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이 안좋아서 목소리가 불안정합니다! 따스한 양해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지오메트리 노드에서 나오는 ‘attribute’에 대한 내용을 다뤘는데요. 오늘은 지금까지 따라오시기 어려우셨을 것 같아, 평소보다 예시를 쉽게 만들었는데, 다음주 부터는 조금 더 어려워질 수 있어요! 참고해주세요! (1) Attribute와 관련된 노드 중에서 자주 쓰이는 노드로는 ‘named attribute’, ‘store named attribute’, ‘blur attribute’ 등이 있는데요 오늘은 시간상 이 모든 걸 다루지는 못했지만, 앞으로 다른 예시들을 만들면서 이것들을 다뤄볼거에요. 또한 attribute(속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앞으로 다른 영상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보충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2) 또한 euler도 굉장히 복잡한 개념인데, 이 또한 추가적으로 영상 제작하여 나중에 더 설명드리겠습니다. 지금으로는 ‘회전값’을 표현하는 것이다-라고만 생각해주세요! (3) 또한 제가 시간상 설명드리지 못하는 내용이 많이 있어요.(weight paint의 vertex weight 등) 그런 부분은 나중에 추가적으로 보충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instance on points의 scale의 z 축 값을 0.3으로 잘못 말씀드렸는데, 0.7입니다! 잘못 녹음했어요ㅠ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블렌더 수업 듣고 있는데, 수업보다 훨씬 좋네요. 어쩌죠? 지오메트리 노드의 양이 방대한 걸로 아는데.... 혹시 일주일에 동영상 두개씩 올려주시면 안되나요? 빨리 배워서 활용하고 싶어요❣ 그동안 알지 못했던 블렌더의 다른 개념들까지도 이해하게 되서 너무 좋아요. 목요일에는 몇시쯤 영상이 올라오나요? 목빠지게 기다리고 있어요💙💙💙
좋게 봐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영상 편집 및 제작에 있어 시간이 오래 걸려서, 일주일에 2개씩은 조금 어려울 것 같습니다ㅠ업무 끝나고서 조금씩 올리고 있는 것이라,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러시군요! 열심히 공부하시려고 하신다니 멋집니다! 따스한 말씀해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영상 업로드 같은 경우에는 편집이 완료되는대로 올라오는 것이라, 게시되는 날짜는 주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커뮤니티 탭을 통해 최대한 알려드리고 있지만, 빠르게 정보를 확인하시고 싶으시다면 알림 설정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다려주신다니 정말로 감사합니다! 그럼 행복한 하루 되세요~
네! 봐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Set material을 하는 것과 store named attribute를 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1) set material : 문자 그래도 ‘메터리얼을 설정해주는 역할’, 이것은 메터리얼 탭에서 만든 메터리얼을 가져와주는 역할을 함. (2) store named attribute : 우리가 이름 지은 속성의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 컬러 정보 외에 다른 정보들도 저장해줄 수 있음. (가령 숫자를 입력해서 그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음) 이 저장한 정보는 내부(지오메트리 노드) 혹은 쉐이더 노드 등에서 불러서 사용할 수 있게 함. 간단히 말해, set material은 우리가 만든 메터리얼을 지오메트리 노드로 불러와주는 역할이라고 보시면 되고, Store named attribute는 지오메트리 노드 안에서 설정한 속성 정보(이름 지은 속성 정보)를 외부 및 내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정보를 저장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Set material은 ‘메터리얼을 불러와줘’이고, store named attribute는 ‘(내가) 이름 지은 속성을 저장할거야’ 정도의 차이입니다. 이번 영상의 경우에는 attribute라는 것을 살펴보기 위해서 짧게 Store named attribute를 사용해본 것이라, 평소처럼 set material을 사용하셔도 괜찮습니다!
몸이 안좋아서 목소리가 불안정합니다! 따스한 양해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지오메트리 노드에서 나오는 ‘attribute’에 대한 내용을 다뤘는데요.
오늘은 지금까지 따라오시기 어려우셨을 것 같아, 평소보다 예시를 쉽게 만들었는데,
다음주 부터는 조금 더 어려워질 수 있어요! 참고해주세요!
(1) Attribute와 관련된 노드 중에서 자주 쓰이는 노드로는 ‘named attribute’, ‘store named attribute’, ‘blur attribute’ 등이 있는데요
오늘은 시간상 이 모든 걸 다루지는 못했지만, 앞으로 다른 예시들을 만들면서 이것들을 다뤄볼거에요.
또한 attribute(속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앞으로 다른 영상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보충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2) 또한 euler도 굉장히 복잡한 개념인데, 이 또한 추가적으로 영상 제작하여 나중에 더 설명드리겠습니다. 지금으로는 ‘회전값’을 표현하는 것이다-라고만 생각해주세요!
(3) 또한 제가 시간상 설명드리지 못하는 내용이 많이 있어요.(weight paint의 vertex weight 등) 그런 부분은 나중에 추가적으로 보충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instance on points의 scale의 z 축 값을 0.3으로 잘못 말씀드렸는데, 0.7입니다! 잘못 녹음했어요ㅠ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좋은 강좌 늘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좋게 봐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와아~~ 블렌더 지오메트리노드 한글 강의라니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저야말로 봐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3d_danggeun 저 지오노드 엄청 좋아하는데 자주 찾아뵐게요~
네 다시 찾아와주신다니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기다리고 기다리다 오늘도 감사히 보고 또 보겠습니다. 환절기에 건강 잘 챙기세요. 감사합니당~🥕🥕🥕
기다려주시고 봐주셔서 오늘도 정말로 감사합니다! 걱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째미님도 건강 조심하시고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에 막막하던 노드 입문합니다😊
감사합니다! 노드 입문하신다니 힘내세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감사히 보겠습니다~
네 봐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가 되세요!
블렌더 수업 듣고 있는데, 수업보다 훨씬 좋네요. 어쩌죠?
지오메트리 노드의 양이 방대한 걸로 아는데....
혹시 일주일에 동영상 두개씩 올려주시면 안되나요?
빨리 배워서 활용하고 싶어요❣
그동안 알지 못했던 블렌더의 다른 개념들까지도 이해하게 되서 너무 좋아요.
목요일에는 몇시쯤 영상이 올라오나요?
목빠지게 기다리고 있어요💙💙💙
좋게 봐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영상 편집 및 제작에 있어 시간이 오래 걸려서, 일주일에 2개씩은 조금 어려울 것 같습니다ㅠ업무 끝나고서 조금씩 올리고 있는 것이라,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러시군요! 열심히 공부하시려고 하신다니 멋집니다! 따스한 말씀해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영상 업로드 같은 경우에는 편집이 완료되는대로 올라오는 것이라, 게시되는 날짜는 주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커뮤니티 탭을 통해 최대한 알려드리고 있지만, 빠르게 정보를 확인하시고 싶으시다면 알림 설정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다려주신다니 정말로 감사합니다! 그럼 행복한 하루 되세요~
건강 조심하세요😢😢
걱정해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카푸닭님도 건강 조심하시고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강의 잘 보았습니다!
혹시 마지막에 그냥 평소처럼 set material을 하는 것과, 오늘처럼 store named attribute 로 하는 것과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네! 봐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Set material을 하는 것과 store named attribute를 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1) set material : 문자 그래도 ‘메터리얼을 설정해주는 역할’, 이것은 메터리얼 탭에서 만든 메터리얼을 가져와주는 역할을 함.
(2) store named attribute : 우리가 이름 지은 속성의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 컬러 정보 외에 다른 정보들도 저장해줄 수 있음. (가령 숫자를 입력해서 그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음) 이 저장한 정보는 내부(지오메트리 노드) 혹은 쉐이더 노드 등에서 불러서 사용할 수 있게 함.
간단히 말해, set material은 우리가 만든 메터리얼을 지오메트리 노드로 불러와주는 역할이라고 보시면 되고,
Store named attribute는 지오메트리 노드 안에서 설정한 속성 정보(이름 지은 속성 정보)를 외부 및 내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정보를 저장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Set material은 ‘메터리얼을 불러와줘’이고, store named attribute는 ‘(내가) 이름 지은 속성을 저장할거야’ 정도의 차이입니다.
이번 영상의 경우에는 attribute라는 것을 살펴보기 위해서 짧게 Store named attribute를 사용해본 것이라, 평소처럼 set material을 사용하셔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