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죽기 전에 주 4일제 할 수 있을까 (김현철 홍콩과기대 경제학과·정책학과 교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0 апр 2024
  • 이 강연을 깔끔하게 정리해 함께 보실 수 있는 강연미니북(PDF)을 유료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ba...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Комментарии • 217

  • @understanding.
    @understanding.  Месяц назад +9

    이 강연을 깔끔하게 정리해 함께 보실 수 있는 강연미니북(PDF)을 유료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backbriefing/news/contents/240501193908913os

    • @remielsong1791
      @remielsong1791 Месяц назад

      제목에 교수님 성함이 빠졌어요! ㅎㅎ

  • @user-lv2yy4mb6n
    @user-lv2yy4mb6n Месяц назад +32

    공개강연에 참석했었고 현장에서 책도 구매해 사인도 받았습니다. 집에 와 보니 책에 ….좋은 세상 만드는 일에 함께 해요…. 라고 쓰여있더군요. 책을 읽으며 그런 문구를 써준 저자의 진정성이 느껴져 감사했습니다. 아직 주 4일제 근무에 찬성하는 입장은 아닙니다. 노동을 신성시 하는 가치에 더 오래 젖어있었기때문인지도 모르죠. 일하는것보다 노는걸 더 중요하게 생각하면 한심하다는 인식을 못벗어났거든요. 세상과 가치가 바뀌고 있다는걸 느끼긴하지만 나이 든 사람 입장에선 당황스러울 때가 많아요. 하지만 이런 논쟁이 반갑긴합니다. 반드시 이야기 되어야할 주제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책을 읽으며 다른 주제들도 고마웠습니다. 멀지않아 외손주를 보게 될 할매라서 워킹맘들의 육아문제에 대해선 더 관심 갔구요.
    본인의 재능과 시간을 개인적 영달을 위해서만 쓰지않고 좋은 세상 만드는데 많이 할애하는 김현철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능력있는 사람들의 세상에 대한 그런 책무감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거라 확신하기에 열심히 응원합니다.

  • @user-kx8dq4sn1s
    @user-kx8dq4sn1s Месяц назад +62

    유럽인들처럼 균형잡힌 삶을 추구하고 대신 수입이 줄어드는것도 감내하면 우리도 가능하겠죠

    • @TaeLi-lz8wz
      @TaeLi-lz8wz Месяц назад +6

      그쵸.. 다만 미국과 EU의 지난 10년간 경제성장 추이를 보면 망설여지는 것도 사실이네요. 10년 전에는 둘이 대등했지만, 미국은 거의 2배가량 성장하고 EU는 제자리에서 기었더군요.. 이를 마크롱도 최근 언론에 기고했고요. 참으로 어려운 문제입니다.

    • @user-vh2lk9ro1f
      @user-vh2lk9ro1f Месяц назад +1

      예전 어예진 소장님 언더스탠딩 영상에사
      단순히 돈으로 생각한 생산성에서는 여전히 유럽이 높다고. 즉 유럽의 산업이 더 부가가치 높은 산업이라는.
      우리는 시간을 갈아넣어서 높은 수입을 유지한다느

    • @user-fj8ly4og3p
      @user-fj8ly4og3p Месяц назад

      유럽 가난해야. 노는거 너무 잘알지만 즐길 돈이 없답니다

  • @3billion325
    @3billion325 Месяц назад +14

    이진우님 질문을보면 천재!! 그건 사회의 많은 관심과 고민을 엿볼수 있다.이런 지성인이 우리에겐 필요해요

  • @user-zl2dr1vy3y
    @user-zl2dr1vy3y Месяц назад +7

    주4일보다 하루 근무시간이 줄어들어야 가족과 시간을 많이 보낼수 있을거 같아요

    •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Месяц назад

      주3일 근무면 더 좋을 것같은데.

  • @user-zr2po3dk7r
    @user-zr2po3dk7r Месяц назад +82

    4일제 할려면 좀 더 생산성이 높은 산업으로 전환을 해야죠...
    제조업 비중이 극도로 높고 대다수가 영세중소기업 노동자인 우리나라가 지금 4일제를 하고 임금만 올리면 무슨 경쟁력이 생길까요?
    문재인때 최소임금 상승정책이 실패한 이유도 망할기업은 망하게하고 자본과 인력을 생산성이 더 높은 산업으로 이동시키는걸 못해서인데요
    그걸 하려면 결국 노동유연화, 생산성 낮은 중소기업 지원중단같은 정책이 필요죠

    • @user-zr2po3dk7r
      @user-zr2po3dk7r Месяц назад +2

      @@Agsddfhhj24678 줄이면서 망할기업 망하게 하고 중소기업지원금 줄이고 노동유연화를 같이 해야죠
      중소기업 지원은 지원대로하고 , 노동유연화도 없고 그저 노동시간만 줄이자 하니 대책없는 포풀리즘인거

    • @user-dy8mj9yh7r
      @user-dy8mj9yh7r Месяц назад +2

      맞습니다

    •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Месяц назад

      ​@@Agsddfhhj24678 노동시간만 줄이면 생산성 낮은 기업은 망하고 생산성 높은 기업만 살아 남게 되겠지요.
      그리고 실지로 기업을 하다보면 자기회사 생산성만 문제가 아닙니다. 자신의 회사 업종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신문사 기사제작 시스템을 제작하는 소프트 회사일 경우 밤 10시 11시에 문제 대응을 조건으로 계약하는 경우도 다반사 입니다.
      만약 우리는 완벽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서 문제가 될 턱이 없어 하면서 주 4일 근무 하면 그 회사 1년 안에 망한다고 보증 할 수 도 있습니다.

    • @hyunsookim6096
      @hyunsookim6096 Месяц назад +2

      생산성 높은 산업이 서비스업인데 작은 내수시장으로 무슨 서비스산업을 하나요? 미국이야 애플이건 구글이건 전세계가 사용하니 서비스업으로 생산성이 나오는거죠. 제조업밖에 할게 없는 나라에서 다른 생산성있는 산업을 찾으라는건 어불성설

    • @user-zr2po3dk7r
      @user-zr2po3dk7r Месяц назад

      @@hyunsookim6096 제조업밖에 못하면 결국 이대로 살 수 밖에 없죠.. 뭐
      많이 일하고 덜받고

  • @user-hw6fm4fu6h
    @user-hw6fm4fu6h Месяц назад +7

    주 52시간이나 확실히 지키고, 유연근무/육아휴직확대만 되어도 좋겠네요.

  • @etya12
    @etya12 Месяц назад +8

    금요일 오전근무로 쇼부칩시다

  • @user-ge8yh4gl1w
    @user-ge8yh4gl1w Месяц назад +11

    멤버쉽인게 이렇게 기쁠수가... 비하인드가 기대됩니다😊

  • @wn157
    @wn157 Месяц назад +6

    댓글다는 사람들은 영상은 끝까지 보고 댓글 쓰시겠죠?

  • @fjord38
    @fjord38 Месяц назад +61

    주 5일제 우린 안하냐고 묻자 사장놈이 죽으면 주 0일제도 가능하다고 답했다는 게시글이 생각 나네요

    • @seo21ad
      @seo21ad Месяц назад +7

      그놈부터 0일제 되어야

    • @user-hs1qc8xx9s
      @user-hs1qc8xx9s Месяц назад +10

      완전 자동화가 실현된다면 직원님들 0일제 시켜드릴텐데

    • @min_silmins73
      @min_silmins73 Месяц назад +4

      ㅋ 이래서 키오스크 자동화 설비 하는거야 😂😂😂

    • @venolf
      @venolf Месяц назад

      ㅋㅋㅋㅋ 시사하는 바가 꽤 있는 조크군~

  •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 Месяц назад +8

    와 대단해요 오늘 근로자의 날인데도 업뎃됐네요 고맙습니다!

  • @LevisKIM
    @LevisKIM Месяц назад +3

    근무시간만큼 월급을 조절한다면 사실 회사가 이익 임.
    같은 비용으로 회사는 동일 근무시간을 가질 수 있지만, 더 많은 임직원을 보유함으로써
    유연성, 대응력, 혁신, 창의성 등 잠재력 능력을 회사는 더 가질 수 있음.

  • @user-qr2to9no1v
    @user-qr2to9no1v Месяц назад +3

    고맙습니다

  • @user-gw6cx7uz1c
    @user-gw6cx7uz1c Месяц назад +1

    돈 벌어야 하는 기업에서 실험할게 아니라, 주4일제 학교와 주5일제 학교로 성적비교하면 쉽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연 성적(생산성)이 늘어 날까요?
    과거 주 5.5일을 일할때는 1.5일 쉬면서 노는것도, 쉬는것도 아닌 토요일이 휴일로 정착되면서 소비증대 등과 맞물려 성공했던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미 충분히 쉬고 있고, 소비는 평일에도 새벽배송 로켓배송을 시키며 충분히 소비하고 있습니다. 주 4일제로 바꾼다고 이이상의 소비여력을 낼 수 있다고 보이지 않습니다.

  • @jameswebb1240
    @jameswebb1240 Месяц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Joshi_XZ
    @Joshi_XZ Месяц назад +4

    주4일제가 과연 필요할까요? 주5일에 10시출근 5시퇴근이 더 나아보이는데 육아 여가 다 가능할거같네요

  • @leeae33
    @leeae33 Месяц назад +9

    애키울 수 있게 교사처럼 4시반에 퇴근하면 좋겠네요

    • @wgbae1555
      @wgbae1555 Месяц назад

      유연근무제 도입으로 8시간, 6시간 선택할수 있으면 좋겠네요. 물론 임금저하도 감내!

  • @anbayo1
    @anbayo1 Месяц назад +17

    제조업, 특히 현장직은 근무일수 줄이면 결과물 바로 줄어듭니다. 걍 산업 경쟁력 떨어지는 일밖에 안됨. 사무직이야 이런게 좀 불투명한데..
    제조업위주 국가에서 근무일수 줄이자는건 걍 그 산업 하위권으로 내리자는 말하고 비슷함.

    • @user-vo5og9mm5h
      @user-vo5og9mm5h Месяц назад +2

      동명이인 서울대 김현철 교수님은 저런 생산성 안나오는 제조업 단계적으로 죽이고 it 금융 설계 등 서비스업 비중이 더 늘어나게 해서 산업 구조를 바꿔야한다고 주징하던데요

    • @user-yw8jx7dj9l
      @user-yw8jx7dj9l Месяц назад +2

      ​@@user-vo5og9mm5h그것도 맞는말이죠. 그럼 산업구조를 바꿔놓은후에 주4일제를 논의해야겟죠

    • @RidgeMu
      @RidgeMu Месяц назад +2

      ​@@user-vo5og9mm5h 근데 실패했잖야

    • @wgbae1555
      @wgbae1555 Месяц назад +4

      @@user-vo5og9mm5h 제조업이 얼마나 중요한지 코로나 시국에 경험했지요. 4차산업도 중 요하지만 제조업 과 농산물 (전략) 없이는 절대 강대국이 될수 없습니다.

  • @user-eo6nj1ne3c
    @user-eo6nj1ne3c Месяц назад +7

    대학생들 대상 강의로 보임.

  • @sanghoonlee5171
    @sanghoonlee5171 Месяц назад +6

    일주일에 3일은 문 닫고 4일만 영업하는 식당이 있다면 그 식당은 당연히 망합니다. 거의 어느 사업체라도 그럴 겁니다. 회사 전직원이 일주일 중 4일만 출근한다? 직원들 입장에선 좋겠죠. 회사가 망할 때까지는요.

  • @plm5742
    @plm5742 Месяц назад +2

    금융권이나 지식 노동자는 재택 부터 주1일 같은걸로 했으면 좋겠습니다.

  • @youngkiu
    @youngkiu Месяц назад +2

    저는 40시간을 줄이는 시도보다,
    40시간중 일부 시간을 자율적으로 분포 배치하는 것이 자리 잡았으면 좋겠습니다.

  •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 Месяц назад +2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flyingpan2639
    @flyingpan2639 Месяц назад +2

    3일에 하루 쉬고싶더라고요
    지금 (주5일)과 비교하면
    휴일수가 2/7 에서 2/6 이 되는것

  • @mkkwon3658
    @mkkwon3658 Месяц назад +29

    그렇게 유럽따라하고 싶으면, 그 유럽처럼 낼거먼저내고 달라하세요. 세금내고 혜택달라하세요!

    • @0IEl
      @0IEl Месяц назад +4

      유럽 만큼 버는사람들은 세율이 유럽이랑 비슷한데 최저시급 받는 사람들이 적게내지

    • @iraf27
      @iraf27 Месяц назад +1

      유럽 어디요? 유럽도 나라가 수십개라 소득세율도 천차만별이라서요

    • @user-iz5lo4lr3i
      @user-iz5lo4lr3i Месяц назад

      ​@@iraf27거의 대부분이 우리보다 더 냅니다

  • @blue_blue_blue_08
    @blue_blue_blue_08 Месяц назад +13

    제조업 기반에 인력 갈아넣는 걸 미덕으로 아는 현재 구조로는 택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Месяц назад

      단군을 원망해야지. 왜 우리나라에서는 돌부스러기 말고는 쓸만한 자원 하나 나오는게 없는지.
      이런 땅에서 그나마 끼니라도 걱정 안하게 된게 지금 당신이 우습게여기고 쓴 제조업 때문이었다.

    • @k0035633
      @k0035633 2 дня назад

      @@user-oz1ol2nd2k 사실 단군이 터를 잡은 곳은 중국에 빼앗겼습니다.. 거기는 자원 괜찮아요..

  • @weekmoon5331
    @weekmoon5331 Месяц назад +1

    일만하다 이세상 뜨게 하면 됩니다... 행복은요...

  • @user-gq1jg6wh8k
    @user-gq1jg6wh8k Месяц назад +2

    강남에 몰빵된걸 아주 부정적으로 지적하신거에 많이 공감합니다😊

  • @NaMuNelBo_Sloth
    @NaMuNelBo_Sloth Месяц назад +24

    직종의 업무특성이나 타업종과의 협업등등 고려할 사항이 복잡하고 저마다의 근로여건이 다른 현대사회에서 천편일률적으로 주4일이 맞니 주5일이 맞니 하는 논의는 그 자체가 틀려먹은 논의.

    • @flyingpan2639
      @flyingpan2639 Месяц назад +1

      그렇게 따지면 지금도 천편일률적임
      주 5일 이라는 기준에 천편일률적으로 맞추고 있는 중이니까

    • @hyeonyi6889
      @hyeonyi6889 Месяц назад +1

      기준이 되겠죠. 지금 주5일처럼. 우리나라가 언제부터 주5일, 9to6가 당연했나요? 지금도 업종마다 다르고 직군마다 다른게 현실인데요.

  • @charliebrown640
    @charliebrown640 Месяц назад +2

    저는 년월차 다 써서 자발적(?) 주4일제 하고 있습니다.

  • @user-xi3il6xy6g
    @user-xi3il6xy6g Месяц назад +22

    알리 테무 안 보임? 주 4일로 제조업 경쟁을 한다고? ㅋㅋ 유럽 꼬라지 보고 헛소리 합시다.

    • @Wowwow-wl3kx
      @Wowwow-wl3kx Месяц назад +3

      굥같다 무섭다

    • @Bora_san
      @Bora_san Месяц назад +4

      걔들이랑 저임금 노동 경쟁하려면 시급도 1000원해야 할껀데.

    • @user-xi3il6xy6g
      @user-xi3il6xy6g Месяц назад +7

      @@Bora_san 테슬라는 연중무휴로 일하면서 중국이랑 싸우는데? 그렇게 불가능해 보이면 제조업 완전 포기하자고 하던가. 대체 왜 말도 안 되는 소리는 하는 거야? 니가 일 안 하고 돈 많이 주는 직장 좀 만들어 봐라.

    • @user-xd7xh2tu5y
      @user-xd7xh2tu5y Месяц назад

      ​@@Bora_san중국 시급이 3000원 정도

    • @user-oe4uh5mz1o
      @user-oe4uh5mz1o Месяц назад

      ​@@user-xd7xh2tu5y 베이징이나 그정도고 공장많은 지역(광저우 같은데)는 더 적음

  • @dongcheolkim4308
    @dongcheolkim4308 Месяц назад +43

    제조업 경험이나 현황에 대해서 하나도 모르는 사람들이 탁상공론만 하고 있군요
    그리고 주 4일 하자고 하는 애들은 니가 그런 회사 만들아봐라 라고 하고 싶네요

    •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Месяц назад +1

      학생만 상대하는 교수들이 하는 헛소리를 진실이라고 믿는 학생들을 감성으로 선동하기 좋은 이유가 이론을 현실에서 한번도 몸으로 검증한 바가 없기 때문입니다.

  • @user-vh6wg1wu3k
    @user-vh6wg1wu3k Месяц назад +1

    주 4일째 별로네요, 헤봤습니다, 그냥 하루 없어지는거에요, 월요병은 더 심해지고, 하루가 없어지는 느낌

  • @user-xt5uc9sj2c
    @user-xt5uc9sj2c Месяц назад +2

    여보세요 자네들 구명가게라도 해봤는지 지금도연가포함 월13일쉬는데 월17일놀고 13일일하고 누구주장처럼 모두놀고
    월 월마씩 나라서 받쟈고 하지
    진짜 몰라서 그러냐 ㅠㅠ

  • @Espresso2023
    @Espresso2023 Месяц назад

    5일제 했을 당시 그전과 생산성이 같았을까요? 4일제 한다는 건 5일제와 결코 생산성이 같을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왜 같아야 할까요?) 이런 이유에서 하더라도 시행은 한 번에 전체적으로 해야 한다고 봅니다

  • @pleonexia4356
    @pleonexia4356 Месяц назад +6

    현철이형❤

  • @danielc9986
    @danielc9986 Месяц назад +10

    자영업자는 주7일제로 몸빵하며 대출이자금내고있다...ㅠㅠ

    • @user-ek4ar0ez9a
      @user-ek4ar0ez9a Месяц назад +1

      아무도 너한테 자영업 하라고 협박하지 않았다 니 알아 해라

  • @user-hq1zf4bh3j
    @user-hq1zf4bh3j Месяц назад +1

    교수님 반갑습니다.

  • @e_llie_49
    @e_llie_49 Месяц назад +4

    주4일이 될것이 아니라 근로시간을 4시나 5시로 하루일하는 시간을 단축시켜야한다.
    예전에는 6시까지 앉아서 일하는데 집중을 못하고 몸은 회사에 있지만 머릿속으로 집중을 못하고 시간만 때웠던거 같다.
    단축시간으로 일하니 집중해서 딱 일하고 일찍 마치고 집에 일찍가서 밥먹고 애들 숙제도 봐줄수있어서 6시까지 일하는 때와는 컨디션이랑 만족도가 훨씬 높아젔다.
    주4일은 개뿔! 기업이 살아나야 일 할자리도 늘어난다!
    중소기업 다죽고 대기업만 있으면 들어가려 더 박터진다.
    중소기업이 살아야 우리도 일할 수 있고 경제상황이 무너지지 않고 양극화를 줄여 나갈 수 있다.
    주4일하면 소는 누가 키우는 걸까?

    • @e_llie_49
      @e_llie_49 Месяц назад +1

      최저임금 올려서 알바자리도 없다.
      일할자리가 없어진다.
      우리나라는 또 비교의식 오지지~
      사업 할 환경이 늘어야 사회구조가 안정화 되는데 지금은...

    • @user-rn1mu6oc4o
      @user-rn1mu6oc4o Месяц назад

      ​@@e_llie_49애들숙제 이지랄~ 하네 그러니 여자는 안뽑지 특히나 애엄마는 ㅉㅉ

  • @user-km8be8mw2m
    @user-km8be8mw2m Месяц назад

    70만축하드려용

  • @sanghoonlee5171
    @sanghoonlee5171 Месяц назад +4

    4일 근무제는 직원 복지 입장에서는 당연히 좋은 거죠... 하지만 회사의 성공에도 4일제가 유익하다는 주장은 아무리 생각해도 헛소리일 뿐이네요. 일주일에 3일은 문 닫고도 잘될 식당이 없듯이, 전직원이 일주일 3일 쉬는 회사가 그렇지 않은 경쟁사보다 돈을 잘 벌긴 힘들 겁니다.
    회사가 아니라 개인이라도 마찬가지죠. 일주일에 4일만 연습하는 운동선수, 일주일에 4일만 책 읽는 학자, 일주일에 4일만 훈련하는 군인... 이런 사람들이 자기 분야에서 실력자가 될수 있겠어요? 😅 주중 3일이 휴무라면 무려 1년의 42%를 논다는 뜻이에요. 그렇게 놀기 좋아하면서 자기 분야에서 훌륭한 실력을 쌓고 좋은 결과 낼 수 있는 사람은 몇 없습니다.

  • @haveabadcold
    @haveabadcold Месяц назад +1

    의사,변호사 그리고 IBD팀처럼 고임금 직종은 아주 일부인데요; 각 분야의 탑이라는 사람들도 전체 비중에선 한줌이고요. 예시로는 부적절한것같습니다.

  • @user-iz5lo4lr3i
    @user-iz5lo4lr3i Месяц назад +1

    주4일제 해야하나요? 주4일제 해야하는 당위부터 설명해주세요.

  • @user-dc3st7zh7d
    @user-dc3st7zh7d Месяц назад

    노동시간 연구에서 빠트리지 말게 우리나라 사업장의 속도전입니다. 예를들어 4,5시쯤 업무를 받으면 내일로 이어서 하는게 보통이지만 당일처리해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심지어 퇴근후 연락받고 와서 처리하는 경우도 있어 한국은 야근이 많습니다. 퇴급무렵 업무 받는 경우 일을 기다릴 때 퇴근이 가능한 것도 아니어서 대기근무도 근무로 인정해 주어야 합니다. 대기근무를 인정 못하겠다면 퇴근 시켜야 하지만 퇴근 못시키는건 결국 근무라는 뜻입니다. 경비근무를 해 봤는데 근무한 곳에서 취침시간을 주는데 자고 일어나면 개운한게 아니고 피곤하고 정신이 멍합니다. 잠자리가 불편해서요. 제대로된 취침공간이 없으니까요.
    그래서 노동시간 감소문제를 생각할때 회식도 근무의 연장으로 보는 한국의 특수상황을 이해해야하고 항상 즉각업무투입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도 감안 해야 합니다.
    한국 기업은 속도 경쟁에 살아남아야 생존이 가능해서 근무시간 감소에도 기업의 속도경쟁이 어떻게 가능하게 할지에 대한 연구와 속도경쟁에서 기업이 자유로와질 사회환경과 속도에 대한 타협점에 관한 연구와 특히 영세한 기업일수록 노동자에 대한 압박이 커지는 문제 등등 수많은 문제를 동시에 생각해야만 노동시간연구에 실마리가 잡힐 겁니다.

  • @chae0602
    @chae0602 Месяц назад

    근로시간줄이려면 노동유연화부터 해야됨
    회시가 부담없이 인원을 늘렸다 줄였다하되
    주당 노동시간은 더엄격하게 제한해서 사람을 저많이 뽑게해여됨

  • @Bora_san
    @Bora_san Месяц назад +6

    아직은 좀 시기상조이지만 전세계가 저출산으로 인구가 줄고 있는 상태에서, 인력이 귀해지면 가능해질 법도 함. 현 저출산은 자본주의의 한계와 밀접함.(미국 통계로 노동자의 실질 임금은 지속적으로 줄어들다 코로나 후 인력난으로 오름). 특히 한국은 흑사병 수준으로 인구가 줄고 있는데, 그때 상황을 반추하면 흑사병 이후 농노의 대우가 급격하게 올라가던 시기였음.

    •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 Месяц назад

      3개조로 나눠서
      1조 월출근 목퇴근
      2조 월오후출근 금오전퇴근
      3조 화출근 금퇴근으로
      계속 조를 돌려서 한다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단 특정 업종에서만 대기업 공기업 공무원

    • @night_owl3170
      @night_owl3170 Месяц назад +2

      인력 귀해져서 원가 뛰고 경쟁력 떨어지면 기업들이 다 도망치지 주4일제는 뭔 주4일제여 ㅋㅋㅋ 상위 몇%만 고임금 받고 나머지는 각자도생 ㅋ

  • @pikkapokka
    @pikkapokka Месяц назад +3

    주4는 안바랄테니 일반 회사원도 주2 쉬는 날을 자유롭게 지정하게 해줬음 좋겠음. 토일에 사람이 너무 많아서 어디 놀러갈때마다 짜증남

  • @user-jq9ll9yk8y
    @user-jq9ll9yk8y Месяц назад +4

    에티오피아 예시는 잘못됫다 보는게 서로 같은 임금에 다른 근무시간으로 비교해야지
    서로 다른임금에 다른 근무시간으로 하면 당연히 고학력 고숙련자들은 고임금 주5일로 가고
    저학련 저숙련자들이 저임금 주4일로 가니 당연히 고학력들이 많은 주5일 회사가 생산성 높게나오죠...
    반대로 같은 고임금에 주5일이랑 주4일 회사 있으면 그 고학력자들이 어디 갈까요? 당연 주4일로 가겠죠?
    그 사람들한태 밀린 2군격 학력자들은 어디로 갈까요? 주5일로 가겠죠? 그럼 이제 노동생산성이 누가더 높을까요??
    이렇게 비교를 해야지 뭔 실험 자체가 잘못된걸로 주4일이 생산성 낮다는 이딴 소리를 당연하게 말하시나요...

  • @user-dr8uc9py6d
    @user-dr8uc9py6d Месяц назад +2

    너무 안타깝습니데이ㅠㅠ 이랗게 우수한 두뇌를 가지신 분이 이런 연구를 하시다니... 근로시간에 따른 생산성은 변수가 억수로 많아요. 예를 들면 노가다나 사무직이나 워밍업시간이 필요합니다. 바로 출근해서 일을 하면 일이 제대로 안되요. 마치 엔진예열하듯이요. 그래서 그런 예열시간을 빼면 근로시간의 짧음에 따른 생산성이 더 떨어져보일거 같구요...
    제가 잘 모르지만 이런 연구를 하는 사람들도 실적이나 발표건수에 쫓기나보죠? 이번 연구는 좀...

    • @uulyyy
      @uulyyy Месяц назад

      근데 그건 아마도 유럽에 여러 케이스가 어느정도 증명이 됐으니 그러는거 아닐까여? 삼프로에 있는 다른 영상들보면 근거가 있는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연구를 하시는 분이라 허무맹랑한 이야기는 아닐꺼라고 생각하는 합니다. 한국 상황에 실제 적용 가능한지는 어쩔수없이 미지수의 영역이겠지만요 ㅎㅎ

  • @user-kc6wh1gb9m
    @user-kc6wh1gb9m Месяц назад

    삶의 터전ᆢ일할곳이 있어야 주4일도 가능합니다

  • @johanninekim6390
    @johanninekim6390 Месяц назад

    일단 주5일제라도 해보고 싶습니다. 종양내과의사 15년차입니다.

  • @alu3019
    @alu3019 Месяц назад +2

    오~~ 고급진 이 장소는 어딘가요?? ㅎㅎ 다들 더 멋져보이심😂😂

  • @mnbvcxzjqk8198
    @mnbvcxzjqk8198 26 дней назад

    주 4일이면, 투잡을 뜁니다.

  • @user-bv3hg7eg8x
    @user-bv3hg7eg8x Месяц назад +1

    새롭게 하소서 나오신분

  • @user-nk7wy4fh4z
    @user-nk7wy4fh4z Месяц назад +2

    주5일제 할때도 반발심했음. 기업 다 망한다고 ㅋㅋ

  • @user-rx6qi5hm3k
    @user-rx6qi5hm3k Месяц назад +1

    전공의가 주당 80시간 근무한다는 게 말이 되냐? 의사들은 이렇게 무리하게 근무하면서 증원을 왜 반대하나? 고생해도 밥그릇에 밥을 고봉으로 담아 배불리 먹는게 행복한가 보지? 환자 입장에서 보더라도 의사를 증원해야한다.

  • @user-ml1sk7nd7k
    @user-ml1sk7nd7k Месяц назад +1

    만약 주4일 되면 주식시장도 주4일 되나요 ? 그럼 안되는데 ....

  • @user-yv5qq4gh7l
    @user-yv5qq4gh7l Месяц назад +2

    그냥 금요일이나 수요일 0.5일로 출근하거나 오전/오후 자유롭게 근무해도 엄청나게 도움될듯

  • @kgcm-st9lj
    @kgcm-st9lj Месяц назад

    아..어떤성향의 사람이 모이는가...이런것도 차이가 있구나..
    균형발전하면 집값 땅값 떨어지니까 안한거지..

  • @user-wu3rg4dj4b
    @user-wu3rg4dj4b Месяц назад

    주4일제는 바라지도 않고
    중간에 버리는 시간 최소화해서 5시에 퇴근만 하자 제발

  • @user-nm1ek8lr5p
    @user-nm1ek8lr5p Месяц назад

    저는주5일하고싶어요 아직주6일하고있음 산업군 직업군에따라 다 다름니다 그냥 화이트칼라얘기만하는것같네요

  • @user-dc3st7zh7d
    @user-dc3st7zh7d Месяц назад

    시간과 생산과의 관계를 인과관계로 이해하기 보다는 선후관계로 이해하려는 느낌입니다. 생산성증가엔 분명 근무시간 이외에도 수많은 복합적인 문제들이 원인이었을텐데 거기에 관한 디테일하고 심층적인 문제들을 외면하고 덜렁 결과만 가지고 이해하려는 느낌입니다. 시간과 생산의 상관관계를 예를들어 시간이들어나니 생산성이 증가한다 할경우 내막은 시간증가는 생산감소 요인이고 다른 이유로 생산이 증가 했는데 결과 때문에 시간을 생산증가의 원인으로 지목할 위험이 잇습니다. 심층적 원인 분석보단 표피적인 해몽으로 때우려는 느낌입니다.
    그 외에도 너무 단순논리로 접근한다는 느낌이 드는게 예로 이디오피아에서 고졸이상 여성인력을 구하기도 힘들었을 텐데 대체 무슨 업무를 보는 회사를 설립했는지 모르지만 시간당 입력한 데이타로만 생산성을 평가 할때 그 데이터에 오류량은 점검 된 건지 모르겠네요. 입력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를 제외한 데이터량이어야 하는데 이렇게 할 경우 생산성 측정이 결코 단순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디오피아와 한국은 너무 다른 여건과 환경이 많아 비교나 예시 대상으로 적합하지 않아 보입니다
    그리고 근무시간이 긴 업종이 급여가 높다는 것도 우리나라 사정엔 별 의미 없는 가설로 보입니다. 전태일이 근무시간이 짧았던 것도 아니고 죽어라 좋은 대학 갈려고 피터지게 경쟁하는 이유도 적게 일하면서 많이 벌자고 하는 일입니다.
    그리고 인턴관련 강의 부분에서 초보의 노동시간증가가 숙련도증가에 비려하는 부분에서 동의는 하지만 무작정 숙련도가 증가하는게 아니고 숙련도가 증가하다 그 한계가 넘어 도리어 감소하는 변곡점이 있습니다. 심지어 시간에 쫓긴 부실한 근무는 잘못된 습관을 만들 위험마저 잇습니다. 나는 기술직으로 일했지만 과도하게 많은 업무는 도리에 디테일한 작업을 방해 합니다.
    그리고 사망사고가 많이 줄지 않는다는건 원래 사망사고가 많지 않기 때문에 예를들어 10년에2명 죽는게 10년에 한명 죽는다면 50%감소이지요. 그래서 함부로 효과가 없다고 하기도 힘들고 죽고 사는 게 아니라도 점검하기 힘든 소소한 실수도 내몸이라 생각하면 함부로 무시할게 아님니다.
    그래서 리비지원법이 효과가 없었다는건 결론을 임정한 상태에서 그걸 해몽하는 끼워 맟추기 강의로 느껴집니다.

  • @user-uk7oo5sq9t
    @user-uk7oo5sq9t Месяц назад +2

    생계문제 있음 주 4일에 투잡이상 뛰어야지 ㅎㅎㅎ

  • @user-ee9wp1jc9s
    @user-ee9wp1jc9s Месяц назад +1

    제조업 국가에서 가능함? ㅎㅎㅎ 묻고싶네 임금 안줄이고 일적게 하면 기업은 땅파서 장사함
    우리나라가 전기료 법인세 부분은 낮은편인데
    돈없으면 주4일 일하는건 불행임 3일동안 놀려면 돈있어야지ㅋㅋㅋㅋ 돈없으면 행복도없음 대한민국은

  • @user-le2jp8yl9m
    @user-le2jp8yl9m Месяц назад

    지금 사업구조상 죽어도 안됨. 편법으로 주4일 가능할지도..(주7일 근무했다 주2~3일로 보상?가능지도?) 사람들은 네이버 카카오 IT기업같은거 생각하겠지만 우리나라 대부분이 인력 시간 녹여서 돈버는 생산직임. 수요가 정해져있다보니 블프나 크마등 이벤트에 맞쳐서 생산해서... 자동화가 늘지 인간이 설자리가, , ,

  • @v10bears28
    @v10bears28 Месяц назад

    무조건 적용할 수는 없겠죠

  • @user-zf1bq2nt7k
    @user-zf1bq2nt7k Месяц назад +5

    사장님들 많네 ㅋㅋㅋㅋ

  • @user-dc6jv9to8v
    @user-dc6jv9to8v Месяц назад +4

    근로자의 날..오늘도 일했습니다..

  • @k0035633
    @k0035633 2 дня назад

    건설사.. 주6일 하는데 4일이라니.. 실현되면좋겠다..

  • @user-it1ij5cp6u
    @user-it1ij5cp6u Месяц назад +2

    니가 기업을 해봐라
    주4일제 하면 회사가 안망할수 잇는 방법이 있는지. . . . .

  • @user-me1xd7kd6o
    @user-me1xd7kd6o Месяц назад +1

    주 4일제
    돈주는 기업주는 어디에도 없고 돈받는 사람들끼리 앉아서 네돈 내돈 같이 올려받자는 토론이 무슨 의미가 있나요?

  • @user-oz2zy1vl1n
    @user-oz2zy1vl1n Месяц назад +2

    4일제 ㅋㅋ 나라 경제 다 말아먹음 경쟁력 떨어짐 특히 제조업

  • @user-yn8ljinn
    @user-yn8ljinn Месяц назад

    주 6일때나 주5일때나 일잘하는 사람은 그만한 능력이 나옴....근데 생산성은 떨어지니...물가는 더 올라감😂😂😂

  • @claudiahong3410
    @claudiahong3410 Месяц назад +1

    주 4일제는 새로운 사람을 고용할 때 약간 낮춰진 임금과 함께 그걸 원하는 사람을 고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되어야 합니다. 같은 돈으로 같은 생산성으로 5일에서 4일로 바꾸는 건 당연히 안되죠..

  • @macaus4935
    @macaus4935 Месяц назад

    이른 새벽인가보다. 돈여 언니는 매일 어두울때 집에서 나오겠지

  • @user-xn3vt5zi8v
    @user-xn3vt5zi8v Месяц назад +1

    그래 직원하지말고 다 사장하고 일은 알아서 필요한만큼 해라고 하면되겠네 ㅋㅋ

  • @user-sj1hz9kt6g
    @user-sj1hz9kt6g Месяц назад

    온세계 달력을 주6일로 고쳐서 주4일 근무하고 2일 쉽시다...why noy??

  • @user-ff6zi6kh3w
    @user-ff6zi6kh3w Месяц назад +2

    주4일하면 삶은 윤택해지는데 돈은 적어지니 행복이 1순위가 된다면 가능할꺼라 봅니다.

  • @ALETHES
    @ALETHES Месяц назад +4

    근데 생산성 처참해도 근무시간 갈아넣어서 겨우 유지하고 있는 나라에서 주 4일제하면 다른 나라들이 동참해줄까? 주 5일제야 많은 나라들이 주 5일을 하고 있었으니까 별 타격이 없었다 치더라도.

  • @user-eu4sw6ts3z
    @user-eu4sw6ts3z 17 дней назад +1

    나라가 의무강제 안하면 회사가 하지. 더 강하게 ㅋㅋ

  • @user-eo6nj1ne3c
    @user-eo6nj1ne3c Месяц назад +10

    질좋은 직장. 좋은 선호직장에만 해당하는 말씀. 외국과 비교하는데, 제반여건및법규정도 비교해 보고 말씀하시지..... 소규모 장사 해보고 말씀하시지..... 에궁.. 일 못하고 크레임 일으켜도 해고도 못하는 나라....

    • @dongcheolkim4308
      @dongcheolkim4308 Месяц назад +2

      그렇죠....전혀 현실성없고 경험도 없는 사람들의 탁상공론

  • @user-yw3qw7gf2t
    @user-yw3qw7gf2t Месяц назад +1

    회사에서 쓸모없는 사람들은 자진해서 나가라

  • @mcy2756
    @mcy2756 Месяц назад +1

    삼성 엘지 SK는 주4일제 시도 하는거 같은데 ...
    보여주기식인거 같기도 하고 생산하고 품질만 아니면 가능할지도

  • @Reng_Jo
    @Reng_Jo Месяц назад

    월급을 주4일치만 받으면 되겠죠….

  • @John_Bae
    @John_Bae Месяц назад +1

    시간강사에게 이런건 아무른 의미없다

  • @jungyoonchoi671
    @jungyoonchoi671 Месяц назад +10

    월급 똑같이 받으면서 주4일제 하고싶다고 하면 도둑아닌가. 어떻게 하면 열심히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노동자들이 되길...
    다들 뽑아만 주시면 열심히 한다더니 입사하고 나면 일은 하지 않고 뭐가 그리 불만이 많은지

  • @user-nd6fq6mx5n
    @user-nd6fq6mx5n Месяц назад +1

    대기업근처에서 식당을하는 저로서는 반갑지않은 정책입니다. 매출이 눈에띠게줍니다ㅠ 금요일부터쉬는데 목요일부터타격이옵니다.

  • @user-nt1dh8ci6c
    @user-nt1dh8ci6c Месяц назад +11

    주 4일제 법제화하는 나라는 망합니다 왜냐 주4일제 법제화가 되면 학생들도 4일만 학교가야되서 교육시스템이 맛탱이 갑니다 토요일은 오전만 일하거나 등교하다 주5일제로 바뀔때랑은 차원이 틀립니다 부모는 자식에 대한 양육부담만 더 늘어나서 더 아이 안낳을거구 양극화만 더 심해집니다 좋은직장 아니면 최소 투잡을 뛰어야 인간다운 생활이 가능한 환경이 좋을까요?

  • @yingzaijin6936
    @yingzaijin6936 Месяц назад +1

    최대 노동시간은 건강에 유해하니깐.. 법으로 강제하지만.. 최소 근무시간은 왜 법으로 강제 하는거임?
    5일을 일하던... 하루를 일하던.. 하루에 5시간 일하던 9시간 일하던.. 일한만큼만 받으면 문제 없는거 아님??
    4일제든 6일제든 맘대로 하면 안돼나요?

    • @uulyyy
      @uulyyy Месяц назад

      악용할 여지가 많아져서 그런거 아닐까요?

  • @fdbbbbn
    @fdbbbbn Месяц назад

    의사들의 전통적인 과로 업무 체계를 만든 William Stewart Halsted(존스 흡킨스 병원 창립 교수중 한명)는 코카인 중독이었다고 합니다.

    • @user-iw6js1pm5g
      @user-iw6js1pm5g Месяц назад

      헉 이때 순순히 받아 들이지 않았겠죠?

    • @fdbbbbn
      @fdbbbbn Месяц назад

      @@user-iw6js1pm5g 받아들여졌고, Halsted 식의 (코카인 먹지 않고는 버티기 힘들 정도의) 과다업무가 의사 수련체계의 표준이 되어버렸습니다 ㅠㅠ

  • @user-pu3vm4hs1t
    @user-pu3vm4hs1t Месяц назад +2

    그냥
    먹고 자고 놀고
    하세요
    언제 철들까?

  • @user-hp6cz4pe6k
    @user-hp6cz4pe6k Месяц назад +2

    근로자의 수입이 떨어져서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게 문제라면 주4일제 하고 월급의 주5일제로 주면되요

  • @ywjeong4107
    @ywjeong4107 Месяц назад

    생산성.. 그게 더 올릴 수 있는겁니까? 원가를 올려도 살 수 밖에 없는 제품이어야하는데?

  • @user-yw3qw7gf2t
    @user-yw3qw7gf2t Месяц назад

    담배와 커피의 생산성을 무시하면 안되죠

  • @user-rx6qi5hm3k
    @user-rx6qi5hm3k Месяц назад

    직원에게 퇴근 전까지 마칠 수 없는 과다한 업무량을 주고나선 퇴근 전까지 일을 마치라고 억지 소리를 하는 악덕 사용자가 대기업, 중소기업 할 것없이 부지기수다.
    게다가 맘대로 해고할 수없게 개정된 노동법으로 사용자는 정규직은 거의 고용하지 않고 해고하기 편한 비정규직만 고용하는데다 인건비 부담으로 줄이기 위해 소요인원보다 줄여 고용해서 업무를 과중하게 만든다.
    경직된 노동법을 유연하게 개정해서 기업이 필요에 따라 고용과 해고를 용이하게 해서 고용창출이 이뤄지도록 해야한다.
    문제는 더불어 살자면서 취준생이나 중소업체 노동자는 생각않고 뻔뻔스럽게 자기들 밥그릇만 챙기는 이기심에 가득찬 현기차 노조 같은 강성귀족노조들이 노동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들고 있는게 큰일이다.

  • @baltopegginddae
    @baltopegginddae Месяц назад

    주 4일 되는건 시간문제지...

  • @pentopen
    @pentopen Месяц назад +8

    그렇게 일하기 싫으면 평생 주 7일 내내 쉴수도 있는데....

  • @run-away.
    @run-away. Месяц назад +1

    주4일제 건너 띄고 주3일제 가즈아!

  • @jaylee8669
    @jaylee8669 Месяц назад +1

    근래 본 언더스탠딩 영상중 가장 영양가 없는 30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