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전기기초용어 / 2강. 단락사고, 지락사고, 누전사고, 혼촉사고의 차이점 - 윤석만 기술사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전기기사 전기기초용어 / 2강. 단락사고, 지락사고, 누전사고, 혼촉사고의 차이점 - 윤석만 기술사]
전기 용어가 너무 어려운 초보자/입문자를 위한 강의!
배울학 전기 대표교수 윤석만 기술사가 직.접. 알려주는
새롭게 리뉴얼 된 전기 기초 용어 강의입니다:)
믿고듣는 윤석만 기술사의 강의 보고 오늘부터 전기 초보 탈출하자!
배울학 전기기사 ☞ electric.baeulh...
전기기사필기, 전기기사, 전기기사실기, 전기기사필기기출, 전기기사시험일정, 전기기사자격증, 전기기사난이도, 전기기사인강, 전기기사합격률, 전기기사자격요건, 전기기사기초강의, 전기기사시험, 전기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필기, 전기공사기사실기, 전기산업기사필기, 전기산업기사실기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명쾌한 강의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단락사고가 큰건 알겠는데..단락사고가 왜 큰지 모르겠습니다
전원과 전원이 접촉하면 순간 급격한 스파크가 생기잖아요. 자동차 배터리 +(양극) 하고 -(음극) 전선으로 연결 해보세요. 파바박 할겁니다
짧고 간결한 설명 감사합니다.
가정집에서 지락사고시 누전차단기 가 트립되지않코. 전기실에있는 acb'의 ocgr동작가 트립되는경우는 왜그런지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남문지기님, 배울학입니다.
남겨주신 질문 내용이 포괄적이라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해당 영상 내 관련있는 부분을 X:X초와 같이 표기 또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질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실무적인 설비 내용은 기초용어 수업시간 내용에 반영하기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누전차단기고장요
아하....단락사고라고 하길래 처음에는 상식적으로 하나의 교류선이 끊어지는 사고를 단락사고 라고 생각했고, 하나의 교류가 붙으면 그건 쇼트인데 그게 아니고 서로 다른 2개의 전선이 붙는 사고가 단락사고구나...음...
아마 단락을 회로가 끊어진 것이라고 알고 있는 경우도 있는데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한자를 보면 알겠지만 짧을 短 이을 絡을 씁니다.
"절단" 등에 쓰이는 끊을 단(斷)을 쓰는 단선(斷線)과 헷갈려서 이런 오개념이 생긴 것 같읍니다.
단선(斷線)은 오히려 회로 개방(open)과 관련이 있다고 보면 됩니다.
정리하면 단락은 합선, 개방은 단선.
그러면 단락사고는. 두선을 잇지않으면 사고가 없는건가요?
단락과 개방 그리고 단락비란 것도 있는데 발전기는 단락을 이용하고 있는데 그것은 사고인가요?