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가 중요한 이유!! 지반의 지내력,건물하중,기초면적의 상관관계!!!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기초에 관한 올바른 이해!!! 기초크기와 건물하중과 지내력의 관계!!
    기초의 적정규모, 부동침하의 원인과 대책, 허용지내력.....
    772건축이야기 칠칠이 올림 ^^

Комментарии • 40

  • @incini4736
    @incini4736 5 лет назад +2

    건축공부 재미있게 하고 있는 1인중의 하나이며, 좋은 내용 항상 감사드립니다.. 노후화된 세차장 바닥면 (가로 40m x 세로 6m)의 콘크리트 기초공사를 할 계획이 있습니다만 공사업자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전문적이지 못한것 같아 믿음이 가질 않네요. 겨울철 결빙 등을 대비하여 하단부에는 단열용 비닐을 깔고 지표 부분에는 스노우멜팅케이블이나 온수용 엑셀파이프 시공을 하려고 합니다만 어떤 방법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장 좋을지 고견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5 лет назад +3

      반갑습니다,,
      멜팅케이블은 전기 공급용량을 사전에 확인 하세요, 온수관은 비추.
      동절기 난방시 하부로의 열손실 방지로, 전도성단열도 가능한 은박단열재 사용이 효과적으로 생각됩니다. 단열재가 차량하중을 감당해야하므로 밀도 높응 단열재 권합니다 ^^

    • @incini4736
      @incini4736 5 лет назад +2

      @@772homedesign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자면 가장 아랫면엔 비닐시트지 깔고 버림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그 후 고밀도 은박단열재 깐 후 와이어 매쉬 (6mm정도) 시공한 다음 멜팅케이블 설치 후 마감콘크리트 타설. 이런 순서로 시공하면 효과적인지요? 물론 물 구배 잡아서 트렌치도 설치해야 합니다만.. 승용차를 기준으로 한 세차장 기초공사시 기초콘크리트 두께는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자세한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5 лет назад +4

      시공 구성은 좋습니다,
      상부 콘크리트 두께는 240kg/cm2 강도의 경우 200mm 이상이면 충분 합니다.
      세차 칸 부분과는 신축 줄눈을
      해주면 엉뚱한 곳에 크랙이 않 생김니다.
      사업 번창하세요,
      세차하러 가겠습니다 ^^

    • @incini4736
      @incini4736 5 лет назад +1

      @@772homedesign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이인숙-i4p
    @이인숙-i4p Год назад +1

    건축기술사님, 고맙습니다 😊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Год назад +1

      늘 응원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기쁘네요 😀

  • @현진정-b2i
    @현진정-b2i 2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 시간되시면 통화 부탁드립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2 года назад +1

      저의 채널, 정보란에 연락처 있으니 먼저 문자 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 @하림엔지니어링-w4z
    @하림엔지니어링-w4z 4 года назад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4 года назад +1

      응원해주시니 기쁘네요 !!!
      감사합니다 ^^

  • @대나무-m7u
    @대나무-m7u 5 лет назад +1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5 лет назад +2

      여기 스페인의 성당처럼
      137년 전에 공사시작하여 앞으로도 몇십년안에 완공이나 될런지???
      백여년전 착공 때와 오늘날 건축 공법이 바뀌어.....
      석조인지,,, 콘크리트조인지....
      빠리의 명물 에펠탑도 한때는
      빠리의 흉물 1호 였습니다 ^^

  • @midas99
    @midas99 4 года назад +2

    잘 보았습니다.
    지내력이 건물중량/기초면적보다 커야 안전성이 담보되는 군요.
    여러가지 잘 알아갑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4 года назад +1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뻐요 ^^

  • @권태휘-o9m
    @권태휘-o9m Год назад +1

    동결심도 때문에 기초 비용 상승이 문제입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Год назад +1

      우리나라 전통 한옥경우 기초부분 시공방식이 특별하여 동결심도 초월하여 주춧돌을 설치합니다.
      옛 선조님의 지혜입니다.

  • @최현철-d7e
    @최현철-d7e 5 лет назад +1

    항상 잘보고있읍니다. 감사합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5 лет назад

      반갑습니다,,.늘 관심있게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 @gangho04
    @gangho04 4 года назад +2

    항상즐감하고 있네요ㆍ문의사항은 ㆍ농막설치기준 지면에서 2미트 띠워서 설치코저하니 가능한 ㆍ또기준이완하 되어 7곱평 까지가능타고 ㆍ하든대 가능한 지요 ㆍ상세한 설명 부탁 드려요 ᆢ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4 года назад +3

      반갑습니다,,,
      예를 들면 3×7컨테이너는
      21m² 으로 20이 초과되나 벽 중심선으로하니, 20m² 범위에 들어옵니다,
      컨테이너는 외경치수 입니다.
      7평이 가능하다는 말은 아니며,, 대충 눈감아주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또 2미터를 띄우는 의도가
      이후에 아래에 벽을 막으면
      하나의 실이되는 의도가 보이므로 신고가 반려될 수 있습니다.

    • @gangho04
      @gangho04 4 года назад

      @@772homedesign 감사합니다 ㆍ2미트 뛰울려는 이유는 구릉지라 도로와 높낮이를 마추려다 보니 그런 생각을 하게되었네요 ㆍ하부를 막을려는 의도는 없고요 ㆍ암튼 감사함니다ㆍ^~^

  • @수구리라
    @수구리라 5 лет назад +2

    기초의 종류가 이렇게 다양한지 몰랐습니다... 감사합니다..

  • @배인숙-u3h
    @배인숙-u3h 3 года назад +1

    3층상가주택인데
    기울어졌어요
    복원공사하는곳
    소개좀해주세요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года назад +1

      알아보고 연락드리겠습니다.
      멜로 해당주소,연락처 남기세요.

  • @김지환-e8s
    @김지환-e8s 4 года назад +2

    기초판을 넓게하는 이유가 힘을 분산시키기 위해서라고 아는데 힘을 분산시키는이유가 뭔가요??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4 года назад +2

      "설피 " 라고 눈에서 빠지지 않고 걸어갈수 있는 발판입니다.
      눈은 지지력이 아주 적으므로
      바닥을 넓혀주므로 안빠지는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노을-w6w
    @노을-w6w 5 лет назад +2

    772님 안녕하세요.
    ALC주택에서 기초가부실하면 벽체에 균열발생 구조적문제 발생 됩니다
    ALC주택 에서는 튼튼한기초가 중요 합니다.
    벽체 균열방지 시공! 조적시 메쉬보강 하인방시공 상인방 걸침길이 확보 ALC 지붕페널시공
    테두리보 시공 몰탈타설 시공한다면 튼튼 합니다
    블로그에 링크 공유 하겠습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5 лет назад +2

      중요한 핵심에 공감합니다 ^^
      늘 관심있게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배인숙-u3h
    @배인숙-u3h 3 года назад +1

    콘크리트집입니다

  • @김지환-e8s
    @김지환-e8s 5 лет назад +1

    잡석다짐을 하는이유는 기초를 더 튼튼하게해주기 위해서인가요??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5 лет назад +1

      네, 기초 굴삭하면서 푸석푸석한 흙을 잡석,쇄석을 깔고 다져주고 그 위에 버림 콘크리트를 치면 그위에 먹줄을 하기 좋습니다.
      잡석다짐을 잘하면 기초가 더 튼튼하게 됩니다

  • @jinjeon1670
    @jinjeon1670 4 года назад +1

    몇번이나 시청하고있네요 감사드립니다 궁금한게있어 문의드리네요 구시가지 반지하3층건물을 철거하는데 있어서지하구조물을 완전히철거하지않는거 같습니다 그랬을때 건물을다시올린다면 반지하밑에 기초가있는게나을까요 아님 반지하구조물까지 걷어내고 맨땅에서 다시하는게맞는지궁금합니다 그리고 반지하구조물을 걷어내는법규가있는지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4 года назад +1

      우리나라의 경우 인가요???
      해외경우라도,,, 다시 신축하는
      건축물의 구조계산에 의해 철거되지 안은 기초판에 덧대어
      기초구조가 시공됨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지하실 하부 기초슬래브를 철거하지 안는 것은 합리적인
      설계라고 판단합니다.

    • @jinjeon1670
      @jinjeon1670 4 года назад +1

      빠른시간의답변 너무감사드립니다 넘궁금했었는데 궁금증해결 감사드립니다

  • @100m2s
    @100m2s 5 лет назад +2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집짓는데 도움도 되지만 상식으로도 재미있습니다,기초 터파기하고 건축폐기물같은 예를 들어 벽돌, 콘크리트블럭 등을 성토하는데 묻어도 문제가 없을지요? 지내력에 도움이 된다면 폐기물로 버리는 것보다 낫지않을까 하는 생각에 여쭙습니다, 고맙습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5 лет назад +2

      반갑습니다,,,
      가능합니다, 권장합니다.
      현재 국토교통부에서도 순환골재, 재생골재를 권장합니다.
      성토하는데 좋습니다.
      지내력에 유리하고 물빠짐도 좋습니다 ^^

    • @100m2s
      @100m2s 5 лет назад +2

      @@772homedesign집지을 곳에 터파기를 하는데 이전 집터의 콘크리트 블럭과 적벽돌이 나와서 이걸 파내서 버릴려고 쌓두었는데... 기초 바닥에 쓰면 좋다니 다행입니다~고맙습니다. 어려운 건축개념을 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기초와 철근콘크리트, 단열에 대한 친절한 설명으로 개념이 좀 잡협습니다, 감사합니다~

  • @MrJunhol
    @MrJunhol 5 лет назад +3

    안녕하세요. 늘 좋은 영상으로 많은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논을 성토해 경량철골 주택을 지을 예정입니다. 성토높이는 1M입니다. 성토과정에서 덤프차를 이용해 1차 다짐을 할 계획입니다. 성토를 마치고 1년 정도 지난 뒤 건축을 해도 큰 문제가 없을까 걱정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5 лет назад +2

      문제 없습니다^^
      성토흙을 마사토, 또는 거친 흙으로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