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받은 천문학계.. 처음 밝혀진 토성 고리의 역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99

  • @홍성민-g3n
    @홍성민-g3n Год назад +312

    천문학계 특 맨날 충격에 빠짐

    • @time-ys4ut
      @time-ys4ut Год назад +62

      그럴수 밖에 없는게 천문학계이긴 함ㅋㅋㅋㅋㅋ

    • @DGD280
      @DGD280 Год назад +3

      ㄴㅇㄱ

    • @aidenpark21
      @aidenpark21 Год назад +11

      아직 우주과학의 수준은 아기 걸음마 수준이라 ㅋㅋ

    • @스위트홈-e9u
      @스위트홈-e9u Год назад +8

      @@aidenpark21 걸음마 수준이면 다행
      아직 정자 난자 만나지도 못함

    • @우주-n2i
      @우주-n2i Год назад +1

      그만큼 신이 나신다는거지!

  • @MrSinusu
    @MrSinusu Год назад

    중간에 “토성의 고리가 두 개의 이론으로 생겼을 것“이라는 멘트는 어불성설입니다.
    고리가 이론으로 생길 수는 없죠.
    고리가 생기게 된 것에 대한 두 개의 다른 이론이 있겠죠.

  • @Kenshin12345
    @Kenshin12345 Год назад

    고리대금 업체하고 연관있을 듯

  • @hellcat1099
    @hellcat1099 Год назад +13

    오 목소리 전분이랑 많이 근접해졌네요. 좋습니다.

    • @Collaintp
      @Collaintp Год назад +5

      ㄹㅇㅋㅋㅋㅋ

  • @MJC_IiiiIiiiIi
    @MJC_IiiiIiiiIi Год назад +42

    솔직히 모든 학문 분야를 통틀어서 천문학자들이 제일 자주 충격 받는듯

    • @JJUNG__
      @JJUNG__ Год назад

      일반인 입장에서도 우주가 젤 신기함

    • @g.cuvier
      @g.cuvier Год назад

      고생물학계도 만만치 않음

    • @user-pt2do8jb7s
      @user-pt2do8jb7s Год назад +1

      그만큼 우주는 우리가 사는 공간이면서도 미지의영역이니깐

  • @뜽우-l3v
    @뜽우-l3v Год назад +4

    성우님 노력하시는게 눈에 보임 톤 좋습니다

  • @ralphlauren5232
    @ralphlauren5232 Год назад +6

    처음에 논문부터 보여주고 시작하니까 너무 좋네요

  • @ZETA_
    @ZETA_ Год назад

    _오늘도 천문학자들은 충격에 빠집니다._

  • @therock77
    @therock77 Год назад +8

    오늘도 즐감합니다

  • @반란군의리더
    @반란군의리더 Год назад +1

    보이스 프로그램 쓰시는건가요?
    다른 곳에서 쓰는 목소리하고 똑같아서 좀 놀람

    • @박현지-o1t
      @박현지-o1t Год назад +1

      전문 성우님들 섭외해서 영상 만드신다고 커뮤니티에 올리셨었어요.

  • @SAOPgih0ng
    @SAOPgih0ng Год назад +4

    나래이션 좋네요 ㅎㅎㅎ

  • @손세영-q6f
    @손세영-q6f Год назад +2

    목소리가 전분이랑 비슷해졌네요

  • @덕화이엿
    @덕화이엿 Год назад +1

    사실 충격받앗다는게 그충격이아니라
    하도 집을 안들어가서 와이프한테 명존쎄맞은 그충격을 말하는게아닐까

  • @chucky4258
    @chucky4258 Год назад +3

    👍

  • @ddobinaa8670
    @ddobinaa8670 Год назад +1

    채널장님 스페이스팔로워라는 채널에서 전 채널장님 목소리랑 자주사용하시던 배경음악까지 너무 똑같아서요!!!!

  • @JoshEv92
    @JoshEv92 Год назад +5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 @seung9137
    @seung9137 Год назад +1

    난 바뀐 성우님이 훨씬 듣기 좋은 듯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Год назад +3

    신박과학 우주 재밌어요

  • @crhsang5065
    @crhsang5065 Год назад +2

    위성이 떨어질때 나는 열은 마찰열이 아니라 단열압축으로 인한 열로 정정필요합니다

  • @whildchin2619
    @whildchin2619 Год назад +1

    토성의 고리에서 떨어져나온 얼음이 계속 토성 적도로 떨어지고 있다는 건 토성의 고리가 그런식으로 계속 소모되고 있다는 건데 이건 토성의 고리에 계속 새로운 얼음이 보충되고 있거나 토성의 고리 자체가 생겨난지 얼마나 안된다는 걸 의미하는 거 아닌가요?

  • @Ehang-w1w
    @Ehang-w1w Год назад +2

    옛날 갬성 어디있져?

  • @가위큐브
    @가위큐브 Год назад +1

    ㅋㅋㅋㅋㅋ

  • @Terry0724
    @Terry0724 Год назад

    중력자체가 자체가 작아서 가속도도 적고, 이에의해 발열도 적을 것 같은데... 그런 수치 비교는 없나요?

  • @지구달팽이-t2r
    @지구달팽이-t2r Год назад +3

    옛날부터 봐오던 구독자 입니다.
    목소리가 많이 바뀌었네요.
    돌아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 @피칸-g4h
    @피칸-g4h Год назад +2

    ㅎㅎ 너무 몰입해서 봤나 자꾸 밑으로 꺼질거 같고 몸이 둥둥 뜨는 기분~

    • @audghks2012
      @audghks2012 Год назад

      몸이 둥둥 뜬다구요?ㄷㄷ

  • @쥬쥬-v5t
    @쥬쥬-v5t Год назад +1

    토성 아푸게따

  • @데하카-n3g
    @데하카-n3g Год назад +2

    윤하씨 여기애요

  • @R.O.K.SimGameEnjoyer
    @R.O.K.SimGameEnjoyer Год назад

    잘못된 설명: 대기권 진입 시 생기는 열의 대부분은 마찰열이 아니라 대기가 압축되다 못해 플라즈마로 변하는 현상임. 즉 대기가 눌려서 찌부되는 거라고 보면 됨.
    마찰열로만 설명하는 것은 천문학계 특유의 고질적 문제로서 이는 국민들이 천문학에 대해서 처음 교육할때 저런거 다 일일이 가르치면 지루해서 처 자는(...) 것에서 기인함.

  • @_sharvet
    @_sharvet Год назад +17

    이전 분이랑 비교해서 죄송하지만
    이번 영상미가 아주 맘에들고 전에 맘에안들었던 직역 의역 부분과 나래이션의 불편함(?)들이 전부 해소되었습니다
    채널의 유일했던 단점이 전부 사라졌다는 느낌이 들었고
    이대로 쭉 성장하시면 지금보다 더 큰 채널이 될것 같습니다

  • @riolee4532
    @riolee4532 Год назад

    속도가 10시간 33분이라… 흠…

  • @Collaintp
    @Collaintp Год назад +20

    만약에 토성의 온난화 가속된다면 ?!

  • @열받아속터진불량감자
    @열받아속터진불량감자 Год назад +2

    지구도 적도 부근이 뜨거운데 토성도 적도부근이 태양열을 가장 잘 받아서 그런건 아닐런지? 자전축이 완전히 다른가?

    • @june._.3793
      @june._.3793 Год назад

      그러게요 토성의 기울기는 지구랑 크게 다르지않은데.

  • @4spikespiegel47
    @4spikespiegel47 Год назад +2

    토성고리는 데코용이였다는 충격적인 사실 !!!
    만약 고리가 없었다면 천왕성, 해왕성 레벨로 관심도가 대폭 하락 !!!

  • @sky2024
    @sky2024 Год назад +1

    지구의 과학수준 -> 태아 단계 !!!

  • @파워곰팅
    @파워곰팅 Год назад +1

    지금껏 태양계에서 볼수없었던 현상이라뇨 여태 항상 토성의 고리는 같은일을 반복해왔을텐데요..다만 지금에서야 밝혀진 것뿐이겠지요

  • @Eisidnfiw
    @Eisidnfiw Год назад +3

    어디서 보니까 50억년쯤 지나면 토성 고리도 다 사라질거라던데 ㅜ

    • @타쿠로
      @타쿠로 Год назад

      태양이 터져서 사라지겠네요.

  • @으랏차차-w1d
    @으랏차차-w1d Год назад +2

    가벼워도 중력이 생길 수 있나요?

    • @hohohohohoho1900
      @hohohohohoho1900 Год назад

      중력은 있는데 그 힘이 약해요.
      지구와화성도 무게차이로 중력도 차이가 크다고 알고있어요.

    • @대개-n6n
      @대개-n6n Год назад

      중력은 질량만 있으면 항상 있는 힘인데, 그 크기를 얘기하신거면 밀도가 낮다는 의미로 가볍다고 한거지 절대 질량, 즉 무게는 지구의 100배 가깝다고 하네요.

  • @t_t8791
    @t_t8791 Год назад

    고리에서 얼음이 떨어진다는건 아주아주 먼 시간이 지나면 언젠가 고리전체가 다 떨어져서 고리가 사라질수도 있다는건가요?

  • @이름을입력하세요-c1y
    @이름을입력하세요-c1y Год назад +6

    지구에도 고리가 있으면 멋있을 것 같은데 부작용이 있겠죠??

    • @karions24
      @karions24 Год назад

      이미 있습니다 인공위성 고리 ㅋㅋ

    • @goal300
      @goal300 Год назад

      그늘진곳은 빙하기 ㅋㅋ

    • @typebin
      @typebin Год назад +1

      이미 있습니다 일론머스크의 고리

    • @kkyyuu
      @kkyyuu Год назад +1

      부작용 정도가 아니라 인류문명 발전 도약 한계점이 많았을듯요 gps도 그렇고.. 위성을 편히 못뛰우다보니.. 그럼 작게는 네비부터 비행기 항법에도 제약이 많았겠죠

  • @gomdorij3213
    @gomdorij3213 Год назад +9

    고맙습니다 ^^*
    토성의 적도 부근의 대기가 다른 지역보다 더 온도가 높은건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고리에서 떨어져 나온 얼음입자의 충돌이 있었군요 ^^;;

  • @qlnmnlp8561
    @qlnmnlp8561 Год назад +2

    49초전 영상으로 처음보네

  • @함께기도해요-v4h
    @함께기도해요-v4h Год назад

    왜 자꾸 충격에 빠졌댜?

  • @창백한푸른점-z3c
    @창백한푸른점-z3c Год назад +4

    신박과학 시청자특 : 주인장 목소리가 돌아오길바람

  • @kichancat
    @kichancat Год назад +5

    천문학에 없던 관심도 생기게 하는 차분한 설명 잘 들었습니다ㆍ고급 지식이 쌓였습니다 ㅎㅎ

  • @bjhbjhbjhweeee
    @bjhbjhbjhweeee Год назад

    그러니까 토성의 적도 부분은 무한 메테오가 떨어지고 있다는

  • @xXxapexXx4767
    @xXxapexXx4767 Год назад +2

    인터스텔라 각인가

  • @GoKiGalBi
    @GoKiGalBi Год назад

    지구도 허리띠 둘리면된다는거

  • @joboxer1115
    @joboxer1115 Год назад +2

    😮

  • @shnkoonn
    @shnkoonn Год назад +3

    그래도 고생 하시네요 유튜브 많이 신경 쓰시는게 보입니다~~

  • @뜨아거-s8g
    @뜨아거-s8g Год назад +2

    왔다

  • @억울함이징징윙윙
    @억울함이징징윙윙 Год назад +5

    잘 하면 토성이 생명을 품거나, 아니면 먼 인류의 2차 지구가 될 수도 있겠군용

    • @dr_1990
      @dr_1990 Год назад

      토성은 가스행성이라 불가능합니다.

  • @uquq77
    @uquq77 Год назад +2

    222

  • @june01611
    @june01611 Год назад

    재탕 쩔어

  • @ClTY-HUNTER
    @ClTY-HUNTER Год назад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