달력으로 계획하고
    필요한 자재 물품등 발주서 작성하고 그런 것인가요?
    캐드쪽에선 도면 수정을 한다고 하는데 기존 도면의 어디를 수정할 지 그런 것은 어떻게 파악하나요?

  • @chungjumaru
    @chungjumaru 5 лет назад +2

    영상 잘 봤습니다
    실례지만
    지금처럼 펜으로 쓰시면서 영상 만드시는 프로그램이 뭔가요?

    • @TaehyungKWON21
      @TaehyungKWON21 5 лет назад +1

      아이패드프로, 애플펜슬, 앱이름은 "procreate" 입니다.

    • @TaehyungKWON21
      @TaehyungKWON21 5 лет назад +2

      영상녹화는 아이패드 제어센터에 있는 "화면기록"입니다.

  • @안녕하시게-r8r
    @안녕하시게-r8r 5 лет назад +3

    안녕하세요. 현장에서 노트북들고 다니시는분들이 건축공무인가요? 건축공무는랑 건축감리차이점이뭔가요?
    그리고 공무나 감리가되기위한 조건이 뭐가있을까요?

    • @루씨아키
      @루씨아키  5 лет назад

      문의해 주신 내용에 대해 할말은 많은데, 좀 요약해서 영상으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루씨아키
      @루씨아키  5 лет назад +1

      제가 영상 만들 시간이 도저히 안되어, 먼저 댓글로 답을 드립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에서 시청건물을 지으려고 한다면, 서울시는 발주처 가 되고, 건물을 짓기위해 세가지의 회사와 계약합니다. 설계사, 시공사, 감리사,
      건축공무는 보통 시공사의 공무팀도 있고, 감리사에 공무팀이 있기도 합니다.
      감리사는 건축시공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 감리를 하는 회사라고 보면 됩니다.
      공무나 감리가 되기위한 조건이라고 묻는다면, 관련학과 전공과 건축기사 자격증의 취득, 그 외에는 엑셀이나 캐드를 잘하면 좋습니다.
      자세한 얘기들은 후속 영상들로 또 더 이어가도록 할게요~ 댓글 감사합니다^^

  • @pyeonganlee5948
    @pyeonganlee5948 3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유익한 영상 잘 보았습니다 2년제건축설계 다니는 20후반여자인데 무스펙이구요 취득여건상 건축산업기사따고 졸업할텐데 진로고민되서 여쭤봅니다ㅜ 건축기사꿈꾸고 현장견학 가보았는데 기능공분들이랑 섞이기 쉽지않을것같아서 혼란스럽습니다. 회사에서도 같은 생각을 할것이고 때문에 취업도 어려울것 같네요. 현실적으로 설계쪽으로 빠져야하나요? 설계역시 포폴은 5년제 분들하고 차이가 클텐데 지방공무원 준비해야 하나요.. 공무 업무를 잘 몰라서 찾아보고 있습니다..

    • @김준엽-l2f
      @김준엽-l2f 2 года назад

      취업하고 회사 다니고 계신가요?

  • @siayoo7649
    @siayoo7649 5 лет назад +3

    폐수 여과기 업체의 수처리사업부에서 공무직으로 입사 예정인데...알아볼수록 어려운 직무이더라고요!! ㅠㅠ
    여자이고, 현장 근무도 있다고 하시는데..
    감이 안와요 ㅠㅠ
    물량산출, 변경계약, 기성신청, 정산이
    업무라는데 이걸할려면 현장을 모르고서는
    할 수 없다고 7시 출근해서 세달 동안은 현장을 배우래요...그리고 바쁘면 토요근무도 한다네요
    일반 사무직보다는 현장 갈 일이 많고
    빡센 느낌이 드는데 실제로 어떤가요?

    • @루씨아키
      @루씨아키  5 лет назад

      답이 늦었습니다. 질문을 듣고 애매한 부분도 있고 하여 바로 답하지 못했어요.
      일반 사무직보다 현장갈일이 많다 는 건, 사람마다 다르게 받아들여지는 부분입니다. 일반 사무직 처럼 하루종일 자기 자리에 앉아서 컴퓨터와 씨름하는게 현장 갔다왔다 하는 것보다 빡세지 않을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반대입니다. 현장도 갔다왔다하고, 환기도 시키고, 일하는 환경이 다양한 것이 오히려 답답함도 적고 자율성이 부여되어 좋은 측면이 있습니다.
      그러니 사람마다 받아들이는 것이 다르겠지요.
      돈을 받으면서 현장을 배우든 일을 배우든 배우는 건 좋은 것이지요. 아는 만큼 내 가치를 높일 수 있고, 그걸 다시 연봉으로 현실화 시키는 것도 능력이니까요.
      토요근무든, 빡세든 뭐든
      다른 옵션이 있다면 다른 옵션과 비교하여 무엇을 감수하고 무엇을 취할 것인가 고민이라면 보다 명확하지만,
      다른 옵션이 뭔지 모른 상태에서 답변하기 애매한 부분이 있어 답이 늦었어요. 오늘도 좋은하루 되세요!

  • @charleskim9310
    @charleskim9310 5 лет назад +2

    소리가 너무 작아요 ㅜㅠ

    • @루씨아키
      @루씨아키  5 лет назад

      피드백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부터는 크게 녹음 했어요~

  • @다들행복하기를
    @다들행복하기를 5 лет назад +1

    대기업 협력업체 지역난방 열배관 보수 관리? 공무로 입사 예정입니다.
    궁금한 점 질문드리겠습니다..
    1. 현장에서 사진찍고 사무실에서 정리하고 견적서 발부 등을 한다는데 보통 캐드를 쓰는건가요?
    2. 보통 8시부터 6시까지 주5일이라고는 말하던데 주말도 그리고 국가공휴일에도 자주 출근하나요.. 평소 야근 유무도 궁금합니다. (제가 알기론 현장에서 인부를 쓰는거라 수당때문에 야근은 잘 안한다고 알고있는데 이 부분이 궁금하네요)
    3. 제가 공무를 처음 접해보는바라.. 나중에 이직하거나 스카웃 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ㅜ
    미래에 비젼이 있는 전문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루씨아키
      @루씨아키  5 лет назад +1

      1번 질문은, 면접볼 때 들어갈 회사에 물어봤어야 할 것 같아요. 캐드를 쓰는 일이 있을 수 있겠지만, 본인에게 캐드 할줄아느냐고 물어보지 않았다면 필요 없겠죠?
      2. 이것또한 입사 면접 및 협상때 정확히 할 필요가 있겠네요. 현장 인부라 수당 때문에 야근 안하는 건 현장에서 (노가다 라고 불리우는)현장일을 하시는 분들 얘기일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근로 계약서를 잘 읽어볼 필요도 있어 보이구요. 제가 느끼는 바로는,, 배관 보수 유지 관리 같은 일이라면 업무강도가 그리 쎄지 않을 것으로 보여요. 특별히 야근 많이 안할 것 같은데요? 국가공휴일은,, 뭐 쉬는 게 기본이지만, 근로계약을 어떻게 했는지, 쉬는 날에 그 배관에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많은지 뭐 이러한 부가적 상황을 같이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한달만 다녀봐도 대충 분위기 파악 될 듯요?
      3. 냉정하지만, 미래의 비젼과 전문성은 자신이 만들어 가는거라고 봐요. 자기 자신이 “이정도의 일”에 만족하지 않는다면, 더 어려운 길을 목표로 하고 나아갈테고, 그 과정에서 내가 원하는 비젼과 미래가 없어 보이는 회사는 나에게서 도태되게 됩니다. 자신이 큰 꿈을 꾼다면, 자기 자신이 회사를 도태시키세요. 그럴 정도가 되려면 회사에서 꼭 필요한 사람이라고 느낄만큼 본인이 역량을 발휘해 보려고 해보세요.
      “열배관 보수 관리”라는 건 애초에 맨땅에 건물을 짓는 것 처럼 다이나믹 하거나, 업무강도가 강하거나 그런 스타일이 아니라, 꾸준하고 잔잔하게 일이 이어지는 성격일 것 같습니다. 업무강도가 강하지 않다는 건, 자기 자신을 처절하게(강도높게) 채찍질할 기회가 적다는 뜻이고, 이것은 본인의 업무 역량의 성장과 직접적 관계가 있습니다.
      다른 관점으로는 지금 본인 정도의 수준이 되는 사람으로 언제든 교체가 가능하다는 뜻이기도 하지요.
      취업에 대한 다른 좋은 대안이 있거나, 조금만 노력하면 더 좋은 회사로 갈 수 있다는 확신이 있다면 그렇게 하겠지만, 본인이 거기를 가겠다고 마음먹었다면 본인에게는 분명히 그런 선택을 한 이유가 있을 거에요. 거기에서 배울 수 있는 것들을 배우고, 어떤점이 싫고 어떤점이 좋은지,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어떤 모습으로 일하고 얼마씩 벌어가는지, 본인이 소속된 회사에서 본인이 20년 후에 어떤 모습일지, 본인의 상급자 부장은 어떤 모습인지,, 이런거 보면서 자기 자신을 구체화 시키는 기회로 삼아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덧붙여, 야근 같은 걸 두려워 하진 마세요. 모두 사람이 하는 일입니다. 다른 사람들도 모두 가족의 삶이 있고, 개인이 삶이 있어야 하죠. 그건 모든 근로자들이 바라는 바이니, 본인에게만 불평등한 야근 따위를 요구하거나 하진 않을겁니다.

    • @다들행복하기를
      @다들행복하기를 5 лет назад +1

      @@루씨아키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마지막으로 연봉협상 해서 잘 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 @루씨아키
      @루씨아키  5 лет назад

      이이진섭 잘 되셨나 궁금하네요~^^

  • @sehee0303
    @sehee0303 4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하청업체에서 공무 경력을 쌓고 그 위의 원청업체 공무로 이직하는거는 가능할까요?

    • @루씨아키
      @루씨아키  4 года назад +1

      하청업체에서 공무 경력을 쌓고 원청 가는 것 보다 원청 계약직으로 들어가서 경력을 쌓고 인정 받아서 정직으로 전환 하는게 훨씬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장단위 계약직(현채직) 뽑는 경우는 상당히 많으니,
      대형건설사 입사하고 싶으시면 하청보단 원청 계약직으로 직원들과 좋은 관계 유지하면서 정직 전환을 목표하세요~

    • @핀돌이-n6u
      @핀돌이-n6u 3 года назад

      이직 하지 마세요 다쳐요.

  • @strawberry-ge2kp
    @strawberry-ge2kp 6 лет назад

    취업을앞둔 설비과 전문대생입니다 현재 공조냉동쪽에 관심이많아서 제약회사 공무랑 설비회사 공무중에 고민중인데 제가 더 관심있는 제약회사가 낫겟죠?

    • @루씨아키
      @루씨아키  6 лет назад

      gheiwld 첨엔 설비회사와 제약회사,,, 공통점이 뭔가 했는데,, 지금 보니 제약회사의 약 제조생산공장의 생산라인관리 또는 공장설비 증설 등의 업무를 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였나요?
      기본적으로 본인이 더 관심있고 잘 맞을 것이라 생각하는 게 맞겠지요! 질문만으로는 정보의 한계가 있어 뭐라 말하기가 어렵네요^^

    • @핀돌이-n6u
      @핀돌이-n6u 3 года назад

      그건 님 마음 가는데로 하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