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우미 이모님이 밝고 명랑하셔서 함께 생활하기엔 좋으시겠어요 ㅎㅎ 메이드님의 의상이 처음 봤을땐 특이하다 생각했는데 오늘보니 전통의상이 아닌가 생각되어지네요 . 철옹성도 기다리는 강쥐들도 미소가 지어지게 해요😊 오늘 아침 이 영상 보면서 즐겁게 시작했습니다^^ 유트버님도 오늘 즐겁게 보내세용 그리고 다음부턴 비스킷 입니다!!!!!😆😆
잘 봤습니다. 나이지리아 일상을 이렇게 가까이 보는것도 신기하네요. 시골출신 가정부 일상도 재밌네요. 피자 못 먹는것도 옛날 생각나서 재밌었습니다 ㅋ 한가지 부탁이 있다면 어린 가정부의 노동환경은 좀 개선해주면 좋겠어요. 1. 마당빗자루는 서서 할수 있는걸로 교체. 2. 바케츠는 손잡이 있는 걸로 교체. 3. 빨래는 세탁이가 없는지 모르겠지만 허리를 숙여서 하지말고 최소한 의자에 앉아서라도 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물론 아프리카 시골은 보통 저렇게 많이 하지만 그래도 앉아서 할수 있으면 또 앉아서 잘 하더라구요. 4. 수도가 먼데 긴 호스를 구비해두면 일하기 정말 수월합니다. 5. 손수레 하나 구비해 두시면 일하는데 아주 유용합니다. 대충 이정돈데 이것만 해도 허리에 가는 부담이 확 줄어들거에요. ps 오지랖 부려서 죄송합니다. 저도 시골 출신이라 저런 환경 보면 가슴이 좀 저리더라구요.
@goodmorningafrica6071 진짜.. 아프리카에 갈때마다 가난한 사람들과 부자들의 간극이 너무 커서 볼때마다 놀라고 마음아픕니다. 이들이 가난하게 태어난게 죄가 아닌데 특출나지 않는 이상 부자는 커녕 중산층도 되기 힘든 구조. 적어도 이들이 배불리 먹는것만이라도 해결되면 참 좋을텐데..
영상이 길어서 더 알차게 볼만합니다
수고하셔요 또 뵈요
감사합니다
오늘도 잘 구경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나이지리아 에서 일하던 시절이 좋았던 시절이었네요!
포트 하코트 비료공장과
보니섬!!
나이지리아에서 근무하셨군요.
반갑습니다.
@goodmorningafrica6071 17년도까지 인도라마 비료공장에 근무했습니다!!
@하해숙 그러시군요.
대우 에서 근무 하셨나 보군요!
넵
도우미 이모님이 밝고 명랑하셔서 함께 생활하기엔 좋으시겠어요 ㅎㅎ
메이드님의 의상이 처음 봤을땐 특이하다 생각했는데 오늘보니 전통의상이 아닌가 생각되어지네요 .
철옹성도 기다리는 강쥐들도 미소가 지어지게 해요😊
오늘 아침 이 영상 보면서 즐겁게 시작했습니다^^
유트버님도 오늘 즐겁게 보내세용
그리고 다음부턴 비스킷 입니다!!!!!😆😆
바쁜중에 정신없이 만들다 보니 많이 틀렸죠.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나이지리아 일상을 이렇게 가까이 보는것도 신기하네요.
시골출신 가정부 일상도 재밌네요. 피자 못 먹는것도 옛날 생각나서 재밌었습니다 ㅋ
한가지 부탁이 있다면 어린 가정부의 노동환경은 좀 개선해주면 좋겠어요.
1. 마당빗자루는 서서 할수 있는걸로 교체.
2. 바케츠는 손잡이 있는 걸로 교체.
3. 빨래는 세탁이가 없는지 모르겠지만 허리를 숙여서 하지말고 최소한 의자에 앉아서라도 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물론 아프리카 시골은 보통 저렇게 많이 하지만 그래도 앉아서 할수 있으면 또 앉아서 잘 하더라구요.
4. 수도가 먼데 긴 호스를 구비해두면 일하기 정말 수월합니다.
5. 손수레 하나 구비해 두시면 일하는데 아주 유용합니다.
대충 이정돈데 이것만 해도 허리에 가는 부담이 확 줄어들거에요.
ps 오지랖 부려서 죄송합니다. 저도 시골 출신이라 저런 환경 보면 가슴이 좀 저리더라구요.
정말 정말 감사 합니다.
정말 유심히 보셨군요.
시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워낙 이곳 노동환경이나 생활 환경이 취약 하다 보니 저도 별생각 없이 이곳 사람처럼 됐나 봅니다.
깜빡 잊고 살았던 제 생활에 큰 일 깨움을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아프리카 물가가 우리나라와 비슷하네요..
잘봤습니다. 굿모닝 아프리카
싼물건은 터무이 없이 싸고 비싼 물건들은 한국과 별차이가 없습니다.
나이지리아 서민들은 싼물건 위주로 구매해서 살아가기 때문에 하루 1달러로도 생활이 가능 하가도 하고요!!
감사합니다.
우와 닭한마리가 만원이 넘고 소고기는 만원은 줘야하는.. 그런데 어떻게 1달러로 하루를 살 수 있나요.. 라펠의 일당으로는 가족이 고기먹는게 가능할지...
안터 깝게도 거의 불가능 해요.
카사바 가루나 가리 같은 파우더 종류의 음식이 주식입니다.
@goodmorningafrica6071 진짜.. 아프리카에 갈때마다 가난한 사람들과 부자들의 간극이 너무 커서 볼때마다 놀라고 마음아픕니다. 이들이 가난하게 태어난게 죄가 아닌데 특출나지 않는 이상 부자는 커녕 중산층도 되기 힘든 구조. 적어도 이들이 배불리 먹는것만이라도 해결되면 참 좋을텐데..
@everkim452 그렇습니다.!!
개천에서 용 나지 않는한 부자가 된다는건 불가능한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