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외관 땟국물 의외의 이유..jpg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1 тыс.

  • @studyppak9640
    @studyppak9640 4 месяца назад +19615

    양산형쇼츠 영상인데 정보가 고급지네

    • @알아보기
      @알아보기 4 месяца назад +219

      이게 왜 양산형이냐

    • @alcohol_soju_drunk1218
      @alcohol_soju_drunk1218 4 месяца назад +1542

      요즘은 양산형 스타일로 밀고가는거라 정보가 좋다 싶으면 짝퉁아님ㅋㅋㅋㅋ

    • @cdr7738
      @cdr7738 4 месяца назад +80

      @@알아보기 양산형 맞음. 뇌는 있지?

    • @mrjoo1983
      @mrjoo1983 4 месяца назад +631

      디시 도시미관갤에서 퍼온거임
      올라온지 얼마안됐는데 벌써 퍼왔네

    • @alcohol_soju_drunk1218
      @alcohol_soju_drunk1218 4 месяца назад

      @@mrjoo1983 도미갤에 있다가 실베가면 유튭ㆍ에 보임ㅋㅋㅋ

  • @whocaresyouandI
    @whocaresyouandI 4 месяца назад +9466

    저 시공은 기본으로 상식중에 상식입니다. 그런데 한국은 그 상식이 종종 안통합니다. 신기합니다. 그리고 건물주가 주기적으로 건물 외벽을 청소해야하는데 그것도 잘 안합니다. 정말 신기합니다.

    • @nalk9724
      @nalk9724 4 месяца назад +748

      건물주가 건물외벽 청소 안하는거 진짜 신기...제발 좀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외벽만 청소해도 훨씬 이뻐보일 건물들이 많아서 너무 아까워요. 건물주 입장에서도 자기건물 더 좋아보이면 좋지 않은지.

    • @skwonsn
      @skwonsn 4 месяца назад +200

      지능 낮아서 어차피 모름 ㅋㅋㅋ

    • @Exynos3
      @Exynos3 4 месяца назад +106

      어차피 다 돈 바치기 대우 바치기 세금 바치기 따라가고 건물주도 어차피 그냥 돈 벌기만 하면 끝이지 이러고
      건설사도 괜히 공기 늘고 인건비 더 들어가는거 싫어하니 어느 나라든 다 똑같이 천벌 받지요
      참고로 저건 시공기준이고 시방서에도 안 들어가고 상세도면에도 없는 설계랑 관계 없는 경우도 많아서 감리가 있어도 의미가 없죠 특히 돌 두겁은 현장에서 물 끊기 홈을 가공해서 공기와 인건비가 많이 들고 이런건 자동화 연구조차 아에 안되니 대가를 치루는거죠

    • @francistribbianijoseph784
      @francistribbianijoseph784 4 месяца назад +158

      철근부터 빼먹는데 말 다했지뭐

    • @FinisTime
      @FinisTime 4 месяца назад

      ​@@scha8549국가의 지나친 사유 재산에 대한 간섭 같습니다만.

  • @NUSUHUNTER
    @NUSUHUNTER 4 месяца назад +1542

    현직 누수탐지사 입니다. 맨날 입으로 하던 내용인데 이렇게 영상으로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문명자-f8c
      @문명자-f8c 3 месяца назад

      누수 탐사 초빙하고싶읍니다 ㅡ연락주세요

  • @body-z4i
    @body-z4i 4 месяца назад +7416

    세로 뗏국물 이유를 처음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Nicobellic353
      @Nicobellic353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세로 뗏국물의 존재를 처음알았 습니다

    • @ny09522
      @ny09522 4 месяца назад +34

      그냥 여름에 비 많이오고 습하면 다 저런 줄 알았음

    • @BB-may2nd
      @BB-may2nd 4 месяца назад +4

      땟 땟 땟

    • @바사삭-m1v
      @바사삭-m1v 4 месяца назад +1

      ​@@BB-may2nd걸 헤이 유고걸~~

    • @d2341a
      @d2341a 4 месяца назад

      뗏->땟

  • @최수르
    @최수르 4 месяца назад +2863

    숏츠들이 전부 이런 정보로 채워지면 좋겠다.싼거보다 이런게 정석이라는게 널리 알려지면 좋겠다

    • @Corgi_fax
      @Corgi_fax 4 месяца назад +14

      하지만 팩트는 사람들끼리 싸우게 해야 댓글도 더달리고 뷰도 많아지고 돈도 많이벌수 있는데다가 정확한 정보는 아무리 잘난 사람이라도 조사하고 만드는데 더 오래걸리고 그렇기때문에 팩트체크도 점점 느슨해짐
      쇼츠나 릴스 이딴 기능 자체가 애초에 정보를 공유하라고 만들어놓은게 아니라 '지금부터 서로 죽여라' 라고 만들어놓은거임

    • @user-grgrgr8822gr
      @user-grgrgr8822gr 4 месяца назад

      @@user-jq9th7zg6c숏츠를 정보 얻을려고 보는 사람이 있음? 그냥 시간 남을때 시간때우기용으로 재미로 보는건데 바라는게 많아…

    • @user-grgrgr8822gr
      @user-grgrgr8822gr 4 месяца назад

      @@user-jq9th7zg6c그렇게 싼마이 말고 고급 정보 얻고 싶으면 숏츠 볼 시간에 책을 읽으시는게..

    • @DemiglaceKatch
      @DemiglaceKatch 4 месяца назад

      ​@@Corgi_fax 빅테크 이 악마새끼들

  • @jhb5305
    @jhb5305 4 месяца назад +4006

    물 끊기 홈이 정말 중요함...

    • @hahman1st
      @hahman1st 4 месяца назад +19

      요즘 건축시공에서 많이쓰임 물의 물리적인 특징에 기인한 시공법인데 물이 벽으로 계속해서 질질 흐르는걸 방지함

    • @오토라이크
      @오토라이크 4 месяца назад +10

      자동차도 중에서도 특히 버스도 물끊기 신경써서 작업하더라고요.

    • @koengis
      @koengis 4 месяца назад

      한국은 돈드는건 아무것도안함 ㅇㅇ
      도시미관자체부터 일본에 개처발리는 이유중에하나임
      창문부터 싸구려 청록색으로 도배된게 한국건물들

    • @꾹꾸까까-o4r
      @꾹꾸까까-o4r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이런 지식은 책에사도 배울수있나요
      건축 뭘 봐야하죠

    •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4 месяца назад +3

      @@꾹꾸까까-o4r 책한권정도론 안되지
      그정도로 다 배울거면 건축공학과가 어디있겠음
      전공을 해서 배우는거지

  • @space-999-milkyway
    @space-999-milkyway 4 месяца назад +486

    요즘 현장에 경험 있는 사람들이 적어서인지 간단한 “크라운(횡단경사)” 조차 처리하지 않아. 고급 아파트도 비만 오면 산책로가 빗물에 잠겨버린다.

    • @qiannimal
      @qiannimal 4 месяца назад +99

      일본은 저거 기본인데 ..
      그래서 건물 외관이 전부 깔끔함 ...
      한국도 옛날에는 했었는데 이상해짐 ..

    • @leeki557
      @leeki557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걍 하수구 막힌거 아님? 물매 안줘서가 아니고?
      그런곳 가본적 없어서 모름..

    • @Corgi_fax
      @Corgi_fax 4 месяца назад +33

      @@leeki557 횡단경사는 간단히 말해서 배수로 만들기임. 배수로를 제대로 만들어놨으면 하수구 이전에 비를 조금이라도 더 낮은 지대로 흘려줘야함. 즉, 빗물에 잠기는(빗물이 고이는) 일이 없어야 함. 근데 그냥 평평하게 공사해버리면 어디는 더밟고 어디는 덜밟고 해버리니 점점 더 깊게 파이는곳이 생기고 빗물이 고이니 더욱 빠르게 열화되서 더 심하게 고이게됨.
      횡단경사를 해놓으면 힘 자체를 살짝 경사면으로 받으면서 더 아래쪽에 하중이 많이 실리게되고, 꺼진다고 해도 경사면 아래쪽으로 꺼지게 됨. 즉 조금 눌리는정도로 배수로의 방향이 바뀌거나 물이 고이는일은 없다는거임.

    • @yooooi876
      @yooooi876 4 месяца назад

      거지누

    • @iiiiiii-sd9bd
      @iiiiiii-sd9bd 2 месяца назад

      외국인들이 일해서 그런듯

  • @joejoe6611
    @joejoe6611 4 месяца назад +1904

    두겁석에 경사를 주는 것과 "물끊기 홈"은 평지붕 건물에서 "필수"입니다.

    • @mjkim0102
      @mjkim0102 4 месяца назад +43

      와 그런것치곤 저렇게 세로물때낀 건물 많던데요
      시공저렇게했으면 안정성도 믿을수가없겠어요
      순살아파트가 어떤배경에서나왔는지 알겠네요..

    • @joejoe6611
      @joejoe6611 4 месяца назад

      @@mjkim0102 "왜 물때가 끼었나??" 가 아니라 "왜 청소를 안했나?"라고 해야 더 정확해요.저 문제는"관리의 영역"이란 뜻입니다."각형"으로 지어진 모든 건축물의 숙명이에요.파리나 뉴욕을 예로들면 도시 전체가 항상 "비계"투성이에요.항상 뭔가를 "닦고" "청소"하고 "(물이세는 곳을)수선"한다는 뜻입니다.그 정도는 해줘야 석조건물의 원형이 유지가 됩니다.만일에 그들처럼 법으로 강제해서 2~3년마다 외벽을 청소하라고 행정명령을 내린다면.."왜 우리가 알아서 할 일을 국가가 나서서 이래라,저래라.난리냐"며 반발할 겁니다.건물주는 임대수익이 줄어들어서 속상하고 입주민은 관리비가 올라서 속상합니다.고온다습한 지역색도 무시 할 수 없구요.그 어떤 건축물도 오염과 물때의 공격에서 피해갈 수 없어요.그런 의미에서 제도적,디자인적인 문제를 구조적인 문제로 삼는건 지나친 비약인 것 같애요.

    • @IlllIllIllIIIl
      @IlllIllIllIIIl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신도시 모래 딸리던 시절 짓던 건물들 보면 시멘트 배합 문제인지 몰라도 저 홈 자리 다 깨져서 떨어져 나가 잇음

    • @JangyuAze
      @JangyuAze 2 месяца назад

      ​@@mjkim0102디자인 때문에 그래요. 물끈기 할려면 최소 길이로 빼도 뭘 붙여도 허접해 보이는 신기한 마법을 보실수 있을거에요.

    • @김씨-d6m
      @김씨-d6m Месяц назад

  • @Qag86
    @Qag86 4 месяца назад +525

    그래서 주택을 구매할 때 이쁜 외관만 보면 낭패고 처마가 있는 집을 구매해야 유지보수가 용이 하다고 함..

    • @gueungyeun
      @gueungyeun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어차피 비슷할듯 매달 아파트 관리비에 포함하듯 주택도 보험필수고 매달 적금해야함..

  • @leedoohee
    @leedoohee 4 месяца назад +459

    물끊기홈이라고 하는거고 40년전 건물에도 다 있음.
    그리고 두겁석은 물끊기홈도 설치하지만 경사를 지붕 안쪽으로 기울여서 아예 벽쪽으로 물이 안떨어지게 하는게 좋음.

    • @leedoohee
      @leedoohee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루다-n2z 내가 40살이라... ㅋ

  • @이시란-z9v
    @이시란-z9v 4 месяца назад +171

    저거 없으면 샤시에 물 들어갈 확률이 높아짐. 창문은 집 볼때 티가 안나지만 사는데 큰 영향을 끼차는 부분이니 확인이 필요하다.

  • @mmiinnggmmoonngg
    @mmiinnggmmoonngg 4 месяца назад +197

    와 저거 왜 생기나 안생기게 할순 없나 혹시 외벽청소를 주기적으로 해줘야하는데 안 하는걸까 다양한 의문이 들었는데 드디어 알았네요...ㄷㄷㄷ감사합니다 제 쇼츠에 나와주셔서 ㅠㅠㅠㅠ

  • @Max-yw7ls
    @Max-yw7ls 4 месяца назад +47

    좋은 정보에 감탄했습니다. 올해 새로산 이층 건물 난간에 누수가 있었는데 하우징 업자가 처마에 저런 비슷한 시공으로 문제를 해결하더라구요.

  • @FLCLLife
    @FLCLLife 4 месяца назад +67

    고급 설명 감사합니다
    집 지을 일은 없지만 이런 전문적인 이야기는 너무 재미있어요

  • @김동섭-q8x
    @김동섭-q8x 4 месяца назад +203

    빌딩 출입구 수평 0로 마주어 놓고는 잘 마추었다고 하는 건죽회사.... 바깥쪽으로 기울기를 주어야 비오면 물이 고이거나 건물내로 안들어오고 밖으로 흘려내리지... 그 수평을 0로 마추고는 일잘했다고 어께에 힘줌.... 하자라고 하니....

    • @Exynos3
      @Exynos3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기울기 맞추는게 자동화도 안되고 석공 수준 따라 가서 뭐 답은 없쥬 꼬우면 외노자 써야하고 본인이 하든가 또 그만큼 공기와 인건비도 들어서 돈 없으면 설계도 따위에 안나오는 이런 시공 기준은 사실 시방서에 안 써 있어서 다 넘어가는게 어느나라든 합법이고요

    • @Dumptruck-1
      @Dumptruck-1 4 месяца назад +10

      수평오차없이 0이면 ㅈㄴ 잘한거긴해...

    • @animatok2524
      @animatok2524 4 месяца назад

      ​@@Exynos3느그 미개한 조선이나 그러지 진짜 아시아 최고 선진국 일본은 건축설계 단계부터 신경쓴단다. 당연히 기준도 법도 정해져있고.

    • @혁이-b5t
      @혁이-b5t 4 месяца назад +3

      물매라고 하지요

    • @빠빠라기-g5h
      @빠빠라기-g5h 4 месяца назад

      근대 장애인에서 횡경사 없애라고 하지않음? 그것때문에 한번 싸웠는대

  • @speaty486
    @speaty486 4 месяца назад +189

    뭔가 현장도 수준에 맞는 인력인증을 받았으면 좋겠다. 업자들도 그런인력만 쓴다고 더 챙길수있는 구조같으거. 그래야 교육도 들어가고 사람들도 알아야할꺼알고 대우도 받고 인력시장에서 살아남지

    • @소금후추-x9d
      @소금후추-x9d 4 месяца назад +14

      비슷한거 이미 있어요. 건축명장 함 검색해보세요. 그리고 사실 괜찮은 업체들 다 알고 건축사사무소들도 다 자기들이 아는 잘하는 업체들 있어요. 다만 건축주가 가져오는 돈에 따라 그 업체들을 쓰냐 못쓰냐로 갈리구요. 건축 설계 쪽인데 구조, 설비, 시공 어디 업체랑 했는지 보면 아 돈 좀 들인 프로젝트인지 아닌지 감이 옵니다.

    • @roycechoi9672
      @roycechoi9672 4 месяца назад +8

      노가다라고 무시하는 풍토부터 사라져야할듯

    • @wmdjdsmwns7265
      @wmdjdsmwns7265 4 месяца назад

      도면대로 시공하는건데 인부들이 문제임?

    • @ezj1694
      @ezj1694 4 месяца назад +4

      본인 자식이 대학 나와서 노가다판 가도 수준 높은 인증 인력 된다고 좋아해야 가능.. 제발 남의 자식에만 바라는 사항 떠들며 제도 타령하지 말자

  • @Pk1-t7q
    @Pk1-t7q 4 месяца назад +53

    건축업자만 뭐라할 부분이냐? 종건 다닐때 수십번 견적봤지만 몇명빼고 건축주들 와서 하는말이 좋은건물 만들어달라는 소리보다 싸고좋으게 소리가 먼저다. 특히 건축주가 가지고온 설계도면에 저런 두겁 물끊기 자재비 인건비 넣어서 세부내역서 뽑아주면 보지도 않는다. 내가다니던 업체는 잡자재부터 모든 공사 자재 인건비 부가적인 비용을 세부내역서로 뽑아줬다.그만큼 도면에 없는 부분도 문제가 될부분은 검토해서 상세도 그려서 시방서 작성하고 현장에 적용하는데 건축주의 관심은 그걸로인한 비용증가로 대부분 계약안하고 다른업체 가더라 결국 싼것만 찾다가 하자나는거지 아니면 진짜 기본도없는 업자만나서 세부내역도 안주는 평단가로 눈탱이치는 업체만나서 저꼴나는거고 그냥 업체만나면 세부내역달라하고 평단가말하면 1차 거르고 세부내역이랑 도면검토 잘하는 업체에맞기면 된다.

    • @Pk1-t7q
      @Pk1-t7q 4 месяца назад +5

      그런데 아무리 물끊기 두겁 시공해도 오래되면 안생길수가 없다. 가장큰 문제는 요즘 건축물들이 모던한 느낌을 만들기위해 처마가 없어지고 파라펫지붕으로 벽체를 올려서 지붕을 안쪽으로 숨기고 올라간벽체에 두겁으로 마무리하면서 처마없는 건물이많기때문이다. 그리고 그 두겁이라는건 벽체상단에 징크같은 철물을 접어서 덮고 턱을 만드는건데 튀어나온 턱이 보통 50미리정도라서 처마보다는 효과가 없다고 보는게 맞아

    • @leedoohee
      @leedoohee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오 구구절절 맞는말만 있다.
      나도 내역서 작성하는법 검토하는법 배워야되는데.. 배울곳이 없네

    • @Far-LeftOut-i5z
      @Far-LeftOut-i5z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일반인들은 보통건설 잘모름 어떤분은 비싸게 돈 달라는대로 주고 부실눈탱이 맞음 그래서 결론은 일단 한국사회에선 본인이 공사에 대해 알고
      엄청 개입하고 막 따지고 자주 공사현장을 들여다봐야 해결이나지 꼭 돈마니주고 잘해주세요 맡기는것도 다가 아님

    • @sin9932
      @sin9932 4 месяца назад +5

      전문업체입니다. 며칠전에 적잖은 양 도면
      던지면서 견적 요청하더군요.
      물론, 당연히 아무 내역없이,,도면만 딸랑.
      입면을 보니, 일부 구조 계산을 해야겠더군요.
      할까?말까하다,,,그래도 내역상에 몇 자는
      적어 줄려고, 외장재 구조 계산했습죠.
      프로그램 개발해놔서,,,별로 어렵진 않아요.
      도면에 적혀있는데로 견적해 주고,
      내역 특기사항에, 현 도면상의 자재는
      모두 NG 값으로 산정되며, 구조 계산하여
      진행시 러프하게 25~30%증액 예상된다..
      하고 몇자 적어노니, 데이터 좀 볼수
      없냐하고 전화 오더군요...궁금해 뒤지든지,
      구조 기술사한테 돈 주고 맞기든지 하시라고,,
      간볼려고 던진 도면들,,,
      어디서 싸게 해볼려고,, 다 보여ㅋ

    • @syk6950
      @syk6950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다니던 업체명좀 알려주세요

  • @user-yv5zm8en7p
    @user-yv5zm8en7p 4 месяца назад +318

    진짜 중요하고 사람들이 모를만한 정보네요.

  • @깨끗한세균맨
    @깨끗한세균맨 4 месяца назад +42

    내가 일본가서 놀란부분임.. 일본건물은 저 땟국물이 거의없음...

    • @구년-r2p
      @구년-r2p 4 месяца назад +2

      건물차이는 크죠 디자인도 일본이 더 이쁜편이고

    • @황당-t4i
      @황당-t4i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일본에서는 1년에 몇 번씩 주기적으로 건물 청소를 하는 걸 법으로 정해놨다고 함

    • @ygahn6804
      @ygahn6804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대신 단열이 후지지

  • @hinatea_jang
    @hinatea_jang 4 месяца назад +21

    고급 정보네요~
    이런 유용한 정보들이 많이 나오면 좋겠습니다

  • @middragon2188
    @middragon2188 4 месяца назад +26

    와 이게 이런 진실이 숨어있었다니. 물끊기 중요하네요.

  • @reminiscingabout
    @reminiscingabout 4 месяца назад +42

    고양이가 매우 고급진 정보를 알려주네요 구독합니다

  • @반포별빛지기
    @반포별빛지기 4 месяца назад +19

    쇼츠 중에서 가장 유익한 영상

    • @srs00108
      @srs00108 4 месяца назад

      진짜 유익해서 처음으로 쇼츠에 좋아요 누름ㅋㅋㅋㅋ

  • @milkywaygallaxy
    @milkywaygallaxy 4 месяца назад +5

    와 감사합니다
    너무좋은 내용입니다

  • @hanbin5436
    @hanbin5436 4 месяца назад +25

    오 .. 진짜 유익

  • @레츠고-e3k
    @레츠고-e3k 4 месяца назад +158

    리모델링한다고 흰 철판이나 대리석(빌라에서 보는거)으로 덧붙였는데 더 더러운경우가 많음.

  • @홍길똥-m1c
    @홍길똥-m1c 4 месяца назад +87

    오.. 물끊기.. 그 틈이 그 이유구나..

  • @werlovewerfree
    @werlovewerfree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일반인을 잘 모를 아주 좋은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 @leetommy22
    @leetommy22 4 месяца назад +4

    두겁하는 사람입니다. 창문과 지붕엔 필수에요. 헌데 자재선별도 중요합니다. 안그럼 1-2년뒤 다 녹물 생겨요. 불과 몇년 전 까지만 해도 현장 소장들도 모르거나 그냥 하는 데 많았어요. 건축주가 무조건 싸게 해달래서ㅎ

  • @paygnful
    @paygnful 4 месяца назад +13

    처음봤는데 구독을 안할수가 없네요
    잘보겠습니다 주인장님

  • @신사임니당-w2y
    @신사임니당-w2y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역시 모든 일에는 원인과 이유가 있네.

  • @jahnny9222
    @jahnny9222 4 месяца назад

    약속 시간 남아서 숏츠보다가 우연히 봤는데 눈물이 나네요 화장 다시 하러 가야겠어요🥲🥲 저도 어린 딸이 있는데 나중에 딸이 엄마를 떠올릴 수 있는 무언가를 같이 만들어봐야겠어요🩷
    따뜻한 영상 감사합니다 💛

  • @neoeobz
    @neoeobz 4 месяца назад +4

    도면 마음대로 해석하고 시공편하게 하는 것이 똑똑한 줄 아는 세상.

  • @dongchimi6301
    @dongchimi6301 4 месяца назад

    와 이거 진짜 궁금했는데! 지나가다 발견하게 되네요 고맙슴당

  • @nohjunbae2964
    @nohjunbae2964 4 месяца назад +2

    평소 저 홈이 뭐지 미닫이문 설치할라고? ㅋ
    생각했는데 좋은정보 감사요

  • @쇠고기전복죽
    @쇠고기전복죽 4 месяца назад +9

    옛날 아파트 대부븐 물끊기 돼있긴 함. 샤시프레임에 가려지는 위치에 있어서 아무 쓸모가 없을뿐 ㅋㅋ

  • @urin7942ya
    @urin7942ya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집지을때 정말 신경쓰고 완공시까지 집중해야됨. 도면보고 겨울철 결로까지 예상하고, 빗물대책, 문틀고정 방식등
    잠자면서도 아이디어 총동원 해야.
    나중에 자다가 이불킥 안함.

  • @random0153
    @random0153 4 месяца назад +13

    이런거 보통 틀린 내용이면 댓글에서 바로 지적 들어오는데 그런 댓글 하나도 없는것보면 정확한 정보가 맞나보다ㅋㅋㅋㅋ

  • @Borasuny
    @Borasuny 4 месяца назад

    궁금했던 부분이었는데...이 영상으로 궁금증 제대로 해소됐네요^^

  • @별을찾는소년
    @별을찾는소년 4 месяца назад +3

    고오급 정보네요!

  • @소금후추-x9d
    @소금후추-x9d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 내용 설계하는 사람들 중에 모르는 사람 얼마나 되려나요.. 근데 저렇게 해야할거 다 안해요. 아니 못해요. 이미 하는 일에 비해 설계비가 낮고 사람 갈아서 운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요. 건축주 분들 설계비 후려치고 디테일 들고 와서 넣어달라고 하는 경우 종종 있는데 (그러면서 기한은 빨리 해달라 대출 이자 어쩌고..) 괜히 후려쳐지겠어요..? 다 저런거 날라가는 겁니다.

  • @Dimaloke3421
    @Dimaloke3421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일반 주택 분양 받으면서 알게된 사실인데 그래서 요즘 고급샤시들은 틀 자체가 기울기가 있고 끝단은 물이 타고 들어가지 않게 설계 되어 있으며 벽 또한 세라믹 사이딩이라고 몇십년이지나도 새것처럼 깨끗한 마감제가 있다. 다만 조금 비쌀뿐

  • @금꺄
    @금꺄 4 месяца назад

    와 ㅋㅋㅋㅋㅋㅋ 별 지식을 다알아가네요 😅 정말좋아요 뀩

  • @tridungtran1809
    @tridungtran1809 4 месяца назад +42

    집, 자동차 ,의류 모든 부분에서 원가 절감의 시대...예전 집이 더 튼튼 하고 자동차도 예전 30년 자동차가 더 내구성이 좋음.

    • @곽정규-y7k
      @곽정규-y7k 4 месяца назад +5

      자동차는 애매함 에초에 리터당 마력이 낮으면 내구성이 좋을수밖에 없는 구조임 괜히 일본차가 내구성이 좋다 그러는이유가 성능을 낮추고 내구성을 취하기 때문...

    • @user-dz5vo4cl6v
      @user-dz5vo4cl6v 4 месяца назад

      자동차는 아닌데요..

    • @abadpotato
      @abadpotato 4 месяца назад +4

      ​@@user-dz5vo4cl6v 99년식 갤로퍼 이노베이션 타고 다니는데 엔진오일만 갈고 잘 타고 다니고 있습니다.😅

    • @giti9132
      @giti9132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안전성과 실내 마감 자제 퀄리티가 반비례한다는 말인듯

    • @곽정규-y7k
      @곽정규-y7k 4 месяца назад +4

      @@abadpotato 그러니까요 요즘차들도 갤로퍼 출력나오게 하면 훨씬더 오래 탈수 있거든요 근데 제조사가 그렇지 않는 이유가 있죠

  • @beautymindkr
    @beautymindkr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오! 컨텐츠 좋은데? 구독 박음.

  • @wm1hr
    @wm1hr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오오 이런 고급지식은 너모 좋은걸 😃

  • @you-l9-k9j
    @you-l9-k9j 4 месяца назад

    오~몰랐네요
    좋은정보!! 👍

  • @따봉乃
    @따봉乃 4 месяца назад +5

    아... 그냥 그러려니 했던건데 저것도 하자구나 그냥 외부에 노출되어있으니 당연하겠지 생각했는데

  • @서진사랑-u1x
    @서진사랑-u1x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런 노하우 너무 좋음

  • @이정우-d3o
    @이정우-d3o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오 새로운 지식 감사합니다

  • @leechanghyun
    @leechanghyun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진짜 올해 본 쇼츠 영상 중 가장 유익했음.

  • @kanescott5218
    @kanescott5218 4 месяца назад +41

    우리나라는 습도가 높아서 비온 후에도 자연건조가 느립니다
    물끊기 보다는 두겁석으로 시공해야 맞아요

    • @토끼의간
      @토끼의간 4 месяца назад

      Notch
      좃문가 뇌피셜은 일기장에

    • @곳니송
      @곳니송 4 месяца назад

      ㅋㅋㅋㅋㅋ아는척하지마세요ㅠㅠ 두겁석에다가 시공하는게 물끊기임… 따로있는게 아니란 말이죠.

    • @kanescott5218
      @kanescott5218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곳니송 두겁석이 없는곳이 많답니다 물끊기만 해놓은곳이 많아요~

    • @토끼의간
      @토끼의간 4 месяца назад

      @@kanescott5218 ㅋㅋㅋㅋㅋㅋㅋㅋ 안전모카나 토사모 카페등 올려보슈
      개웃기네ㅋㅋ

  • @김씨-u9b
    @김씨-u9b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오호~~~~ 이런 유익한 쇼츠는 무조건 좋댓구!!!!

  • @뽀얀허벅지
    @뽀얀허벅지 4 месяца назад +5

    물끊기 장치 제대로 해놓는 건물들도 많음.
    특히 홈파놓는거 저게 추가비용이 드는것도 아니고~
    문제는 리모델링 한답시고 저런거 덮어버림.

    • @ng025
      @ng025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추가비용 듭니다. 인건비와 시간이 투입되는 겁니다

    • @user-qh4hi9uv6q
      @user-qh4hi9uv6q 4 месяца назад

      ​@@ng025일본은 저런거 기본임😅 이유야 어찌되었건 싼마이로 대충 건물짖자는 마인드인데 안좋아요

  • @unionp6071
    @unionp6071 4 месяца назад

    정보가 유용해서 구독함 앞으로도 양질의 정보제공을 해주기바람.

  • @liilliiliilliil
    @liilliiliilliil 4 месяца назад +5

    아 홈을파서 물이 벽쪽으로 못오게 하는구나 좋은거 하나 배웠네요

  • @흑염룡술사
    @흑염룡술사 4 месяца назад +2

    ㅋㅋ 건축주가 시공사에 시켜도 말안듣는 나라인데

  • @god2lee862
    @god2lee862 4 месяца назад +9

    홈파기 콘크리트 두겁석은 기본으로 무조건 들어갑니다..
    대리석, 타일은 힘들죠
    쇼츠에 나온 노출 콘크리트면 벽돌면은 주기적으로 청소, 발수작업 해줘야합니다^^

  • @Dan-dn2wm
    @Dan-dn2wm 4 месяца назад

    오..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바나나2개
    @바나나2개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옥상 두겁석은 건물 안쪽으로 기울이는거고
    창문밑돌은 밖으로 기울이는거임
    다 밖으로 기울인다는건 잘못된 정보

  • @eliudeliud1780
    @eliudeliud1780 4 месяца назад +1

    현직 로프 작업자 입니다.
    수 많은 아파트의 누수 시공을 진행 해 본바
    아무리 오래 된 아파트여도 물 끊기 홈이 있는 경우 샷시 상단의 빗물 누수가 물 끊이 홈이 없는 아파트에 비하여 현저히 적습니다.
    쇼츠 정보가 유익하여 댓글을 달게 되었네요^^

  • @europurple7579
    @europurple7579 4 месяца назад +30

    노출 콘크리트 마감 시공시 발수 코팅이 아주 중요함. 근데 비싸서(인건비까지) 싸구려 쓰거나 생략함.

  • @moonjeongkwon8798
    @moonjeongkwon8798 4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유용해..... 주인장님사랑해요

  • @그래좋앙좋앙
    @그래좋앙좋앙 4 месяца назад +7

    옹 신기하다 이런정보는 첨봣넹

  • @부캐임-t1h
    @부캐임-t1h 4 месяца назад +7

    건설 혹은 설계하는사람들은알죠.
    땟자국 보면 설계잘못된걸. ..

  • @Chulsu99
    @Chulsu99 4 месяца назад

    쇼츠 바로 구독..이게 바로 유익한 영상이지`

  • @user-siul
    @user-siul 4 месяца назад +10

    좋은 팁이네

  • @TK____
    @TK____ 4 месяца назад

    아 어릴때 저런 홈은 왜 파놓는걸까 보기좋으라고 하는걸까 했었는데
    서른 중반이 되어서야 알게됐습니다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 @jm85lim63
    @jm85lim63 4 месяца назад +13

    오히려 70년대 지어져서 지금까지 버티는 건물들은 제대로 건축되어 있음....

  • @서연신-j9t
    @서연신-j9t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집 지을일도 없는데 몇번째 보고있네요ㅎㅎㅎ외워서 뭐할라고ㅋㅋㅋ

    • @Edalas-ednarg
      @Edalas-ednarg 4 месяца назад +2

      나중에 지으면되지

    • @aria760
      @aria760 4 месяца назад

      짓지 않아도 건물이나 집을 살 때 참고가 될 수도 있죠😊

  • @존버-m9h
    @존버-m9h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좋은 정보네요

  • @alice3124
    @alice3124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와 아버님 전원주택 저런 줄생겨서 이번에 까만 아연판? 아무튼 벽 지붕처럼 해서 시공다시했어요 이제 물이 밖으로 떨어지더라구요. 홈파기도 한 방법이군요 굿굿

  • @Arecaceae84
    @Arecaceae84 4 месяца назад +21

    유익하다...

  • @반합-y7g
    @반합-y7g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보통 두겁석에 홈을 안파긴하죠
    예전 시공하시는 분들은 거기까진 모르고 석재시공만 알기때문이죠
    기술자들한테 시공할때 파달라고하고 이유 말해주면 4인치 그라인더로 쭉 파주십니다
    금방 파요~

  • @218-DK
    @218-DK 4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당연한건줄 알았는데 당연한게 아니였네요

  • @ArtForBetterNow
    @ArtForBetterNow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세로 뗏국물은 시간이 흐르면 생기긴합니다 지역 기후 같은것도 중요하죠 그 유명한 안도 다다오 건축물도 앵간해선 뗏국물 없지만 물의 교회같은거 보면 벽면에 있긴합니다

    • @Roi-su8mo
      @Roi-su8mo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그게 설계가 개판인겁니다 보기좋은 건물이 살기도 좋은건 아닙니다 예술가로서의 건축가와 사람이 살 건물을 짓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어야 합니다

    • @ArtForBetterNow
      @ArtForBetterNow 4 месяца назад +2

      @@Roi-su8mo 뭘하든 영원히 깨끗한 건물은 없습니다 같은 설계라도 주변 환경에따라 다르고 벽같은경우 눈,비 많이 오는 지역은 뭔 짓을해도 뗏국물은 생깁니다 거기서 부턴 관리비를 얼마나 쏟고 신경쓰냐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 @DiGIMon74
      @DiGIMon74 4 месяца назад +2

      ​@@Roi-su8mo그 어떤 좋고 비싼집도 시간이 흐르면 당연히 노후되고 영상과도 같은 자국들이 생길수 밖에 없음

  • @persona3264
    @persona3264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진짜 유익하다...

  • @jihyuncv
    @jihyuncv 4 месяца назад +5

    우리 아파트도 신축인데 1년만에 자전거 주차하는곳 외벽에 땟국물 장난 아님

  • @뀨갱-i9h
    @뀨갱-i9h 4 месяца назад +2

    다른 분야긴 한데 냉장고 설치할때 엘지 기사님이 냉장고 규격이 좀 있으니 앞으로 조금 튀어나온다고 말하길래, 원래 냉장고랑 벽 사이 공간 만드느라 어쩔수 없는거 아니냐고 했는데...그럼에도 공간없이 꼭 붙여달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더라. 냉장고 과열될건 신경도 안 쓰고 그저 일자 아니면 못참는 건 한국종특인듯함

  • @1091-i2r
    @1091-i2r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일본 건물들이 50-60년되어도 깔끔한 이유죠. 처음에 지을때 제대로 지어요.

  • @데일리온니-t8z
    @데일리온니-t8z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오~~ 좋은 정보네요~^^😊

  • @oeelman
    @oeelman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아 두겁석… 단순히 예뻐서 하는 마감인 줄 알았는데!

  • @natekim-pb2yg
    @natekim-pb2yg 4 месяца назад +18

    한국은 "사계절"과 싸워야 함. 그래서 아파트가 좋음.

    • @NFlying_Nfia
      @NFlying_Nfia 4 месяца назад +2

      ㄴㄴ 날림공사 심해서 순살 아파트 오지게 많음

    • @khd1546
      @khd1546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아파트는 날림시공해도 입주한 사람이 알아서 숨겨줘~ㅋㅋㅋ

    • @BogleVanguardZealot
      @BogleVanguardZealot 4 месяца назад +1

      @@khd1546 맞아용. 안전이나 거주환경보다 집값 떨어지는 걸 더 걱정하지요.

  • @김빠따-n8i
    @김빠따-n8i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건 진짜 좋은 정보이네...

  • @가야G-z3g
    @가야G-z3g 4 месяца назад +7

    당연한건줄 알았는데 그게 시공문제 였군

  • @김밥-v2f
    @김밥-v2f 4 месяца назад

    오...?! 집 매물 알아보는 중에 봤던 집이 다 좋은데 외벽이 딱 저래서 고민중이었는데 이게 딱 뜨네 ㅋㅋ

  • @Theminju410
    @Theminju410 4 месяца назад +8

    건축물에 관한 큰 오해.
    유지관리 보수를 꾸준히 해야 한다.
    (놔두면 어떤 건물도 노후화가 급속히 진행된다.)
    일반인들은 건축물 유지관리 보수 방법에 대해 알려하지 않고, 문제가 발생되고(대부분 상태가 나빠진 후)난 후 보수를 하니 효과도 나쁘고 건물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건설인들에 대한 비난으로 이어짐.ㅠ

  • @Haru08816
    @Haru08816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저런 시공지 도움은 되는데 그래도 물때는 낌 단지 청소가 필요한 기간을 연장시키는 개념이지 저거 한다고 때가 안끼는게 아님
    묘비 비석도 대리석이 가장 비싼데 비싼걸 하는 이유가 물때가 적게 끼기 때문임 결국 외벽을 대리석으로 붙일게 아니면 무조건 외벽청소를 최소 1년에 한번은 해야하는데 10년에 한번도 안하는 건물주가 대부분임 그냥 의식수준의 차이임 잘사는 외국에서 자기집 잔디를 안깎으면 별금을 먹이는 이유도 아무리 자기 땅이지만 동네 경관을 해치지 말라는 의도이고 사람들도 잡초가 자란 마당을 보면 그 집주인을 욕하는데 한국은 저런 부분에서는 아직 의식 자체가 없는거임 법적으로 미관 관리를 강제하는 법안이 필요함

  • @seeu096
    @seeu096 4 месяца назад +22

    좋은 팁 감사요 .. 부실 기업 건축 공부 다시 해야 겟네

  • @PHOENIXGOD-p8u
    @PHOENIXGOD-p8u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오오 이건 처음듣는 정보인데 유익하네요 굿!

  • @pyapya_purple
    @pyapya_purple 4 месяца назад +14

    나도 비와서 건물 더러운게 당연한건 줄 알았는데 일본가니까 건물 저런 세로 땟국물없이 깨끗하더라...

    • @노리치-i4j
      @노리치-i4j 4 месяца назад +7

      일본은 법으로 건물 외벽을 화학약품으로 세척하도록돼있습니다.

    • @pyapya_purple
      @pyapya_purple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노리치-i4j 그렇군요 ㄷㄷ

    • @animatok2524
      @animatok2524 4 месяца назад

      ​@@노리치-i4j애초에 설계 후 시공부터가 나거한이랑 다른데 ㅋㅋ 최대한 벽에 물이 안 흐르게 다 기준이 있고 그거대로 한다

  • @송지효-u9t
    @송지효-u9t 3 месяца назад

    고급정보 개꿀 고퀄리티 쇼츠👍

  • @HT45
    @HT45 4 месяца назад +10

    저거 설계만 똑바로하면 건물이 아무리 오래되어도 저런 땟국물이 안보임

  • @yesignlee4403
    @yesignlee4403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정말 좋은 정보

  • @레오-s9u
    @레오-s9u 4 месяца назад +42

    진짜 도쿄갔는데 저런자국 하나도없음

    • @clalimit5077
      @clalimit5077 4 месяца назад

      ㅈ빤다 존나많어 ㅂㅅ아

    • @弓長優
      @弓長優 4 месяца назад +2

      ​@@user-farniente그건 국민성임..층간소음은 막을 수 없다

    • @pyapya_purple
      @pyapya_purple 4 месяца назад +1

      ㄹㅇ... 첨 보고 뭐지 건축자재가 다른가, 자주 건물을 닦을수가 있나 이생각했음;; 건축자체의 문제일줄은

    • @TransparentUmbrella
      @TransparentUmbrella 4 месяца назад +2

      @@弓長優일본은 철근콘크리트가 우리나라처럼 많지 않고 철골로 짓는 면도 있어서 그렇습니다.

    • @弓長優
      @弓長優 4 месяца назад +2

      @@TransparentUmbrella 철골로 지으면 더 울리죠ㅋㅋ
      일본 학교 긱사 사는데 국제관 (주로 한, 중) 기숙사는 겁나 시끄럽습니다
      한학기 살고 일본인들 많은 기숙사로 옮겼죠

  • @Favy-Choker
    @Favy-Choker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집에 국이 없었는데 햇반에 뗏국물 뚝딱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Love-vd6lw
    @Love-vd6lw 4 месяца назад +7

    우리 아파트는 되어있네요. 아이파크.

    • @몽고-p8b
      @몽고-p8b 4 месяца назад +4

      다합니다
      이상한 영상으로 현혹하는겁니다

    • @Allallall788
      @Allallall788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없는 아파트는 없어요 구축 포함

  • @히힛히헿
    @히힛히헿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아파트는 기울기대신 홈이 하나 나 있죠. 이게 물을 흘러가지않고 홈에서 떨어지게 만들어준답니다

  • @vertigo4441
    @vertigo4441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양심이 초등학교 때부터 박살내는데 사회 나오면 갑자기 양심이 생길까.. 심지어 조선족이나 외노자들이 장악해서 더 심하면 심할듯. 점정 나라가 개판이 되어감.

  • @30daysofmiracle3
    @30daysofmiracle3 4 месяца назад

    와... 좋은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