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 중의 근본! - 라틴어와 고전 그리스어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681

  • @chayusen
    @chayusen 3 года назад +536

    0:43 철학자 겸 수학자 겸 천문학자 겸 물리학자 겸 공학자인 아르키메데스

    • @보리임금
      @보리임금 3 года назад +49

      못하는게 뭘까
      아마 악기도 잘 다루었을듯 ~~~♥

    • @lepra_1011
      @lepra_1011 3 года назад +10

      왤케 웃기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dhana5679
      @adhana5679 3 года назад +93

      대부분 그리스 학자들은 대부분 복수전공자였습니다.
      철학자이자 수사학자이자 논리학자인 제논
      철학자이자 화학자인 탈레스, 데모크리토스
      철학자이자 문학자이자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이자 수사학자이자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자이자 역사학자이자 인류학자인 헤로도토스
      철학자이자 문학자인 호메로스

    • @vikamikhail
      @vikamikhail 3 года назад +31

      는 로마군 칼찌엔딩

    • @sipi6212
      @sipi6212 3 года назад +2

      인간과 시민을 중시해서 정치변방이 된 성인

  • @이으뜸-w9v
    @이으뜸-w9v 3 года назад +152

    대체적으로 언어의 구성체계를 보면 문법이 간소화되고, 발음이 용이해지는 경향이 있는듯 합니다.
    제가 기억하는 현대의 로망스어군 화자와 고전 라틴어, 그리스어를 이렇게 음성으로 들으니 더욱 체감이 됩니다!
    언어의 역사적 흐름이란게 참으로 신기합니다~

    • @cuixiang1398
      @cuixiang1398 3 года назад +4

      @@ABCDE-y4t 갑골문은 어순이 왔다갔다 하지만 시경, 고문상서 등을 보면 그 시대에 상고한어 문법이 이미 정립되었음이 보입니다.

    • @cuixiang1398
      @cuixiang1398 3 года назад +6

      E. Pulleyblank의 유명한 저서인 "Outline of Classical Chinese Grammar"를 보면 상고한어도 꽤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2 года назад +4

      @@user-qv5ll7ex2r
      제 추측으로는
      고대에 문자화될 수 있었던
      언어는 얼마 되지 않았고...
      식자층이 문자로 쓸수 있는
      언어는 공용어로서
      규칙적인 법칙을 거지고 있어야
      서로 통할수 있았다고 봅니다.
      즉, 사람들이 각자 집에서
      쓰는 언어는 따로 있고
      국제교류에 쓰는 규칙적인
      대세 언어가 따로 있었던 것입니다.

    • @IVLIVSAVGVSTVSGERMANICVS
      @IVLIVSAVGVSTVSGERMANICVS 2 года назад

      Ago tibis gratia pro palabras pro Omnia SPQR.
      Roma invicta est!!
      Ave Caesar!!

    • @Sputnik_tebe
      @Sputnik_tebe Год назад +5

      @@user-qv5ll7ex2r 이것은 초기 사료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당대 민중들은 간략한 언어와 규범에 맞지 않는 문법을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이는 현대에서도 교육받지 못한 계층이 보다 적은 어휘와 규범에 맞지 않는 문법을 사용하는 것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고대에는 이처럼 글로서 자료를 남길 수 있던 계층이 무척이나 제한되었습니다. 즉, 오랜 공부와 연구를 통하여 올바르다고 규정된 언어를 습득한 이들이지요.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고대 로마 정치인이자 저술가인 키케로(라틴어의 대가라고도 불리웁니다.)가 라틴어를 두고 지긋지긋한 언어라고도 하였습니다.
      다만 시간이 지나며 더욱더 많은 인력이 필요해지면서 민중들을 효과적으로 교육시키기 위해 복잡한 문법과 문자를 개혁한 사례들이 있습니다.
      중국의 두 가지 사례입니다. 첫째는 너무나 잘 알려진 간체자입니다. 이는 글을 쉽게 배우기 위함이지요. 둘째는 한문(문어)에서 관화(구어)로의 전환입니다. 종례까지는 모든 공문서는 한문(고대 중국어)로 작성이 되었습니다만, 지금의 중국에서는 입말로서 글을 작성하지요.
      또, 우리 주변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사례로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대한 사례입니다.
      우리는 친구와 이야기할 때는 편하게 이야기를 하지만, 어른들에게 말하거나 글로 적을 때에는 더욱더 정제된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지요.
      이를 한국어를 모르는 사람들이 번역하여 보거나, 후대의 사람들이 본다면 후자의 문법과 체계를 더욱 복잡하다고 생각하겠지요.
      궁금증이 조금이나마 해결되셨다면 좋겠습니다.

  • @uviskorea
    @uviskorea 3 года назад +754

    동서양을 막론하고 언어의 문법체계와 발음이 간소화되고 쉬워지는 경향이 있군요. 그런점에서 조만간 향문천 채널도 항문천으로 바뀔것 같군요 ㅌㅌㅌ =3=3=3

    • @bravomylife7352
      @bravomylife7352 3 года назад +53

      너어는 진짜 ㅋㅋㅋㅋ

    • @표범재
      @표범재 3 года назад +18

      근데 중국어는 왜 아직도 ㅋㅋㅋㅋ

    • @표범재
      @표범재 3 года назад +8

      일본어는 쌉고인물인 건가?

    • @gurim_Tokki1021
      @gurim_Tokki1021 3 года назад +72

      @@표범재 일본어는 지금 와행에 와(わ),오(を)밖에 없지만 옛날에는 위, 웨도 있었습니당! 오(を)도 지금은 お랑 똑같이 읽지만 예전에는 wo로 읽었죠. wa, wi, we, wo입니다! 지금 위랑 웨는 안써서 헨타이가나로 분류됩니담

    • @December-sm7cn
      @December-sm7cn 3 года назад +6

      @@표범재 중국어 쉬운편이에요

  • @adhana5679
    @adhana5679 3 года назад +280

    근본언어를 모두 섭렵한 근본학자 천병희 선생님 당신은 도대체....

    • @1asd251
      @1asd251 2 года назад +53

      희랍문학은 진심 대부분 그분이 번역하셧더라구요ㅋㅋㅋ

    • @user-corea_lkw2
      @user-corea_lkw2 Год назад +29

      서양고전은 천병희 동야고전은 김원중임

    • @adhana5679
      @adhana5679 Год назад +1

      @윤여름 그건 좀 흥미롭네요, 어느 정도 수준까지 배우나요??

    • @jinahra
      @jinahra Год назад +1

      @user-fw4bq7so6h​​⁠​⁠​⁠​⁠​⁠가톨릭이 아닌 이상 라틴어는 취약. 히브리어는 성서히브리어. 그리스어는 앗티카 방언이 아닌 코이네그리스어. 현재 살아있는 화자의 언어로써의 현대 히브리어 그리스어 못함. 이게 팩트아닌가요? 솔직히 신학과 학부수준에서 배우는거 가지고 히브리어, 그리스어 배운다고 후려치는 건 어불성설임.

    • @jinahra
      @jinahra Год назад +1

      @user-fw4bq7so6h어느 누가 코이네그리스어를 고대그리스어라고 표현하는지 의문이 드네요ㅎㅎ 정교회분들이나 그리스어 화자분들에게는 무척 실례인 헛소리같네요ㅎㅎ
      덧, 신약 텍스트에 쓰인 코이네그리스어만해도 한국어 기준으로 치자면 중세한국어 이후이고, 심지어 민중화 세속화된 저급 그리스어인데ㅋㅋㅋ

  • @cozydreamproduction
    @cozydreamproduction 3 года назад +235

    제일 기다렸읍니다.... 라틴 그리스어 못참지

    • @Auburnbay
      @Auburnbay 3 года назад +2

      아직까지 읍니다.. 20년이 넘었습니다.

    • @hrin5646
      @hrin5646 3 года назад +2

      레트로 감성

    • @younseokify
      @younseokify 3 года назад +15

      @@Auburnbay 밈 같은거에요 요새..

    • @harry3888
      @harry3888 3 года назад +3

      W

    • @jgjt2221
      @jgjt2221 3 года назад +1

      @@younseokify 밈은 또 뭐죠?

  • @raylim-r3f
    @raylim-r3f 3 года назад +146

    00:42 공학도겸 언어학도 겸 유튜버 겸 애널스카이인 향문천

    • @환극
      @환극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응꼬하늘;;

  • @goldrinn12
    @goldrinn12 3 года назад +36

    생물학에서도 학명 붙일때도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라틴어와 그리스어가 많이 쓰입니다.
    노르드어나 고트어 게르만 조어도 올리실 의향이 있으신가요? 아님 저지 독일어나 고지 독일어의 역사라던지요.
    소수민족의 언어도 다뤄주신다면 채널이 더 풍족해질듯요.

  • @조준용-e5t
    @조준용-e5t 3 года назад +102

    1:48 이 짤은 어디서 구한 겁니깤ㅋㅋㅋㅋㅋ

  • @윤용순-b2c
    @윤용순-b2c Год назад +5

    이 채널 오늘 처음 봅니다. 낭독하신 분은 도대체 뉘신데 이렇게 오묘하고 어렵고 원류문화적인 비밀에 통달하고 계신가요 . 우리나라 현대 국어조차도 문법이라면 골치아파하는 본인에게도 흥미롭습니다.

  • @touchtouch1140
    @touchtouch1140 3 года назад +177

    3:26 이런 짤은 어디서 구해옴ㅋㅋㅋ

  • @mason7645
    @mason7645 2 года назад +13

    최근 대학에서 지중해 관련 교양과목을 수강하고 있는데 너무 재밌습니다. 이 영상을 보고나니 특히 더 그런 것 같습니다.

  • @Sihyeon_song
    @Sihyeon_song 3 года назад +25

    *자잘한 상식들
    1. 고전 고리스어에서 아오리스트 시제라 일컫는 것은 과거시제로 번역할 수 있는데, 시간의 연속성 중에서 단 한번만 일어난 완료상을 지닌 시제를 뜻합니다. 예를 들자면, 신약성경에서 '죄를 짓다' 라는 구문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죄를 짓는다는 행위의 연속성이 아닌 어떤 단 하나의 행위만을 뜻합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아오리스트 시제를 비롯한 고전/코이네 그리스어의 서법과 문법은 훗날 로마 카톨릭을 받아들인 서유럽의 언어들이 라틴어의 진득한 영향을 받은 것과 같이 정교회를 받아들이는 동유럽 국가들의 언어체계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특히 아오리스트 시제 등은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를 비롯한 동슬라브어군의 완료상 발달로 이어집니다).
    2. 단수 복수 외에도 라틴어, 그리스어, 그리고 산스크리트어 같은 인도유럽어족의 삼대 뿌리언어(다른 어족에서는 아랍어가 대표적이지요)에서는 쌍수의 개념이 있었고, 왜 이러한 개념이 나왔는가에 대해서는 근본적으로 사람의 신체가 한 쌍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지칭할 때 하나도, 많은 것도 아닌 오로지 한 짝을 지칭하기 위해서라고 추정됩니다. 사실 쌍수라는 개념은 아직 대부분의 인도유럽어족에 남아있는 편인데, 가령 정말 특별하고 제한적인 경우가 아닌 경우 신체를 지칭할 때 항상 복수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규범적임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로 통상 '내 다리가 아프다' 라고 할 때 복수형을 쓰지 않고 다리 하나만을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의 경우 한쪽 다리만을 지칭하는 경우가 아닌 이상에야 'У меня ноги(단수형 нога) болят/My legs are hurt' 네. 바로 쌍수 표현이 복수로 편입된 결과라고 보시면 됩니다.

    • @박사-o9g
      @박사-o9g 3 года назад +7

      설마 저 쌍수 표현 때문에 바지도 꼭 pants, trousers 식의 복수형으로 나타내는 것인가

    • @Sihyeon_song
      @Sihyeon_song 3 года назад +6

      @@박사-o9g 그렇다고 볼 수 있지요! 가령 바지 한쪽만을 입는 경우는 절대로 없으니까요

  • @xello5246
    @xello5246 3 года назад +42

    애널스카이님
    혹시 스와힐리어에 대해서도 다룰 계획이 있으신가요?

    • @wavikle4495
      @wavikle4495 3 года назад +11

      음빙구니 예투 아미나

    • @이스터12
      @이스터12 3 года назад +1

      아프리카 언어나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도 다뤄 줬음 좋겠다

    • @윤성현-e6p
      @윤성현-e6p 3 года назад

      수메르어도 다뤄주시면

    • @벽을뚫는포신
      @벽을뚫는포신 3 года назад

      @@wavikle4495 바바예투 예투 울리예 (음)지나 라코 엘리투쿠스웨

    • @윤혜원-u6s
      @윤혜원-u6s 3 года назад

      규모 넓은 서점에ㅡ 스와힐리어 교본 있어요ㅡ 언어 평등 그랴갖고

  • @닉짓기귀찮
    @닉짓기귀찮 3 года назад +3

    우왕! 기다렸어요!

  • @stephenjang4249
    @stephenjang4249 3 года назад +132

    6:25 et cætera를 [엣 카이테라]라고 읽는 것은 고전 발음인데, exempli gratia와 requiescat in pace는 교회 발음으로 읽고 있네요. 고전 발음을 따르면 둘은 각각 [에그젬플리 그라티아]와 [레퀴에스캇 인 파케]가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æ는 중세 시대 들어서 쓰이기 시작한 합자로, 고전 표기법으로는 ae로 풀어쓰는 것이 옳습니다.

    • @user-vi3um9rz4i
      @user-vi3um9rz4i 3 года назад +4

      Æ~~~~

    • @abcbcd594
      @abcbcd594 3 года назад +3

      ae는 상고 라틴어로 [아이] 가 아닌가요? 제가 알기론 ae 의 고전 발음은 [아에] 로 알고 있습니다.

    • @pU_UqZzz
      @pU_UqZzz 3 года назад +25

      나비스 콜링?

    • @user-ss6in7ty3v
      @user-ss6in7ty3v 3 года назад +2

      @@user-vi3um9rz4i 아니 그건 머스크 아님?ㅋㅋㅋ

    • @svo2098
      @svo2098 2 года назад +4

      '에그젬플리'가 아니라 '엑셈플리'가 맞고, '레퀴에스캇'도 '레쿠이에스카트'가 맞다고 사료되옵니다. 그래서 늘 모든 말을 너무 단정적으로 말씀하시면 아니된다고 사료되옵니다. 그리고 '카이테라'는 영국 사람들이 영어식으로 읽는 방식이고 독일식 등 전통적인 고전라틴어 발음으로는 '카에테라'라고 읽어야 한다고 사료됩니다.

  • @crocodilebird6276
    @crocodilebird6276 3 года назад +10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예전부터 궁금한 것이 있는데요! 아빠, 엄마, 아버지, 어머니의 다른나라 말은 영어로 Father, Mother 이고 중국어도 爸爸(빠빠), 妈妈(마마) 등 아버지와 어머니를 의미하는 소리가 비슷하더라구요. 이렇게 비슷한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yeouler
      @yeouler 3 года назад +20

      태어나서 처음 내기 쉬운게 양순음이라 그런걸로 들었어요. 입술만 대충 붙였다 떼면되니...모음도 그냥 입벌리고 소리내면 나는 제일 간단한 모음이고 대부분의 언어에서 엄마는 양순비음, 아빠는 양순파열음 계열이 들어있는걸로 알아요. 향문천님 영상중 어딘가에서도 본듯하네요.

  • @무디-m3h
    @무디-m3h 3 года назад +89

    잘 봤습니다. 제가 아는 한에서 간략히 교정을 하면, 라틴어 악센트 설명이 조금 부정확하고, 고전 그리스어 악센트는 pitch accent라고 설명했지만 뒤에 낭독 부분에서는 강약 악센트로 낭독하시는 걸 들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브루투스 너마저는 셰익스피어의 창작입니다. 카이사르가 죽을 때 무슨 말을 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 @ack3145
      @ack3145 3 года назад +6

      수에토니우스에 보면 그리스어로 "까이 수 떼끄논?" (καὶ σύ, τέκνον) "너도 (한패)냐? 아해야!" 하고 탄식하며 죽은걸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아마도 셰익스피어는 그 부분에서 영감을 얻은 것 같습니다.

    • @coca2693
      @coca2693 3 года назад +2

      그나마 카이사르 진짜 한말로 입증됀건
      Vēnī. Vīdī. Vīcī 이거 정도 아닌가여

  • @이주혁-x3r
    @이주혁-x3r 3 года назад +18

    가슴이 웅장해지다 못해 터져버린다...!

  • @로일당-o4v
    @로일당-o4v 3 года назад +35

    세상 좋아졌다 응가하면서 고대 라틴어 그리스어를 들을 수 있고

  • @acorn00
    @acorn00 3 года назад +72

    서양 고전을 다루셨으니 다음편은 한문을 다뤄주실거라 믿습니다. 한문 문법과 한문 시, 필담 등등을 다뤄주세요!

    • @acorn00
      @acorn00 3 года назад +1

      한자는 여러번 다루셨는데 한문은 아직 안다루셨네요 ㅠㅠㅠㅠ 조만간 다뤄주실거라 믿읍니다 거성 평성 상성 입성의 4성과 한문 문법 등등요!

    • @acorn00
      @acorn00 3 года назад +7

      한문....존버는....승리한다...@@@

    • @mashallah7235
      @mashallah7235 2 года назад +1

      똥양문화 올려치기 자제좀

    • @Abkaijui
      @Abkaijui 2 года назад +7

      @@mashallah7235 한글 갖다 버리거라

    • @acorn00
      @acorn00 2 года назад +2

      @@mashallah7235 ㄴㄱㅁ

  • @user-qx3ez9sb1v
    @user-qx3ez9sb1v 3 года назад +8

    낭독 너무 신기하고 재밌어요!!

  • @songriver3086
    @songriver3086 3 года назад +289

    역시 향문천은 똥싸면서 봐야 제맛

    • @un1v_0526
      @un1v_0526 3 года назад +124

      그런 의미에서 항문천으로 수정해주세요

    • @花月-q5n
      @花月-q5n 3 года назад +1

      ㄹㅇ ㅋㅋ

    • @yj738
      @yj738 3 года назад

      찔렸

    • @강제존버-q1i
      @강제존버-q1i 3 года назад +4

      ㅋㅋㅋ똥싸면서 보는 중이었는데

    • @착함
      @착함 3 года назад +1

      항문천

  • @TheDragonHistorian
    @TheDragonHistorian 3 года назад +27

    라틴어의 악센트는 현존하는 로망스군 언어를 기반으로 재구성한건가요?
    마지막에 라틴어 낭독은 사이버맨인줄...;;

    • @Yukgaejang1912
      @Yukgaejang1912 3 года назад

      ruclips.net/video/01OSyX9Xc2o/видео.html

    • @cdfaad
      @cdfaad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럴걸요 아마도?

  • @밥먹었어-i3z
    @밥먹었어-i3z 2 года назад +3

    어학연수갔을때 회화위주로 간단한 단어로 영어를 배우다 보니 영어는 어휘가 좀 간단간단한가보다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이코노미스트 읽으면서 이렇게 많은 단어가 있었구나,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영향이겠구나 했는데 이런 역사를 고려하면 한자어권 어휘vs 유럽어권 어휘 어느게 더 방대할까요? 화자 숫자랑 역사를 고려하면 유럽어권이 더 어휘가 풍부하지 않을까요?

  • @abandonedaccount2986
    @abandonedaccount2986 Год назад +5

    몬티 파이선의 라이프 오브 브라이언에서 주인공이 "로마인들은 집에 가라"를 틀린 문법으로 "Romanus eunt domum"으로 쓴 걸 로마 병사가 발견해서 "Romani ite domus"로 고쳐주고 틀린 벌로 100번 쓰게 한 장면이 생각나네요 ㅋㅋㅋ 진짜 라틴어 문법은 답이 없음

  • @제임스-m8k
    @제임스-m8k 3 года назад +65

    로마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전장터에서 틈틈이 그리스어로 자신을 반성하면서 쓴 게 명상록이라고 합니다. 로마제국 지배층들에게 그리스어는 고급학술어였습니다.

  • @NDimDaydreamer
    @NDimDaydreamer 3 года назад +54

    향문천 님, 혹시 현존하는 언어 중 원시 인도유럽어의 특징을 잘 보존했다고 알려진 리투아니아 어에 관한 영상을 만들어 보시는 건 어떨까요?

  • @Fuyu_Hizashi
    @Fuyu_Hizashi 3 года назад +11

    와 미쳤다 이렇게까지 관심사랑 맞아떨어지는 채널 처음봤어요

  • @jonghopark481
    @jonghopark481 3 года назад +82

    강의로 들으면 수면제각.. 존나 재미없는 내용을 끝까지 보게 하는 ..당신은..?!
    그나저나 중세한국어 함 더 갑시다.

  • @주박-d7s
    @주박-d7s 3 года назад +197

    1:48 시저 샐러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jpark8860
      @sjpark8860 3 года назад +2

      카이사르

    • @김_사장
      @김_사장 3 года назад +4

      시저 케사르 카이사르 가이사 세자르

    • @zihozeon
      @zihozeon 3 года назад +2

      블루투스 ㅋㅋㅋㅋ

  • @sucregabe3708
    @sucregabe3708 3 года назад +39

    흐미 마지막에 낭독한게 한국사람이라구요? ㄷㄷ 진짜 유럽사람 앉혀놓은 줄 알았네

  • @쌉셈나후이
    @쌉셈나후이 3 года назад +8

    잘 봤습니다. 다음 동영상으로는 현대 한국어 혹은 현대 일본어의 한문 발음에 대해서 다뤄 보시는건 어떤가요?

  • @오서연-b9q
    @오서연-b9q 3 года назад +39

    수학/과학에서 에서 쓰는 약어나 기호(알파/베타 등등)도 고대 그리스어가 많네요!
    옛날에 영어 어원공부 할때 라틴어/그리스어로부터 유래된 단어가 대부분이었기도 하고...
    그러고보니 동/식물에 붙이는 학명도 라틴어네요
    ㅎㅎ일상에서 찾아보니 라틴아/그리스어도 우리와 완전 동떨어진 언어는 아니라는 생각이 드네요!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신중용
    @신중용 2 года назад +7

    1:50 근데 이거 셰익스피어의 희곡에 나오는 말이라는데요...

  • @MathemitMinho
    @MathemitMinho 3 года назад +10

    독일에서 고등학교 3년다녔는데 라틴어가 젤 꿀잼이었어요 맨날 라틴어선생님이 재밌는 얘기 해주셔서

  • @nurojeon
    @nurojeon 3 года назад +100

    근본중의 근본중의 근본: 원시인구어

  • @minhyeong
    @minhyeong 3 года назад +78

    한시간만에 댓글 백개그냥 넘기네 역시 애널스카이..

    • @허박-u6w
      @허박-u6w 3 года назад +3

      애널스카이ㅋㅋㅋ

    • @sweetholic
      @sweetholic 3 года назад +1

      왜 애널 '스카이' 인가요? 천이 '하늘 천'이 아니고 '샘 천'인데. 향문천 님의 프사에도 샘천 자가 쓰여있는데도 계속해서 이런 별명으로 부르는 사람들은 대체

    • @꼬양이-o8z
      @꼬양이-o8z 3 года назад +18

      @@sweetholic Aㅏ..

    • @chordzin
      @chordzin 3 года назад +13

      샘 천자면 애널워터로 하자

    • @random0153
      @random0153 3 года назад +7

      @@sweetholic 이런.....

  • @kyrie-eleison
    @kyrie-eleison 3 года назад +61

    그니까 고대 그리스어는 라틴어 화자들의 라틴어였다는 건가 워우;

    • @acorn00
      @acorn00 3 года назад

      로마제국 동부에서는 그리스어가 라틴어보다 많이 쓰였다 합니다.

    • @kyrie-eleison
      @kyrie-eleison 3 года назад +7

      @@acorn00 그래서 비잔티움 제국 시절에는 라틴어를 포기하고 그리스어를 썼다고 알고 있어욥

    • @oi_77i
      @oi_77i 3 года назад +4

      그리스인들이 그들 스스로 로마인이 되어버린 것이 동로마 제국이죠.

    • @ALETHES
      @ALETHES 3 года назад +2

      단적으로 카이사르가 "주사위는 던져졌다"라고 말할때도 그리스어로 했다죠 라틴어가 아니라 ㅋㅋㅋㅋㅋ

    • @권석환-s6p
      @권석환-s6p 3 года назад +3

      로마군이 켈트족인가 게르만족인가와 전쟁때 다른 지휘자에게 전령 서신을 쓸때 적들이 라틴어를 알아서 기밀 유지를 위해 그리스어로 서신을 적어 보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지휘관이 정도의 고위직에 오를정도면 교양으로 그리스어는 할줄알아야 해서요.

  • @Lastholiday0101
    @Lastholiday010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번학기에 학교 교양으로 라틴어가 열려 듣습니다. 너무 좋습니다.

  • @orangerangelable
    @orangerangelable 3 года назад +2

    애널스카이님 영상을 이렇게 일찍 보다니... 감격스럽네요

  • @svo2098
    @svo2098 2 года назад +10

    재미있게 읽으시네요. ㅎㅎ 제가 요즘 라틴어, 고전그리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다 한꺼번에 공부하고 있습니다. 정말 비슷비슷해요. 암튼 재미있습니다. 라틴어와 고전그리스어가 정말 재미있습니다. 요새는 하루 종일 이 언어들만 공부하고 싶답니다. 제가 미쳤죠? ㅎㅎ 그건 한번 공부해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라틴어로 책을 읽을 수 있고, 고전 그리스어로 쓰여진 그전 그리스문학작품들을 읽을 수 있다면 진정한 현대판 선비가 되는 것 아닐까요? 여러 언어를 공부하니 우리말의 우수함을 더 느낄 수 있고, 좀 더 가다듬어져야겠다는 것도 깨닫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 배움에 동참하기를 소망해봅니다. ㅎㅎ 재미있게 시청 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 @PCbrowser
    @PCbrowser 3 года назад +11

    당시 헬라어(고대 그리스어): 고급, 라틴어: 저급 -> 라틴어는 로마인들의 말 -> 저급하다, 상스럽다 = 로마인 스럽다 = 'Romantic'

  • @hyunkukim5055
    @hyunkukim5055 3 года назад +5

    제 전공상 서양 고전어를 꼭 공부해야만 하는데, 여기서 이렇게 보니 새삼 반가우면서 한편으론 한숨이 나오네요 ㅎㅎ 언제 좀 능숙하게 고문헌 독해가 될런지......

  • @1234ncwrd
    @1234ncwrd 3 года назад +14

    4:30 프랑스에서 대학나오고 독어, 스페인어까지 배워버린 후 명사의 성수, 동사변화따위는 두렵지않게 되었읍니다. 모든 언어는 “왜”라는 질문따위는 집어던지고 그냥 외우기만 하면 언젠간 익숙해진다는 걸 깨달았기때문입니다.

    • @UpanddownQ
      @UpanddownQ 3 года назад +1

      그래도 라틴어의 명사 곡용과 동사 활용 가짓수를 보시면..

    • @윤혜원-u6s
      @윤혜원-u6s 3 года назад +2

      제 경우도.... 외국어 어려우면서 재미있는 분야에여

  • @BLACK_PEARL_
    @BLACK_PEARL_ 3 года назад +4

    5:5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나만 웃기냐 고장나셨냐고

  • @hantj4643
    @hantj4643 Год назад +3

    라틴그리스어 전공자로서 향문천님의 영상에 감탄과 존경을 드립니다^^ 잘 보고 갑니다. 라틴어 낭독은 영상보다 좀더 극적이고 엑센트 강하게 하셔야 맞을 듯 합니다^

  • @킹빛나
    @킹빛나 3 года назад +7

    사랑해요 향문천님 ☺ 💕

    • @음성
      @음성 3 года назад +4

      오타나셨어요

    • @jan_pona
      @jan_pona 3 года назад

      @@음성 ㅋㅋㅋㅋㅋ

    • @tctbo231
      @tctbo231 3 года назад

      @@음성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검은깨찹쌀떡
    @검은깨찹쌀떡 3 года назад +10

    향문천님 나중에암하라어나 콥트어도 다뤄주실거죠? 그렇죠?

  • @안녕-u9k2v
    @안녕-u9k2v 3 года назад +14

    우리나라의 라틴어 실력자들은 카톨릭 신부님들이 많습니다 그중 세계적인 라틴어 실력 보유자도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tv-qo2lk
    @tv-qo2lk 3 года назад +27

    고대 한국어를 더 다루어 주옵소서.
    아직 고대 한국어에 대해 모르는게 많사옵니다

    • @sungminlee249
      @sungminlee249 3 года назад +6

      자료가 너무 없음

    • @이스터12
      @이스터12 3 года назад +3

      자료가 많은 근대 한국어는 어때요

    • @야레야레8909
      @야레야레8909 3 года назад

      @@sungminlee249 광개토대왕릉비문이 지금까지 나온 것 중 제일 가깝지 않나?

    • @osakaamazonian
      @osakaamazonian 3 года назад +2

      @@야레야레8909 한자로 적힌 비문에서 고대구어랑 어떤 관련이 있는지요

    • @칸의장우산
      @칸의장우산 3 года назад

      @@야레야레8909 닌 표의문자 보고 발음이 연상되나 보네 부럽다야 ㅎㅎ

  • @Dobbie_und_Berlin
    @Dobbie_und_Berlin 3 года назад +7

    독일어 공부 중에 좋은 영상을 보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저번에 중세 영어 때도 도움이 많이 되었는데 이번 영상도 좋아요!

  • @steverosenbaum9836
    @steverosenbaum983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2:07 Suggested: ruclips.net/video/EYK_OkDfjCg/видео.html (Prologue of the Gospel of John, read in Ancient Greek philologically, with subtitles in Italian, English, Spanish, ... or Korean!)

  • @kiwiyoonlanguage5684
    @kiwiyoonlanguage5684 3 года назад +15

    피치악센트 설명하실때 상승 하강... 폭포를 배경으로 까시는 센스를 보면서 점점 디자인적 센스가 좋아지시는 것을 느낍니다,, 존경~

  • @CHEOK_JUN_KYUNG
    @CHEOK_JUN_KYUNG Год назад +3

    Macte! Gratias tibi pro explanatione optima. Latina lingua pulcherrima est quae conservanda est.

  • @lucy-dv6ft
    @lucy-dv6ft 3 года назад +18

    문법성이 왜 존재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다뤄주세요🙏🙏

    • @TYMCCK
      @TYMCCK 3 года назад +2

      인칭변화도 왜있는지 궁금함

    • @acorn00
      @acorn00 3 года назад +1

      고대 샤머니즘 때문인걸로 알고있습니당

    • @hiswieder9398
      @hiswieder9398 3 года назад

      @@acorn00 전혀 아님

    • @hiswieder9398
      @hiswieder9398 3 года назад +5

      동적 명사가 주어로 사용될 확률이 더 높기 때문에 인도유럽조어에서는 동적 명사와 정적 명사가 구분(동적명사는 곡용되고 정적 명사는 곡용되지 않음)되었고 이가 각각 남성 명사와 중성 명사가 됨. 여성 명사는 좀 복잡한데 본래 추상명사를 만드는 접미사였던 -h2가 추상성뿐만 아니라 집합성, 더 나아가 중성명사 복수화까지 의미가 확장되었고 후두음 이론에 의해 '-h2'가 탈락되면서 전모음을 '-a'로 바꾸게 되고 이가 여성명사가 됨

    • @acorn00
      @acorn00 3 года назад

      @@hiswieder9398 ㅇㅎ

  • @아디라스
    @아디라스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사어 이 얼마나 흥미로운 주제인가

  • @chanwoo11kr
    @chanwoo11kr 3 года назад +7

    예전에 라틴어 수업책을 보고, 장난이 아니다라고 생각했는데 여전히 장난 아니네요. 왜 근대 유럽 학생들이 라틴어와 고전 그리스어 수업을 그리 싫어했는지 이해가 갑니다.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3 года назад +6

      저희야 배우고 싶은 사람이 좋아서 배우지만...
      예전에는 유럽이나 영미권은
      싫어도 배울 수 밖에 없었으니까요...

    • @김승민-e7t9g
      @김승민-e7t9g 3 года назад

      처칠: 라틴어 시발시발

  • @chong_inhee
    @chong_inhee 3 года назад +3

    향문천님! 진짜 재미납니다 이런 영상은 20분 30분 정도로 만들어도 될 것 같아요!!!!

  • @aaron3588
    @aaron3588 3 года назад +11

    선형문자 a b, 쐐기문자와 같은 고대의 문자들에 대해서도 다루어주시면 좋겠습니다

  • @cardiyred
    @cardiyred 3 года назад +5

    여기 댓글은 공부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구나.. 부럽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넹.. 난 그냥 오오 대단해! 뭐가 뭔지 모르겠지만 멋있어 같은 느낌으로 보고 있는뎅 큼

  • @양씨형
    @양씨형 3 года назад +1

    항상 👍👏🙏

  • @ung_bung_i
    @ung_bung_i 2 года назад +2

    학문 특히 신학에서 라틴어와 헬라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사어이기 떄문에 뜻이 변하지 않고 당시 성경자료들이 헬라어와 라틴어로 만들어졌기 떄문에 정확한 해석을 위해 사용합니다.

  • @seoholee8536
    @seoholee8536 3 года назад +3

    gratias tibi multas, quia pulchram de lingua latina introductionem egeris!
    라틴어에 관한 훌륭한 소개를 해주시어 깊이 감사드립니다!

    • @IVLIVSAVGVSTVSGERMANICVS
      @IVLIVSAVGVSTVSGERMANICVS 2 года назад

      하늘의 조언 나는 이렇게 라틴어를 배우고 싶습니다. 스페인어로 말해 오! CAELIS VOLO DISCO LINGUA LATINA HAEC FORMAN?

  • @gumchalgae
    @gumchalgae 3 года назад +4

    그림의 법칙과 베르너의 법칙도 영상 제작해주시면 정말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 @30_iri_18
    @30_iri_18 3 года назад +52

    4:13 동사는 더 끔찍 아니 ㅋㅋㅋㅋㅋㅋㅋ

    • @user-gracee
      @user-gracee 3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본심 튀어나옴ㅋㅋㅋㅋㅋㅋ

  • @어-d8v
    @어-d8v 3 года назад +10

    로마를 다룬영화에서 왜 영어 악센트를 위에서 아래로 떨구듯이 길게 끌었는지 알 것 같군요

  • @bookstoremaster1023
    @bookstoremaster1023 3 года назад +10

    시골 성당에 다닐적에 멕시코출신 신부님이 교황청에서 오셨는데 미사가 잠오니깐 잠깨는 용으로 한국어 영어 스페인어 라틴어로 루카 마틴 읽으셨는데 개간지났어요

    • @svo2098
      @svo2098 2 года назад

      지금 교황청에서 신부님들이 쓰는 라틴어는 불가타 라틴어로서, 중세시대 평민들이 쓰던 간소화된 라틴어이고 교회식으로 발음도 하고 해서 고전 라틴어와는 좀 구분이 되는 것 같더군요. 요새 나오는 라틴어 성경도 그래서 불가타 라틴어라고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평민을 위한 쉬운 라틴어였다는 의미겠죠.

  • @박현우-b7c
    @박현우-b7c Год назад

    돌아오세요 보고싶어요

  • @StormBackHit
    @StormBackHit 3 года назад +48

    5:28 아니 이거 뭔데... 도대체.... 씹ㅋㅋㅋㅋㅋㅋ

  • @Warm_Cardi
    @Warm_Cardi 3 года назад +36

    혹시 아람어(아랍🙅🏻‍♀️)에 대해 다뤄주실수 있나요 :) 제 친구가 아람어를 쓰는데 역사가 독특하고 신기하더라구요. 저는 간략하게 친구를 통해 들었지만 좀더 깊게 알수 있으면 좋을것 같아요~ 오늘 영상도 잘보고 갑니다 😊

    • @acorn00
      @acorn00 3 года назад +4

      예수의 모어..

    • @carlosshin1858
      @carlosshin1858 3 года назад +1

      아랍어가 아니라 아람어예요

    • @신중용
      @신중용 2 года назад +2

      히브리어와 가까운 시리아 원산의 언어이지요.

    • @wayfereralpha7072
      @wayfereralpha7072 Год назад +1

      어떤 친구인데 아람어를...?

    • @Warm_Cardi
      @Warm_Cardi Год назад +3

      @@wayfereralpha7072 해외에서 공부하고 살고있는데 아시리아에서 오래전에 넘어온 친구에요

  • @Musikalische_Ausbildung
    @Musikalische_Ausbildung 3 года назад

    너무 좋아요 너무 신비롭게 흥미있게 보았습니다. 목소리도 어쩜 이렇게 궁금하게 잘 말씀하시지 ㅜㅜ 목소리만 들어도 이제 흥미로와짐❤️❤️❤️

  • @이도형-x9x
    @이도형-x9x 3 года назад +70

    라틴어와 코이네 헬라어 책 사서 성경 원어로 읽겠다 했지만
    실은 이 후 라면 받침으로 쓰고 있습니다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3 года назад +6

      원어읽기는 분해사전을 사서 따로 공부하셔야 합니다...
      강독 연습을 하면 좋지요...

    • @이도형-x9x
      @이도형-x9x 3 года назад +2

      @@hyeonsseungsseungi 분해사전이 뭔가요?

    • @권석환-s6p
      @권석환-s6p 3 года назад +1

      히브리어는요?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3 года назад +1

      @@이도형-x9x
      사전 중에서 단어들의 변화형태를 자세히 설명해 주는 사전입니다...
      자금 여유가 더 되신다면
      성경원문의 해설서를 구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3 года назад +2

      @@권석환-s6p
      히브리어도 비슷합니다.

  • @아흑어흑
    @아흑어흑 3 года назад +2

    선생님 혹시 감기 걸리셨나요... 이번 영상에서 유독 코 먹는 소리가 들리네요. 감기 조심하고 건강하세요.

  • @문소이-r3e
    @문소이-r3e 3 года назад +11

    항문이 오빠 서양 나들이 정말 오랜만이네요!
    정말 흥미로운 이야기 잘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많이 기대할게요 ㅎㅎ

    • @help_mamama
      @help_mamama Год назад +4

      향문.....

    • @나는멋져-d4r
      @나는멋져-d4r Год назад +4

      항문이오빸ㅋㅋㅋㅋ
      아 미치겠네ㅋㅋㅋㄲㅋㅋ

  • @grouplist5865
    @grouplist5865 3 года назад +2

    항상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좋은영상과 사료들도 항상 감사드립니다.

  • @centurionkwk
    @centurionkwk 3 года назад +4

    로마 사람들은 어지간히 약어 좋아했나봐요. 지금 우리가 ROK UK USA 이렇게 국명을 약어로 쓰는 것도 로마인들이 자국 국명을 SPQR 로 부른 게 시초고. 근데 RIP가 기원이 라틴어였던 건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그리고 후반부 낭독 부분은 1.5배속으로 들으니 딱이네요.

  • @홍상혁-p7r
    @홍상혁-p7r Год назад +1

    선생님, 책상의 호격은 왜 필요하나요?

  • @anaisa9115
    @anaisa9115 3 года назад +2

    ㄷㄷㄷ 이번 영상.... 역대급 이네요

  • @jamessong8729
    @jamessong8729 3 года назад +3

    러샤어는 그리스문자를 쓰는데 그놈의 6격과 성 남성여성명사와 악센트. 악센트에 따라 발음변하고 뜻도 달라.증말 대그빡 쥐남. 애널스카이님 존경스럽. 제가 한국인으로 영 중일어 배우고 러샤어 배우다 지금은 쉬는중.

    • @user-hm5en7rf4i
      @user-hm5en7rf4i 3 года назад

      기초러시아어 교양 들었었는데 비블리오쪠꾸

  • @Realjesuslover
    @Realjesuslover 3 года назад

    너무 좋아하는 분야인데 감사합니다. 잘 볼게요~

  • @호기소-q8k
    @호기소-q8k 3 года назад

    서양 문명에서의 근본 중의 근본 언어들에 관한 영상이라! 설레는군.

  • @user-itd575gfyj
    @user-itd575gfyj 3 года назад +1

    시제 현재를 현대로 발음하셨네요 :)
    언제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 @신중용
    @신중용 2 года назад +1

    🤴 : Ich liebe dich.
    👸 : Je t'aime.
    🤴 : 😧......
    👸 : 😧......
    🤴 : Te amo.
    👸 : Te amo.
    🤴 : 😊😍
    👸 : 😊😍
    (중세말을 몰라서... 당시 기준으로 해당 언어였음을 나타내기 위해 일부러 현대어로 함. 중세시대에는 저것과 달랐을 것임.)

  • @이민우-o3q
    @이민우-o3q 3 года назад +3

    웅장해진다...

  • @jjkim_study
    @jjkim_study 3 года назад +62

    8:03 2배속 하면 무슨 노래 부르는거같음ㅋㅋㅋ

    • @seongwookang9552
      @seongwookang9552 3 года назад +4

      그걸 2배속으로 들을 생각을 ㄷ ㄷ

    • @vikamikhail
      @vikamikhail 3 года назад +1

      저런 희곡들은 노래하듯이 부르는게 맞죠 ㅋㅋ

    • @user-gd7pv2qg2g
      @user-gd7pv2qg2g 3 года назад

      진짜네 ㅋㅋㅋㅋㅋㅋㅋㅋ

    • @min-subkim4162
      @min-subkim4162 3 года назад +4

      이태리어가 라틴어의 후손인게 느껴지네요 2배로 들으니

    • @윤혜원-u6s
      @윤혜원-u6s 3 года назад

      @@min-subkim4162 시피비씨 평화방송에서ㅡ 이태리 배우들 얘기 들으면.... 듣기 안 좋아여 독어 영어 불어 일어 괜챻게 들리는데 힝~ 이태리에서 명화 성극 들여와 방영하거던엳?! 시피비씨

  • @soochangroh4008
    @soochangroh4008 3 года назад +2

    내가 아는 라틴어는
    VENI VIDI VICI랑
    VERITAS LUX MEA뿐인데...
    영상 잘보겠습니다 ㅋㅋㅋ

  • @Outis4728
    @Outis4728 3 года назад +2

    일리아스 읽으면서 원어 운율이 궁금했는데 이런 느낌이군요 잘 보고 갑니다

  • @makergreen
    @makergreen 3 года назад +4

    이젠 알파베타보다 퀄이 더 좋네여

  • @DanielSPark-by6cm
    @DanielSPark-by6cm 3 года назад

    라틴어에 관사가 없었다면 로망스어에는 어떻게 똑같이 생긴 (la, el, las, les...) 관사가 생기게 되었나요? 고전 라틴어에서 속(俗)라틴어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다른 인구어의 영향으로 생겨난 것인가요?

    •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 3 года назад +2

      라틴어에서 저것을 뜻하는 지시대명사 ille(남성단수), illa(여성단수)가 로망스어파 언어에서 정관사로 변화합니다.

    • @Abkaijui
      @Abkaijui Год назад

      ​@Paris 로망스어

  • @기뚜래미
    @기뚜래미 3 года назад +6

    5:37 한글 자막이 빠르게 넘어가요!

  • @Joao_Cho
    @Joao_Cho 3 года назад

    일단 추천 누르고 시청합니다

  • @무명-v9s
    @무명-v9s 2 года назад +1

    라틴어 단어를 일상에서 쉽게 찾으시고 싶다하시면 수금화목토천해명 영문법을 찾아보시면 편합니다 로마신의 이름에서 따왔거든요

    • @무명-v9s
      @무명-v9s 2 года назад

      지구만 그리스로마 신이름이 아닌 이유는 그당시엔 천동설이 정설이기 때문입니다

  • @vibongsan
    @vibongsan 3 года назад

    최고의 유튜버♡

  • @보리임금
    @보리임금 3 года назад +2

    라틴어의 어순이 한국어와 같다니 신기 ~~~♥

  • @poshong99
    @poshong99 3 года назад

    이걸 기다렸다고요?!! 아 넘나 좋군요

  • @enochseo699
    @enochseo699 3 года назад +6

    서양 언어도 많이 다뤄주세요 ㅎㅎ

  • @firenzeandreas2186
    @firenzeandreas2186 3 года назад +4

    아 라틴어는 못참지ㅋㅋ.
    근데 처음에 나오는 라틴어 예문은 천주경이네요....

    • @firenzeandreas2186
      @firenzeandreas2186 3 года назад

      @@조영찬-q5q 죄송합니다만 굳이 그걸 저에게 답글로 다실 필요가 있었나요?

  • @모자쓴불독
    @모자쓴불독 3 года назад +3

    현대 그리스어와 중세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의 차이와 변화도 언제 한번 부탁드립니다.

  • @tkandrea92
    @tkandrea92 3 года назад +6

    가톨릭에서는 아직도 사용하는 교회 공용어인데요, 성가대에서 Requiem을 부를 때 관심을 갖게 되어 라틴어 교본을 사서 공부해보았습니다.... 아. 결국은 네 번 시도해서 네번 다 포기.... ^^ 그래도 대충 무슨 뜻이겠구나.... 정도는 이해할 수 있긴 한데, 정말 어렵더라고요. 고대 그리스어는 동방정교회 예배를 들어보면 느낌이 확 와닿더라고요. 재밌는 언어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keon-kuk1393
    @keon-kuk1393 3 года назад

    흥미로운 내용이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